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학문화교육 교재 개발 연구 : 『금오신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Literacy-Culture Education Textbook in China: Focusing on the Geumo-Sinhwa

양산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학문화교육 교재 개발 연구 : 『금오신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Literacy-Culture Education Textbook in China: Focusing on the Geumo-Sinhw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고전소설
  • 교육정책
  • 교재 개발
  • 금오신화
  • 문학문화
  • 중국 한국어 학습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59 0

0.0%

'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학문화교육 교재 개발 연구 : 『금오신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Literacy-Culture Education Textbook in China: Focusing on the Geumo-Sinhwa' 의 참고문헌

  • 「대학교 본과 외국어 비통용 어종 학과 규범의 측면에서 본 중국에 서의 한국어 교육」
    강은국 한국(조선)어 교육 연구학회 2010년 연례학술대회 논문집 [2010]
  • 呂必松(1998), 「對外漢語敎學的目的和內容」, 劉珣 田善繼 馮惟鋼(編),?『對外漢語敎 學槪論』, 中國北京語言文化大學出版社.
  • 한국어교육을 위한 단계별 문화 내용과 교수 방법
    장경은 전남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1]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육 방법:『춘향전』을 중심으 로
    주도 건양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한국어 교재의 실태 및 대안
    민현식 『국어교육연구』, 제7집, 서울대학교 국 어교육연구소 [2000]
  • 한국어 교재의 문화 요소 분석 및 한국어 문화 통합 교수 방안 : 웹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이소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한국어 교재 연구
    안영수 하우도서출판 [2008]
  • 한국어 교육 자료의 체제 분석
    노명완 『이중언어학』, 제15호, 이중언어학회 [1998]
  • 통일 이후의 문학교육
    김대행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재 편찬 연구
    남연 『Journal of Korean Culture』, 제13호,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9]
  • 중국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학활용의 현황과 과제
    김경선 『국어교육연구』, 제14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4]
  •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장광군 『국어교육연 구』, 제7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0]
  •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어제와 오늘 및 그 미래
    김철 『한중인문학연 구』, 제24집, 한중인문학회. [2008]
  • 중국에서의 , 「 한국어 교육 평가」, 『국어교육연구』, 제10집
    묘춘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2]
  •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 교과과정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이나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박사
    중국 내 대학의 한국어 교재 분석과 개발 방향 연구
    담결 담결 부산외국어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제 2언어 교육으로서의 문화교육; 한국어의 문화적 요소를 중심으로
    박영순 『이중 언어학』, 제6권, 이중언어학회 [1989]
  • 이생규장전의 교수 학습방안
    김병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이생규장전(Online)
    http://www.seelotus.com/gojeon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에 대한 시고
    서종학 『울산어문논 집』, 제15집, 울산대학교 [2001]
  • 외국인을 위한 한국소설교육 방안
    윤 영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외국인을 위한 문학 교육 방법 연구
    나정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외국인 학습자에 대한 한국문학교육 방법론
    김승환 제3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2002]
  •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교육
    윤여탁 한국문화사 [2007]
  •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 교육의 가능태
    황인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25 26집,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01]
  • 설화를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이성희 『한국어교육』, 제10권 2호, 한 국어교육학회 [1999]
  • 문화교육’이라는 문제 설정
    정현선 『국어교육연구』, 제4집, 서울대학교 국 어교육연구소. [1997]
  • 문화교수의 쟁점을 통해서 본 문화교수의 방향성 모색
    강현화 『한국언어문 화학』, 제7집,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윤여탁 『국어교육연구』, 제6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999]
  • 문학교육의 이해
    김중신 태학사 [1997]
  • 문학교육원론
    김대행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문학교육과 한국어교육
    윤여탁 『한국어 교육』,?제10권 2호, 국제한국어교 육학회 [2003]
  •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 「 한국어교육 연구」
    주은정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문학 문화의 , 「 개념과 문학교육」, 『문학교육학』, 제25집
    한국문학교육 학회 [2008]
  • 만복사저포기(Online)
    http://kin.naver.com/qna/detail
  • 김시습평전
    심경호 돌베개 [2003]
  • 그룹 활동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 신장 연구-과제 수행 중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이정자 『한국어교육』, 제12권 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1]
  • 국어교육 평가의 구조와 원리
    김창원 『어문학교육』, 제27집, 부산교육학회 [1995]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Online)http://stdweb2
    korean.go.kr/search/List_dic.jsp
  • 박사
    고전소설을 통한 인성교육 방안: 이생규장전을 중심으로
    박은영 부산외국어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고소설에 나타난 용궁·동굴공간의 양상과 의미연구
    원대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陳賢純(1998), 「語言是不是知識」, 劉珣?田善繼?馮惟鋼(編), 『對外漢語敎學槪論』, 中 國北京語言文化大學出版社.
