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개화당의 기원과 비밀외교, 1879-1884

김종학 2015년
논문상세정보
' 개화당의 기원과 비밀외교, 1879-1884'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갑신일록
  • 갑신정변
  • 개화(開化)
  • 개화당(開化黨)
  • 김옥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0 1

0.7%

' 개화당의 기원과 비밀외교, 1879-1884' 의 참고문헌

  • 李銀姬, “開化期朝鮮における井上角五郞の活動と朝鮮觀",『お茶の水史学』, お茶の水女子大學史學科讀史會, 1990.
  • 李文忠公全集(李文*), 吳汝綸 編, 7冊(臺北: 文海出版社, 1962)
  • 龍湖閒錄, 宋近洙 編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1980]
  • 金義煥, “朝鮮開化黨の幕後の指導者劉大致の活躍とその最後”,『朝鮮學報』 第98輯, 朝鮮學會, 1981.
  • 金玉均全集
    한국학문헌연구소 편(서울: 아세아문화사 [1979]
  • 金玉均傳(上), 古筠紀念會 編(東京: 慶應出版社, 1944)
  • 金玉均, 葛生東介 編(東京: 民友社, 1916)
  • 金弘集遺稿
    金弘集(고려대학교 출판부 [1976]
  • 해리 S. 파크스
    김현수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2011]
  • 한국인의 탄생
    최정운 (서울: 미지북스 [2013]
  • 한국사정체성론의 극복의 방향
    김영호 『아세아』3 [1969]
  • 한국개항기의 상업연구
    한우근 (서울: 일조각 [1970]
  • 한국 개화사상과 개화운동의 지성사
    신용하 (서울:지식산업사 [2010]
  • 최덕수 역
    『조선의 개화사상과 내셔널리즘』(서울: 열린책들 [2014]
  • 주한미국공사관 영사관 기록: 1882~, 20책
    한림학교 아시아문화연구 소 편(서울: 한림대학교 출판부, 2000) [1905]
  • 역사의 오솔길을 가면서
    김용섭 (서울: 지식산업사 [2011]
  • 씸비르쩨바 따찌아나, 「19세기 후반 조 러간 국교수립과정과 그 성격: 러 시아의 조선 침략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 문 [1997]
  • 씨를 만난 이야기: 갑신정변 회고록
    박영효 이광수(『東光』제19호 [1931]
  • 쓰키아시 다쓰히코(月脚達彦), 「朝鮮開化派와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 吉)」『한국학연구』제26집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 실학담론에 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 근대성 개념을 중심으로
    이태훈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실록 친일파
    임종국 (서울: 돌배게 [1991]
  • 발터 라이퍼(Walter Leifer) 편
    『묄렌도르프』(서울: 정민사 [1983]
  • 박은숙
    『갑신정변연구』(서울: 역사비평사 [2005]
  • 묄렌도르프 자전, Rosalie von M llendorff P.G.von M llendorff
    신복룡 김운경 역주(서울: 집문당 [1987]
  • 동도서기론 형성과정 연구
    노대환 (서울: 일지사 [2005]
  • 대원군 집권기 부국강병정책 연구
    연갑수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 대원군 집권기 군사제도의 정비
    김세은 『한국사론』제23집,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90]
  • 다카시로 코이치
    『후쿠자와 유키치의 조선정략론 연구』(서울: 선인 [2013]
  • 근대한중관계사의 재조명
    권혁수 (서울: 혜안 [2007]
  • 근대한국외교문서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 편(서울: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 -) [2010]
  • 근대한국 국제정치관 자료집, 장인성 김현철 김종학 편역
    3책(서울: 서울대 학교 출판부 [2012]
  • 근대 초기 일본의 문명 개념 수용과 그 세속화
    박양신 『개념과 소통』 제2호,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8]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제38권「개화와 수구의 갈등」(서울: 탐구당 [2003]
  • 개화기의 군사정책연구
    최병옥 (서울: 경인문화사 [2000]
  • 갑신정변 전후 ‘개화’ 개념의 내포와 표상
    김윤희 『개념과 소통』제2호,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8]
  • 鵜飼新一, 『朝野新聞の硏究』(東京: みすず書房, 1985)
  • 高橋秀直, “形成期明治國家と朝鮮問題-甲申事變期の朝鮮政策の政治 外交史 的檢討”, 『史學雜誌』第98集 第3號, 東京大學史學會, 1989.3
  • 風雲韓末秘史
    尹孝貞(서울: 수문사 [1984]
  • 韓國借款關係雜簒(外務省記錄 1-7-1-2)
  • 韓史綮
    金澤榮{『金澤榮全集』제5권(서울: 아세아문화사, } [1978]
  • 青木功一, “朴泳孝の民本主義 新民論 民族革命論(二)”, 『朝鮮學報』第82 輯, 天理大學朝鮮學會, 1977.
