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댄스 리터러시 개념 및 교수방법 탐색: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개념틀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임수진 2015년
논문상세정보
' 댄스 리터러시 개념 및 교수방법 탐색: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개념틀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댄스 리터러시
  • 댄스 리터러시 교수방법
  • 댄스 리터러시 구성요소
  • 무용교육
  • 문화예술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99 0

0.0%

' 댄스 리터러시 개념 및 교수방법 탐색: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개념틀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의 참고문헌

  • 환격교육 e-Learning 콘텐츠가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
    서우석 이성수 실과교육연구, 15(4), 391-408 [2009]
  • 현대무용 잘 가르치기: 창작지향 무용교수의 어려움과 가능성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장명주 서울 [2011]
  • 현대 미술에 나타난 시각적 미디어의 활용과 이해를 위한미술교육 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윤현미 충북 [2006]
  • 한국문화정책개발원 문화교육을 위한 개념: 입장과 제안
    문화정책자료 50 [1994]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학교 문화예술교육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연구(무용)(KACES-1440-R001)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KACES-1440-R007)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 한국무용정신 가르치고 배우기: 무용교사의 실천과 전공학생의 인식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창경 서울 [2009]
  • 한국무용의 미학
    정병호 서울: 집문당 [2004]
  • 한국무용에서 심성 가르치기.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혜연 서울 [2013]
  • 한국무용교육학회 고등학교 무용교수-학습과정안 개발 연구: 정규교과 및 재량활동1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8]
  • 한국 전통춤 교수법의 인문적 접근 탐색.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오현주 서울 [2008]
  • 한국 무용학분야 연구동향 및 지원성과 연구
    김운미 우리춤 연구,18, 203-231 [2012]
  •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예술 강사지원사업에 관한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김민영 서울 [2008]
  • 학교교육과정 개혁으로서의 미국 K-12의 예술통합교육 사례 분석
    태진미 예술교육연구, 9(3), 17-32 [2011]
  • 프랑스의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아르떼> 교육 프로그램
    박지은 http://blog.naver.com/boabamhot/110038097831 [2008]
  • 톨스토이의 예술적 미적 체험이 무용교육에 주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이수진 서울 [2012]
  • 초등미술과에서 사진을 통한 비주얼 리터러시 교수-학습방안개발: 초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영진 충북 [2009]
  • 초등 발레 특기 적성 교육에의 인문적 접근: 하나로 수업의실천 및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소현 서울 [2004]
  • 중학교 체육수업에서의 스포츠맨십 내면화 과정 및 요인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백승수 서울 [2012]
  • 주제가 있는 환경 일기 쓰기교육을 통한 환경소양 함양.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정해 충북 [2008]
  •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
    최의창 서울: 레인보우북스 [2010]
  • 인문적 체육과 하나로 수업: 대학에서의 체육지도를 위한 한 가지 접근
    최의창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8(2), 45-64 [2001]
  • 유진, 정꽃님 무용 열정의 이원론적 모형 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9(1), 163-175 [2008]
  • 유아의 심(心), 기(氣), 신(身) 교육으로서의 한국무용
    홍정효 유아교육논총, 17(2), 71-88 [2008]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
    unesco.or.kr/news_center 검색
  •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외국의 사례 고찰을 통한 역량 제고
    민경훈 예술교육연구, 11(2), 13-34 [2013]
  • 외국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연구: 미국, 영국, 핀란드, 일본을 중심으로
    석문주 최미영 최은식 예술교육연구, 8(2), 1-19 [2010]
  • 예술통합교육, 무용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정하 박현옥 한국사상과 문화, 62, 369-391 [2012]
  • 예술에서의 상상력, 그 철학적 토대- 음악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
    홍병선 철학논총, 57(3), 343-360 [2009]
  • 예술교육을 벗삼다: 창의성과 문화예술교육
    김보성 부천문화재단 건강한 문화생태계 만들기 씨앗포럼 자료집, 36-40 [2011]
  • 예술교과로서의 무용교육
    김화숙 모드니예술, 2, 13-17 [2009]
  • 예술 중 고등학교 무용지도자의 교육적 가치체계 및 교수설계방안 탐색.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함지선 서울 [2010]
  • 영상 정보화 시대에 대처하는 미술교육에서의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교육
    황연주 한국미술교육학회, 12, 137-156 [2001]
  • 역사적 관점에서 바라 본 세계의 문화예술교육: ‘제2차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와 무용교육의 방향
    김경은 송미숙 한국무용사학, 13,219-246 [2012]
  • 수학적 소양(mathmatical literacy)에 대하여
    주미경 수학교육학연구,12(2), 163-180 [2002]
  • 사회적 소통을 위한 무용예술교육 현황 및 사례 분석 연구
    정희자 예술교육연구, 10(2), 81-98 [2012]
  • 사회적 소통으로서 무용교육의 힘
    최경희 한국예술연구, 3, 85-109 [2011]
  • 빌헬름 딜타이의 “예술적 향유”에 관한 고찰: -「정신과학 정초를 위한 연구」(1905)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순희 경남 [2013]
  • 범세계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양영희 서울 [1986]
