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宣祖代 초반의 정국과 栗谷 李珥의 개혁론

논문상세정보
' 宣祖代 초반의 정국과 栗谷 李珥의 개혁론'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三代之治
  • 士類
  • 更張
  • 東湖問答
  • 流俗
  • 聖學輯要
  • 萬言封事
  • 變通
  • 栗谷
  • 李珥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2 1

0.0%

' 宣祖代 초반의 정국과 栗谷 李珥의 개혁론' 의 참고문헌

  • 홍섬
    『忍齋集』(한국문집총간 32)
  • 한국역사연구회 조선시기 사회사 연구반, 『조선은 지방을 어떻게 지배했는가』
    아카넷 [2000]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http://people
    aks.ac.kr
  • 한국사회사연구
    이태진 지식산업사[2008년 증보판 발행] [1986]
  • 한국?동양정치사상학회 엮음, 『한국정치사상사』
    백산서당 [2005]
  • 틸만 지음/민병희 옮김, 「宋-元 지성사의 탐구: 그 현대적 의의는무엇인가?
    호이트 」 『중국학보』 64 [2011]
  • 틸만 지음/김병환 옮김, 『주희의 사유세계?주자학의 패권?』
    호이트 교육과학사 [2010]
  • 틸만 지음/김병환 옮김
    호이트 「1980년대 중반 이래 미국의 송대 사상연구」 『오늘의 동양사상』 12 [2005]
  • 퇴계와 율곡 생각을 다투다
    이광호 홍익출판사 [2013]
  • 충남대 유학연구소, 『율곡학과 한국유학』
    예문서원 [2007]
  • 지음/이훈상 옮김, 『한국의 유교화 과정』
    도이힐러 마르티나 너머북스 [2013]
  • 지음/이종란 외 옮김, 『주희의 철학』
    진래 예문서원 [2002]
  • 지음/이범학 옮김, , 『왕안석과 개혁정책』, 지식산업사(James T. C. Lui, 1959, Reform in Sung China: Wang An-shih and His NewPolicies
    제임스류 Havard East Asian Studies 3) [1991]
  • 지음/안재호 옮김, 『송명 성리학』
    진래 예문서원 [1997]
  • 지식기반 문화대국 조선
    정옥자 돌베개 [2012]
  • 주희의 문화 이데올로기
    이용주 이학사 [2003]
  • 주희, 중국철학의 중심
    조남호 태학사 [2004]
  • 조식
    『南冥集』(한국문집총간 31)
  • 조선후기 역사의 이해
    정옥자 일지사 [1993]
  • 조선초기의 군사제도와 정치
    민현구 한국연구원 [1983]
  • 조선초기 정치지배세력연구
    정두희 일조각 [1983]
  • 조선초기 정치사 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2]
  • 조선초기 정치문화의 이해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5]
  • 조선초기 국가 위상과 ‘聲敎自由’
    최종석 『한국사연구』 162 [2013]
  • 조선중화사상연구
    정옥자 일지사 [1998]
  • 조선중기 정치사 연구
    김돈 국학자료원 [2009]
  • 조선전기사회경제연구
    한영우 을유문화사 [1983]
  • 박사
  • 조선전기 유교정치사상 연구
    정재훈 태학사 [2005]
  • 조선전기 사회사상연구
    한영우 지식산업사 [1983]
  • 조선전기 사림파의 현실인식과 대응
    이병휴 일조각 [1999]
  • 조선전기 기호사림파 연구
    이병휴 일조각 [1984]
  • 조선전기 군신권력관계 연구
    김돈 서울대 출판부 [1997]
  • 조선전기 경제구조연구
    이재룡 숭실대학교 출판부 [1999]
  • 조선전기 ‘훈구?사림세력’ 연구의 재검토
    김범 『한국사학보』 15 [2003]
  • 조선의 소학-주석과 번역-
    정호훈 소명출판 [2014]
  • 조선시대의 학파와 사상
    정재훈 신구문화사 [2008]
  • 조선시대의 『小學』 이해 연구
    이정민 서울대 국사학과 [2013]
  •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정진영 한길사 [1998]
  •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이태진 범조사[2003년 태학사에서 개정판발행] [1985]
  • 조선시대 유학 계보 연구의 검토
    고영진 『한국사상사학』 41 [2012]
  • 조선시대 사림세력 형성의 역사적 배경
    김범 『국학연구』 19 [2011]
  • 조선시대 국상의례 연구 : 국왕국장을 중심으로
    안희재 국민대 국사학과 [2010]
  • 조선시대 國家典禮書의 편찬 양상
    김문식 『장서각』 21 [2009]
  • 조선시대 嗣位儀禮에 대한 연구
    김지영 『조선시대사학보』 61 [2012]
  • 조선시대 '양반'계급의 탄생에 대한 시론
    유승원 『역사비평』 79 [2007]
  • 조선과 중화
