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시적 주체의 존재방식 연구 = Study on existing method of the poetic subject shown in Kim Su-yeong’s poems

박군석 2015년
논문상세정보
'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시적 주체의 존재방식 연구 = Study on existing method of the poetic subject shown in Kim Su-yeong’s poem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김수영
  • 사랑
  • 시적 주체
  • 자기 갱생
  • 폴 리쾨르
  • 하이데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15 0

0.0%

'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시적 주체의 존재방식 연구 = Study on existing method of the poetic subject shown in Kim Su-yeong’s poems' 의 참고문헌

  • 「김수영과 신동엽 시의 모더니티 연구」
    남기택 충남대학교 박사논문 [2002]
  • 현상학
    한전숙 민음사 [1996]
  • 현대시의 치유시학적 연구 - 김춘수·김수영·천상병의 시를 중심으로 -
    김성리 ?한국문학논총? 제59집 [2011]
  • 현대시에 나타난 죽음의식
    김정배 원광대대학원 문예창작학과, 박사논문 [2010]
  • 현대시 해석 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시학연구? 제14호
    최미숙 한국시학회 [2005]
  •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 ?진리와 방법?-해석학의 실천적 적용을 수행한 명저?, ?철학과현 실? 제65호
    박순영 철학문화연구소 [2005]
  • 한국시의 극적 재현과 탈식민주의
    고현철 현대문학의 연구 50권,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 한국근현대시론사
    문혜원 역락 [2007]
  • 한국 현대시론사
    이승훈 고려원 [1993]
  • 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
    문덕수 시문학사 [1981]
  • 하이데거의 실존과 언어
    이기상 문예출판사 [1991]
  • 하이데거?존재와 시간? , (?철학사상? 별책 제2권 12호)
    이선일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3]
  •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강의
    소광희 문예출판사 [2003]
  • 풍자와 해탈 혹은 사랑과 죽음
    김상환 민음사 [2000]
  • 푸코, 장은수 역, ?계몽이란 무엇인가?, ?모더니티란 무엇인가?
    미셸 민음사 [1994]
  • 폴 리쾨르의 철학
    윤성우 철학과 현실사 [2004]
  • 탈식민주의와 생태주의 시학
    고현철 새미 [2005]
  • 콜로, 정선아 역, ?현대시와 지평 구조?
    미셸 문학과지성사 [2003]
  • 주체란 무엇인가
    이정우 그린비 [2009]
  • 정명환 역, ?문학이란 무엇인가?
    J. P 민음사 [2008]
  • 전양범 역, ?존재와 시간?
    Martin Heidegger 시간과 공간 [1999]
  • 장영태 역, ?도전으로서의 문학사?
    H. R. Jaus 문학과지성사 [1983]
  • 이인화 역,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Isabella Bird Bishop 살림 [1994]
  • 이유선 역, ?독서행위?
    Wolfgang Iser 신원문화사 [1993]
  • 이기상 역, ?존재와 시간?
    Martin Heidegger 까치글방 [1998]
  • 온 몸의 시학, 김수영
    김윤배 국학자료원 [2003]
  • 오병남 외 역, ?예술작품의 근원?
    Martin Heidegger 경문사 [1979]
  • 역, ?에크리?
    김석 라깡 자크 살림 [2007]
  • 역, ?사르트르의 철학?
    단토 신오현 아더 민음사 [1985]
  • 양명수 역, ?해석의 갈등?
    Paul Ricoeur 아카넷 [2001]
  • 양명수 역, ?약의 상징?
    Paul Ricoeur 문학과지성사 [1994]
  • 양가성 애매모호성, 그리고 근대성
    김광기 한국사회학? 37호, 한국사회학회 [2003]
  • 야콥슨의 시학(詩學)과 ‘메시지 그 자체’의 뜻?
    원형갑 ?한성대학 논문집?, 한성대학교 [1983]
  • 앤터니 이스톱 지음, 박인기 옮김, ?시와 담론?
