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서울속의 소연변(小延邊) : 대림동 중국인 거주지 문화경관 해석

천현진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서울속의 소연변(小延邊) : 대림동 중국인 거주지 문화경관 해석'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대림동 중국인 거주지
  • 문화경관해석
  • 차이나타운
  • 참여관찰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7 0

0.0%

' 서울속의 소연변(小延邊) : 대림동 중국인 거주지 문화경관 해석' 의 참고문헌

  • 현대 중국농민의 일상세계: 공간구조와 관시(關係)의 확장
    김광억 「비교문화연구」16(1): 127-161 [2010]
  • 한국체류 조선족의 밀집거주 지역과 정주의식: 서울시 구로·영등포구를 중심으로
    김현선 「사회와 역사」87: 231-260 [2010]
  • 한국민족학회
    「문화론 하나」서울: 문덕사 [199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문화”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4876&cid=46634&categoryId=46634
  • 태권브이의 꿈. “우리가 통일을 대하는 시험지”http://blog.naver.com/choiys?
    Redirect=Log&logNo=220030475606 [1989]
  • 참여관찰법
    James P. Spradley 신재영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6]
  • 참여 관찰법을 이용한 중국인 상업 가로지역 공간의문화인류학적 분석: 서울 대림동 중국인 집단거주지 내 상업 가로지역을 대상으로
    강용 김성균 이준 천현진 「한국조경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103-106 [2011]
  • 차별의 사회화와 시선의 정치과정론: 다문화가정 자녀에 관한 예비적 연구
    전경수 「한국문화인류학회지」41(1): 5-46 [2008]
  • 쪽방 거주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지
    권지성 「한국사회복지학회지」60(4): 131-156 [2008]
  • 지리산 문화경관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구성
    최원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18(1): 42-54 [2012]
  • 지구별누비기. “중국 외곽
    길에서 장기 두는 사람들”http://jigubon.tistory.com/9
  • 중국인 집단거주지 내 주택공간의 문화경관해석 - 서울시영등포구 대림동을 대상으로
    강용 김성균 천현진 「한국조경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117-120 [2012]
  • 중국의 ‘꽌시’문화에 대한 시론
    정하영 「중국학연구」27: 355-377 [2004]
  • 중국동포(Chinese-Korean) 집단적 거주지에 나타난 지역사회에 대한 중국동 포의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김영로 「한국사회복지학」63(3): 133-156 [2011]
  • 자유기고가
    “다문화/동포”http://blog.naver.com/prologue/PrologueList.nhn?blogId=hershhh
  • 인천차이나타운
    “중국관련볼거리”http://www.ichinatown.or.kr/sight/china.asp
  • 외국인 거주지 분석을 통한 서울시 국제적 부문의 형성
    최재헌 「한국도시지리학회지」6(1): 17-30 [2003]
  • 여수여풍. “연변조선족자치주 - 연길”http://blog.naver.com/msjungms?
    Redirect=Log&logNo=2 [2005]
  • 언론보도에 따른 이태원관광특구 이슬람음식의 사회적 거리감
    강재구 박종구 육풍림 「관광학연구」36(1): 11-30 [2012]
  • 앙팡테리블의 여행기
    “국내여행정보”http://blog.naver.com/PostThumbnailList.nhn?blogId=gagasong1126&parentCategoryNo=17
  • 세계문화유산 양동마을의 지속가능한 유지·관리 방법론 연구
    김미연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설리아닷컴
    “흥미로운 다큐멘터리”http://tjffldk.tistory.com/ [2104]
  • 서울특별시 서울통계
    “서울시 통계 자치구별 외국인 자료”http://stat.seoul.go.kr/index.jsp
  • 볼런티어클럽
    “중국이야기”http://cafe.naver.com/engtalkclub/41742
  • 베이징 연합뉴스. “‘中, 노점상.행상 합법화 추진”
    「연합뉴스」2009. 7. 22.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2775799 [2009]
  • 방문취업 재중 동포의 일 경험과 생활세계
    김현미 「한국문화인류학」42(2):35-75 [2009]
  • 박사
  • 도시 다문화 구역의 형성과 소통의 전개방식- 서울 이태원의 사례
    송도영 「한국사회역사학회지」14(4): 5-39 [2011]
  • 대한건축학회
    「주거론」서울: 기문당: 33-85 [2010]
  • 다문화주의와 초국적 이주민: 안산 원곡동 이주민 집주지역의 사례
    구본규 「비교문화연구」19(2): 5-51 [2013]
  • 늘푸른산
    “중국노주 전문점과 활기찬 대림동 중국거리”http://blog.daum.net/sallysulbo/8058777
  • 네이버지식백과
    “관념과 상징의 체계”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96063&cid=4&categoryId=41986 [1978]
  • 네이버 지식백과
    “조벽”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3442&cid=42635&categoryId=42635
  • 네모네모의 평화로운 마음. “중국에서 사는법”http://blog.naver.com/kks980421?