    배우성 돌베개 [2014]
  • 조선 중종 전반기 정국구도와 정책론
    윤정 『역사와 현실』 25 [1997]
  • 조선 중‧후기 지성사 연구
    신병주 새문사 [2007]
  • 조선 유교 사회사론
    이태진 지식산업사 [1989]
  • 조선 성종대 公論政治의 형성
    송웅섭 서울대 국사학과 [2011]
  • 조선 성리학의 역사상
    김태영 경희대 출판국 [2006]
  • 조선 공론정치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제안 - 李珥의 公論 개념을 중심으로 -
    김경래 『사학연구』 105 [2012]
  • 조광조
    정두희 아카넷 [2000]
  • 정철
    『松江集』(한국문집총간 46)
  • 저자 미상
    『掛一錄』(古 4250-50)
  • 이조당쟁사 연구
    강주진 서울대 출판부 [1971]
  • 이수건, 『영남사림파의 형성』
    영남대 출판부 [1979]
  • 이성과 현실
    손영식 울산대 출판부 [1999]
  • 율곡학회 편
    『栗谷學硏究叢書』 資料編 1~10 [2007]
  • 율곡평전
    금장태 지식과 교양 [2011]
  • 율곡의 연구
    김경탁 한국연구도서관 [1960]
  • 율곡의 군주론
    전세영 집문당 [2005]
  •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
    황의동 1-2, 서광사 [1998]
  • 율곡 이이 평전
    한영우 민음사 [2013]
  • 율곡 연구의 성과와 반성- 철학 사상을 중심으로 -
    이동희 『동양철학』34 [2003]
  • 율곡 경세설의 특징 -무실론과 경장론을 중심으로-
    장숙필 『율곡사상연구』 4 [2001]
  • 옮김, 『동호문답』
    안외순 책세상 [2005]
  • 역사학의 역사
    한영우 지식산업사 [2002]
  • 역, 『동호문답』
    정재훈 아카넷 [2014]
  • 에드워드 와그너 지음/이훈상 옮김, 『조선왕조 사회의 성취와 귀속』
    일조각 [2007]
  • 알렉산더 우드사이드 지음/민병희 옮김, 『잃어버린 근대성들?중국 베트남 한국 그리고 세계사의 위험성』
    너머북스 [2012]
  • 쓰치다 겐지로 지음/서현창 옮김, 『북송도학사』
    예문서원 [2006]
  • 쓰요시 지음/신현승 옮김, 『송학의 형성과 전개』
    고지마 논형 [2004]
  • 쓰요시 지음/신현승 옮김, 『사대부의 시대』
    고지마 동아시아 [2004]
  • 실학의 국가개혁론
    김태영 서울대 출판부 [1998]
  • 송순
    『俛仰集』(한국문집총간 26)
  • 세종대 과학기술의 ‘자주성’, 다시 보기
    문중양 『역사학보』 189 [2006]
  • 성혼
    『牛溪集』(한국문집총간 43)
  • 선조 대 ‘동서분당’ 전개의 초기 양상 - 이이를 중심으로 -
    이정철 『민족문화』 43 [2014]
  • 사화와 반정의 시대
    김범 역사비평사 [2007]
  • 사단법인 율곡학회 편
    『율곡학연구총서』 논문편 1~10 [2007]
  • 박운
    『龍巖集』(한국문집총간 속 2)
  • 미조구치 유조 지음/정태섭?김용천 옮김, 『중국의 공과 사』
    신서원 [2004]
  • 미우라 쿠니오 지음/이승현 옮김, 『왕안석, 황하를 거스른 개혁가』
    책세상 [2005]
  • 다카하시 도오루 지음/조남호 옮김, 『조선의 유학』
    소나무 [1999]
  • 남명학파와 화담학파 연구
    신병주 일지사 [2000]
  • 기호성리학논고
    이상익 심산 [2005]
  • 기묘사화와 기묘사림의 실각
    송웅섭 『한국학보』 119 [2005]
  • 근대사연구회 편, 『한국중세사회 해체기의 제문제(하)』
    한울 [1987]
  • 근대사연구회 편, 『한국중세사회 해체기의 제문제(상)』
    한울 [1987]
  • 그레이엄 지음/이현선 옮김, 『정명도와 정이천의 철학』
    A. C 심산 [2011]
  • 권근의 경학사상연구
    강문식 일지사 [2008]
  • 국학연구원 편, 『經濟六典輯錄』
    연세대 신서원 [1993]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론 8?조선전기 서원과 향약』
    국사편찬위원회 [1981]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31?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탐구당 [1998]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30?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탐구당 [1998]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28?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국사편찬위원회 [1996]
  • 고려말사대부의정치사상연구
    도현철 일조각 [1999]
  • 麓保孝, 1967 『北宋に於ける儒學の發展』, 書籍文物流通會.