    지식산업사 [1994]
  • 신상희 역, 『숲길』
    Martin Heidegger 나남 [2008]
  • 신상희 역, 『동일성과 차이』
    Martin Heidegger 민음사 [2000]
  • 시짓기와 사유하기 사이
    김동규 연세대 철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3]
  • 시에 대한 발언 그리고 침묵의 시?, ?다시 읽는 김수영 시?
    현순영 작가 [2005]
  • 시민문학론
    백낙청 ?창작과 비평? 제14호 [1969]
  • 시 위대한 거절
    강웅식 청동거울 [1998]
  • 수용미학
    차봉희 문학과지성사 [1985]
  • 손우성 역, ?존재와 무?
    J. P 삼성출판사 [1990]
  • 서정의 귀환
    김경복 좋은날 [2000]
  • 새로운 창작과 비평의 자세
    백낙청 ?창작과 비평? 제1호 [1966]
  • 상반된 수용의 문제 -김수영 시의 수용양상?, ?김수영 다시읽기?
    이은정 프레스21 [2000]
  • 사상계와 년대 문학
    김건우 소명출판사, 2003 [1950]
  • 사르트르, 방곤 역, ?구토?
    J. P 하서 [1994]
  • 볼프강 벨슈, 주은우 역, ?근대, 모던, 포스트모던?, ?모더니티란 무엇인가?, 민음사, 브루스 핑크, 이성민 역, ?라캉의 주체-언어와 향유 사이에서?
    도서출판b, 2010 [1994]
  • 방곤 역, ?지식인의 변명?
    J. P 보성출판사 [1985]
  • 민승기 역, ?욕망이론?
    김석 라깡 자크 문예출판사 [1994]
  • 미적 근대성과 한국문학사
    이광호 민음사 [2001]
  • 미적 근대성과 순간의 시학
    남진우 소명출판 [2001]
  • 문학의 귀환
    최원식 창작과비평사 [2001]
  • 문학 연구의 방법
    이상섭 탐구당 [2005]
  • 리쾨르의 주체와 이야기
    김선하 한국학술정보(주) [2007]
  • 루시 부라사 지음, 조재룡 역, ?앙리 메쇼닉 리듬의 시학을 위하여?
    인간사랑 [2007]
  • 로만 인가르덴 지음, 이동승 역, ?문학예술작품?
    민음사 [1985]
  • 로만 야콥슨, 신문수 역, ?문학속의 언어학?
    문학과지성사 [1989]
  • 라이너 마리아 릴케, 김재혁 역, ?소유하지 않는 사랑?
    고려대학교출판부 [2003]
  • 라깡의 기호학적정신분석에 관한 일고찰?,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10권
    이유섭 한국라깡과현 대정신분석학회 [2008]
  • 동양의 탈근대적 주체 모색과 양가성
    고현철 한국문학논총 제24집, 한국문학회 [1999]
  • 니체, 프로이트, 맑스 이후
    김상환 창작과비평사 [2002]
  • 김춘수의 초기 詩에 내재된 ‘실존주의’에 관한 연구?, ?철학논총 ? 61집
    배상식 새한철학회 [2010]
  • 김웅권 역, ?타자로서의 자기 자신?
    Paul Ricoeur 동문선 [2006]
  • 김수영의?풀?과 ?논어??, ?서정시학? 10호
    성민엽 서정시학 [2000]
  • 김수영의?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다시 읽기?, ?문학교육학? 17권
    이명찬 한국문학교육학 회 [2005]
  • 김수영의 시적 주체?, ?선청어문
    김동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과 [1982]
  • 김수영의 시의식 변모 과정 연구 -‘시적 연극성’과 ‘자코메티적 전환’을 중심으로?, ?한 국시학연구? 제28호
    조강석 한국시학회 [2010]
  • 김수영의 시와 현대성의 탈식민적 경험
    곽명숙 한국현대문학연구? 9집, 한국현대문학회 [2001]
  • 김수영의 시와 탈식민주의적 반(反)언술
    김승희 한국문학이론과비평? 5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1999]
  • 김수영의 시와 언어
    여태천 월인 [2005]
  •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여성의식
    맹문재 다시 읽는 김수영 시?, 작가 [2005]
  •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꽃”의 의미 연구?, ?한국언어문화 15?
