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Arnheim의 시각적 사고 이론에 기초한 그림책의 그림읽기 지도방안 연구 = Research on the Picture Reading in Picturebooks Guidance Methods based on the R.Arnheim Visual Thinking theory

이유나 2015년
논문상세정보
' Arnheim의 시각적 사고 이론에 기초한 그림책의 그림읽기 지도방안 연구 = Research on the Picture Reading in Picturebooks Guidance Methods based on the R.Arnheim Visual Thinking theor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그림읽기
  • 시각적 사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5 0

0.0%

' Arnheim의 시각적 사고 이론에 기초한 그림책의 그림읽기 지도방안 연구 = Research on the Picture Reading in Picturebooks Guidance Methods based on the R.Arnheim Visual Thinking theory' 의 참고문헌

  • 형태지각 원리에 기초한 시각 연상 지도와 어린이의 표현 연구 :Arnheim의 시지각 이론을 중심으로 한 실천모형
    진선미 고려대학 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1]
  • 해설 :RudolfArnheim의 시각적 사고
    김정오 서울 :이화여대출 판부 [2004]
  •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에 나타난 유아의 의미 구성적 반응
    노영희 열린유아교육연구,17(4),391-419 [2012]
  •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본 Anthony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노영희 열린유아교육연구,15(2),273-299 [2010]
  • 정유선 역 그림 읽는 아이들 :시각언어에 대한 아동의 이 해
    이경은 정유선 역 서울 :미진사 [2004]
  • 이해, 학습, 기억 : 독서과정에 관한 인지심리학적 연구 분석
    노명완 한국교육개발원편 한국교육,14(2),29-55 [1987]
  • 유아언어교육의 이론적 탐구
    이차숙 서울 :학지사 [2004]
  • 왜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인가? - 문화인지적 관점에서의 고찰 -
    이모영 문화예술 교육연구,7(4),265-285 [2012]
  • 예술적 창조성과 시각적 사고 :예술창조 과정에 관한 심 리학적 연구
    이모영 미학 예술학 연구,23,247-274 [2008]
  • 예술심리학 :Arnheim의 TowardPsychologyofArt(1966)
    김재은 서울 :이화여대출판부 [1979]
  • 박사
  • 시각적 사고를 활용한 창의성 신장 방안에 관한 이론적 연구
    이모영 미술교육논총,20(3),47-74 [2006]
  • 시각적 사고 :Arnheim의 VisualThinking(1969)
    김정오 서울 : 이화여대출판부 [2004]
  • 미술과 시지각 :RudolfArnheim의 Artand Visual
  • 박사
    만3세 유아들의 '그림책 읽기' 의미탐색
    장정윤 숙명여자 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3]
  • 똑!똑!똑!그림책
    김이산 서울 :현암사 [2004]
  • 기호학적 관점에서 본 글과 그림읽기
    변윤희 현은자 유아교육연 구,22,339-362 [2002]
  •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김경용 서울 :민음사 [1996]
  • 글과 그림, 문화와 기호
    박일우 기호학연구,1,383-407 [1995]
  • 그림책의 명화를 활용한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미 술 감상 능력과 미술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경아 장영숙 아동학회지,26(3), 97-100 [2005]
  • 그림책의 글과 그림읽기 지도 방안 연구
    안영길 가천 대학교 석 사학위 청구논문 [2013]
  • 그림책의 그림읽기 프로그램이 유아의 시각적 문식성에 미 치는 영향
    오정옥 성균관 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1]
  • 그림책의 그림 읽기
    현은자 서울 :마루벌 [2004]
  • 박사
  •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 감상교육이 유아의 그림 표현 능력 에 미치는 영향:시각요소를 중심으로
    최지희 성균관 대학교 석사학위 청 구논문 [2003]
  • 그림책,해석의 공간
    이성엽 서울 :마루벌 [2014]
  • 그림책 작가의 이 해
    서정숙 서울 :창지사 [2013]
  • 그림책 읽기 방식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 어휘 학습과 읽기 흥미에미치는 영향
    김민진 열린유아교육연구,13(3),69-91 [2008]
  • 《시각이미지 읽고 쓰기》
    김윤배 최길열 서울 :미담북스 [2005]
  • perception
    서울 :미진사 [1960]
  • Yolen,J.(1981).Touch magic:Fantasy,faerie and folklore in the literatureofchildren.New York:Philomel.
  • Stewig,J.W.(1995).Looking atpicture books.FortAtkinson,WI: Highsmith.
  • Steiner,W.(1982).TheColorsofRhetoric.Chicago:TheUniversityof ChicagoPress.
  • Sipe,L.R.(2002).Talking back and taking over:Young children’s expressive engagement during storybook readalouds. The ReadingTeacher,55,476-483.
  • Sipe, L. R. (2008). Storytime : Young Children’s Literary Understanding in the Classroom.Teachers College,Columbia University.
  • Serafini,F.(2009).Understanding VisualImagesinPicturebooks.In J. Evans(ed).Talking Beyond thePage.Reading and Responding toPicturebooks.pp.10-25,London:Routledge.
  • Sebeok,T.A.(1994).Signs:An introduction to semiotics.Toronto: UniversityofTorontoPress.
  • Schwarcz,J.(1982).Ways ofthe Illustrator.Chicago : American LibraryAssociation.
  • Schwarcz,J.(1982).VisualCommunication in Children’s Literaturel. Chicago:AmericanLibraryAssociation.
  • Sapir,E.(1958).Language and envionment.In,D.G.Mandelbaum (ED.),SelectedwritingsofEdwardSapirinLanguage,Culture, andpersonality.Berkeley:UniversityofCaliforniaPress,162.
  • Russell,D.L.(1991).Literature forChildren:A ShortInstruction.N. Y :LongmanPublishingGroup.
