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고종정해진찬의궤』에 나타난 궁중연향음식문화 연구

송은주 2015년
논문상세정보
' 『고종정해진찬의궤』에 나타난 궁중연향음식문화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고종정해진찬의궤
  • 궁중연향
  • 음식문화
  • 전통음식문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1 0

0.0%

' 『고종정해진찬의궤』에 나타난 궁중연향음식문화 연구' 의 참고문헌

  • 현대 한국전통상차림의 사례 연구,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李範稷(2004),朝鮮時代禮學硏究
    이유주 國學資料院,p.49 [2003]
  • 한식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록물 활용 방안 연구 :조선왕조궁중음식을 중심으로,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지혜 석사학위논문 [2014]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의 궁중연향문화;2』
    민속원 [2005]
  • 한국의 전통음식
    황혜성 교문사 [1990]
  • 한국의 떡문화
    윤서석 동아시아식생활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1-7 [2008]
  • 한국사상 (韓國思想)(사학 (史學)):태종시기 (高宗時期)[태상지 (太常志)]편찬 (編纂)의 의미
    이범직 한국사상과 문화,61,p.205-240 [2012]
  • 한국문화재보호재,『한국의 전통 공예기술』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한국문화재보호재 ,『한국음식대관』5
    한림출판사 [2002]
  • 한국 식문화에 있어서의 국 (湯)
    김귀영 동아시아식생활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3-23 [2003]
  • 태종실록
  • 박사
    조선후기궁중연향도와 의궤 분석
    정혜승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조선후기 진찬의궤와 진찬의궤도
    박은순 민족음악학 17집,p.175-176 [1995]
  • 조선초기 國家祭儀禮의 정비와 洪武禮制
    김해영 청계사학,p.9 [1992]
  • 조선초기 儀軌분류의 배경과 의의
    신명호 조선시대사학회 p.5-35 [2011]
  • 조선왕조 혼례연향 음식문화
    김상보 신광출판사 [2003]
  • 조선왕실의 의례와 생활
    신명호 돌배게 [2001]
  •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김상보 가람기획 [2006]
  • 조선시대 의궤 편찬과 현존의궤 조사연구,규장각 소장 의궤 종합목록
    한영우 서울대학교규장각,p.15-17 [2002]
  • 조선시대 의궤 편찬과 현존 의궤 조사연구,한국사론 제48권
    한영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p.39 [2002]
  • 조선시대 궁중음식과 음식기록
    주영하 기록인(IN),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2012]
  • 박사
  •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변천
    김종수 동방학 6(12)p.54 [2000]
  • 조선시대 궁중연향에 장식된 채화에 대한 연구
    김혜자 한국꽃예술학회지.p.1-35 [2009]
  •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박정혜 일지사 [2000]
  • 전유화 (전유어,前油魚)의 과학과 문화.한국식품조리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최영진 2012(단일호),99-116 [2012]
  • 우육조리법의 역사적 고찰-우육을 사용한 포류의 조리법을 중심으로
    김태홍 류경림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7(3),237-244 [1992]
  • 옛음식연구회 ,『다시 보고 배우는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궁중음식연구원 [2001]
  • 연회와 음식,그리고 식공간-조선시대 기록화 중의 잔치를 중심으로-
    조성하 식공간학회지,1(1),p.73-85 [2006]
  • 여말선초 국왕 잔치의 문제와 宴享의 성립
    한정수 조선시대사학보,62.p.5-34 [2012]
  • 신선로 (열구자탕)조리법의 역사적 고찰과 전통적 표준조리법의 제시 (The Historical Study and Standard Traditional Cooking Methods of Sinsulro)
    한복진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5(3),317-337 [1995]
  • 순조실록
  • 세종실록
  • 성종실록
  • 선조실록
  • 보문/우육조리법의 역사적 고찰-4.숙육과 편육
    김태홍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9(5),499-507 [1995]
  • 보문/다식의 유래와 조리과학적 특성에 대한 문헌적 고찰
    이귀주 정현미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14(4),395-403 [1999]
  • 문화재청,『주요무형문화재』
    대원사 [2004]
  • 문화재연구회,『중요무형문화재 3:의식음식무예』
    대원사 [1999]
  • 문종실록
  • 논문:조선시대《의궤》편찬과 현존 의궤 조사 연구.한국사론
    한영우 48(단일호),15-54 [2002]
  • 궁중음식과 서울음식
    한복려 대원사 [1995]
  • 국역 고종 정해 진찬 의궤
    인남순 보고사 [2008]
  • 과정류의 조리과학적 연구동향
    이효지 한국생활과학연구18.p.115-143 [2000]
  • 고종실록
  • 朝鮮宮中宴享圖의 特徵과 性格동악미술사학회,Vol.13,p.201-240.
    安泰旭 [2012]
  • 『한국의 떡 한과 음청류』
    윤숙자 지구문화사 [1999]
  • 『한국음식대관』3
  • 『한국음식대관』
    조창숙 6.한림출판사 [2000]
  • 『조선요리제법』
    방신영 한성도서주식회사 [1939]
  • 『조선왕조의궤』
    한영우 일지사 [2005]
  • 『조선왕조 궁중음식의 실제』
    김상보 수학사 [1995]
  • 『정해진찬의궤』
  • 『의궤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김문식 신병주 돌베게 [2008]
  • 『음식방문』
  • 『순조기축진찬의궤』
    송방송 조경아 송상혁 이재옥 [2007]
  • 『순조기축진찬의궤』
    김아현 에 나타난 궁중연향음식문화 연구,경기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4]
  • 『규곤요람』
  • 『갑자진연의궤』
  • 『經國大典宴享條』
  • 『3대가 쓴 한국의 전통음식』
  • 『(다시보고 배우는)음식디미방(정부인 안동장씨원저.1670년경)』
    한복려 한복선 한복진 (사)궁중음식연구원 [2010]
  • 「朝鮮末期 宴享 家具 硏究」
    방애영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18세기『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에 나타난 궁중연회상차림 분석
    이옥남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18세기 고문헌 [잡지]에 기록된 조리에 관한 문헌적 고찰
    김귀영 한복려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27(3),304-315 [2012]
  • 18세기 倭館에서의 倭使접대음식
    김민정 역사와 경계,Vol.66.p.93-116 [2008]
  • 1740년(영조 16) 이후 영조의 정치 운영
    이경구 역사와 현실.53.p.23-44 [2004]
  • (다시 보고 배우는)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이용기 궁중 음식 연구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