    백인덕 한국언어문화학회 [1997]
  •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
    박군석 한국문학논총? 64집, 한국문학회 [2013]
  • 김수영의 시간의식 연구?, ?한국시학연구? 제5호
    오문석 한국시학회 [2001]
  • 김수영의 시 ?사랑의 變奏曲? 연구
    강연호 현대문학이론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1999]
  • 김수영의 “新歸去來3 등나무” 분석
    동시영 한양어문?, 한국언어문화학회 [1997]
  • 김수영의 ?어느날 古宮을 나오면서?에 나타난 탈식민성연구
    노용무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31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6]
  • 김수영문학의 근대성과 전통-시간의식을 중심으로-
    고봉준 한국문학논총 제30집, 한국문 학회 [2002]
  • 김수영론?, ?김수영의 문학?,
    염무웅 민음사 [1983]
  • 김수영과 하이데거
    김유중 민음사 [2007]
  • 김수영과 포스트식민적 시읽기
    노용무 한국시학연구? 3호, 한국시학회 [2000]
  • 김수영과 신동엽
    이승규 소명 [2008]
  • 김수영과 부자유친 사상의 시적 변용?, ?다시 읽는 김수영?
    최동호 작가 [2005]
  • 김수영과 부산 거제리 포로수용소
    박태일 근대서지? 제2호, 근대서지학회 [2010]
  • 김수영과 김지하 시의 탈식민주의 전략 비교 연구
    고현철 한국시학연구 제25호, 한국시학 회 [2009]
  • 김수영과 4 19: 사랑을 만드는 기술?, ?당대비평 통권 제10호?
    유중하 생각의나무 [2000]
  • 김수영·신동엽 시의 신화적 상상력 연구?
    차창용 중앙대학교 박사논문 [2007]
  • 김수영 풀의 해석학적 고찰
    김숙이 어문학 제96집?, 한국어문학회 [2007]
  • 김수영 풀에 나타난 통사구조 분석?, ?우리문학연구 23권?
    엄홍준 우리문학회 [2008]
  • 김수영 평전
    최하림 실천문학사 [2001]
  • 김수영 평전
    최하림 문학세계사 [1981]
  • 김수영 초기시의 난해성과 ‘불가능성의 가능성’으로서의 시적 전략 ― ?토끼?, ?孔子의 生活難 ?에 대한 주석?, ?한국시학연구? 제34호
    함돈균 한국시학회 [2012]
  • 김수영 초기 시의 설움에 나타나는 주체와 타자의 관계 연구?, 한국비평문학회
    전병준 ?비평문 학? 제39호 [2011]
  • 김수영 지우기-탈식민주의 논의와 관련하여?, ?상허학보? 14집
    허윤회 상허학회 [2005]
  • 김수영 시의 차이와 동일성 연구
    김미정 한국근대문학연구6?, 한국근대문학회 [2005]
  • 김수영 시의 자아 성찰 연구
    김영희 국민대 박사논문 [2009]
  • 김수영 시의 아이러니 연구
    황혜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7]
  • 김수영 시의 수사학
    장석원 청동거울 [2005]
  • 박사
    김수영 시의 수사적 특성 연구
    장석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4]
  • 김수영 시의 대립 구조와 변증법적 윤리?, ?한국언어문화? 49권
    최금진 한국언어문화학회 [2012]
  • 김수영 시의 ‘시간성’ 연구 -‘탈식민적 위치성’을 중심으로
    김미정 비평문학? 제33호, 한국비 평문학회 [2009]
  • 김수영 시론과 ‘죽음’ -블랑쇼의 영향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제159호
    이미순 국어국문 학회 [2011]
  • 김수영 시 창작의 공백 기간을 좁혀 주는 시?, ?서정시학? 제15권 2호
    방민호 (미발표 시 ?音樂? 수록) [2005]
  • 김수영 시 연구 -모더니티와 리얼리티의 會通을 중심으로
    김윤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3]
  • 김수영 시 연구 -담론의 특성 연구-
    김혜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3]
  • 김수영 시 ?병풍?에 관한 의문(1)
    김유중 시안 11(2)?, 시안사 [2008]
  • 김수영 미발표 유고-일기
    창비 편집부 위의 책. (산문 30편 수록)
  • 김수영 미발표 유고-시
    편집부(편집자) 창작과비평, 2008. 6. (시 15편 수록) [2008]
  • 김수영 문학에서 ‘이중언어’의 문제와 ‘자코메티적 발견’의 중요성
    강계숙 한국근대문학연구 27권, 한국근대문학회 [2013]
  • 김수영 문학과 분단극복의 현재성?, ?살아있는 김수영
    김재용 창비 [2005]
  • 김수영 다시읽기
    김승희 프레스21 [2000]
  • 김수영
    김혜순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 박사
    김소월 시교육 방법론 연구
    이시연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01]
  • 김기림 시에 나타난 근대성 -?기상도?를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제24집?