  • 발레의 정신을 가르치기 위한 무용 지도방법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최성은 서울 [2004]
  • 발레 교수학습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적 교육모형 탐색: 예술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홍수민 서울 [2010]
  • 바가노바 발레 교수법에 의한 3년 과정의 지도 방안. 미간행전문사 학위논문, 한국예술종합학교 대학원
    임승희 서울 [2002]
  • 미술과 교육에서 사진영상을 통한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 :광고 사진영상의 '눈길'을 중심으로
    황연주 초등교육연구, 14, 147-188 [2004]
  • 미국의 예술통합교육과 한국교육에의 시사점
    이미경 한국교육, 38(3),33-52 [2011]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문화예술교육정책백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2012]
  •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 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방안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은희 서울 [2008]
  • 문화예술교육, 재도약을 위한 열쇠
    손경년 2013 문화예술교육 포럼자료집. 42-51 [2013]
  • 문화예술교육, 10년을 되돌아보다: 문화예술교육, 성장과 변화
    조현성 2013 문화예술교육 포럼 자료집, 14-22 [2013]
  •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방안
    김세훈 김형숙 박만용 안이영노 서울: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의 문화예술교육 개념에 대한 혼란 양상 및 인식 탐색
    박진영 평생교육학연구, 17(2), 33-64 [2011]
  •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에 대한 소고
    김정선 문화예술교육연구,7(1), 47-73 [2012]
  • 문화에서 무용교육의 위치
    한혜리 모드니 예술, 3, 21-34 [2010]
  • 무용창의성의 본질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탐색.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오레지나 서울 [2005]
  • 무용전문인력 재교육에 관한 고찰
    김이경 무용예술학연구, 43(4),21-45 [2013]
  • 무용의 정신은 가르칠 수 있는가. 2009년도 기초연구과제지원사업 1차년 미간행 보고서
    최의창 한국연구재단 [2010]
  • 무용열정의 심리적 개념 구조: 한국무용 전공인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이동숙 서울 [2011]
  • 무용수의 정서표현성 본질에 관한 경험적 탐색
    박현정 대한무용학회논문집, 57, 101-118 [2008]
  • 무용보의 역사와 실제
    김말복 조은숙 서울: 예전사 [2001]
  • 무용교육자 전문성의 핵심 차원으로서 심성적 자질의 재조명과 함양 방안
    홍애령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9(1), 23-42 [2012]
  • 무용교육목표에 대한 중등교사들의 인식도
    이희선 한국무용교육학회지, 4, 23-40 [1994]
  • 무용교육론. 무용교육총서 10
  • 무용교육과정 국제비교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홍애령 서울 [2008]
  • 무용교육 평가의 정위
    박재홍 한국무용과학회지, 23, 1-12 [2011]
  • 무용교육 지원사업의 현황 및 과제
    서예원 한국무용연구, 29(3),147-171 [2011]
  • 무용-예술교육에 대한 세 가지 질문
    박재홍 대한무용학회논문집,36, 55-69 [2003]
  • 무용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김현남 예술교육연구, 9(3), 69-83 [2011]
  • 무용 수업에서의 글쓰기 과제가 자기표현능력, 의사소통기술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박중길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27(2), 337-349 [2002]
  • 매체 발달에 따른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 미디어교육의 개념 확장을 위한 시론적 연구
    김양은 중앙대학교 언론연구소 언론연구,10, 61-86 [2002]
  • 뛰어난 발레교육자는 어떻게 성장하는가?: 발레교수전문성의재개념화를 위한 발달과정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홍애령 서울 [2013]
  •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전경원 서울: 학문사 [2005]
  • 댄스 리터러시 혹은 무용소양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목적 재검토-
    최의창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1, 139-161 [2011]
  • 대학교육에 있어 무용미학의 방법론
    한혜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5,75-86 [1995]
  • 대학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미적소양교육의 재개념화
    김형숙 미술교육논총, 24(1), 51-92 [2010]
  • 대학 무용(학)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한 미대학 무용과 교육과정 비교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정희 서울 [1995]
  • 대학 교양무용 교육과정 모형 개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예원 서울 [1998]
  • 껍데기와 알맹이
    박혜연 신주경 최의창 한국무용기록학회, 26,135-161 [2013]
  •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정보원 지식정보역량 개발 지원을 위한디지털 리터러시 지수 개발 연구(CR 2006-13)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06]
  •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Ⅱ: 우리들은 1학년,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특별활동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8]
  •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1]
  • 교수방법 연구의 동향과 과제
    고은현 박인우 장선영 교수방법연구,25(3), 603-621 [2013]
  • 과학교육의 변화: 과학적 소양(scientific literacy)의 추구
    신동희 국어교육학연구, 21, 95-119 [2002]
  • 공정성 및 기회의 평등을 기반으로 한 프랑스의 문화예술정책(1/2). 219, 220
    박지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 공교육으로서의 프랑스 예술문화교육 정책 고찰
    조희연 예술교육연구, 9(2), 41-56 [2011]
  • 개화기 이후 한국무용의 주제와 사상. 미간행 박사학위논문,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혜리 서울 [2000]
  • ‘과학적 소양’의 정의를 향하여
    이명제 초등과학교육, 28(4),487-494 [2009]
  • Whitehead, M. E. (2001). The concept of physical literacy. European Journal ofPhysical Education, 6, 127-138.