  • 范文瀾(1958), 『中國通史簡編』(修訂本), 人民出版社.
  • 王偉(2012), 「後形而上學的文學文化」, 『華僑大學學報』, 華僑大學.
  • 林興宅 洪申我(1994), 「文學文化硏究的現狀?對策」, 『河北學刊』, 河北省社會科學 院.
  • 李 洋(2007), 「試論我國外語?學的特點和及其?學原則」,『湖南師範大學敎育科學學 報』, 湖南師範大學.
  • 敎育部(1998), 『關于加强大學生文化素質敎育的若干意見』.
  • 張國揚 朱亞夫(1999), 『外語敎育語言學』, 中國廣西敎育出版社.
  • 安佰鴻(2009), 「理査德 羅?(Richard Rorty)的文學文化」, 『東岳論?』, 山東社會科 學院.
  • 劉介民(1993), 『比較文學方法論』, 天津人民出版社.
  • 人民敎育出版社語文一室 編著(1997), 『九年義務敎育三年制初級中學校科書語文』.
  • 人民敎育出版社語文一室 編著(1996), 『全日制普通高級中學語文敎學大綱學習指導』.
  • 『한국어능력시험 15년사』
    조용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 『한국어교육론』
    이미혜 방송대 출판문화원 [2011]
  • 『한국어교육론3』
    민현식 한국문화사 [2005]
  • 『한국어 중급읽기』
    방금숙 장영미 북경대학출판사 [2007]
  • 『한국어 읽기와 쓰기』
    연변대학출판사 [2004]
  • 『한국어 읽기(초급, 중급, 고급)』
    연세대학교 세계도서출판사 [2007]
  • 『한국문학작품선집』
    이민덕 주필 연변대학출판사 [2004]
  • 『중한교류 표준한국어』
    윤윤진 인민교육출판사 [2006]
  • 『중급한국어 회화』
    김경화 방금수 연변대학출판사 [2004]
  • 박사
  • 『우리말 대사전』
    이희승 (개정판), 민중서관 [1961]
  • 『문화교육이란 무엇인가』
    태학사 [2013]
  • 『문학교육정론』
    우한용 삼지원 [1998]
  • 『문학교육론』
    구인환 (제4판), 삼지원 [2001]
  • 『대학 한국어(1~4권)』
    박성태 우림걸 북경대학출판사 [2007]
  • 『금오신화연구』
    설중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3]
  • 『국어교육사연구』
    이응백 신구문화사 [1976]
  • 『고전소설신론(개정판)』
    김일렬 새문사 [2008]
  • 『고전산문 문학2』
    권일경 천재교육 [2004]
  • 『고전문학의 이해와 감상』
    정경섭 (주)문원각 [2008]
  • 『고급한국어(상, 하)』
    최희수 요녕민족출판사 [2003]
  • 「해외 한국문학교육 연구 현황과 과제」
    류종렬 『한중인문학연구』, 제38집, 한중인문학회 [2013]
  • 「한국어학과 문학강독 개설에 대하여」
    임효려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Ⅳ, 연변과학기술대학 한국학연구소 엮음, 태학사 [2003]
  •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재론」
    제2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 세계화추진위원회 [2001]
  • 「한국어교육에서의 설화를 활용한 언어문화 연계수업 방안 연구: 중국인 초급 학습자 대상 차례를 중심으로」
    송지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의 현황과 교육 방안 연구: ‘운수 좋은 날’과 ‘낙타상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매 영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의 위상과 효과적인 교육방법」
    장명미 『중국조선 어문』, 제134호,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04]
  • 「한국어교육에서 한국 문학교육의 실태와 그 전망: 중국에서 문학교육을 중 심므로」
    김충실 『비교문화연구』, 제18권, 부산외국어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6]
  • 「한국어교육에서 문학 제재 활용의 전통」
    김종철 『국어교육연구』, 제14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4]
  •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시 교육에 대한 연구」
    정은화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 「한국어과 교육에서의 한국문학 교육에 관하여」
    지수용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Ⅵ, 연변과학기술대학 한국학연구소 엮음, 태학사 [2005]
  • 「한국어 교재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2003 『한국어교육』, 제14권 3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한국어 교재 개발의 기본 원리와 실제: 연세대학교 한국어 학당 교재 개발을 중심으로」
    조항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28집,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2003]
  •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적 논의: 교재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교 재 개발의 현황과 주요 쟁점」
    『한국어교육』, 제14권 1호,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2003]
  • 「한국어 교과서 개발의 이론과 실제」
    이선한 『국어교육연구』, 제6집, 서울대 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999]
  • 「한국문화 교육에서 문학작품의 실제적 적용: 고급단계 학습자를 중심으 로」
    『한국(조선)어 교육연구』, 제4호, 중국 한국(조선)어 교육연구학 회, 민족출판사 [2006]
  • 「한국 문학을 통한 한국어교육의 실제와 수업방식」
    문복희 『중국에서의 한국 어 교육』Ⅲ, 연변과학기술대학 한국학연구소 엮음, 태학사 [2002]
