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高麗時代 水月觀音菩薩圖 圖像 硏究 = A Study on the Iconography of Koryo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s

조수연 2015년
논문상세정보
' 高麗時代 水月觀音菩薩圖 圖像 硏究 = A Study on the Iconography of Koryo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고려시대
  • 관음신앙
  • 수월관음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0 0

0.0%

' 高麗時代 水月觀音菩薩圖 圖像 硏究 = A Study on the Iconography of Koryo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s' 의 참고문헌

  • 林進, 「高麗時代水月觀音圖について」, 『美術史』102, 美術史學會, 1977. 3.
  • 李亮載
    「자비의 화신을 그린 ‘수월관음도’」『韓國古美術』19호 [1999]
  • 李蘭暎, 「韓國古代의 金屬甁?
    美術資料23? [1978]
  • 李載浩, 一然, ?三國遺事?, 明知大學出版部, 1984.
  • 李瓊嬉, 「高麗後期 水月觀音菩薩圖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 李東洲,『日本속의 佛畵』
    瑞文堂 [1974]
  • 李東洲 崔淳兩 黃壽永 安輝濬, 「高麗時代의 佛敎繪?」, 學術座談
    『韓國學報』14輯 [1979]
  • 李智冠, 「經說上의 觀音信仰」,『한국관음신앙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 원 [1998]
  • 李奉浩, 「日像 月像」,『大學院 論考』第3號, 弘益大學校 大學院 學生會.
  • 李元燮 註解, 『法華經-그 奧妙한 世界』
    三中堂 [1983]
  • 金秀炫, 「朝鮮時代 觀音圖像과 信仰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金眞成, 「高麗佛畵에 나타난 女人 服飾 考察」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1993]
  • 金煐泰, 「三國(麗 濟 羅)의 觀音信仰」,『한국관음신앙연구』
    동국대학 교 불교문화연구원 [1998]
  • 金渟美, 「高麗 阿彌陀 佛畵의 觀音菩薩圖 考察」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불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6]
  • 金正佶, 『佛敎學大辭典』, 弘法院
  • 金哲?, 『韓國民畵論考』
    예경 [1991]
  • 金仁昌,「관음보살의 도상, 淨甁 연구」, 『강좌미술사』28
    한국불교미술사학 회 [2007]
  • 金?弘, 「白衣觀音?の諸相-14世紀を中心に」, ?觀音-尊像の變相-?
    國際交 流美術史硏究會 제 5회 심포지엄 [1986]
  • 한국의 전통문양
    임영주 대원사 [2004]
  •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문화상징사전』
    두산동아 [1992]
  • 지음, 전인초 ? 김선자, 『중국신화전설』1
    위앤커 민음사 [1992]
  • 우리 민화 읽기』
    허균 허균의 북폴리오 [2006]
  • 수월관음의 탄생
    강우방 글항아리 [2013]
  • 사군자, 매란국죽으로 피어난 선비의 마음
    이선옥 돌베개 [2011]
  • 불화, 찬란한 불교 미술의 세계
    김정희 돌베개 [2009]
  • 박은경, 「日本梅林寺소장의 조선초기<수월관음도>」
    『美術史論壇』제2호 [1995]
  • 민화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정병모 돌베개 [2012]
  • 리준걸, 「고구려 벽화 무덤의 해와 달 그림에 대하여」
    『력사과학』85-2
  • 고려불화대전
    국립중앙박물관 [2010]
  • 고려불화 수월관음도의 복식직물과 문양
    심연옥 『미술사학연구』제273 호 [2012]
  • 고구려연구회, ?高句麗壁畵의 世界?
    高句麗硏究16輯 [2003]
  • 감수, ?高麗佛畵?, 韓國의 美6
    문명대 이동주 中央日報社 [1984]
  • 高承希,「高麗佛畵의 紋樣硏究」
    東國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0]
  • 韓正熙, 「韓國佛畵 中에 보이는 風神雷神圖의 造形的 起源에 대하여」
    『韓國 歷史學大會 發表要旨』第32回 [1989]
  • 韓正熙, ?옛그림 감상법?
    대원사 [1997]
  • 陳明華, 「고려시대 관음신앙과 불화의 도상 연구 」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0]
  • 長廣敏雄역주, 『歷代名畵記1』
    東京:平凡社 [1977]
  • 鎌田茂雄, 「高麗時代の佛敎」,『高麗佛?』, 東京:朝日新聞社, 1981.
  • 金煐泰, 『韓國佛敎史』, 進修堂, 1969.