  • 靑又日錄
    金衡圭(서울: 국사편찬위원회 [1976]
  • 陰晴史
    金允植(서울: 국사편찬위원회 [1955]
  • 關係書類は何もない, 井上角五郞 談{葛生東介 編, 『金玉均』(東京: 民友社) 所收}
  • 開闢
  • 野瀬和紀, “淸佛戰爭と日本外交”,『朝鮮學報』第82輯, 1977.
  • 都倉武之, “明治27年甲午改革における日本人顧問官派遣問題-後藤象二郞渡 韓計劃を中心に”,『武蔵野短期大学研究紀要』第20號, 武蔵野短期大 学, 2006.
  • 適可齋紀行, 馬建忠 撰, 張豈之 劉厚祜 交點(北京: 中華書局, 1960)
  • 遠山茂樹, “『自由黨史』解說”,『遠山茂樹著作集』第3卷(東京: 岩波書店, 1991)
  • 近世朝鮮政鑑, 朴齊絅(東京: 中央堂, 1887)
  • 輶軒抗議, 余乾耀(臺北: 文海出版社, 『近代中國史料總刊續編』第100輯, 1983)
  • 趙景達, “朝鮮における大國主義と小國主義の相剋-初期開化波の思想”, 『朝 鮮史硏究會論文集』第22集, 朝鮮史硏究會, 1985)
  • 衫田聡,『福澤諭吉 朝鮮 中國 臺灣論集』(東京: 明石書店, 2010)
  • 萩原延壽,『遠い崖: ア-ネスト サトウ日記抄』14冊(東京: 朝日新聞社, 1980, 1998~2001)
  • 花房文書(國史編纂委員會 所藏)
  • 舊韓國外交文書(舊韓國으로 약칭함*)
    24책(서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 구소, ~1970) [1966]
  • 興亞會報告 亞細亞協會報告, 黑木彬文 鱒澤彰夫 編(東京: 不二出版社, 1993)
  • 自由黨史, 宇田友猪 和田三郞 編, 板垣退助 監修, 3冊(東京: 岩波書店, 1957)
  • 美藤遼, 「日本仏敎の朝鮮布敎」, 『季刊三千里』 第16號, 1978.
  • 羅巖隨錄
    朴周大 編(서울: 국사편찬위원회 [1980]
  • 統署日記(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奎17836)
  • 統理衙門參議先生案
    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編(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 원 소장, 奎18159)
  • 統理衙門協辦先生案
    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編(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 구원 소장, 奎18157)
  • 窪田文三, 『支那外交通史』(東京: 三省堂, 1928)
  • 稻生典太郞, 『日本外交思想史論考 第一 條約改正論の展開』(東京: 小峯書 店, 1966)
  • 秋月望, “魚允中における「自主」と「獨立」”, 『年報朝鮮學』創刊號, 1990.
  • 福翁自傳, 福澤諭吉(時事新報社, 1899), 허호 역
    『후쿠자와 유키치 자서 전』(서울: 이산 [2006]
  • 福澤諭吉全集, 22冊(東京: 岩波書店, 1964)
  • 福澤諭吉傳, 石川幹明 編, 4冊(東京: 岩波書店, 1932)
  • 福澤諭吉事典編輯委員會 編, 『福澤諭吉事典』(東京: 慶應義塾, 2014)
  • 福澤先生の朝鮮御經營と現代朝鮮の文化とについて, 井上角五郞(東京: 明治 印刷株式會社, 1934)
  • 石菱先生文集
    金昌熙 著 한국문집편찬위원회 편(서울: 경인문화사 [1973]
  • 甲賀宜政, 「近世朝鮮貨幣及典圜局の沿革」『朝鮮總督府月報』第4卷 12號 康玲子, “甲申政變の問題點 -『甲申日錄』の檢討を通じて”,『朝鮮史硏究會 論文集』第22集, 朝鮮史硏究會, 1985.
  • 甲申日錄, 金玉均(『伊藤博文文書』第3卷 所收)
  • 甲申政變, 朴泳孝(『新民』第14號, 1926.6)
  • 田保橋潔, 『近代日鮮關係の硏究』(京城: 朝鮮總督府中樞院, 2冊.{김 종학 역
    『근대 일선관계의 연구(상)』(서울: 일조각, 2013)} [1940]
  • 瓛齋先生集
    朴珪壽 著 金允植 編(서울대학교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 琴秉洞, 『金玉均と日本 : その滯日の軌跡』(東京: 綠蔭書房, 1991)
  • 漢城迺殘夢, 井上角五郞(東京: 春陽書樓, 1891)
  • 湖岩全集
    文一平 著(서울: 조선일보사 출판부 [1939]
  • 淸季中日韓關係史料(中日韓*), 11冊,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 編(臺北: 中央 硏究院 近代史硏究所, 1972)
  • 淸史稿, 趙爾巽 等撰, 48冊(北京: 中華書局, 1974)
  • 淸光緖朝中日交涉史料(中日*), 2冊, 古宮博物院 文獻館 編(臺北: 文海出版社, 1963)
  • 洋務運動文獻彙編, 楊家駱 編, 8冊(臺北: 世界書局 1963)
  • 沁行日記, 申櫶,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상권)/ 국립중앙도서관 고전자료 실(하권) 소장(김종학 역
    『심행일기: 조선이 기록한 강화도조약』푸 른역사 [2010]
  • 槽谷憲一, “閔氏政權上層部の構成に關する考察”, 『朝鮮史硏究會論集』第27 輯, 1990.