  • 金宇基, 『조선중기 척신정치연구』
    집문당 [2001]
  • 道統과 治統, 聖人과 帝王: 宋 ~ 淸中期의 道統論을 통해본 士大夫社會에서의 君主權
    민병희 『역사문화연구』 40 [2011]
  • 衣川 強, 2006 『宋代官僚社会史研究』, 汲古書院.
  • 與猶堂全書
    정약용 (한국문집총간 281~286)
  • 王瑞來, 2001 『宋代の皇帝?力と士大夫政治』, 汲古書院.
  • 東皐 李浚慶의 정치적 역할과 정치사상
    정재훈 『한국사상과 문화』, 한국사상문화학 [2010]
  • 朝鮮王朝實錄
  • 星湖全書
    이익
  • 幣原 坦 著, 『朝鮮政爭志』
    삼성당 [1908]
  • 小島毅 編, 2001 『知識人の諸相: 中?宋代を基点として』, 勉誠出版.
  • 小島 毅, 1996 『中?における?の言? 』, 東京大?出版?.
  • 大典續錄·大典後續錄·經國大典註解
    (서울대 규장각 [1997]
  • 增補文獻備考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余英時, 2003 朱熹的歷史世界 上?下篇, 允晨文化(臺灣).
  • 『栗谷全書』
    이이 (한국문집총간 44~45)
  • 『龜峯集』
    송익필 (한국문집총간 42)
  • 『한국중세례사상연구?五禮를 중심으로?』
    이범직 일조각 [1991]
  • 『한국유학사』, 아세아문화사[『두계이병도전집7—조선유학사(2012, 한국학술정보)에 수록』
    이병도 ] [1987]
  • 『퇴계 율곡 철학의 비교연구』
    채무송 성균관대 출판부 [1996]
  • 『중종의 시대』
    계승범 역사비평사 [2014]
  • 『조선후기의 정치와 軍營制變遷』
    이태진 한국연구원 [1985]
  • 『조선후기 향촌사회 변동에 관한 연구—18․19세기 ‘鄕權’ 담당층 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인걸 서울대 국사학과 [1991]
  • 『조선초기신분제연구』
    유승원 을유문화사 [1986]
  • 『조선초기 양반연구』
    이성무 일조각[2001년 한국학술정보에서 재간행] [1980]
  • 『조선초기 言官 言論연구』
    최승희 서울대 출판부 [1976]
  • 『조선초기 國家祭禮 연구』
    한형주 일조각 [2002]
  • 『조선중기의 文集編刊과 門派形成』
    서정문 국민대 국사학과 [2006]
  • 『조선중기의 ‘斯文’과 文章 四大家』
    오세현 서울대 국사학과 [2013]
  • 『조선중기 예학사상사』
    고영진 한길사 [1996]
  • 『조선중기 사림파의 사회정치사상』
    권인호 한길사 [1995]
  • 『조선중기 사림의 道學과 정치철학』
    설석규 경북대 출판부 [2009]
  • 『조선전기의 의정부와 정치』
    한충희 계명대 출판부 [2011]
  • 『조선전기 사림의 사회정치적 구상과 小學운동』
    윤인숙 성균관대 사학과 [2011]
  • 『조선전기 道學政治思想 연구』
    김용곤 서울대 국사학과 [1994]
  • 『조선전기 禮制?禮學 연구』
    정경희 서울대 국사학과 [2000]
  • 『조선전기 儀禮 연구』
    지두환 서울대 출판부 [1994]
  • 『조선유학사』, 민중서관[『기당 현상윤전집』
    현상윤 2(2008, 나남)에 재수록] [1949]
  • 『조선왕조실록에서 찾아 본 栗谷 李珥』
    (율곡학회 [2000]
  • 『조선시대 儒生上疏와 공론정치』
    설석규 선인 [2002]
  • 『조선 수성기의 제갈량 양성지』
    한영우 지식산업사 [2008]
  • 『조선 선조대의 정국운영에 관한 연구?國王과 臺諫과의 관계를중심으로』
    남달우 인하대 사학과 [1998]
  • 『조鮮 전기 道統論의 전개와 文廟從祀』
    김영두 서강대 사학과 [2006]
  • 『정도전사상의 연구』
    한영우 (개정판), 서울대 출판부 [1999]
  • 『이율곡, 그 삶의 모습』
    황준연 서울대 출판부 [2000]