    Redirect=Log&logNo= [2058]
  • 꽃송이
    “연변 조선족 마을”http://blossom2u.blog.me/60133294375
  • 고(Just go) 관광지
    저스트 “추카가이”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63772&mobile&categoryId=2990
  • 박사
  • 「지구단위계획의 건축선 지정에 의한 전면공지의 영역성과 사용행태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 둔산지구를 중심으로」
    김향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중국속에 일떠서는 한민족」
    차한필 서울: 예문서원 [2006]
  • 「중국 연변의 조선족 사회의 구조와 변화」
    권태환 한상복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3]
  • 「중국 연변 조선족자치주 광장의 도시적 기능과 광장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욱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중국 베이징 전통주택 역사가로경관의 시각적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인과 중국인 시각 비교를 중심으로」
    곽청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좌우파가 논쟁하는 대한민국사 62」
    김영명 경기: 위즈덤하우스: 244-247 [2008]
  • 「조선족의 문화를 찾아서」
    강위원 서울: 역사공간: 13-82 [2008]
  • 「조선시대 교량의 문화경관 해석: 연결, 교감, 상징」
    문지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전통마을의 경관보전에 관한 노상경관의 역할과 그 관리방안」
    손용훈 도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이태원 공간과 삶」
    김상수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3-20 [2010]
  • 「역사적 문화경관 보존계획에 관한 연구 : 하회마을을 대상으로」
    고동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소수자집단의 장소성 형성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분석」
    한성미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0]
  • 박사
  • 「도시가로 경관계획에 관한 연구 : 중국 남경시 죽산가로를 대상으로」
    오진지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대중문화의 이해」
    김창남 서울: 한울 아카데미: 9-49 [2010]
  • 「다문화 사회형 정주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시 가리봉동 중국인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위한빈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다문화 가정의 정보요구 차이 분석을 통한 도서관서비스 방안 : 안산다문화마을 특구를 중심으로」
    박동숙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기대의 심리학: 잘못된 기대로 힘들어하는 12가지 이유」
    선안남 서울: 소울메이트 : 200-220 [2010]
  • 박사
  • 「가리봉동 중국거리에서의 조선족 여성의 위치성에 대한 문화 지리적연구」
    이미애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현상학과 문화: 자연과 문화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인철 「철학」1(101):29-56 [2009]
  • “해외이주법”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cid=40942&categoryId=31713 [2147]
  • “한류”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cid=40942&categoryId=31614 [2190]
  • “한국 화교(華僑)의 사회적 공간과 장소.”
    이창호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하회마을의 문화경관.”
    金晟均 「문화역사지리」(5): 91-94 [1993]
  • “중국인의 아침체조는 중국권법 태극권”
    차이홍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omo8&logNo=130104091346
  • “중국여행, 상하이 가봐야 할 여행지”
    가방쟁이 http://blog.naver.com/1020bag?Redirect=Log&logNo=60161729379
  • “중국 내 한국 기업의 현지적응 과정과 문화적 갈등: 칭다오 소재 한 신발공장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장수현 「한국문화인류학회지」36(1): :83-118 [1997]
  • “조선족 농촌주거 공간구성형태의 지역적 특징에 관한 연구: 중국 동북3성 각 지역의 조선족 농촌주거에 대한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김일학 박용환 「한국농촌계획학회지」15(4): 75-87 [2010]
  • “조계지”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1543&cid=40942&categoryId=31657
  • “재한(在韓) 조선족(朝鮮族) 이주 노동자를 위한 주거 계획: 한국과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주거 및 주생활에 대한 고찰.”
    이영심 최정신 「대한가정학회지」45(9): 15-26 [2007]
  • 박사
  • “이질적 인식과 실천의 장으로서의 로컬, 부산 차이나타운: 상해거리, 축제, 화교학교를 중심으로.”