  • 梅泉集
    黃玹 著 金澤榮 編(서울대학교 고문헌자료실 소장본 [1911]
  • 梅泉野錄, 黃玹(임형택 외 역,『역주 매천야록』3책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05]
  • 栢原祐泉, 『日本佛敎史 近代』(東京: 吉川弘文館, 1990)
  • 林屋辰三郞, 「文明開化の歷史的前提」,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編,『文明 開化の硏究』(東京: 岩波書店, 1979)
  • 東渡日史, 朴祥植(이성주 역,『동도일사』
    부산박물관 [2012]
  • 李鴻章全集(李鴻章*), 顧廷龍 戴逸 主編, 39冊(合肥: 安徽敎育出版社, 2007)
  • 朴泳孝小傳, 渡邊修二郞, 『東邦關係』(靜岡: 奉公會, 1894)
  • 朴定陽全集, 朴定陽 著 한국학문헌연구소 편
    5책(서울:아세아문화사 [1984]
  • 朝鮮開敎五十年誌, 大谷派本願寺朝鮮開敎監督部 編(京城: 大谷派本願寺朝鮮 開敎監督部, 1927)
  • 朝鮮甲申日記, 作者未詳, (日本佐野市博物館 須永元文庫 所藏)
  • 朝鮮國布敎日誌, 奧村圓心(조동걸, 「奧村의 『朝鮮國布敎日誌』」
    『한국학논 총』제7집 [1985]
  • 朝鮮交涉資料, 伊藤博文 編, 3冊(東京: 原書方, 1970)
  • 朝野新聞
  • 朝井佐智子, “須永元-金玉均を支援した日本人”, 『愛知淑徳大学現代社会研 究科研究報告』第3號, 現代社会研究科出版編集委員会, 2008
  • 時事新報
  • 日韓外交資料集成(日韓*), 金正明 編, 8冊(東京: 巖南堂書店, 1962~1967)
  • 日本學術振興會 編, 『條約改正經過槪要(日外別冊)』(東京: 日本國際聯合協 會, 1950)
  • 日本外交文書 明治年間(日外*), 日本外務省 編(東京: 日本外務省, 1933~1963)
  • 日使集略, 李憲永 撰
    3冊(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旗田巍, 『日本人の朝鮮觀』(東京: 勁草書房, {이기동 譯
    『일본인의 한국관』(서울: 일조각, 1983)} [1969]
  • 故紙羊存, 井上角五郞 著(東京: 弘文堂, 1907)
  • 政治日記(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奎古4206-14)
  • 推案及鞫案(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奎15149)
  • 承政院日記, 高宗朝
    15책(서울: 국사편찬위원회, ~1968) [1967]
  • 惣鄕正明 飛田良文 編, 『明治のことば辭典』(東京: 東京堂出版, 1986)
  • 徳富猪一郎, 『公爵松方正義伝』乾卷 (東京: 公爵松方正義伝記編纂会, 1935)
  • 從政年表
    魚允中(서울: 국사편찬위원회 [1955]
  • 徐載弼博士自敍傳
    김도태(서울: 을유문화사 [1974]
  • 彭澤周, “フェリ-內閣と日本”, 『史林』第45卷 3號, 1962.
  • 平山洋, “福沢諭吉は朝鮮甲申政変の黒幕か?"
    한국일본근대학회 발표문 년 11월 10일) [2012]
  • 崔碩莞, “甲申政變期の井上角五郞-日本の甲申政變企劃說の再檢討”, 『日本 歷史』第533號, 1992.
  • 岩倉具視文書(日本國會圖書館憲政資料室 所藏)
  • 岩倉公實記, 多田好問 編, 3冊(東京, 1906)
  • 岡本隆司, 『属国と自主のあいだ: 近代淸韓関係と東アジアの命運』(名古屋: 名古屋大学出版会, 2004)
  • 山邊健太郞, 「甲申日錄の硏究」『朝鮮學報』第17輯, 1960.