  • 『율곡의 생애와 사상』(瑞文文庫 93), 서문당[『두계이병도전집9?조선시대의 유학과 문화(2012, 한국학술정보)에 수록』
    이병도 ] [1973]
  • 『율곡 이이의 인성론 연구』
    유연석 연세대 철학과 [2005]
  • 『율곡 이이의 심성론에 관한 연구』
    김경호 고려대 철학과 [2001]
  • 『율곡 이이의 聖學 연구』
    장숙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2]
  • 『율곡 이이』
    성태용 예문서원 [1996]
  •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선비』
    정옥자 현암사 [2006]
  • 『연산군』
    김범 글항아리 [2010]
  • 『송시열의 世道政治思想 연구』
    우경섭 서울대 국사학과 [2005]
  • 『명종대 勳戚政治 연구』
    한춘순 혜안 [2006]
  • 『기대승, 조선 성리학의 이론가』
    황의동 성균관대 출판부 [2008]
  • 『근사록집해』
    주희 Ⅰ,Ⅱ(이광호 역, , 아카넷) [2004]
  • 『국역 후광세첩』
  • 『국역 默齋日記』
    이귀 민족문화추진회) [2012]
  • 『과거, 출세의 사다리?족보를 통해 본 조선 문과급제자의 신분이동(태조~선조 대)』
    한영우 지식산업사 [2013]
  • 『魯齋集』
    이희삼 (奎 15574)
  • 『高峯集』
    기대승 (한국문집총간 40)
  • 『頤庵遺稿』
    송인 (한국문집총간 36)
  • 『退溪集』(한국문집총간 29~31), 『陶山全書』
    이황 퇴계학연구원) [1988]
  • 『近世朝鮮史硏究』
    천관우 일조각 [1979]
  • 『迂書』
    유수원 (민족문화추진회)
  • 『貞觀政要』
    (김원중 역, , 글항아리) [2012]
  • 『西厓集』
    유성룡 (한국문집총간 52)
  • 『蘇齋集』
    노수신 (한국문집총간 35)
  • 『草堂集』
    허엽 (한국문집총간 36)
  • 『花潭集』
    서경덕 (한국문집총간 24)
  • 『聖學輯要』
    (학민문화사 [2006]
  • 『經國大典』(奎貴 1864)
  • 『磻溪隧錄』
    유형원 (경인문화사)
  • 『知退堂集』
    이정형 (한국문집총간 58)
  • 『知覺說에 입각한 이이 철학의 해석』
    정원재 서울대 철학과 [2001]
  • 『眉巖日記 : 眉巖日記草』
    담양문화원) [1992]
  • 『省菴遺稿』
    김효원 (한국문집총간 41)
  • 『燃藜室記述』
    (민족문화추진회 [1982]
  • 『湖陰雜稿』
    정사룡 (한국문집총간 25)
  • 『松堂集』
    박영 (한국문집총간 18)
  • 『東皐遺稿』
    이준경 (한국문집총간 28)
  • 『東岡集』
    김우옹 (한국문집총간 50)
  • 『東儒師友錄』
    (불함문화사 [1977]
  • 『朱熹集』(1994, 成都, 四川敎育出版社)
  • 『朱子語類』(2004 重刊本, 中華書局)
  • 『朱子大全』
    상해고적출판사) [2002]
  • 『朝鮮經國典』
    (한영우 역, 올재 [2012]
  • 『晦齋集』
    이언적 (한국문집총간 24)
  • 『思菴集』
    박순 (한국문집총간 38)
  • 『大東野乘』
    (민족문화추진회 [1983]
  • 『大學衍義』(奎中 509)
  • 『大學衍義』
    (奎中 538)(이한우 역, , 해냄) [2014]
  • 『國朝寶鑑』
    (민족문화추진회 [1994]
  • 『國朝人物考』
    (서울대출판부 [1978]
  • 『國朝五禮儀』(景文社, 1979)
  • 『四留齋集』
    이정암 (한국문집총간 51)
  • 『公?私 개념을 통해 본 李瀷의 철학』
    권향숙 서울대 철학과 [2005]
  • 『二程集』(2004 重刊本, 中華書局)
  • 『中國近世 經世思想 硏究: 丘濬의 經世書를 중심으로』
    윤정분 혜안 [2002]
  • 『16~17세기 禮安縣 士族社會 연구』
    박현순 서울대 국사학과 [2006]
  • 「한국철학사 방법론?한국철학사 연구와 인문학 교육」