  • 郭東?, ?高麗 鏡像의 圖像的 考察?, ?美術資料? 第44號
    국립중앙박물관 [1989]
  • 觀無量壽經
  • 菊竹?一, 『世界美術大全集』東洋編 10, 小學館, 1998.
  • 菊竹?一, 「高麗時代觀音畵像の表現」, 『東アシアの考古學と歷史』上卷, 1987.
  • 菊竹?一, 「高麗時代の觀音?像」, ?觀音-尊像の變相-?
    國際交流美術史硏究會 제 5회 심포지엄 [1986]
  • 菊竹?一, 「高麗佛畵にみる中と日本」, 『高麗佛畵』, 朝日 新聞社, 1981.
  • 菊竹?一 ? 鄭于澤, ?高麗時代의 佛畵?
    시공사 [1997]
  • 盧啓鉉,『高麗外交史』, 甲寅出版社, 1994.
  • 益州名畵錄
  • 王惠民, 「敦煌 水月觀音像」, 『敦煌硏究』, 1987年 1基.
  • 牧田諦亮, 「高王觀世音經の成立」, 『佛敎史學』12券3號, 1966.
  • 瀧朝子, 「水月觀音?に描かれた人物群像について」, 『大和文華』111, 2004.
  • 潘亮文, 「水月觀音像についての一考察」上 下, 『佛敎藝術』224 225, 1996.
  • 源豊 宗, 「山中商會所藏水月觀音圖」, 『佛敎美術』第 12?, 1929
  • 海老根聰郞, 「宋元時代の觀音圖」, ?觀音-尊像の變相-?
    國際交流美術史硏究 會 제 5회 심포지엄 [1986]
  • 洪潤植,『高麗佛畵의 硏究』
    同和出版公社 [1984]
  • 洪京姬, 「韓國 銅製淨甁에 對한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9]
  • 武田和昭, 「中國?四國地方の高麗?李朝佛畵の硏究」, 『靑丘學術論集』11集, 1997.
  • 權寧弼, ?실크로드 미술?
    열화당 [1997]
  • 楠井隆志, 「高麗朝鮮佛敎美術傳來考」, 『高麗?朝鮮の佛敎美術展』, 山口縣 立美術館, 1997.
  • 林溫, 「建長寺藏水月觀音圖像をめくつて」, 『佛敎藝術』210號, 1993. 9.
  • 松本榮一, 『敦惶畵の?究』, 東方文化學院 東京硏究所, 1937.
  • 東國李相國集
  • 杉山三郞, ??勒菩薩をめぐる諸問題?, ?Museum?8月, 東京國立博物館, 昭和50年, 1975.
  • 朴龍雲,『高麗時代史』, 一志社, 1991.
  • 智順任, 「郭熙의 山水畵論 硏究」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6]
  • 文明大, ?韓國의 佛畵?
    열화당 [1977]
  • 徐貞海, 「高麗佛畵의 菩薩像 寶冠에 관한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 後騰大用, 『觀世音菩薩の硏究』, 柬京:山喜房?書林, 1958.
  • 張基權, 『中國의 神話』
    乙酉文化社 [1981]
  • 張??, 「東千佛洞西夏石窟藝術」, 『文物』429, 1992.
  • 平田寬, 「鏡神社所藏楊柳觀音畵像」,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年報』, 1968.
  • 崔淳雨,『高麗陶磁』, 美星社, 1975.
  • 崔淳雨, ?高麗靑磁의 紋樣?
    ?공간?140 [1979]
  • 岩本 裕, 『觀音の表情』, 談交社, 1968.
  • 山本陽子, 「水月觀音圖の成立に關する一考察」,『美術史』125, 1989. 3.
  • 宣和奉使高麗圖經
  • 安靜子, 「고려시대 수월관음보살도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사학과) 석사학 위논문 [1996]
  • 安輝濬, ?韓國繪畵史?
    일지사 [1996]
  • 安貴淑, 「中國淨甁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 安胤琇, 「菩薩像의 瓔珞莊嚴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5]
  • 安啓賢, 「高麗前期의 對中關係-特히 佛敎를 中心하여-」,『韓國佛敎思想史硏 究』
    동국대학교출판부 [1983]
  • 孫修身, 「敦煌の?敎芸術における『法華經』觀音普門品について」, ?觀音-尊 像の變相-?
    國際交流美術史硏究會 제 5회 심포지엄 [1986]
  • 姜熺靜, ?高麗 水月觀音圖像의 淵源에 대한 재검토?, ?미술사연구?8호
    미술사 연구회 [1994]
  • 太平御覽
  • 大覺國師文集
  • 堀岡智明, 「ボストン美術館藏朝鮮佛畵について」,『佛敎藝術』83, 1972.