  • 尹致昊日記
    6책(서울: 국사편찬위원회 [1973]
  • 姜瑋全集
    한국학문헌연구소 편(서울:아세아문화사 [1978]
  • 姜在彦, 『近代朝鮮の思想』(東京: 未來社, 1984)
  • 妾の半生涯, 福田(景山)英子 撰(東京: 東京堂, 1904)
  • 奧平武彦, 『朝鮮開國交涉始末』(東京: 刀江書院, 1935)
  • 大韓每日申報
  • 大島明秀, 「志筑忠雄訳「鎖国論」の誕生とその受容」『蘭学のフロンティア -志筑忠雄の世界』(長崎文献社, 2007)
  • 大內兵衛 土屋喬雄 編, 『明治前期財政經濟史料集成』(東京: 改造社, 1932)
  • 增補文獻備考,「兵考」{세종대왕기념사업회
    고전국역편집위원회 편(서울: 세종 대왕기념사업회, -86)} [1985]
  • 報』『皇城新聞』
  • 坂野正高, 『近代中國政治外交史』(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73)
  • 坂野正高, 『現代外交の分析』(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71)
  • 國事犯事件公判傍聽筆記, 石川傳吉 編(東京: 正文堂, 1887)
  • 回顧 甲申政變
    徐載弼(『東亞日報』년 1월 1일 2일) [1935]
  • 嘉梧藁略
    李裕元(서울대학교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 善隣始末(善隣*), 日本外務省 編, 11冊(東京: 日本外務省, 1930)
  • 啓下書契冊(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高宗實錄, 高宗朝
    探究堂 [1970]
  • 吾等一生の失敗
    朴泳孝(『古筠』창간호 [1935]
  • 吉田淸成關係文書(京都大學文學部日本史硏究室 所藏){년까지 서한만 京 都大學文學部 日本史硏究室 編
    『吉田淸成關係文書(書翰篇)』全4冊(京 都: 思文閣出版)으로 출간됨} [2000]
  • 古事通, 崔南善(류시현 역,『고사통』
    서울: 경인문화사 [2013]
  • 原田環, “朝鮮の近代化思想-開化思想の形成と展開”『대동문화연구』제18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84]
  • 原田環, “1880年代前半の閔氏政權と金允植”, 『朝鮮史硏究會論集』第22輯, 1985.
  • 公文別録, 日本外務省 編.
  • 兪吉濬全書
    5책(서울: 일조각 [1971]
  • 備邊司謄錄, 高宗朝
    제36~37책(서울: 국사편찬위원회 [1960]
  • 修信使記錄
    國史編纂委員會 編(서울: 국사편찬위원회 [1958]
  • 保坂祐二, 「福澤諭吉과 甲申政變」, 『韓日關係史硏究』 Vol.4
    한일관계 사학회 [1995]
  • 使和記略, 朴泳孝(釜山: 釜山大學 史學會, 1958)
  • 何如璋集, 何如璋 著, 昊振淸 昊裕現 編(天津: 天津人民出版社, 2010)
  • 伯爵後藤象二郞, 大町桂月(東京: 富山房, 1914)
  • 伊藤博文關係文書, 伊藤博文關係文書硏究會 編, 9冊(東京: 塙書房, 1973~1981)
  • 伊藤博文文書(伊藤*), 檜山幸夫 編(東京: ゆまに書房, 2006)
  • 井上馨關係文書(國史編纂委員會 所藏)
  • 井上角五郞自記年譜, 井上角五郞(慶應大學福澤諭吉硏究せんた- 所藏)
  • 井上角五郞君略傳, 古圧農 編(東京: 森印刷所, 1919)
  • 井上角五郞先生傳, 近藤吉雄 編(東京: 東京凸版印刷株式會社, 1943)
  • 乙丙日記, 作者未詳, 國立中央圖書館 古典資料室 所藏(김종학 역
    『국역 을 병일기』국립중앙도서관 [2014]
  • 丸山眞男, "福澤における『實學』の轉向”, 『東洋文化硏究』第3號, 日本東 京大學 東洋文化硏究所, 1947.