    김영민 『오늘의 동양사상』 12 [2005]
  • 「중종대 《警民編》 보급의 고찰」
    김훈식 『이재룡박사환력기념 한국사학논총』 [1990]
  • 「주희의 “대학”과 사대부의 사회?정치적 권력: 制度에서 心의 “學”으로」
    민병희 『중국사연구』 55 [2008]
  • 「주희의 <呂氏鄕約>과 조선사회?조선향약의 특성에 대한 검토를중심으로」
    이근명 『중국학보』 45 [2002]
  • 「조선후기 재지사족의 ‘거향관(居鄕觀)’ 변화」
    김인걸 『역사와 현실』 11 [1994]
  • 「조선후기 여론과 정치?‘公論政治’의 지속과 단절?」
    김인걸 『조선의 정치와 사회』, 집문당 [2002]
  • 「조선초기 『三綱行實圖』 보급의 대상」
    김훈식 『인제논총』 12 [1996]
  • 「조선초기 ‘時王之制’의 논의 구조의 특징과 중화 보편의 추구」
    최종석 『조선시대사학보』 52 [2010]
  • 「조선중기 정치사 연구에 대한 재검토」
    鄭萬祚 『한국학논총』 25, 국민대한국학연구소 [2002]
  • 「조선중기 유학의 계보와 붕당정치의 전개(Ⅰ)」
    정만조 『조선시대사학보』17 [2001]
  • 「조선전기 君子 小人 논의?大學衍義 왕안석론을 중심으로?」
    지두환 『태동고전연구』 9 [1993]
  • 「조선전기 『대학』 이해와 聖學論」
    정재훈 『진단학보』 86 [1998]
  • 「조선왕조의 유교정치와 왕권」
    李泰鎭 『한국사론』 23, 서울대 국사학과 [1990]
  • 「조선시대의 사림정치?17세기의 정치형태?」
    정만조 『한국사상의 정치형태』, 일조각 [1993]
  • 「조선시대 향촌 제 조직과 규약의 ‘契約’적 성격」
    정진영 『고문서연구』42 [2013]
  • 「조선시대 經筵官 연구」
    지두환 『한국학논총』 31 [2009]
  • 「조선시대 三公의 官歷分析?엘리트 코스 추적의 일단」
    정만조 『한국학논총』 31,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2009]
  • 「조선시대 ‘사족’ 개념과 기원에 대한 검토」
    김성우 『조선후기사 연구의현황과 과제』, 창작과 비평사 [2000]
  • 「조선시기 鄕罰의 내용과 추이」
    박현순 『국사관논총』 105 [2004]
  • 「조선 중종대 『大典後續錄』 편찬과 법률체계의 변동」
    윤정 『역사와 실학』 50 [2013]
  • 「조선 중종 영조대 『大學衍義補』 進講의 의미」
    윤정 『규장각』 21 [2001]
  • 「조선 전기의 程朱學 수용」
    김항수 『인문과학연구』 17, 동덕여대 [2007]
  • 「조선 전기 『大學衍義』 이해과정」
    지두환 『태동고전연구』 10 [1993]
  • 「조선 성종대의 臺諫 言論」
    남지대 『한국사론』 12, 서울대 국사학과 [1985]
  • 「조선 선조조의 니탕개란 연구」 『역사비평』 72송웅섭, 2001 「중종대 기묘사림의 구성과 출신배경」
    송우혜 『한국사론』 45 [2005]
  • 「조선 명종조 衛社功臣의 性分과 動向」
    우인수 『대구사학』 33 [1987]
  • 「조선 명종조 忠州獄의 전개와 충주사림」
    박홍갑 『조선시대사학보』 17 [2001]
  • 「조선 명종대 '척신정치'의 전개와 그 성격」
    李宰熙 『한국사론』 29, 서울대 국사학과 [1993]
  • 「조선 공론정치의 이상과 현실(1): 당쟁발생기 율곡 이이의 공론정치론을 중심으로」
    김영수 『한국정치학회보』 39 [2005]
  • 「조광조의 復權過程과 賢良科 문제」
    정두희 『한국사상사학』 16 [2001]
  • 「제국적 통합과 집권화의 이념-유종원柳宗元(773-819) 「봉건론」의 정치철학적 함의」
    송재윤 『동양철학』35 [2011]
  • 「정조의 俗學 비판과 正學論」
    김호 『한국사연구』 139 [2007]
  • 「정조의 『大學類義』 편안과 『聖學輯要』」
    윤정 『남명학연구』 23 [2007]
