박사

장소마케팅을 위한 통영시 예술인 기념공간의 조성 과정

진금주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장소마케팅을 위한 통영시 예술인 기념공간의 조성 과정'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기념공간
  • 기념관
  • 김용익
  • 김춘수
  • 문화예술
  • 박경리
  • 박경리 기념관
  • 예술인
  • 유치환
  • 윤이상
  • 장소마케팅
  • 장소성
  • 전혁림
  • 지역 리더
  • 통영
  • 통영국제음악당
  • 통영국제음악제
  • 프랭크 게리(frank gehrye)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41 0

0.0%

' 장소마케팅을 위한 통영시 예술인 기념공간의 조성 과정' 의 참고문헌

  • 홀로코스트 기념관 건축을 통해서 본 감각적 장소성 재현에 관한 연구
    구영민 최기석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계획계 제31권 제2호(통권 제56집), pp.119-120 [2011]
  • 박사
    현대사회에서 뮤지엄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이현아 중앙대학교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 현대 메모리얼의 개념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문은미 기초조형학연구,제9권, 6호 [2007]
  • 박사
  • 한국 현대건축에 있어서 기념비성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한갑석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 프랑스 문학관의 설립배경과 발전과정
    김점석 윤학로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14집, pp.165-187 [2005]
  • 통제영 공방의 역사: 전통공예의 산실, 통영공방의 재조명 학술발표회집
    김일룡 문화재청 경상남도 [1999]
  • 통영지지연구, , 국토지지연구회
    국토연구원 [2005]
  • 통영의 근대도시 공간 생산과정에 따른 시대별 경관 특성-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 이론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vol.9.no.4
    최문영 대한건축학회지연합회, pp.107-116 [2007]
  • 통영은 맛있다
    강제윤 생각을 담는 집 [2013]
  • 통영시사편찬위원회
    통영시지 [1999]
  • 통영시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 바다의 땅: The Land of Sea
    통영시 편찬 [2005]
  • 통영과 이중섭
    김순철 에코 통영 [2010]
  • 박사
  • 충무시지편찬위원회, , 충무시지
    충무시 [1987]
  • 춘천시 축제에 나타난 장소마케팅의 성격 : 참여주체 구조와 주체간 갈등관계를 중심으로
    헤이만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9]
  • 지역문화관광 상품화 과정의 문화매개집단 역할에 관한 연구 : 일본 가나자와시 히가시 야마 지역을 사례로
    이소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
  • 지역기반산업으 위기에 대한 지역에리트의 대응양식-통영시를사례로
    이승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지역관광개발에서의 이해관계자 유형 및 협력과정에 관한 연구,관광연구논총
    강신겸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제11호, pp.45-59 [1999]
  • 지역개발에서 관광과 문화산업의 결합: 제3의 문화전략, 「세계화 시대의 문화와 관광」
    이정훈 경덕출판사, pp.167-211 [2007]
  • 지역개발론
    황명찬 법문사 [2001]
  • 지리학사
    이희연 법문사 [1995]
  • 중소도시 지역개발 수단으로서 제의 문화전략: 관광과 문화산업의 사회, 공간적 결합-부천시를 사례로, 관광경영연구, 제8권, 제3호,통권 제22호
    이정훈 관광경영학회, pp.257-292 [2004]
  • 전통민속마을의 문화관광지화에 관한 연구 : 하회마을, 외암마을, 낙안읍성마을을 사례로
    노영순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 재미교포의 북한에 대한 장소감과 행동양식 : 장소심리학적 접근
    오인혜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3]
  • 장소판촉적 지역발전을 위한 장소자산 형성에 관한 연구
    김현호 국토연구 제36권, pp.77-95 [2003]
  • 장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분석:대학로와 로데오 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옥 최막중 국토계획, 36(2), pp.153-162 [2001]
  • 장소성과 장소구축, 사회과학연구, 제14집 제1호
    김덕현 경상대 사회과학대학, pp.61-83 [1996]
  • 박사
  •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한국과 미국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를 사례로
    백선혜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4]
  • 일제 강점기 통영 도시계획의 배경과 집행과정에 관한 연구
    김재홍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1999, no.2, pp.311-328 [1999]
  • 박사
  • 이-푸 투안 저, 구동회 심승희(역), , 공간과 장소, 대윤(Tuan, Yi-Fu,1977,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Universityof Minnesota Press, USA) [2005]