  • 吉田宏志, 「高麗佛畵の紀年作品」,『高麗佛畵』, 朝日新聞社, 1981.
  • 吉田宏志, ?高麗佛畵?, 東京:朝日新聞社, 1981.
  • 印權煥, 「‘토끼 傳’ 根源說話 硏究-印度說話의 韓國的 展開-」,『亞細亞硏 究』25號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67]
  • 劉?展, 李桂英, 「天津市藝術博物館藏敦煌遺書目錄-附?世本寫?」, 『敦煌硏 究』1987年 第2期.
  • 全虎兌, 「고구려 古墳壁畵의 해와 달」, 『亞細亞硏究』第十卷第一號
    고려대 학교출판부 [1967]
  • 中野玄三, 「觀音禮讚」,『日本の佛像 ? 觀音』, 談交社, 1982.
  • 中村茂夫, 『中國畵論の展開-晉唐宋元 編』, 京都 : 中山文華堂, 1965.
  • 三國遺事
  • 『한국불교미술의 형식』
    문명대 한국언론자료간행회 [1997]
  • 『불교설화문학대사전』
    활안 한국정신문화원 이화문화출판사 [2012]
  •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전호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 『高麗史』
  • 『韓國繪畵史論』, 悅話堂, 1987.
  • 『畵史書』第四冊, 上海人民美術出版社, 1962.
  • 『東山御物の美』, 三井文庫 三井記念美術館, 2014.10.
  • 『崔淳雨全集』
    제1권, 학고제 [1994]
  • 「李鶴所藏 水月觀音圖의 表現과 技法」
    『丹豪文化硏究』1, 龍仁大學 校 傳統文化硏究所 [1996]
  • 「寧波佛畵와 高麗佛畵의 비교연구」
    정병모 『講座美術史』 9號, 한국미술사 학회 [1997]
  • 「洛山說話와 高麗水月觀音圖, 普陀山觀音道場」
    황금순 『불교학연구』18 호 [2007]
  • 「회화사로 살펴보는 한국의 무신도」
    윤열수 『그림으로 보는 한국의 무신 도』, 이가책 [1994]
  • 「한국 掛佛畵의 기원문제와 경신사장 金祐文필 水月觀音菩薩圖?, ?강좌미술 사?33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9]
  • 「한 일 설화의 대비고찰」
    문명재 『일본문화연구』11,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문화연구소 [1996]
  • 「토끼띠의 민속과 상징」
    김미숙 『중앙민속학』6, 중앙대하교 민속학연구소 [1995]
  • 「조선전기 불교회화」
    『韓國佛敎美術大全』2(불교회화), 한국색채문 화사 [1994]
  • 「조선시대 후불벽화이면 백의관음도 연구」
    오세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 「조선 전반기 제2기 불화(16세기)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김현정 『강좌미 술사』36,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1]
  • 「조선 전반기 불화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김창균 『강좌미술사』36, 한국불교미술 사학회 [2011]
  • 「조선 17~18세기 관음보살도 연구」
    김미경 『역사와 경계=History &the boundaries』제61집 [2006]
  • 「의식, 관상, 환영-기능적 측면에서 본 고려불화」
    정명희 『고려불화대전』 , 국립중앙박물관 [2010]
  • 「수월관음도」
    문명대 『고려불화-한국의 미⑧』, 중앙일보사 [1981]
  • 「달토끼의 상징성 연구」
    염원희 『高凰論集』第41輯,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술단체협의회 [2007]
  •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도의 정병표현 연구?, ?강좌미술사?40
    조수연 한국불 교미술사학회 [2013]
  •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도의 쌍죽(雙竹)표현 연구」
    조수연 『CHINA연구』 제15집,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2013]
  • 「고려시대 불교회화」
    정우택 『한국 불교미술 대전』, 한국 색채문화사 [1994]
  • 「고려수월관음도의 도상과 신앙 연구」
    황금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 「고려불화의 화기」
    『고려불화대전』, 국립중앙박물관 [2010]
  • 「고려불화의 변죽-本地, 畵幅, 그리고 奉安에 대한 試論-」
    동아시아 불교 회화와 고려불화-제3회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미술 심포지엄 자료집 [2010]
  • 「고려불화의 발원 시주자」
    김정희 동아시아 불교회화와 고려불화-제3회 국 립중앙박물관 한국미술 심포지엄 자료집 [2010]
  • 「고려불화의 독자성」
    『한국미술의 자생성』, 한길아트 [1999]
  • 「고려 수월관음도의 백의에 관한 고찰」
    장경희 『미술사연구』제8호 [1994]
  • 「고려 관경변상도의 계승과 1435년 知恩寺藏 觀經變相圖의 연구」
    문명대 조수연 『강좌미술사』3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2]
  • 「麗末鮮初의 普門品變相圖 硏究」
    송은석 『湖巖美術館 硏究論文輯』2호 [1997]
  • 「高麗金銀泥寫經畵(變相圖)의 樣式考察」
    박도화 『考古美術』184 [1989]
  • 「高麗佛畵의 繪畵史的 意義?, ?고려 영원한 美』
    호암미술관 [1993]
  • 「高麗佛畵의 發源者와 施主者」
    『강좌미술사』3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2]
  • 「高麗佛畵의 國際性과 對外交流關係?, ?高麗美術의 對外交涉?