  • 「임진왜란 발발기의 관군(官軍)과 의병(義兵)?당파적 인식의 청산을 위하여」
    이태진 『남명학연구』 41 [2014]
  • 「이이의 『석담일기』에 대한 서지학적 검토」
    고민정 『전북사학』 32 [2008]
  • 「이이?율곡 이이의 구체제 혁신론?」
    김항수 『한국사 인물열전』 2, 돌베개 [2003]
  • 「이이: 시대의 변화를 읽은 점진적 개혁론자」
    정만조 『한국사시민강좌』30 [2002]
  • 「이이 철학의 형성 과정과 시기 구분」
    정원재 『철학논구』 33, 서울대 철학과 [2005]
  • 「이율곡의 십만양병설은 임진왜란용이 될 수 없다: 동북방의 여진 정세와 관련하여」
    민덕기 『한일관계사연구』 41 [2012]
  • 「이율곡의 도통론에 대한 고찰」
    송하경 『대동문화연구』 24 [1990]
  • 「율곡의 무실사상」
    황의동 『한국사상사』, 원광대 출판부 [1991]
  • 「율곡의 경장론 연구?리 인식과 교기질을 중심으로?
    리기용 」 『율곡학보』14 [2000]
  • 「율곡의 東湖問答考」
    최승순 『율곡사상연구』 1 [1997]
  • 「율곡의 更張論」
    이선민 『한국사론』 18, 서울대 국사학과 [1988]
  • 「율곡의 務實的 修己論」
    장숙필 『율곡사상연구』 3 [1997]
  • 「율곡의 務實思想에 관한 연구」
    맹현주 『동서철학연구』 40 [2006]
  • 「율곡사상과 실학」
    琴章泰 『율곡사상연구』 1 [1994]
  • 「율곡과 율곡학파 연구의 현황과 과제」
    장숙필 『한국인물사연구』 창간호,한국인물사연구회 [2004]
  • 「율곡 이이의 향약 변용: 서원향약과 해주향약」
    김승태 『홍익사학』 1 [1984]
  • 「율곡 이이의 정치사상에 나타난 대동(大同)?소강(小康)?소강(少康)」
    강정인 『한국정치학회보』 44 [2010]
  • 「율곡 이이의 정치사상 재론」
    정재훈 『역사문화연구논총』 7 [2014]
  • 「율곡 이이의 사회경제사상」
    池斗煥 『한국사상과 문화』 7, 한국사상문화학회 [2000]
  • 「율곡 이이의 도통론과 도통의식」
    임홍태 『한국철학논집』 18 [2006]
  • 「율곡 이이의 軍政改革論과 그 계승」
    노영구 『역사문화논총』 1, 역사문화연구소 [2005]
  • 「율곡 이이와 乙巳削勳論議」
    김항수 『한국사상과 문화』 8, 한국사상문화학회 [2000]
  • 「율곡 경장론의 특징과 그 현대적 의의」
    장숙필 『율곡사상연구』 10 [2005]
  • 「영조의 『聖學輯要』 이해와 君師 이념」
    윤정 『역사와 경계』 66 [2008]
  • 「여말선초 군주수신론과 『大學衍義』」 『역사와 현실』 29김정신, 2004 「선조대 文昭殿 論爭과 朋黨」
    김인호 『한국사상사학』 22 [1998]
  • 「숙종대 『聖學輯要』 進講의 경위와 의미 ?숙종 정국 운영방식의 일단면」
    윤정 『남명학연구』 21 [2006]
  • 「소통의 시각에서 본 율곡 이이의 정치활동: 을사삭훈(乙巳削勳)논쟁의 의미」
    김영두 『역사비평』 89 [2009]
  • 「성리학과 동아시아 사회?그 새로운 설명 틀을 찾아서」
    민병희 『사림』32 [2009]
  • 「선조초기(1567~1581)의 정국과 사림: 이이의 《경연일기》를 중심으로」
    남달우 『한국학논집』 45 [1993]
  • 「선조초 신진사류와 개혁의 추이」
    김항수 『동대사학』 1, 동덕여대 국사학과 [1995]
  • 「선조16년 동서 갈등 전개와 “계미삼찬(癸未三竄)”」
    이정철 『영남학』 25 [2014]
  • 「선조 초년의 신구갈등과 정국동향」
    김항수 『국사관논총』 34 [1992]
  • 「선조 16년 ‘니탕개의 란’과 조선의 군사전략」
    윤호량 고려대 석사논문 [2010]
  • 「사림파의 향약 보급운동」
    이태진 『한국문화』 4 [1984]
  • 「사림정치와 율곡의 王政 期必論」
    김태영 『율곡사상연구』 13 [2006]
  • 「미국의 중국지성사 연구 방법과 전망(2)」