  • 유럽의 전통산업도시에서 문화 예술도시로의 변모: 빌바오(Bilabo)에서의 ‘구겐하임효과(Guggenheim Effect)’에 대한 비판적고찰, EU연구, no.25
    이은해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EU연구소, pp.115-144 [2009]
  • 월간미술 엮음,『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 원통형 廢사일로(Silo)의 프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활용에 관한연구 : 마산항 廢사일로를 Marine city museum으로 계획
    백현주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우리나라 지역지리학의 연구 추세와 전망
    안영진 한국지역지리학회지제8권 제2호 pp.184-198 [2002]
  • 에드워드 렐프 저, 김현주 심승희 김덕현(역), ,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 알라이다 야스만 저, 변학수 역, , 기억의 공간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3]
  • 신성공간이 주는 새로운 경관적 시각과 장소적 함의: 절두산 순교 성지를 사례로
    정은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제22권 제2호, pp.71-86 [2012]
  • 서울의 기념인물과 장소의 역사성-가로명 및 공공부지 조형물을중심으로, 「서울학연구」 25
    전우용 서울학연구소, p.92 [2005]
  • 서울의 공간 이용 이렇게 하자,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환경
    김용창 1996년 여름호 [1996]
  • 빌헬름 딜타이 저, 이한우 역, , 체험 표현 이해
    책세상 [2002]
  • 복합문화공간으로의 문학관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문학관을 중심으로 -
    김종우 문화정책논총 제28집 제1호 p.253-277 [2014]
  • 바다의 땅 멈추지 않는 나의 꿈
    진의장 채움커뮤니케이션즈 [2014]
  • 뮤지엄 형성의 사회적 배경과 역할에 관한 연구
    정현경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문화관광지의 지역성 재구성 과정 : 일본 홋카이도 세 지방도시를 사례로
    조아라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7]
  • 문학공간의 문학관 조성 방안과 문화산업화 전략, 한국문예창작,10
    박덕규 한국문예창작학회 [2006]
  • 문학공간답사를 활용한 문학교육 방안 시안, 한국언어문화, 26
    김수복 한국언어문화학회 [2004]
  • 명품명장 통영12공방 이야기
    조윤주 통영시 및 디자인하우스 [2009]
  • 루이제 린저(윤이상평화재단,옮김), , 윤이상, 상처 입은 용
    윤이상 랜덤하우스중앙 [2005]
  • 랜드마크 건립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 상징조형물의시장가치와 비시장가치 추정
    구정태 김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Vol.16 No.2,pp.189-211 [2006]
  • 도시박물관과 도시의 미래, 서울역사박물관국제학술강좌 제7집
    John Haworth Gustav Heye 서울역사박물관, pp.152-162 [2010]
  • 년, 제30호, “박경리의 생애, 그리고 통영”
    김정자 통영문학,pp.266-299 [2011]
  • 년, “국민문학 ‘토지’ 작가 박경리, “행복했다면 문학을 껴안지 않았다.”, 신동아
    황호택 1월호, pp.230-249 [2005]
  • 내 남편 윤이상 상․하
    이수자 창작과비평사 [1998]
  • 기억과 학습-이론 실천 정책
    문화적 이병준 년 문화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원고, pp.127-139 [2007]
  • 기념관 건립운동의 변화와 동학: 민주화운동 기념관들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정호기 2005년 봄호(통권 제 65호), pp.226-250 [2005]
  • 기념경관의 물리적 형태 구성에 관한 연구
    김도경 이한송 경희대학교부설디자인 논문집, 제12권 [1999]
  • 글로벌 시대의 지역문화: 지역을 넘어 세계로, 경기도 문화의 21세기를 그리다, 경기문화재단 창립 10주년 기념 심포지엄
    공유식 경기문화재단, pp.9-20 [2007]
  • 근대 통영지역 시문학의 전통, 통영 거제지역 연구
    박태일 경남대학교, vol.4, pp.347-387 [1999]
  • 관광학총론: 55인의 관광학 전문인이 집필한, 한국관광학회
    이승곤 백산출판사 [2009]
  • 관광을 통한 전통공예 활성화에 관한 연구-통영시를 사례로
    정혜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5]
  • 박사
  • 공간의 문화정치학
    이무용 논형 [2005]
  • 고장의 문화 판촉 : 세계화시대에 지방이 살 길
    김형국 학고재 [2002]
  • 박사
  • 경기문학 활성화를 위한 지역문학관 정책연구
    고명철 경기문화재단 [2005]
  • 경계선상의 음악
  • 「최신관광학」
    김광근 백산출판사 [2007]
  • “축제와 지역문화”
    이연정 제5회공연예술열린강좌위원단, 축제: 축제의 기능과 운영,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공연예술학과, pp.111-119 [1998]
  • “기념비성과 기념비주의”
    강혁 이상건축, 3월호 [2001]
  • ‘축제의 문학화 일상의 문학화-김유정 문학제의 경우’, 「축제문화의 재현상」(조성애 외 공저)
    박찬일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6]
  • ‘지역축제 이벤트 문화산업 연계방안’
    안경모 문화도시 문화복지제129호 [2002]