  • 「한국 동요를 이용한 어휘교육」
    문영자 『한국(조선)어 교육연구』, 제2호, 중 국 한국(조선)어 교육연구학회, 민족출판사 [2004]
  • 박사
  • 「평가 기준을 통한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 교재 분석: 북경대학 조선문화 연구소『한국어 1, 2』와 상해복단대학『초급한국어 (상, 하)』를 중심으 로」
    엄 녀 『한국어교육』, 제18권 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7]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재 개발 연구」
    이상민 전남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3]
  • 「중국인 학습자를 외한 한국 문화교육 연구: 조지훈의 시를 중심으로」
    임 상 『한국언어문화학』, 제4권 2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07]
  • 「중국의 한국어 문화교육 의의와 내용에 대한 고찰」
    임효례 『언어와 문화』, 제6권 2호,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0]
  • 「중국의 고전교육」
    한연석 『한문교육연구』, 제14집, 한국한문교육학회 [2000]
  •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재의 현황과 과제: 정독 교재를 중심으로」
    김순녀 『선청 어문』, 제31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3]
  •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문화교육 실태 및 대안 연구」
    문복희(Moon, Bok-hee) 주뢰 『아시아문화 연구』, 제28집,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 「중국에서의 한국문학 교육의 방안 연구」
    박은숙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Ⅵ, 연변과학기술대학 한국학연구소 엮음, 태학사. [2005]
  • 「중국에서 한국어 교재의 사용 실태와 그 개발 방안」
    안병호 『중국에서의 한 국어교육』, 연변과학기술대학 한국어학연구소, 태학사 [2000]
  • 「중국 학생을 위한 한국문학교육방안」
    李浩 『한중견재문화연구』, 한중경제 문화학회. [2013]
  • 「중국 장춘지역의 한국어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남명옥 제1l회 해외 학 자 초청 국제학술대회, 전남대하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4]
  • 「중국 대학교 한국어 학과의 과목 설정에 대하여」
    전병선 한국(조선)어 교육학 회 2010년 연계대회 논문집 [2010]
  • 박사
  • 「중국 내 한국어 교재 개발 현황 연구」
    여학봉 『고황논문집』, 제45집, 경희 대학교 [2009]
  • 「중국 내 대학생용 한국문학교재 개발 연구」
    이광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 육』, 제31집,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06]
  • 「중 한 현대소설 비교를 통한 고급 한국어교육」
    주옥파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Ⅳ, 연변과학기술대학 한국학연구소 엮음, 태학사 [2003]
  • 「제 2언어 교실에서의 질문 분류 방식과 기능에 대한 재고」
    백승주 『이중언어 학』, 제47호, 이중언어학회 [2011]
  • 「이생규장전의 서사방식」
    이대형 『연세어문학』, 제30 31집, 연세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99]
  • 「이생규장전의 교육적 가치와 활용방안 연구」
    김자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박사
  • 「용궁부연록의 연회와 서사 전개」
    전성운 『어문연구』, 제60집, 어문연구학회 [2009]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에서 문학의 효용」
    우한용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 제3권, 서울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지도자 과정 [2000]
  • 「외국인을 위한 고전시가 활용의 한국어 문학 문화의 통합적 교육:「동 동」을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 제29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 학연구소 [2008]
  • 「외국어로서의 한국 문학문화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송진한 일본 강산대학교 언어교육학과 특별공개강연 [2011]
  •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의 제 문제」
    『인문과학논집』, 제12집, 순천향 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3]
  •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황인교 『언어와 문화』, 제4권 제3호,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8]
  • 「언어와 문화의 접점 모색: 교육 자료 구축과 학습자의 문화 이해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제14차 전국학술대회 발표문 [2011]
  • 「언어 문학적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 교육의 교재 편성 방안」
    권순희 『국어교 육연구』, 제3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996]
  • 「문화 교육의 과제와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론』, 제2권, 한국문화사 [2006]