    송재윤 『오늘의 동양사상』 10 [2004]
  • 「미국의 중국지성사 연구 방법과 전망(1)」
    송재윤 『오늘의 동양사상』 9 [2003]
  • 「명종대 을사사화 연구」
    韓春順 『인문학연구』 2 [1998]
  • 「명종?선조년간의 經筵」
    정재훈 『조선시대사학보』 10 [1999]
  • 「동고 이준경의 避禍와 朋黨 인식」
    송웅섭 『지역과 역사』 33 [2013]
  • 「다산 정약용의 ‘민주(民主)’ 기획」
    김호 『다산과 현대』 6 [2013]
  • 「근대성과 한국학: 한국 사상사를 중심으로」
    김영민 『오늘의 동양사상』13 [2005]
  • 「간역 최립의 생애와 시세계」
    김남기 『한국한시작가연구』 6 [2001]
  • 「가족, 의례, 선정?주희(1130~1200) 예학의 형성과정?」
    송재윤 『국학연구』 16 [2010]
  • 「魯齋 許衡(1209~1281)의 생애와 철학사상」
    이원석 『규장각』 29 [2006]
  • 「金長生의 經學思想」
    우경섭 『한국학보』 27 [2001]
  • 「鄕約과 鄕規」
    김용덕 『한국사론』 8 [1985]
  • 「秋史書派考」
    최완수 『간송문화』 19 [1980]
  • 「東巖 李潑의 학문경향과 정치활동?척신정치의 청산을 둘러싼동인과 서인의 갈등을 중심으로?」
    김정신 『호남문화연구』 46 [2009]
  • 「朱熹의 사회?정치적 구상으로서의 “學”: “功利之學,” “空虛之學”과의 대조를 중심으로」
    민병희 『동양사학연구』 104 [2008]
  • 「朝鮮鄕約의 성립」
    류홍렬 『진단학보』 9 [1933]
  • 「崔?의 文章之文論과 古文詞」
    沈慶昊 『진단학보』 65 [1988]
  • 「宋時烈의 許衡 인식과 文廟黜享論」
    우경섭 『진단학보』 106 [2008]
  • 「北宋 시기 보편 원리의 추구와 사대부의 위상?邵雍, 王安石, 程?를 중심으로?」
    민병희 『중국사연구』 83 [2013]
  • 「中央 五軍營制의 成立過程」
    이태진 『한국군제사?근세조선후기편』[『朝鮮後期의 政治와 軍營制變遷』(한국연구원, 1985 수록)] [1977]
  • 「『대학연의』에서 수양론과 경세론의 관계 연구」
    오세진 연세대 철학과석사논문 [2012]
  • 「『東湖問答』에 나타난 율곡 이이의 초기 정치사상: 도덕주의와현실주의의 통일」
    안외순 『유교사상문화연구』 28 [2007]
  • 「『大學衍義補』의 조선 전래와 그 수용(상): 정조의 『어정대학유의』를 중심으로」
    윤정분 『중국사연구』 14-1 [2001]
  • 「《경연일기(經筵日記)》를 통해 본 율곡(栗谷)의 당대 인물평?“졸기(卒記)”를 중심으로?」
    신하령 『율곡사상연구』 18 [2009]
  • 「《宣祖實錄》 修正攷」
    오항녕 『한국사연구』 123 [2003]
  • 「《三綱行實圖》 보급의 사회사적 고찰」
    김훈식 『진단학보』 85 [1998]
  • 「‘율곡 향약’ 재론?養民을 위한 人材 육성?」
    김인걸 『한국사론』 53, 서울대 국사학과 [2007]
  • 「1960?70년대 ‘내재적발전론’과 한국사학」
    김인걸 『김용섭교수정년기념논총 1: 한국사인식과 역사이론』, 지식산업사 [1994]
  • 「17세기 지방 유생들의 士林儒罰」
    박현순 『한국문화』 42,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 「17세기 서인의 學統意識과 栗谷年譜의 편찬」
    유새롬 『한국사론』 52, 서울대 국사학과 [2006]
  • 「17세기 思想界의 재편과 禮論」
    정옥자 『한국문화』 10 [1989]
  • 「16세기 전반기 정국 추이와 충주사림의 피화?광주이씨 克堪系를 중심으로?」
    박홍갑 『사학연구』 79 [2005]
  • 「16세기 시대적 과제와 율곡의 대응」
    지두환 『한국사상과 문화』 43,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 「16세기 사림파의 薦擧制 강화운동」