  • ‘지역성장을 위한 장소마케팅’, 한국도시문제와 도시개혁
    신혜란 한국공간환경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1997]
  • ‘Arkiviihtyvyyden aika, kaupunkipolitiikan pehme a puoli’,in Antikainen, J. and Pyoria, T.(eds.) ‘Kaupunkiseutujen kasvunaika’, Sisaasianministerion julkaisuja 14/2004, Alueidenkehittaminen, Helsinki, Finland, pp.31-36. (Vesa Harmaakorpi,Kaarina Kari, Satu Parjanen
    Karisto,A. 2008에서 재인용) [2004]
  • Urry, J., 1990, The tourist Gaze- Leisure and Travel in ContemporarySocieties(2nd edn., 2002). London, Sage.
  • Twigger-Ross, C.L. & D.L. Uzzell, 1996, Place and Identity Process, journal ofEnvironmental Psychology, vol.16, pp.205-220.
  • Tuan, Yi-Fu, 1977, Space and place, Arnold, London.
  • Tourism Geography, Routledge: 신용석 정선희 역(1998),현대 관광의 이론과 실제
    Williams, S. 한울아카데미 [1998]
  • Theodore Metaxas, 2010, Place marketing, place branding and foreign derectinvestments: Defining their relationship in the frame of localeconomic development process, Place Branding and PublicDiplomacy, 6(3), pp.228-243.
  • Scott A. J., 2004, “Cultural-products industries and urban economicdevelopment-prospects for growth and market contestation in globalcontext”, Urban Affairs Review, vol.39, No.4, pp.461-490.
  • Schneekloth, L. and Shibley, R., 2000, Implacing architecture into the practiceof placemaking. Journal of Architectural Education 55 (30),pp.130-140.
  • Sassen Saskia, 1991, The Global City: New York, London, Tokyo, PrincetonUniversity Press.
  • Sack, R.D., 1997, Place, Modernity, and The Consumer‘s World: A RelationalFramework For Geographical Analysis, Baltimore: Johns hopkinsUniversity Press.
  • Relph, E.,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Pion Limited.
  • Rainisto, S., 2003, Success factors of place marketing, Doctorial Dissertations2003/4, Helsinki University of Technology, Institute of Strategy andInternational Business, Espoo.
  • Prentice, Richard & Vivien Andersen, 2003, Festival as Creative Destination,Annuals of Tourism Research, vol.30, no.1, pp.379-385.
  • Pred, A., 1983, Structuration and Place, Journal of the Theory of SocialBehaviour, 13, pp.157-186.
  • Postmodern Geographies; 이무용 역, 1997, 공간과 비판사회이론
    Soja E. 시각과 언어 [1993]
  • Perroux, F., 1971, English trans. in Livingstone, I.(ed.), Economic Policy forDevelopment, Penguin: Harmondsworth, pp. 278-289. “Note sur lanotion de pole de croissance”, Economie Appliquee, 8, 1955, pp.307-320.
  • Paul Williams, 2007, Memorial Museum: The global rush to commemorateatrocities, BERG.
  • Passi, A., 2003, Region and place: regional identity in question, Progress inHuman Geography, 28(4): pp.536-546.
  • Passi, A., 2001, Europe as a social process and discourse: consideration ofplace, boundaries and identity, European Urban and RegionalStudies, 8(1): pp.7-28.
  • Passi, A., 1986, The institutionalization of regions: a theoretical framework ofunderstanding the emergence of regions and the constitution ofregional identity, Fennia, 164(1), pp.105-146.
  • Page, S.J. and Hardyman, R., 1996, Place marketing and town centremanagement: A new tool for urban revitalization, Cities, 13(3),pp.153-164.
  • O’ Shaughnessy, J. and O’ Shaughnessy, N. J., 2000, Treating the nationas a brand: Some neglected issues, Journal of Macromarketing20(1): pp.56-64.