  • 世外井上公傳, 井上馨候傳記編纂會, 3冊(東京: 井上馨候傳記編纂會, 1933-34)
  • 下村富士男, 『明治初年條約改正史の硏究』(東京: 吉川弘文館, 1962)
  • 『한국정치사상사』
    박충석 (서울: 삼영사 [1982]
  • 『한국의 근대외교제도연구: 외교관서와 상주사절을 중심으로』
    김수암 서 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한국사신론』
    이기백 (서울: 일조각 [1972]
  • 『초기개화사상의 연구』
    이완재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1989]
  • 『초기 개화사상과 갑신정변연구』
    신용하 (서울:지식산업사 [2000]
  • 『조선에서의 원세개』
    이양자 (서울: 신지서원 [2002]
  •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김용구 (서울: 원 [2004]
  • 『유길준의 정치사상 연구』
    정용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보부상-근대 격변기의 상인』
    조재곤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 『문명』
    노대환 (서울: 한국개념사총서, 소화 [2010]
  • 『김옥균』
    조선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북한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편 [1964]
  • 『근대한미외교사』
    박일근 (서울: 박우사 [1968]
  • 『개화당연구』
    이광린 「序」(서울: 일조각 [1975]
  • 『개항과 朝日관계-상호인식과 정책』
    최덕수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 『韓國開化史의 諸問題』
    이광린 (서울:일조각 [1986]
  • 『韓國開化史硏究』
    이광린 (서울: 일조각 [1970]
  • 『韓國史(最近世編)』
    이선근 (서울: 을유문화사 [1969]
  • 『韓半島 國際政治史論』
    박준규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 『開化派와 開化思想 硏究』
    이광린 (서울:일조각 [1989]
  • 『近代韓中關係史硏究: 19世紀末의 聯美論과 朝淸交涉』
    송병기 (서울: 단 국대학교 출판부 [1985]
  • 『資料 新聞社說に見る朝鮮』北原スマ子 等編, (東京: 綠陰書房, 1995)
  • 『獨立新聞』
  • 『漢城旬
  • 『淸末對朝鮮政策史硏究』
    권석봉 (서울: 일조각 [1986]
  • 『朝鮮貨幣考』
    유자후 (京城: 學藝社 [1940]
  • 『新聞集成明治編年史』中山泰昌 編(東京: 財政經濟學會, 1934~1936)
  • 『壬午鷄林事變』 宮武外骨 編(東京: 花房太郞, 1932)
  • 『古筠』(東京: 古筠會, 1935-)
  • 『別乾坤』
    甲申大變亂의 回想記, 李圭完( [1927]
  • 『「文明論之槪略」を讀む』(東京 : 岩波書店, 3冊{김석근 역,『문명론의 개략을 읽는다』
    (서울: 문학동네, 2007)} [1986]
  • 「李鴻章의 列國立約通商勸告案과 朝鮮의 對應(1879~1881)-朝美 修交 交涉을 중심으로」
    김원모 『東洋學』제24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 소 [1994]
  • 「李鴻章의 對朝鮮列國立約勸導策에 대하여」
    권석봉 『역사학보』제21집 [1962]
  • 「李鴻章과 穆麟德의 在韓外交活動에 對한 小考」
    박일근 『社會科學論 叢』第4卷1號 [1985]
  • 「李東仁에 관한 Satow의 文書」
    유영익 『史學硏究』제31집, 한국사학회 [1980]
  • 「李朝末期における朝鮮の貨幣問題」
    김광진 『普專學會論文集』第1輯 [1934]
  • 「李朝末期 獨逸로부터의 近代 造幣技術 導入에 대하여」
    원유한 藜堂金 載元博士 回甲紀念事業委員會 編, 『金載元博士 回甲紀念論叢』(서 울: 乙酉文化社 [1969]
  • 「六橋詩社를 통해 본 開化期 畵壇의 一面」
    최경현 『한국근대미술사학』 제12집, 한국근현대 미술사학회 [2004]
  • 「한국실학사상사」
    천관우 『한국문화사대계』VI(서울: 고려대학교 민족 문화연구소 [1970]
  • 「한국사 파악에서 내재적 발전론의 문제점」
    이헌창 『한국사시민강좌』 Vol.40, 일조각 [2007]
  • 「조중상민수륙무역장정 연구」
    김종원 『역사학보』제33집, 역사학회 [1967]
  • 「조영조약(1883.11)과 불평등조약체계의 재정립」
    한승훈 『한국사연구』 제135집, 한국사연구회 [2006]
  • 「조선후기 중앙재정의 운영: 『六典條例』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재호 『경제사학』제43호, 경제사학회 [2007]
  • 「조선조 말기의 서구수용과 전파양상에 관한 실증연구: 문명개화, 자주독립, 부국강병 의식의 구조를 중심으로」
    김영작 『‘문명’ ‘개화’ ‘평 화’』(서울: 아연출판부 [2008]
  • 「조선정부의 청 차관도입(1882~1894)」
    金正起 『한국사론』제3집, 서울 대학교 국사학과 [1976]
  • 「조선실학개념성립에 관한 사학사적 고찰」
    천관우 『李弘稙博士華甲紀念 韓國史學論叢』(서울: 신구문화사 [1969]