    박규택 변광석 하용삼 「한국사진지리학회지」20(3):87-100 [2010]
  • “위구르”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1704&cid=40942&categoryId=31642
  • “옌볜조선족자치주”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5681&cid=40942&categoryId=34031
  • “어계 조려(漁溪趙旅)의 은둔과 문화경관.”
    이행렬 「한국조경학회지」39(2):73-90 [2011]
  • “수원팔경의 형성배경과 문화경관적 함의.”
    노재현 「한국조경학회지」36(1):90-102 [2008]
  • “솟대”
    두산백과 http://100.naver.com/100.nhn?type=image&media_id=103091&docid=95266
  • “샌프란시스코 차이나타운”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81081&mobile&categoryId= [2000]
  • “산업유산의 경관요소 적용을 통한 문화경관 형성에 관한 연구.”
    동정근 이지현 「대한건축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27(1): 229-232 [2007]
  • “문화인류학적 연구방법론.”
    이정덕 「서울행정학회 2003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3]
  • “거주자 생활중심으로 본 경기 고양 전통민가 연구.”
    이희봉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14(43): 53-77 [2005]
  • “‘옌볜 아줌마’가 깐깐해졌다?”
    강창욱 「국민일보」2011. 9. 7.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5330565&cp=du [2011]
  • “‘대림동, 조선족이라 불리는 한국인. 중국 동포들의 이야기 공개”
    김혜인 「스타N뉴스」2014. 3. 24.http://star.fnnews.com/news/index.html?no=286019 [2014]
  • “‘대림동 전역, 특별치안구역으로 집중 관리”
    안상욱 「머니투데이」2011.11. 3.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8&aid=0002652534 [2011]
  • weibo.com/shiyangblog. “无?城市”http://jscity.weibo.10086.cn/
  • news. nen. “延吉惊现” http://news.nen.com.cn/72343475651084288/20060808/1981524.shtml
  • http://www.에어컨닥터.com. “겨울, 구로 가리봉동 쪽방촌의 겨울풍경”http://blog.naver.com/myj3459?
    Redirect=Log&logNo=80072111815 [2006]
  • baidu. “延?信息港新版?站意?反?”http://old.yb983.com/ec/news/sh/20090718/124792608133475.html
  • Zukin, S. 1995. The Cultures of Cities. Cambridge: Blackwell Publishers.
  • Zhou, Min. 1992. Chinatown: The Sociological Potential of an Urban Enclave.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 Wong, Bernard P. 1982. Chinatown: Economic adaptation and Ethnic Identity ofthe Chinese.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 Weiss, Melford. 1974. Vally City: A Chinese Community in America. Cambridge:Schenkman.
  • Wang, Gungwu, 2000. The Chinese Overseas: From Earthbound China to theQuest for Autonom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Waldheim, Charles & B. Alan. 2008. “Logistics Landscape.” Landscape Journal27(2): 219-246.
  • Vanderbilt University. “search VU”http://www.vanderbilt.edu/AnS/Anthro/Anth206/malinowski.htm
  • UNESCO, 2005.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Heritage Convention. Paris: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 Two Lovely Inspiriters. “The last day in Beijing”http://kimscoupletherapy.wordpress.com/2013/06/29/the-last-day-in-beijing/
  • Tilley, Christopher. 1994. A Phenomenology of Landscape: Places, Paths andMonuments. Oxford: Berg Publishers.
  • Spradley, James P. 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 Holt, Rinehart &Winston.
  • Schein, Richard H. 1999. “Teaching ‘Race’ and The Cultural Landscpae.” Journalof Geography 98 : 180-190.
  • Sauer, Carl O. 1925. “The Morphology of Landscape.” University of CaliforniaPublictions in Geography (2): 19-53, 343.
  • Santos. C. A. & K. Caton. 2008. “Reimagining Chinatown: An analysis oftourism discourse.” Tourism Management 29(5): 1002-1012.
  • SINA. “乘物以游心”http://blog.sina.com.cn/s/blog_3fa49cde0100uzdk.html
  • Roberts, Susan M. & R. Schein. 1993. “The Entrepreneurial City: FabricatingUrban Development in Syracuse.” Professional Geographer 45(1): 21-33.