    전정구 한국문학 회 [1999]
  • 김경식 역, ?미적 현대와 그 이후?
    H. R. Jaus 문학동네 [1999]
  • 『하이데거와 마음의 철학』
    김형효 청계 [2000]
  • 『시의 희생자 김수영』
    문광훈 생각의 나무 [2002]
  • 『사상계』와 세계문화자유회의 1950-1960년대 냉전 이데올로기의 세계적 연쇄와 한국
    권보드래 아세아연구? 54권,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1]
  • 『김수영 시 연구』
    盧勇武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9]
  • 『구체성의 비평』
    고현철 전망 [1997]
  • ?후설?
    이영호 고려대학교출판부 [1990]
  • ?현대시학의 두 구도―김춘수와 김수영?
    이은정 소명출판 [1999]
  • ?현대시의 불확정성과 의미구성과정 연구 -이저의 레퍼토리 이론을 중심으로?
    하승연 서강대 석사논문 [2008]
  • ?현대성의 구현 방식과 양가감정의 수사학?, ?한국언어문화? 31권
    임동확 한국언어문화학회 [2006]
  • ?현대문학을 보는 시각?
    백낙청 [1991]
  • ?현대 시인 연구?
    류찬열 제이엔씨 [2007]
  • ?해석의 갈등―김수영의 풀 다시 읽기?
    강웅식 청동거울 [2004]
  • ?해방공간의 비평문학1?
    김외곤 태학사 [1991]
  • ?해방공간의 비평문학1, 2, 3권?
    김외곤 송기한 태학사 [1991]
  • ?한국현대장르비평론?
    김준오 문학과지성사 [1991]
  • ?한국현대사의 재인식1-5?
    한흥수 오름 [1998]
  • ?한국근대문학과 미적 근대성의 관련 양상?, ?국제어문 29?
    구모룡 국제어문학회 [2003]
  • ?한국근대 산문시의 형성과정 연구 -1910년대를 중심으로?
    장만호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2006 [2006]
  • ?한국 현대시 시작방법 연구?
    권혁웅 깊은샘 [2001]
  •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와 발전?, ?정신문화연구?, 28권
    장현규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 ?하이데거의 무(無)의 사건론?, ?존재론연구? 제24집
    조형국 한국하이데거학회 [2010]
  •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에 있어서 현존재의 의미?, ?철학논집 ? 18권
    하피터 서강대학교 철 학연구소 [2009]
  • ?하이데거와 리쾨르의 해석학?, ?존재론 연구? 9권
    정기철 한국하이데거학회 [2004]
  • ?하이데거에서 리꾀르까지?
    김영한 박영사 [1988]
  • ?푸코의 포스트구조주의 -?지식의 고고학?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33권
    양해림 충남대 인 문학연구소 [2006]
  • ?초기 하이데거의 역사철학 -딜타이 철학의 한계 극복을 중심으로-?, ?존재론연구8?
    김재철 한국하이데거학회 [2003]
  • ?철학의 모비딕?
    김동규 문학동네 [2013]
  • ?전후 모더니스트들의 언어적 정체성?, ?국제어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장인수 국제어문학회 [2011]
  • ?재현과 탈식민주의?
    고현철 국학자료원 [2014]
  • ?자유의 정신을 구가한 근대의 외부자?, ?실천문학? 90호
    이경수 실천문학사 [2008]
  • ?자유의 이행을 위한 시적 역정?, ?살아있는 김수영?