  • Wenger, E. C. (2006). Community of Practice: A brief introduction,http://www.ewenger.com/theory/.
  • Warburton, E. C. (2010). Trends in dance education 2010. Korean Journal ofDance Education, 10(2), 57-66.
  • Variations on a Blue Guitar
    Greene, M. New York: TeachersCollege Press. 문승호(역)(2011). 블루 기타 변주곡: 맥신 그린 박사의 링컨 센터 인스티튜트 강의록. 서울: 다빈치 [2001]
  • Van Manen, M. (1990).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action sensitive pedagogy. London, Ontario, Canada: The University ofWestern Ontario.
  • UNESCO(1953). Progress of literacy in various countries. Paris: UNESCO.
  • Tyner, K. (1998). Literacy in a digital world: Teaching and learning in theage of information.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
  • Street, B. (2003). What’s “new” in new literacy studies?: Critical approaches toliteracy in theory and practice. Comparative Education, 5(2), 77-91.
  • Street, B. (1996). New literacies in theory and practice: What are theimplications for language in education? Linguistics and Education, 10(1),1-24.
  • Smith-Autard, J. M. (2002). The art of dance in education. London: A&CBlack.
  • Sinatra, R. (1986). Visual literacy connections to thinking, reading andwriting.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 Siegel, M. B. (2007). Visual secrets: style analysis and dance literacy. In G.Morris (Ed), Moving Words(pp. 29-42). London and New York:Routledge.
  • Ross. J. (2000). Moving lessons Margaret H' Doubler and the beginning ofdance in american education. Madison, WI: the University ofWisconsin Press.
  • Richmond, S. (2009). Art’s educational value. The Journal of AestheticEducation, 43(1), 92-105.
  • Rhodes, A. M. (2006). Dance in interdisciplinary teaching and learning.Journal of Dance Education, 6(2), 48-56.
  • Read, H.(1943). Education through Art. London: Faber and Faber.
  • Read, H. (1966). Art and society. New York: Schocken Books.
  •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2nd ed.). Sage:Publication, Inc.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2010).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Creswell, W. J. 서울: 학지사 [2010]
  • Parker, M., Patton, K., Madden, M. and Sinclair, C. (2010). Journal of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9(4), 337-357.
  • Moustakas, C. (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 Melchiora, E. (2011). Culturally responsive dance pedagogy in the primaryclassroom. Research in Dance Education, 12(2), 119-135.
  • Martin, J. (1965). Introduction to the dance. New York: W.W. Norton & Co.,Inc.,
  • Marshall & Rossman(1989).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Newbury Park: Sage.
  •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Sage Publications.
  • Lawson, J. (1996).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spirituality and the curriculum. M. A. Thesis. University of BritishColumbia.
  • Lanskshear, C., & Knobel, M. (2003). New literacies changing knowledgeand classroom learning. Philadelphia, PA: Open University Press.
  • Lagerlof, I. & Djerf, M. (2009).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 indance. Europ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6(4), 409-431.
  • Labanotation or Kinetography Laban(3rd Ed.) NY: theDance Notation Bureau, Inc. 신상미, 전유오(역)(2004). 라바노테이션 키네토그라피 라반: 움직임 분석 및 기록체계
    Hutchinson, A. 서울: 대한미디어 [1970]
  • Laban, R. (1974). Modern Educational Dance. London: Macdonold & evans.
  • Kist, W. (2005). New literacies in action: Teaching and learning in multiplemedia.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Kirsh, I & Guthrie, J. T. (2014).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functional literacy. Reading Research Quarterly, 13(4), 485-507.