  • Murphy, L, Moscardo, G. and Benckendorff, P., 2007, Using brand personalityto differentiate regional tourism destinations, Journal of TravelResearch, 46(1), pp.5-14.
  • Moore, R.L, & Graefe, A.R, 1994, Attachments to Recreation Settings: theCase of Rail-Trail Users. Leisure Sciences, 16, pp.17-31.
  • Moore, J., 2000, Placing Home in Context, Journal of EnvironmentalPsychology, vol.20, pp.207-218.
  • Mino Yukata, 2006, “Museum changes a city”, INTERCOM 2006CONFERENCE, Taipei.
  • McCabe, S. (1998), “Contesting Home: Tourism, Memory, and Identity inSackville, New Brunswick”, Canadian Geographer, vol.42, no.2,pp.231-245.
  • Manzo, Lynne C., 2003, Beyond House and Heaven: Toward a Revisioning ofEmotional Relationships with Places, journal of EnvironmentalPsychology, vol.23, pp.47-61.
  • Manrai, L.A. and Manrai, A.K., 1993, Positioning European countries as brandsin a perceptual map: An empirical study of determinants ofconsumer perceptions and prefernces, Journal of Euromarketing,2(30), pp.101-129.
  • Malecki, E. J., 2001, Technology and Economic Development-the Dynamics oflocal, Regional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Longman.
  • Lynch, K., 1960, The image of the city. Cambridge: The MIT Press.
  • Kunzmann, K.R., 2004, “Culture, creativity and spatial planning”, TownPlanning Review, vol.75, no.4, pp.383-404.
  • Kotler, P., Asplund, C., Rein. I. and Heider. D.(1999), Marketing PlacesEurope: Attracting Investments, Industries, Residents and Visitors toEuropean Cities, Communities, Regions and Nations, London,Pearson Education Ltd.
  • Kotler, P. et al. 1993, Marketing Places: Attracting Investments, Industries,and Tourism to Cities, States, and Nations, The Free Press, NewYork.
  • Kotler, P and Scheff, J., 1997, Standing room only: strategies for marketingthe performing art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 Kearns G. & Philo C., 1993, Selling Places: the City as Cultural Capital, Postand Present, Pergamon Press: Oxford.
  • Kavaratzis, M.,2007, “City marketing: the past the present and someunresolved issues”, Geography Compass, vol.1, no.3, pp.695-712.
  • Jon Coaffee & Peter Rogers, 2008, Reputation risk and resiliency: Thebranding of security in place-making, Place Branding and PublicDiplomacy, 4(3), pp.205-217.
  • Jessop, B., 1994, Post-Fordism and State in A. Amin(ed). Post-Fordism: aReader, Oxford Blackwell, pp.251-279.
  • Janne Lindstedt, 2011, Place, identity and the socially responsible constructionof place brands, Place Branding and Public Diplomacy 7, pp.42-49.
  • Jamal and Getz, 1995, “Collaboration Theory and Community TourismPlanning”, Annuals of Tourism Research, vol.22, no.1, pp.186-204.
  • Hummon, D.M., 1992, Community Attachment: Local Sentiment and Sense ofPlace, in I. Altman & S. Low(eds), Human Behavior andEnvironmen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vol 12: PlaceAttachment, Plenum Press, New York, pp.253-278.
  • Holcomb, B., 1993, ‘Revisioning Place: De and re-constructing the image ofthe industrial city’, in Kearns, G. and Philo, C.(eds), ‘SellingPlaces: ’the City of Cultural Capital’ Past and Present’,Pergamon Press, Oxford, pp.133-143.
  • Hoekveld, G. et al., 1994, Introduction: Patterns in regional geography, inTerlouW, C., (ed.), Methodological Exercises in Regional Geography:France as a Example (=Nederlandse Geografische Studies 179),pp.3-10.
  • Henderson, J.C., 2000, Selling Place: The new Asia-singapore brand, Journalof Tourism Studies, 11(1), pp.36-44.
  • Healy, p., 1997, collaborative Planning. Shaping Place in FragmentedSocieties. London: MacMillan.
  • Healey P. et al., 1992, Property-led urban regeneration: an assessment,Rebuilding the city: property-led urban regeneration, E&FN Spon,London.
  • Hay, B., 1998, Sense of Place in Developmental Context, Journal ofEnvironmental Psychology, 18, pp.5-29.
  • Hauer, J. and Hoekveld, G., 1993, Introduction: Why regional humangeography, in Hauer, J. et al., (eds.), Moving Regions (=NederlandseGeografische Studies 161), pp.13-24.