  • 「조선 주자학: 그 규범성과 역사성」
    박충석 박충석 와타나베 히로시 공 편, 『국가이념과 대외인식: 17~19세기』(서울: 아연출판부 [2002]
  • 「장서각 소장자료 『談草』를 통해 본 魚允中의 개화사상」
    한임선 『藏 書閣』제23집 [2010]
  • 「일제 강점기 김옥균 추앙과 민족교육」
    김태웅 『역사교육』제74호 [2000]
  • 「일본 근대불교의 韓 中 포교에 대한 연구」
    한상길 『韓國禪學』제20 호, 한국선학회 [2008]
  • 「이조후기 실학의 개념 재검토」
    천관우 『한국사의 반성』(서울: 신구문 화사 [1969]
  • 「이노우에 가쿠고로(井上角五郞)와 갑신정변-미간사료 『井上角五 郞先生傳』에 기초하여」
    김종학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제13권 1호, 한 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4]
  • 「유길준의 개화사상」
    金泳鎬 『창작과 비평』11 [1968]
  • 「실학연구서설」
    이우성 『실학연구입문』(서울: 일조각, ; [1971]
  • 「실학사상의 정치적 현실주의와 사상적 계보」
    전정희 『한국정치외교사 논총』제26집 2호
  • 「신채호와 민중적 민족주의의 기원」
    김종학 『세계정치』Vol.28, No.1,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07]
  • 「시사(詩社)를 통해서본 조선말기 중인층」
    정옥자 『한우근박사정년기념 논총』(서울: 지식산업사 [1981]
  • 「시무개화파의 개혁구상과 정치활동」
    한철호 한국근현대사연구회 편, 『한국근대 개화사상과 개화운동』(서울: 신서원 [1998]
  • 「숨은 開化思想家 劉大致」
    이광린 『개화당 연구』(서울: 일조각, 1973) [1973]
  • 「서재필의 개화사상」
    李光麟 『동방학지』18집,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78]
  • 「서구사상의 도입비판과 섭취」
    박종홍 『아세아연구』제12-3(35호) [1968]
  • 「묄렌도르프(M llendorff)의 외교정책과 경제개발정책의 성격」
    김현숙 『湖西史學』第34輯 [2003]
  • 「대담: 開化史 認識의 問題」
    신용하 이광린 『현상과 인식』Vol.1 No.2, 한국인문사회과학회, p.3 [1977]
  • 「당오전 연구」
    오두환 『경제사학』제6호, 경제사학회 [1983]
  • 「김옥균의 개화사상」
    愼鏞厦 『동방학지』46 47 48합집, 연세대학교 국 학연구원 [1985]
  • 「근대한국의 문명 개념 도입사」
    하영선 『근대한국의 사회과학 개념 형 성사』(서울: 창비 [2009]
  • 「고종친정 이후 정치체제 개혁과 정치세력의 동향」
    殷丁泰 『한국사론』 제40집,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98]
  • 「고문관 러젠드르(C.W.LeGendre: 李善得)의 경제개발안과 화폐개 혁안의 성격-富國策(1883)을 중심으로」
    김현숙 『경제사학』제30호 [2001]
  • 「개화파의 성립과정과 정치 사상적 동향」
    주진오 한국역사연구회 편, 『1894년 농민전쟁연구』제3권(서울: 역사비평사 [1991]
  • 「개화파의 경제사상과 경제정책」
    김성우 한국근현대사연구회 편,『한국 근대 개화사상과 개화운동』(서울: 신서원 [1998]
  • 「개화사상과 개화운동의 역사적 변화」
    하원호 한국근현대사연구회 편, 『한국근대 개화사상과 개화운동』(서울: 신서원 [1998]
  • 「개화기 朴泳孝의 『使和記略』에 나타난 일본인식」
    한철호 『韓國學論 叢』第44輯 [2008]
  • 「개항초기(1883-1885) 한국의 경제정책과 묄렌도르프의 역할」
    박찬일 『한국외국어대학교논문집』제16집 [1983]
  • 「개항기 수신사행에 관한 일연구」
    河宇鳳 『한일관계사연구』제10집, 한 일관계사학회 [1999]
  • 「개항기 권력집단의 정세인식과 정책」
    연갑수 한국역사연구회 편, 『1894년 농민전쟁연구』제3권(서울: 역사비평사 [1991]
  • 「개항기 奧村圓心의 조선포교 활동과 李東仁」
    최인택 『동북아문화연 구』제10집 [2006]
  • 「韓美修好條約에서 본 美 中의 對韓外交政策: 高宗의 秘密外交를 中心으로」
    박일근 『韓國政治學會報』제11집, 한국정치학회 [1977]
  • 「韓 露密約과 그 후의 韓 露關係(1884~1894)」
    임계순 『韓露關係百年 史』(서울: 한국사연구협의회 [1984]
  • 「閔泳翊의 삶과 활동」
    김현수 『한국사상사학』제18집 [2002]
  • 「開化思想의 形成과 그 發展-實學의 傳統 및 西歐思想의 收容과 관련하여」
    이광린 『한국사시민강좌』4집, 일조각 [1989]
  • 「開化僧 李東仁에 關한 새 史料」
    이광린 『東亞硏究』제6집, 서강대학 교 동아연구소 [1985]
  • 「開化僧 李東仁」
    이광린 『개화당 연구』(서울: 일조각, 1973) [1973]
  • 「近代의 새벽-開化思想」
    김영호 『韓國現代史』제6권(서울: 신구문화사 [1969]
  • 「舊韓末外國人雇聘考」
    이현종 『韓國史硏究』제8호 [1972]
  • 「緯山 徐光範」
    이광린 『개화기의 인물』(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3]
