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초·중등학교 다문화언어강사 제도 개선방안 : 다문화언어강사 직무스트레스 및 관계자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 Measures to Improve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lti-cultural Language Instructor System : Focusing on the Job-related Stress of Multi-cultural Language Instructors and Recognition of Related Parties

윤석룡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초·중등학교 다문화언어강사 제도 개선방안 : 다문화언어강사 직무스트레스 및 관계자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 Measures to Improve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lti-cultural Language Instructor System : Focusing on the Job-related Stress of Multi-cultural Language Instructors and Recognition of Related Partie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이중언어교육
  • 직무스트레스
  • 초·중등학교 다문화언어강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127 0

0.0%

' 초·중등학교 다문화언어강사 제도 개선방안 : 다문화언어강사 직무스트레스 및 관계자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 Measures to Improve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lti-cultural Language Instructor System : Focusing on the Job-related Stress of Multi-cultural Language Instructors and Recognition of Related Parties' 의 참고문헌

  • 한국의 직업별 직무스트레스 수준 평가 - 일부 직종을 대상으로 -
    주영수 대한산업의학회지, 15(4), pp.422-437 [2003]
  • 한국어역량과 교사 다문화교육 인식이 자기효능감과 학생-교 사 애착 관계를 매개로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탁현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양영자 박 사학위 논문 [2007]
  • 한국 다문화 사회의 이중언어 교육 연구, 박사학위 논문
    황진영 전남 대학교대학원 [2012]
  • 학급담임교사의직무스트레스에관한연구,석사학위논문
    김희수 충 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89]
  • 학교다문화교육 정책의 한계와 개선 방향, 박사학위 논문
    박지현 충 남대 교육대학원 [2011]
  • 학교 다문화교육의 체계화 방안 연구, 박사학위 논문
    전재영 경북대학 교 대학원 [2011]
  • 초등학교 이중언어 강사의 교육사례 연구, 석사학위 논문
    김현주 서 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초등학교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박사학위 논문
    문미숙 부산대 교육 대학원 [2009]
  • 초등학교 다문화 연구학교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분석, 박사 학위논문
    백준호 창원대 대학원 [2011]
  • 초등학교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향 연구
    박재의 박사학위 논문, 경 북대 대학원. [2010]
  • 초등학교 다문화 교육 지원 실태 분석 : 대구시교육청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이경아 박사학위 논문, 영남대 행정대학원. [2009]
  •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
    안병환 교육사회학 연구,7(4), pp.77-93 [1997]
  • 초등학교 교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타당화, 석사학위 논 문
    김소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 모형에 관한 연구
    柳基鉉 경희대학교대학원 산업연구논문집, 제12권, pp.63-89 [1987]
  •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재창 한국심리 학회지, 10(1), pp.21-38 [1997]
  •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한 서울지역 초등학교 다문화교육프 로그램에 대한 요구 조사: 교육주체를 대상으로, 박사학위 논문
    이순연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2010]
  • 유아다문화언어강사의 직무만족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 연구, 석사학위 논문
    김현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활용정책의 딜레마 연구
    박수호 박사학위 논 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 미국의 이중언어교육이론 및 현황조사 연구
    박영순 이중언어학 제 13호, 이중언어학회. pp.16-47 [1996]
  •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중언어학 6호
    손호민 이중 언어학회. pp.9-23 [1990]
  • 다문화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교사교육 방향 탐색 연구, 박사 학위 논문
    한경진 대진대 대학원 [2011]
  • 다문화가족 자녀의 결혼이민 부모 출신국 언어 습득을 위한 교육 지원 사례 연구
    이재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 다문화가족 자녀교육의 실태와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 위 논문
    유재신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 다문화가정 학생 지원을 위한 「다문화언어강사」프로그램 평 가 연구, 박사학위 논문
    류명숙 홍익대 대학원 [2011]
  • 다문화가정 지원정책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 문
    한원수 선문대학교 대학원 [2010]
  •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정책 분석, 박사학위 논문
    황범주 안양 대학교 대학원 [2012]
  •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교육 관련 직 무스트레스 연구, 학술논문
    박소현 오소정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제19권1호. p.132~141 [2014]
  •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지원 방안 연구(1)
    오은순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2007]
  • 다문화 가정을 위한 언어 교육 정책 모색 - 호주의 언어 교육 정책 검토를 중심으로-
    권순희 국어교육학연구, 27집, 국어교육학회. pp. 23-55 [2006]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姜貞三 교육학연구, 31(3),pp. 151-173 [1993]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분석, 석사학위논문
    김대희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1]
  •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분석적 연구(Ⅲ)
    김정휘 백영승 이재일 교 육연구.pp3-96 [2002]
  • 교사의 교실수업활동과 수업 방안에 관한 연구:호주의 사례, 시민교육연구 제36(2)호
    조영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pp.121-135 [2004]
  • 고학력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문화 인식과 갈등 연구, 석사학 위 논문
    박인영 서울교육대학교 [2010]
  • 「훈몽자회(訓蒙字會)를 중심으로 한 최세진의 이중언어 교육 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김기영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8]
  •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
    최충옥 경기도다문화센터. 양서원, pp. 43-56 [2009]
  • eshensel, C. et al(1997). Role stress, work family, conflict, emotional exhaustion : Inter relationships and effects on some wrok related consequences. Pesonal Selling & Sales Management, 17(1), pp.17-28.
  • NIOSH 직업스트레스 조사표의 신뢰도 및 타당도
    이경용 보건사회 과학, 8, pp.57-111 [2000]
  • Mary, S.(2005). “the Politics of Homogeneity:A Critical Exploration of the Anti-bilingual Education Movement”,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Bilingualism. pp.14-19
  • Jensen, A. (1969). “How much can we boost IQ and scholastic achievement?”, Harvard Educational Review, 39(1), pp.1-123.
  • Dicker, S. J.(1998). “Adaptation and Assimilation:US Business esponses to Linguistic Diversity in the Workplace”, Journal of multilingualism and multicultural development vol.19, No.4. pp.25-56
  • Bereiter C. & Englemann S.(1966). Teaching disadvantaged children in the preschool, Englewood Cliffs, NJ:Prentice-Hall
  • 17세기 조선의 다문화정책과 다문화 가정교육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경혜영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