    예경 [2004]
  • 「高麗佛畵와 西夏佛畵의 圖像的 관련성」
    『古文化』52집, 한국대학 박물관협회 [1998]
  • 「高麗佛畵-幀畵를 중심으로」
    이동주 『高麗佛畵』, 중앙일보사 [1981]
  • 「高麗 아미타불화의 연구」
    유마리 『佛敎美術』6집 [1981]
  • 「高麗 水月觀音圖에 보이는 『40華嚴經』영향」
    황금순 『美術史硏究』17, 미술사연구회 [2003]
  • 「高麗 千手觀音圖에 대하여」
    『湖巖美術館 硏究論文輯』4호 [1999]
  • 「高麗 佛畵의 造成 背景과 內容」
    『고려불화』, 중앙일보사 [1999]
  • 「高麗 佛畵의 樣式變遷에 대한 考察」
    ?考古美術』184, 한국미술사학회 [1989]
  • 「鏡神社所藏楊柳觀音畵像再考」
    『大和文華』제27호 [1984]
  • 「道岬寺觀音三十二應幀 硏究」
    유경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西福寺藏 高麗 觀經變相圖 硏究」
    조수연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西福寺舊藏 고려 관경서분변상도?, ?강좌미술사?37
    조수연 한국불교미술사 학회 [2011]
  • 「西夏 水月觀音圖의 圖像 해석」
    황금순 『불교미술사학』제12집, 불교미술사 학회 [2011]
  • 「白衣解」
    『韓國佛敎全書』6冊, 동국대학교출판부 [1984]
  • 「白花道場發願文略解」
    『韓國佛敎全書』6冊, 동국대학교출판부 [1984]
  • 「法華經 觀世音菩薩普門品 硏究」
    송석구 『韓國佛敎學』3집 [1977]
  • 「朝鮮王朝初期의 繪?와 日本室町時代의 水墨??, ?韓國學報? 第三輯
    안휘준 一志 社 [1976]
  • 「朝鮮朝의 幀畵」
    『朝鮮佛畵』, 한국의 美16, 중앙일보사 [1984]
  • 「朝鮮朝 佛畵의 양식적 특징과 변천」
    『朝鮮佛畵』, 한국의 美16, 중앙일보 사 [1984]
  • 「朝鮮時代 觀音菩薩圖 硏究」
    李智英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朝鮮 後期 白衣觀音壁畵의 圖像과 信仰 硏究」
    『美術史學硏究』제 265호 [2010]
  • 「朝鮮 後半期 佛敎繪畵 佛衣 紋樣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日本에 있어서 高麗佛畵 受容의 일단면」
    『美術史論壇』, 한국미술 연구소 [1996]
  • 「日本에 있는 韓國佛畵 調査-京都, 奈良지방을 중심으로-」
    유마리 『文化 財』제29호, 文化財管理局1: 서울 [1996]
  • 「日本 속의 韓畵」
    『韓國繪畵史論』, 열화당 [1987]
  • 「新羅 高麗時代 水月觀音圖」
    『東岳美術史學』, 동악미술학회 [2001]
  • 「新出の高麗 水月觀音圖について」
    『佛敎藝術』제123호 [1979]
  • 「徐九方筆 水月觀音圖 문양을 통해 본 유파 연구」
    『강좌미술사』26, 한국 불교미술사학회 [2006]
  • 「在日 韓國佛畵 調査硏究?, ?강좌미술사』4
    한국불교미술사학회 [1992]
  • 「十一面觀音菩薩에 대한 硏究」
    金石蘭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1989]
  • 「元代 李 郭派 畵風의 연구」
    홍상희 『美術史學硏究』244, 한국미술사학 회 [2004]
  • 「『東國輿地勝覽』과 朝鮮前期까지의 金屬工藝」
    김창균 『강좌미술사』2, 한국불교미술사학회 [1989]
  • Whitfield, R., The Art of Central Asia: The Stein Collection at the British Museum, 3 Vols, Kodansha International, Tokyo, 1982-5
  • W. R. B. Acker, Some T'ang and Pre-T'ang Texts on Chinese Painting (Leiden : E. J. Brill, 1974)
  • Vanderstappen, ?水月觀音と宋代觀音彫刻?, ?觀音-尊像の變相-?