  • Rosenblatt,L.M.(2004).The TransactionalTheory ofReading and Writing.In N.J. Unrau & R.B.Ruddell(eds.),Theoretical ModelsandProcessesofReading(pp.1363-1398).Newark,DE: InternationalReadingAssociation.
  • R.Arnheim의 視知覺理論이 美術敎育課程에 주는 示唆點 硏究
    최윤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001]
  • Nodelman,P.(1988).Words aboutPictures :The narrative artof children's picture books.Athens,GA: University of Georgia Press.
  • Nikolajeva,M.(2008).Playandplayfulnessinpostmodernpicturebooks, In L.R.Sipe,& S.Pantaleo (Eds.),Postmodern picturebooks (pp.55-73),New York:Routledge.
  • Nikolajeva, M., & Scott, C.(2000). The dynamics of picturebook communication.Children’sLiteratureinEducation,31,225-239.
  • Myers,D.G.(2008).Psychology.WorthPublishers.New York,NY.
  • Morrow, L.M.(1988).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one-to-one readings in schoolsettings.Reading Research Quarterly,23, 89-107.
  • Mitchell,W.J.T.(1987).Iconology:Image,Text,Ideology.University ofChicagoPress
  • McGee,L. M., & Schickedanz,J.A. (2007). Repeated interactive read-alouds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The Reading Teacher,60,742-750.
  • McCarrier,A.(1991, December). The role of talk during multiple readingsofthesamestorybook.PaperpresentedattheNational ReadingConference,Palm Springs,CA.
  • May,J.(1995).Children'sliteratureand criticaltheory:Reading and writingforunderstanding.New York:OxfordUniversityPress.
  • Martinez,M.,& Roser,N. (1985).Read it again: The value of repeating readings during storytime.The Reading Teacher,38, 782-786.
  • Many,J.,& Wiseman,D.L.(1992).Theeffectofteaching approach on third-grade students’ reponse to literature. Journal of ReadingBehavior,24,265-287.
  • Lewis,D.(2001).Reading contemporary picturebooks:Picturing text. London:RoutledgeFalmer.
  • Kress,G.,& VanLeeuwen,T.(2006).Reading images:Thegrammar ofvisualdesign(2nded.),London:Routledge.
  • Jalongo,M.R.(1988).Young Childrenand Picture Books;Literature fromⅡ)ImfancytoSix.Washington:NAEYC.
  • Halliday,M.(1975).Learninghow tomean.London:EdwardArnold.
  • Gombrich,E.H.(1972).The visualimage.Scientific American,227, 82-96.
  • Golden, J. (1990). The narrative symbol in childhood literature: Explorationsofthe constructionoftext.New York:Mouton de Gruyter.
  • Galda,L.,& Short,K.(1993).Visualliteracy:Exploringandillustration inchildren’sbook.TheReadingTeacher,46(6):506-516.
  • Eisner,E.W.(2002).TheArtsandtheCreationofMind.New Haven, CT:YaleUniversityPress.
  • Eco,U.(1979).Therole ofthereader:Explorationsinthe semiotics oftexts.Bloomington:IndianaUniversityPress.
  • Dondis, D. A. (1973). A Primer of Visual Literacy. Cambridge, Massachusetts:MIT Press.
  • Collins,A.,Brown,J.,& Larkin,K.M.(1980).Inference in Text Understanding. 385-407. in Theroretical Issues in Reading Comprehension,edited by R.Sprioo,B.Brce,and W.Brewer. Hillsdale,NJ:Erlbaum.
  • Callow,J.(1999).Image Matters: VisualTexts in the Classroom. NSW :PrimaryEnglishTeachingAssociation.
  • Barthes, R (1985). The responsibility ofform: Critical essays on music,art,andrepresentation(R.Howard,Trans).New York: HillandWang.
  • Banta,G.J.(2004).Reading picture :Searching for excellence in picturebooks.ChildrenandLibraries.Winter,30-34.
  • Bader(1976).AmericanPictureBooksfrom Noah'sArktotheBeast Within.New York:Macmillan.
  • Arnheim의 시각적 사고 이론에 기초한 그림책의 그림읽기 지도 전략 탐색
    이차숙 한국영유아보육학,79,1-21 [2013]
  • Arnheim,R.(1989).Thoughtson artEducation.LosAngeles:The J. PaulGettyTrust.
  • Arnheim,R.(1986).The image of pictures and word.Word and Image,2,306-310.
  • Arnheim,R.(1974).Artand Visualperception:A psychology ofthe creativeeye.BerkelyandLosAngeles:UniversityofCalifornia Press.
  • Arnheim,R.(1969).Visual thinking.Berkeley and Los Angeles : UniversityofCaliforniaPress.
  • Arnheim,R.(1966).Toward a Psychology ofArt.Berkeley and Los Angeles:UniversityofCaliforniaPress.
  • Arizpe, E., & Styles, M. (2003). Children reading pictures: Interpretingvisualtexts.New York:RoutledgeFalmer.
  • Allington,R.L.& Cunningham,P.M.(1996).Schools thatWork : WhereallChildrenReadandWrite.New York:HarperCollins College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