  • 「문학작품을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김영옥 『한국(조선)어 교육연구』, 제7 호, 중국 한국(조선)어 교육연구학회, 민족출판사 [2010]
  • 「문학작품을 활용한 통합적인 한국어 교육」
    김영옥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 육』Ⅵ, 연변과학기술대학 한국학연구소 엮음, 태학사 [2005]
  •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 문화와 한국어 교수: 이청준의 단편 소설 <눈길>을 중심으로」
    안미영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국어교육전 공, 석사학위논문 [2006]
  • 「문학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김영금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Ⅳ, 연변과학 기술대학 한국학연구소 엮음, 태학사 [2003]
  • 「만복사저포기의 형상화 방식과 그 현실적 의미」
    박일용 『고소설연구』,?제18 집, 한국고소설학회 [2004]
  • 「만복사저포기의 윤리적 성격과 의미」
    이순우 『한국고전연구』, 제1권, 한국고전 연구학회 [1995]
  • 「만복사저포기의 우리문화 발현양상과 주제 의식」
    김현호 서남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7]
  • 「단편소설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내용 연구: <모밀꽃 필 무렵>을 중심 으로」
    『한국(조선)어 교육연구』, 제2호, 중국 한국(조선)어 교육연구 학회, 민족출판사 [2004]
  • 박사
  • 「금오신화의 창작배경 연구」
    김종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
  •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의의」
    김미연 『한문고전연구』, 제1권, 성신한문학회 [1988]
  • 「금오신화에 투영된 김시습의 내면의식」
    이원수 『교육이론과 실천』, 제8권 1 호,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98]
  • 「금오신화에 나타난 작가의식 연구: 작품분석과 죽음을 중심으로」
    최영희 『한 국언어문학』, 제35집, 한국언어문학회 [1995]
  • 「교재 평가론을 통한 초기 한국어 교재 사례 연구」
    강남욱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5]
  • 「교사교육을 위한 국어과 교재 평가의 이론과 실제: 국어과 교재 평가 기 준 설정을 위한 체계적 문헌 고찰」
    김은성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연구공 모사업 보고대회 발표문 [2013]
  • 「고전작품을 통한 한국 문화 교육」
    홍혜준 『국어교육학연구』, 제21집, 서울 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4]
  • 「고전소설의 이해와 교육」
    최운식 『설화 고전소설 교육론』, 민속원 [2002]
  • 「고전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춘향전>을 중심으로」
    왕페이 청주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3]
  • 「고전소설을 통한 한국어교육: 문화교육을 중심으로」
    강혜민 전북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6]
  • 「고전소설교육의 흐름과 전망」
    한국고전소설학회, 제 106차 정기 학술 대회 발표문 [2014]
  • 「고전소설교육과 연구의 거리」
    서유경 한국고전소설학회, 제 106차 정기 학술 대회 발표문 [2014]
  • 「고전소설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홍길동전을 중심으로」
    이혜진 대구가 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박사
  • 박사
    「고전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장원기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0]
  • 박사
  • 「<취유부벽정기> 연구」
    류성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학문화'론의 몇 가지 문제」
    박윤우 『현대문학의 연 구』, 19권, 한국문학연구학회 [2002]
  • “중국 대학에서의 직업 목적 한국어 듣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손가선 배재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Tomlinson, B.(2001), Materials development, In R. Carter & D. Nunan. eds., 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omlinson, B. ed.(1998), Materials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homas McLaughlin, Critical terms for literary study
    Frank Lentricchia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정정호 외 역, 『문 학연구를 위한 비평용어』, 서울한신문화사 [1994]
  • Teaching Literature, Longman Publishing. Charles E. May(1977), Short story theories
    Carter R. A. Long M. N. Athens: Ohio University Press. 최상규 역(1983), 『단편소설의 이론』, 정음사 [1992]
  • Stern H. H. (1993), Issues and Options in Language Teaching, Oxford University Press.