  • Gotham, K.F., 2002, Marketing Mardi Gras: Commodification, Spectacle andthe Polotical Economy of Tourism in New Orleans, Urban Studies,vol.39, no.10, pp.1735-1756.
  • Fotsch, 2004, “Tourism’s uneven impact: History on Cannery Row”,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31, no.4, pp.779-800.
  • Foley M. and McPherson G., 2000, “Museum as Leisure”, InternationalJournal of Heritage Studies, vol.6, no.2, pp.161-174.
  • Florida, R., 2002, The Rise of Creative Class. And How it is TransformingWork, Leisure, Community and Every Day Life, Basic Books, NewYork, NY.
  • Entrikin, N. and Berdoulay, V., 2005, “The Pyrenees as place: Lefebvre asguide”, Progress in Human Geography, vol.19, no.2, pp.129-147.
  • Echtner, C.M. and Ritchie, J.R., 1993, The measurement of destination image:An empirical assessment, Journal of Travel Research, 31(4),pp.3-13.
  • Deffner, A. and Metaxas, T., 2010, “Place marketing local identity andbranding cultural images in Southern Europe: Nea Ionia, Greeceand Pafos, Cyprus”, in Ashworth, G. and Kavaratzis, M. (Eds),Towards Effective Place Brand Management. Branding EuropeanCities and Regions, Edward Elgar, Cheltenham, pp.49-68.
  • Dear, 1997, “Postmodern Bloodlines” in Benko G. and Strohmayer eds.Space and Social theory, Ch 1. pp.49-71.
  • David Gertner, 2011, A (tentative) meta-analysis of the ‘place marketing’and ‘place branding’ literature, Journal of Brand Management,vol.19, no.2, pp.112-131.
  • Cuba, L., & Hummon, D.M, 1993, A Place to Call Home: Identification withDwelling, Community, and Region., Sociological Quarterly, 34,pp.111-131.
  • Cox. K.R., & Golledge, R.G., 1981, Behavioral Problems in geographyrevisited, Methuen: New York .
  • Brown, B.B., Perkins, D., & Brown, G., 2003, Place Attachment in aRevitalizing Neighborhood: Individual and Block levels of Analysis,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3, pp.259-271.
  • Bricker, K. & D. Kerstetter, 2000, Level of Specialization and PlaceAttachment: An Exploratory Study of Whitewater Recreationists,Leisure Sciences, vol.22, pp.233-257.
  • Boyd, S., 2001, Cultural and Heritage Tourism in Canada-Opportunities,Principles and Challenges.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3(3),pp.211-233.
  • Ayyildiz, H. and Cengiz, E., 2007, Country image effect on customer loyaltymodel, Innovative Marketing, 3(2): pp.42-60.
  • Avraham, E., 2004, ‘Media strategies for improving an unfavourable cityimage’, Cities, vol.21, no.6, pp.471-479.
  • Ashworth, G.J. and Voogd, H., 1994, Marketing of tourism place: What arewe doing?, Journal of International Consumer Marketing 6(3/4),pp.5-19.
  • Ashworth and Dietvorst, 1995, Tourism and Spatial transformation, CabInternational.
  • Ares Kalandides, 2011, The problem with spatial identity: revisiting the‘sense of place’, Journal of Place Management and Development,vol.4 no.1, pp.28-39.
  • Anholt, S., 2007, Competitive Identity: The New Brand Management forNations, Cities and Regions. Basingstoke, UK: Palgrave.
  • Anholt, S., 2005, ‘Editorial: Some important distinctions in place branding’,Place Branding, vol.1, no.2, pp.116-121.
  • Aas, C., Ladkin, A. and Fletcher, J., 2005, “Stakeholder collaboration andHeritage management”, Annuals of Tourism Research, vol.32, no.1,pp.28-48.
  • 21세기 박물관의 역할과 발전방향, 서울역사박물관 제1회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정영호 서울역사박물관 [2002]
  • 2002 FIFA 월드컵 서울특별시 리포트-1509일의 대장정
    이정훈 한영주 서울특별시 [2003]
  • (역), , 내고장 마케팅: 지방자치시대의 투자, 산업, 관광유치 방법, 도서출판 삼영사, 서울(Kotler, P. et al, 1993, Marketing Places:Attracting Investments, Industries, and Tourism to Cities, States, and Nations, The FreePress
    구동모 이종영 New York)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