  • 「統理軍國事務衙門(1882~1884)의 組織과 運營」
    한철호 이기백선생 고 희기념 한국사학논총 간행위원회 편,『韓國私學論叢』제2권(서울: 일 조각 [1994]
  • 「統理機務衙門 設置의 經緯에 대하여」
    전해종 『역사학보』제17 18집, 역사학회 [1962]
  • 「穆麟德의 雇聘과 그 背景」
    고병익 『진단학보』제25~27합집(合集), 진 단학회 [1964]
  • 「當五錢攷」
    원유한 『역사학보』제35 36집, 역사학회 [1967]
  • 「歐美勢力의 浸透」
    최영희 국사편찬위원회 편,『한국사』16(서울: 탐구 당 [1975]
  • 「東仁僧의 行績(上)-金玉均派開化黨의 形成에 沿하여」
    이용희 『국제문 제연구』제1집,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1973]
  • 「朴齊炯의 近世朝鮮政鑑과 大院君時代 硏究의 再檢討」
    이선근 『芝陽申 基碩博士 華甲記念學術論文集』(서울: 지양 신기석박사 회갑기념학술 논문집 편찬위원회 [1968]
  • 「朝鮮時代 中人의 身分-階級的性格」
    한영우 『한국문화』9집, 서울대학 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988]
  • 「朝鮮問題をめぐる自由黨とFrance-主として山邊氏說に對する批 判」
    『歷史學硏究』265호 [1962]
  • 「朝鮮 報聘使의 美國使行(1883) 硏究(上 下)」
    김원모 『동방학지』 Vol.49 50 [1985]
  • 「廢佛毁釋과 메이지 정부」
    윤기엽 『佛敎學報』제46집, 동국대학교 불교 문화연구원 [2007]
  • 「庚辰 修信使 金弘集과 黃遵憲著 『朝鮮策略』에 關한 再檢討」
    이선근 『東亞論叢』제1집, 동아대학교 [1963]
  • 「姜瑋의 人物과 思想-實學에서 開化思想으로의 轉換의 一斷面」
    이광린 『東方學誌』제17집,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76]
  • 「奇傑했던 開化僧 李東仁의 業績과 生涯」
    이선근 『東亞論叢』제3집, 동 아대학교 [1966]
  • 「吳慶錫의 開化思想과 開化活動」
    신용하 『國史學報』제107집, 역사학 회 [1985]
  • 「典圜局小論」
    이석륜 『경희대학교논문집』제9집 [1979]
  • 「『西洋事情』의 英語 原典 飜譯部分에 關한 硏究 : 『Political Economy for Use in Schools and Private Instruction』과의 比較 를 中心으로」
    김연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甲申日錄』에 관한 一硏究」
    김봉진 『韓國學報』Vol.12 NO.1, 일지 사 [1986]
  • 「『日槎集畧』 문헌해제」
    김종학 한림과학원 편,『동아시아 개념연구 기초문헌해제 II』(서울: 선인 [2013]
  • 「『使和記略』(1882)연구」
    최덕수 『史叢』第 50輯 [1999]
  • 「P.G.M llendorff의 조선 중립화 구상」
    김우현 『평화연구』Vol.8 [1983]
  • 「M ellendorff가 한국외교에 끼친 영향」
    노계현 『비교문화연구』제1집 [1982]
  • 「18세기에 있어서의 화폐정책- 동전(銅錢)의 주조사업 중심」
    원유한 『역사학보』, 한국사학회, 제19호 [1967]
  • 「1884년 갑신정변의 허위성」
    이태진 『고종시대의 재조명』(서울: 태학 사 [2000]
  • 「1884년 ‘의제(衣制)개혁’에 대한 정치적 독해」
    강상규 『19세기 동아시 아의 패러다임 변환과 다중거울』(서울: 논형 [2012]
  • 「1883년 김옥균 차관교섭의 의미와 한계」
    유바다 『한국근현대사연구』 제54집, 한국근현대사학회, 년 가을호 [2010]
  • 「1881년 朝鮮 朝士日本視察團에 관한 一硏究」
    허동현 『한국사연구』제 52집, 한국사연구회 [1986]
  • 「1880年代 韓國國內政治와 外交政策-閔氏政治指導力 및 外交政 策 再評價」
    김달중 『韓國政治學會報』제10집 [1976]
  • 「1874~1894년 청의 조선정책 연구」
    김정기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994]
  • “Baron von M llendorff", The Korean Review, Vol.1, No.6, 1901.
  • ―――――― , 『馬建忠の中國近代』(京都: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07)
  • ―――――― , 『朝鮮の開國と近代化』(東京: 溪水社, 1997)
  • ―――――― , 『朝鮮の開化思想』(東京: 岩波書店, 1980){『朝鮮の開化思想』姜 在彦著作集 第3卷(東京: 明石書店, 1996)}
  • ―――――― , 『朝鮮の攘夷と開化: 近代朝鮮にとっての日本』(東京: 平凡社, 1977)
  • ―――――― , 『明治初期日韓淸關係の硏究』(東京: 塙書房, 1969)
  • ―――――― , 『日淸戰爭への道程』(東京: 吉川弘文館, 1997)
  • ―――――― , 『日淸戰爭への道』(東京: 東京創元社, 1995)
  • ―――――― , 『日本の韓國倂合』(東京: 太平出版社, 1966)
  • ―――――― , 『「鎖国」という言説-ケンペル著・志筑忠雄訳『鎖国論』の受容史』 (京都: ミネルヴァ書房, 2009)
  • ―――――― , 「遣美使節 洪英植 硏究」,『史學志』Vol.28, No.1, 1995.