    임홍배 창비, - 228 - [2005]
  • ?자유라는 시적 원형 -김수영과 거제 포로수용소 체험?, ?감성과 윤리?
    구모룡 산지니 [2009]
  • ?인간의 자기 이해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철학과 현실? 66권
    양명수 철학문화연구소 [2005]
  • ?이행의 시간성과 주체성 :개화 주체에 대한 설명?, ?동방학지 158권?
    김미정 연세대학교 국학 연구원 [2012]
  • ?유교와 계몽?, ?사회와이론? 24권
    김미정 한국이론사회학회 [2014]
  • ?우리 근대문학 연구의 한 방향성?, ?모더니티란 무엇인가?
    김윤식 민음사 [1994]
  • ?여백의 존재성?
    고석규 지평 [1990]
  • ?언어적 다의성, 문학적 사유방식, 그리고 김수영의 ?꽃잎(二)??, ?문예미학?
    정남영 문예미학 회 [2002]
  • ?앓는 세대의 문학?
    구모룡 시로 [1986]
  • ?실존적 이성의 한계의식 혹은 극복의지?, ?김수영?
    김경숙 세미 [2002]
  • ?시적 자유의 두 가지 양상, 김수영과 김춘수?, ?한국현대문학연구? 제17호
    김승구 한국현대문 학회 [2005]
  • ?시민 도시 -시민주체의 도시창조?
    최호준 파라북스 [2007]
  • ?시론?
    조성일 삼지원 [1996]
  • ?시 연구를 위한 시적 주체(들)의 개념 고찰?, ?국제어문 39?
    윤지영 국제어문학회 [2007]
  •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본 김환태 비평 연구?, ?인문학논총 30?
    임세진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2012]
  • ?생활의 발견 혹은 ‘오늘’의 뮤즈의 발견?, ?다시 읽는 김수영 시?
    한세정 작가 [2005]
  • ?생활의 뒤란, 시?, ?다시 읽는 김수영 시?
    정경은 작가 [2005]
  • ?새것과 옛것의 변증법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에게 듣는다 ?, ?사상? 제48호
    최정호 사회과학 원 [2001]
  • 박사
  • ?모더니즘의 망령을 찾아서- 마샬 버먼, ?단단한 것은 모두 녹아 날아간다?에 대하여?, ?모더니티란 무엇인가?
    황종연 민음사 [1994]
  • ?모더니즘 시의 한국적 성취와 전망?, ?문창어문논집? 36권
    김경복 문창어문학회 [1999]
  • ?멜랑콜리의 문학비평적 가능성?, ?비평문학 38?
    오형엽 한국비평문학회 [2010]
  • ?멜랑콜리와 모더니티?, ?한국사회학? 40권(3호)
    김홍중 한국사회학회 [2006]
  • ?멜랑꼴리의 모호한 대상?,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13권
    맹정현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2011]
  • ?말하는 주체, 시적 주체, 주체화?, ?시작? 12권
    조재룡 천년의시작 [2013]
  • ?리쾨르의 ?해석에 대하여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에서 시도된 정신분석학에 대한 해석학 적 고찰의 의의?, ?해석학연구? 30권
    김서영 한국해석학회 [2012]
  • ?다시 써보는 ?예술작품의 근원??, ?하이데거연구? 제7집
    이선일 한국하이데거학회 [2002]
  • ?김수영이 발견한 ‘새로운 현실’ -1950년대의 시적 추구를 중심으로?, ?배달말? 제53집
    박군석 배달말학회. 2013. 12 [2013]
  • ?김수영의 초기시에 나타난 ‘우울’의 양상?, ?한국시학연구? 38호
    박군석 한국시학회 [2013]
  • ?김수영의 시론과 이미지?
    이미순 ?국어교육연구? 제50집 [2012]
  • ?김수영의 시론과 실존주의 철학?, ?국제어문? 21권
    오문석 국제어문학회 [2001]
  • ?김수영의 고백체 시 연구?, ?한국현대문학연구 29?