  • Stephen Slater, Literature in the Language Classroom: A Resource Book of Ideas and Activities
    Joanne Colli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조일제 역(1997), 『영어교사를 위 한 영문학작품 지도법』, 한국문화사 [1987]
  • Sandra McKay(1982), Literature in the ESL Classroom, TESOL Quarterly, Vol.16(4), Teachers of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Inc. (TESOL).
  • Performance-based principles and proficiency criteria for KFL textbook development
    Sohn, Ho-min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ol.6,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95]
  • Nunan, D.(1988). Syllabus Desig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Nelson Brooks(1964), Language and Language Learning, New York: Harcourt Brace and World, Inc.
  • Michael Byram(1989), Cultural Studie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 Michael Byram & Michael Fleming(1998), Language Learning in Intercultural Perspective: Approaches Through Drama and Ethnography, Cambridge, U.K.;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uke Prodromou(1992), What culture? Which culture? Cross-cultural factors in language learning, ELT Journal, Vol. 46(1), Oxford University Press.
  • Linda M. Crawford Lange ? & Dale L. Lange(1987), Integrating Language and Culture: How to do it, Theory into Practice, Vol.26 No.4, Ohio State University's College of Education.
  • Gillian Lazer(1993), Literature and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 Geoff Hall(2005), Literature in Language Education, New York: Palgrave Macmillan.
  • Gail Ellis & Jean Brewster(1991), The Storytelling Handbook: A guide for Primary Teachers of English, London: Penguin Books.
  • Douglas,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White Plains, New York: Longman. 이홍수 외 역(2005), 『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
    Brown, H. 교보문고 [2000]
  • Doughty P. S.(1968), Linguistics and the Teaching of Literature, London: Longmans Publishing.
  • Dieter Buttjes & Michael Byram(1991), Mediating Languages and Cultures: Towards an Intercultural Theor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Clevedon, Avon, England; Philadelphia: Multilingual Matters.
  • Brumfit C. J. & Carter R. A. ed.(1999), Literature and Language Teaching, Oxford University Press.
  • Bruce Pattison(1965), The Literature Lesson,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Allen, Harold B. ed., New York: Inc.
  • Brown, H. Douglas(1986), Learning a second culture, in J. M. Valdes(ed.), Culture Bou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eyond Culture
    Hall, Edward. T 최효선 역 (2013), 『문화를 넘어서』, 파주: 한길사. [1976]
  • ?중국의 한국어교육 현황 및 전망: 산동성의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제73호
    오영란 한국국어교육학회 [2006]
  • ?조선 초 전기소설의 출현과 소설사적 의의: 금오신화를 중심으로?, 『동국 어문학』, 제12집
    이민정 동국어문학회 [2000]
  • ?인성 함양 및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중국 4 년제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경우?
    『2010년 한국 문학·문화 교육 국제학 술회의 논문집』, 북경대학교 조선문화연구소. [2010]
  • ?이생규장전의 교육적 대상과 의의」, 『교육논총』, 제5집
    정상진 부산외국어대 학교 교육대학원 [2003]
  • ?언어문화로서의 국문학?
    김현주 한국고전문학회 편, 『국문학과 문화』, 월인. [2002]
  • ?금오신화의 작가의식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송수익 석사학위논문 [2004]
  • ?금오신화의 소설사적 의의」, 『연구논문집』, 제25집
    한영환 서울성신인문과학 연구소 [1987]
  • ?금오신화의 문학교육론적 연구: 이생규장전을 중심으로」
    박현호 경희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취유부벽정기 >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등목취유취경원기 >· <감호야범기 >와의 대비를 중심으로-
    박일용 『고전소설연구』, 제14집, 한국고전소설학 회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