    최이돈 『한국학보』 54 [1989]
  • 「16세기 사림계 관료의 붕당론?歐?朱 붕당론과의 비교를 통하여본?」
    정만조 『한국학논총』 12 [1990]
  • 「16세기 말 율곡 이이의 교육론?《擊蒙要訣》?《學校模範》을 중심으로?」
    정호훈 『한국문화』 47 [2005]
  • 「16세기 군시윤리의 변화와 출처론」
    김훈식 『역사와 현실』 50 [2003]
  • 「16세기 良小賤多 현상의 발생과 국가의 대응」
    김성우 『경제사학』 29-1 [2000]
  • 「16세기 《二倫行實圖》 보급의 사회사적 고찰」
    김훈식 『역사학보』 107 [1985]
  • 「16~17세기 성균관의 儒罰」
    박현순 『역사와 현실』 67 [2008]
  • 「16~17세기 공납제 운영의 변화」
    박현순 『한국사론』 38, 서울대 국사학과 [1997]
  • 「16?7세기 《小學集註》의 성립과 간행」
    정호훈 『한국문화』 47 [2009]
  • 「16?17세기 향약의 구조와 성격」
    한상권 『진단학보』 58 [1984]
  • 「16?17세기 在地士族의 ‘居鄕觀’」
    김인걸 『한국문화』 19 [1997]
  • 「16 7세기 『警民編』 간행의 추이와 그 성격」
    정호훈 『한국사상사학』 26 [2006]
  • 「16 17세기 공납제 개혁의 방향」
    高錫珪 『한국사론』 12, 서울대 국사학과 [1985]
  • 「15세기의 ‘풍토부동론’과 조선의 고유성」
    문중양 『한국사연구』 162 [2013]
  • 「15~6세기 牧民書의 전개와 牧民學」
    정호훈 『한국사상사학』 36 [2011]
  • Tillman, Hoyt Cleveland, Utilitarian Confucianism, Harvard UniversityPress, 1982
  • Monika Ubelhor, “The Community Compact of Sung and Its EducationalSignificance” in Wm. T. de Bary and John Chaffee eds..Neo-Confucian Education: The Formative Stage(Berkeley: Universityof California Press, 1989)
  • K. 볼 지음/심의용 옮김, 『중국 지식인들과 정체성』
    피터 북스토리 [2008]
  • K. 볼 지음/김영민 옮김, 『역사 속의 성리학』
    피터 예문서원 [2010]
  • James B. Palais, 「朝鮮王朝의 官僚的 君主制」 『東洋 三國의 王權과 官僚制』
    국학자료원 [1999]
  • Jack W. Chen, The Poetics of Sovereignty. Harvard University AsiaCenter; Bilingual edition, 2011
  • Hejtmanek, 「朝鮮中期 賜額書院을 둘러싼 君臣간의 갈등」 『東洋 三國의 王權과 官僚制』
    Milan G. 국학자료원 [1999]
  • Edited by Robert P. Hymes, Ordering the World, University of CaliforniaPress, 1993
  • B. 팔레 지음/김범 옮김, 『유교적 경세론과 조선의 제도들: 유형원과 조선 후기』
    제임스 산처럼 [2008]
  • Ari Daniel Levine, Divided by a Common Language: Factional Conflict inLate Northern Song China, Univ of Hawaii Press, 2008
  • 1990년대 미국 송대 지성사 연구동향
    민병희 『중국사연구』 9 [2000]
  • 18세기 국왕의 ‘文治’사상 연구
    윤 정 서울대 국사학과 [2007]
  • 박사
    17세기 영남학파 연구
    김학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8]
  •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