    이미순 한국현대문학회 [2009]
  • ?김수영의 ?孔子의 生活難?: 현실대결의 떨림과 개체긍정?
    유재천 ?연세어문학? 17집 [1984]
  • ?김수영의 1950년대의 시적 추구에 드러난 ‘자유’의 지향과 그 한계?, ?동남어문논집? 제36집
    박군석 동남어문학회, 2013. 11 [2013]
  • ?김수영시의 해석의 역사?
    박수연 ?작가세계? 여름호 [2004]
  • ?김수영론 -시와 혁명?, ?배달말? 21권
    유재천 배달말학회 [1996]
  • ?김수영 전집2 산문? 개정판
    김수영 민음사 [2003]
  • ?김수영 전집1 시? 개정판
    김수영 민음사 [2003]
  • ?김수영 시의 인칭대명사 연구?, ?한국시학연구? 15호
    장석원 한국시학회 [2006]
  • ?김수영 시의 변증법적 양상- 4?19와 5?16의 시기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제40 호
    장만호 민족문화연구원 [2004]
  • ?김수영 시에서 근대성의 세 요소 -시의 출발기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42집
    박수연 한국언어문학회 [1999]
  • ?근대와 탈근대?, ?모더니티란 무엇인가?
    이성환 민음사 [1994]
  • ?과학과 비평과 시?
    김기림 ≪조선일보≫ [1937]
  • ?감성과 윤리?
    구모룡 산지니 [2009]
  • ?가면의 해석학?
    김준오 이우출판사 [1987]
  • ?가다머에게서 하이데거의 해석학의 유산과 “철학적 해석학”?, ?하이데거연구? 제15집
    윤병렬 한국하이데거학회 [2007]
  • ?가다머(H.-G. Gadamer)의 해석학적 이해 주체?, ?범한철학? 53권
    이경배 범한철학회 [2009]
  • ?金洙暎 詩 연구?
    유재천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1986]
  • ?‘위대의 소재’와 사랑의 발견?, ?살아있는 김수영?,
    강연호 창비 [2005]
  • ?‘시민’으로서 말할 자유 ‘시인’으로서 말하지 않을 자유?, ?비평문학45?
    조연정 한국비평문학회 [2012]
  • ?‘분실된 年代’의 자기표상?, ?상허학보? 27권
    박연희 상허학회 [2009]
  • ?‘꽃잎’의_자기운동과_갱생(更生)의 시학?, ?상허학보? 32집
    오연경 상허학회 [2011]
  • ?‘格物致知’의 시학 -?헬리콥터??, ?다시 읽는 김수영 시?
    박순원 작가 [2005]
  •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 연구?
    박정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0]
  • ??無情?의 受容美學的 硏究?
    권희돈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6]
  • ?4월혁명과 60년대 문학비평의 욕동의 연구?
    박대현 부산대 박사논문 [2011]
  • 1960년대한국의근대화와지식인
    노영기 선인, 2004 [2004]
  • 1960년대 한국언론의 특성과 그 변화?, ?1960년대 사회변화연구
    강상현 백산서당 [1999]
  • 1960년대 한국시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의 형상과 시적 이념
    강계숙 연세대 박사논문 [2009]
  • 1960년대 한국 근대화와 통치양식의 전환: 군사정권의 등장과 권력/지식 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1960년대 한국의 근대화와 지식인?
    정용욱 정일준 선인, 2004 [2004]
  • 1960년대 지성계의 동향-산업화와 근대화론의 대두와 지식인 사회의 변동-?, ?1960 년대 사회변화연구?
    홍석률 백산서당, 1999 [1999]
  • 1960년대 사회와 문학비평의 모더니티?
    강소연 역락, 2006 [2006]
  • 1960년대 사회변화연구?
    박길성 백산서당, 1999 [1999]
  • 1950년대 실존주의 지성론과 시적 사고의 보수성?,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정영진 ?서강 인문논총? 31호, 2011 [2011]
  • 1950년대 모더니즘 시 연구
    이소영 명지대학교 박사논문, 2003 [2003]
  • 1950-60년대 냉전문화의 번역과 김수영?, ?Comparative Korean Studies? 20권 3호
    박연희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