  • Ong, Aihwa. & M. Donald. eds. 1997. Ungrounded Empires: The CulturalPolitics of Modern Chinese Transnationalism. New York: Routledge.
  • Omi, M., & Winant, R. 1994. Racial Formation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1960s to the 1990s. New York: Routledge.
  • Newman, K.K. 1978. Middle-Age Expercinc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Career Development. A De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 NEWS TRAVER PHOTO FOOD AD. “영등포 대림동 중국교포”http://blog.naver.com/jgr3520?
    Redirect=Log&logNo=140 [1964]
  • Melnick, Robert Z. 1981. “Capturing the Cultural Landscape.” LandscapeArchitecture 71(1): 56-60.
  • Massey, Douglas S. 1993. “Theori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A Review andAppraisal.”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9(3): 431-466.
  • Lynn, Pan. 1999. The Encyclopedia of the Chinese overseas. Cambridge: HarvardUniversity Press.
  • Low, Setha M. & L. Denise. 2003. Locating Culture: The Anthropology of Spaceand Place. Boston: Blackwell Publishing: 1-47.
  • Lee, Hee-Bong. 1985. Space, Form, And Subcultures: The Use of a Field StudyMethod in Architecture. A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 Krieger, S. 1983. The Mirror Dance: Identity in a Women’s Community.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 Kramer, J. R. 1970. The American Minority Community. New York: Crowell.
  • Kong, L. 1999. “Globalisation and Singaporean transmigration: re-imagining andnegotiating national identity.” Political Geography (18): 563-589.
  • Kim, Sung-Kyun. 1988. Winding River Village: Poetics of a Korean Landscape.A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 Kaplan, S. & R. Kaplan. 1982. Humanscape: Environment for People. Belmont,CA: Duxbury.
  • Hao 라이프
    “맛있는 집”http://life.haoshandong.net/recommend/detail.asp?autoid=23808
  • Gottdiener, M. 1985. The Social Production of Urban Space. Austin, TX: TheUniversity of Texas Press.
  • Geertz, C. 1988. Works and Lives: The Anthropologist as Author. Stanford, CA:Stanford University Press.
  • Geertz, C. 1973.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Selected Essays. New York:Basic Books.
  • Fetterman, D. M. 1988. Qualitative Approaches to Evaluation in Education: TheSilent Scientific Revolution. New York: Praeger.
  • Fenno, Jr. Richard E. 1978. Home Style: House Members in Their Districts.Boston: Little Brown.
  • Fardon, R. 1990. Localizing Strategies: Regional Traditions of EthnographicWriting. Edin-burgh: Scottish Academic Press.
  • Engels. F. 1968.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Class in England in 1844.London: Allen & Unwin.
  • Eisner, E. 1991. The Enlightened Eye: Qualitative Inquiry and TheEnhancement of Educational Practices. New York: Macmillan.
  • Domosh, Mona. 1992. Corporate cultures and the modern landscape of NewYork City. New York: Wiley Halsted Press: 72-86.
  • Cosgrove, Denis E. 1994. Social Formation and Symbolic Landscape: With aNew Introduction. Madis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 Cosgrove, D. & D. Stephen. 1988. The Iconography of Landscape. U.K.:Cambridge University Press.
  • Chen, Hsiang-Shui. 1992. Chinatown No More: Taiwan Immigrants inContemporary.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 Castells, M. 1977. The Urban Question. London: Edward Arnold.
  • Burden, P.D. 1990. “Teacher Development.” Handbook of Reacher on TeacherEducation. New York: Macmillan: 311-328
  • Bulmer, M. 1984. The Chicago School of Sociology. Chicago: University ofChicago Press.
  • Buggey, S. 1999. An Approach to Aboriginal Cultural Landscapes. Ottawa:Historic Sites and Monuments Board of Canada.
  • Buckle, Robert. 2005. Managing Cultural Landscapes: A Case Study of SterlingAlberta.. A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gary.
  • Broadbent, Geoffrey Wiley. 1973. Design in Architecture: Achitecture and theHuman Sciences. London: John Wiley and Sons Inc.
  • Arensberg, C. & S. Kimball. 1940. Family and Community in Ireland.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Anderson, Kay. 1988. “Cultural Hegemony and the Race-definition Process inChinatown.” Environment and Planning (6): 127-149.
  • Altman, L. & M. Chemers. 1980. Culture and Environment. Monterey: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