  • Karabeg, D. (2002). Perspective of visual literacy. Retrieved June 9, 2014,from http://folk.uio.no/dino/ID/Articles/PerspectiveVL.pdf
  • Jeong, O. K. (2012). Remembering and representing dance: Re-tracing thegenealogy of nonfictional analog dance media in the formation of thenorth american dance fiel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mpleUniversity.
  • H’Doubler, M. (1957). Dance: A creative art experience. Madison: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 Hong, T. (2000). Developing dance literacy in the postmodern: An approach tocurriculum. Paper presented at Dancing in the Millennium: An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in Washington DC.
  • Greene, M. (2000). Releasing the imagination: Essays on education, the arts,and social change. 2n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 Grant. G. (1982). Technical Manual and Dictionary of Classical Ballet(3rd ed.).Dover Publication, Inc.
  • Grande, J. K. (1994). Balance: Art and nature. Black Rose Books.
  • Goetz & LeCompte, M. (1984). Ethnography and qualitative design ineducational research. New York: Academic Press.
  • Gee. J. (1992). Socio-cultural approaches to literacy(literacies). Annual Review ofApplied Linguistics, 12, 31-48.
  •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 Eisner, E. W. (1998). The kind os schools we need: Personal essays.Portsmouth, NH: Heinemann.
  • Efland, A. (1995). The spiral and the lattice: Changes in cognitive learningtheory with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Studies in Art Education,36(3), 134-153.
  • Drake, S. M. (1993). Planning integrated curriculum: The call to adventure.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Development.
  • Dils, A. H. (2009). Why dance literacy? In C. Stock (Ed.), Dance Dialogues:Conversations across cultures, artforms and practices, Proceedings of the2008 World Dance Alliance Global Summit, Brisbane, 13 ? 18 July.On-line publication, QUT Creative Industries and Ausdance.
  • Dils, A. H. (2007b). Why dance literacy? Journal of the Canadian Associationfor Curriculum Studies, 5(2), 95-113.
  • Dils, A. H. (2007a). Moving into dance: Dance appreciation as dance literacy.In L. Bresler(Ed.),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in Arts Education,Part1(pp. 569-580). Dordrecht: Springer.
  • Digital Literacy, New York, NY: John Wiley &Sons. 김정래(역)(1999). 디지털 리터러시
    Gilster, P. 서울: 해냄 [1997]
  • Dezin, N. K. (1989).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methods(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Dewey, J. (1934). Art as experience. New York: The Berkeley PublishingGroup.
  • Dancers talking dance: critical evaluation in thechoreography class. Champaign, Illinois: Human Kinetic. 최의창(역)(2009). 반성적 무용 수업
    Lavender, L. 서울: 무지개사 [1996]
  • Cowan, K. & Albers, P. (2006). Semiotic representations: Building complexliteracy practices through the arts. The Reading Teacher, 60(2), 124-137.
  • Cope, B. Fairclough & Gee et al., (1996). A Pedagogy of multiliteracies:Designing social futures. Harvard Educational Review, 66(1), 60-92.
  • Choreo-graphics: A comparison of dance notationsystems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present, London: Routledge. 김말복, 조은숙(역)(2001). 무용보의 역사와 실제
    Guest, A. H. 서울: 예전사 [1998]
  • Bybee, R. W. (1997). Achieving scientific literacy; from purposes to practices.Postsmouth, NH, Heinmann Publishing.
  • Burmark, L. (2004). The digital playground. Retrieved June 10, 2014, fromhttp://mat-tech.net/COTF%20CD/TheDigitalPlayground.pdf.
  • Bucek, L. E. (1998). Developing dance literacy: Integrating motif writingintotheme-based children’s dance classes. Journal of PhysicalEducation, Recreation & Dance, 69(7), 29-32.
  • Best, D. (1985). Feeling and reason in the arts. New York: Allen andUnwin.
  •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신경림(역)(2003). 근거이론의 단계
    Corbin, J. M. Strauss, A. L. 서울: 현문사 [1998]
  • Barton, D., Hamilton, M. and Ivanic, R. (2005). Situated Literacies: Readingand Writing in Context. Routledge: London.
  • Banes, S. (2007). Before, between, and beyond: Three decades of dance writing.Madison, WI: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 Albers, P., & Harste, J. (2007). The arts, new literacies, and multi-modality.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40(1), 6-20.
  • 8주간의 창작무용 참여가아동의 감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
    서지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6(2), 1-14 [2005]
  • 1960-1970년대 한국 무용교육의 역사적 의의에 관한 연구.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최인혜 서울 [2003]
  • 10.14 07:48
    아시아경제신문.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 [2013]
  • UNESCO’s international literacy statistics 1950-2000. Paris:UNESCO.
  • Revised Recommendation concern the InternationalStandardization of Educational Statistics. Paris: UNES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