  • ―――――― , “近世日本思想史における「自然」と「作爲」-制度観の対立として の”, 『日本政治思想史研究』(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83)
  • ―――――― , “近世儒敎の発展における徂来学の特徴並にその国学との関連”, 『日本政治思想史研究』(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83)
  • ―――――― , “甲申政變をめぐる井上外務卿とフランス公使との交涉”,『歷史學 硏究』第282號, 1963.
  • ―――――― , “朴泳孝の民本主義 新民論 民族革命論(二)”,『朝鮮學報』第82輯, 1977.
  • ―――――― , “朝鮮の近代化史上-開化思想の形成と展開”
  • ―――――― , “思想史の考え方について: 類型 範圍 對象”, 『丸山眞男』第9卷(東 京: 岩波書店, 1996)
  • ―――――― , “「金玉均伝原稿」と雑誌「古筠」-その探索及び「甲申日録」の否 定について”,『朝鮮史研究会論文集』第18集, 朝鮮史硏究會, 1981.
  • ―――――― , Sir Ernest Satow's Private Letters to W.G.Aston and F.V.Dickins: The Correspondence of a Pioneer Japanologist from 1870 to 1918 (North Carolina, Lulu Press Inc. 2008)
  • Shufeldt Papers(國史編纂委員會 所藏)
  • Ruxton, Ian(ed.), A Diplomat in Japan Part II: The Diaries of Ernest Satow, 1870-1883 (North Carolina: Lulu Press, Inc., 2010)
  • Records created and inherited by the Foreign Office in UK (FO)
  • Morse, H.B.,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Chinese empire(New York: Paragon Book Gallery, 1917)
  • Lee, Yur-Bok, West Goes East: Paul Georg von M llendorff and Great Power Imperialism in Late Yi Korea(Honolulu: Hawaii Univ. Press, 1988)
  • Lane-Poole, Stanley, Sir Harry Parkes in China(London: Methuen&Co. 1901)
  • Korean-American Relations(KAR), Vol.I, George M. McCune and John A. Harrison(eds.)(Berkeley: Univ. of California Press)
  • Kiernan, E.V.G., British Diplomacy in China, 1880 to 1885 (New York: Octagon books, 1970)
  • Jones, F.C., Foreign Diplomacy in Korea, 1855~1894. Ph.D.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1935.
  • Grazia, Alfred de., Political Behavior(New York: The Free Press, 1965)
  • Eastman, Lloyd E. Throne and Mandarins, China's search for a policy during the Sino-French controversy, 1880-1885(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7)
  • Drake, F.C., The Empire of the Seas(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4)
  • Deuchler, Martina. Confucian gentlemen and barbarian envoys: the opening of Korea, 1875-1885(Seattle :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77)
  • Dennett, Tyler, Americans in Eastern Asia(New York: Macmillan Co., 1922)
  • Craig, Albert, “Fukuzawa Yukichi: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Meiji Nationalism", Robert E. Ward(ed.), Political Development of Modern Japan(Princeton Univ. Press, 1968)
  • Craig, Albert M. "John Hill Burton and Fukuzawa Yukichi", 『近代日本 硏究』vol.1.1984
  • Cortazzi, Hugh(ed.), Britain&Japan: Biographical Portraits, Vol.IV. (London: Japan Library, 2002)
  • Cortazzi, Hugh & Daniels, Gordon, Britain and Japan, 1859~1991: Themes and Personalities (London: Routledge, 1991)
  • Correspondances politiques (Political Correspondences, the National Archives and the Archive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France, Courneuve) (C.P.)
  • Cook, Harold F., Korea's 1884 incident: It's background and Kim Ok-kyun's elusive dream(Seoul: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1972)
  • Ch'en, Jerome, Yuan Shih-K'ai(Stanford: Stanford Univ. Press, 1972)
  • British Documents of Foreign Affairs, Part I Series E Vol.2; Korea, Ryukyu Island, and North-East Asia, 1875-1888(BDFA), Kenneth Bourne and D. Cameron Watt(eds.) (Lanham, Md: University Publication of America, 1989)
  • Anglo-Amercan Diplomatic Materials Relating to Korean, 1866-1886(AADM), Park Il-Keun, ed. (Seoul: Shinmundang, 1982)
  • A Korean coup d' tat, Percival Lowell, The Atlantic Monthly, Vol.58. Issue 349.
  • 19세기 조선의 군사제도 연구
    배항섭 (서울: 국학자료원 [2002]
  • 1880년대 문명 개념의 수용과 문명론의 전개
    노대환 『한국문화』제 49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