    Harrie A 國際交流美術史硏究會 제 5회 심포지엄 [1986]
  • Roy, C. creven, A Concise History of INDIAN ART, Thames &Hudson, 1997.
  • Roderick whitfield, 권영필譯, 「鳴沙山의 敦惶」『敦惶』Ⅱ
    도서출판 예경 [1995]
  • Michael Sullivan, Chineese Landscape Painting Ⅴ. Ⅱ(Berkele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 Hin-cheung Lovell, An Annotated Bibliography of Chineses Painting Catalogues & Related Texts (Ann Arbor : The University of Michigan, 1973)
  • Helen B. Chapin. revised by Alexander C. Soper. A Long Roll of Buddhist Images(Atribus Asiae Publishers, 1971)
  • ?歷代名畵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6
    김열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 ?하라호토(Khara-Khoto) 출토 아미타불화와 관음보살도?, ?동아 시아 불교회화와고려불화?
    Kira Samosyuk 제3회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미술 심포지 엄 자료집 [2010]
  • ?조선시대 15세기 대나무그림의 양식 고찰?, ?大學院硏究論集? 第30 輯
    김향희 동국대학교대학원 [2000]
  • ?유리, 삼천년의 이야기?
    국립중앙박물관 [2012]
  • ?불교회화?(한국 美의 재발견)
    김승희 유마리 솔출판사 [2005]
  • ?대나무?
    김준호 대원사 [2000]
  • ?고려불화의 독자성?, ?동아시아불교회화와고려불화?
    제3회 국립중앙 박물관 한국미술 심포지엄 자료집) [2010]
  • ?고려불화?
    문명대 열화당 [1991]
  • ?高麗영원한 美?
    호암갤러리 [1993]
  • ?高麗 李朝の佛敎美術展?, 山口懸立美術館, 1997.
  • ?韓國佛敎史?
    김영태 進修堂 [1969]
  • ?請觀世音菩薩消伏毒害陀羅尼經』
  • ?西域美術?大英博物館Ⅱ, 講談社, 1984.
  • ?西域美術?Ⅰ, ギメ美術館, 講談社, 1994.
  • ?西?三十三所』觀音?場の祈りと美, 奈良國立博物館, 2008.
  • ?田禎佑, ?五代北宋の墨竹?, ?美術史? 四十六?, 昭和三十七年.
  • ?湖林博物館所藏品選集(靑瓷Ⅰ)?
    호림박물관 [1991]
  • ?水月觀音經?
  • ?東アジアの佛たち?, 奈良國立博物館, 1996.
  • ?朝鮮佛畵?, 韓國의 美19
    中央日報社 [1984]
  • ?朝鮮佛敎通史?
  • ?日本所在韓國佛畵圖錄』
    유마리 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 ?敦煌壁畵全集? 9,10, 中國壁畵全集編輯委員會, 天津人民美術出版社, 1996.
  • ?慶熙大學校 韓半島의 대나무類 分布와 그 要因에 대한 植物地理學的 硏究?
    공우석 慶熙大學校 [1984]
  • ?大德寺の名?』, 大本山 大德寺, 1997.
  • ?圖繪寶鑑?
  • ?圖書見聞誌?
  • ?四川省博物館』, 講錟社, 1988.
  • ?四川省博物館?中國の博物館4, 講談社, 1988.
  • ?唐朝名畵錄?
  • ?古今畵鑑?
  • ?千手千眼觀世音菩薩大悲心陀羅尼?
  • ?千光眼觀自在菩薩秘密法經?
  • ?北夢?言?
  • ?中國美術全集? 繪畵2, 15, 上海人民出版社, 1988.
  • ?中國石窟 安西 楡林窟?, 平凡社, 1990.
  • ?中國博物館叢書?, 四川省博物館 編 第12卷, 北京: 文物出版社, 1992.
  • ?世界美術大全集? 東洋編5, 小學館, 1998.
  • ?フリ?ア美術館?, 講談社, 1971.
  • ??蒙中, ?西域繪??, 重?出版社, 2010.
  • ??佛說高王觀世音經?
  • ), 『고려도경』
    서긍 항소자리 출판 사 [2005]
  • (효탄),『《高麗史》韓中關係史料集』
    김창숙 민족사 [2001]
  • (一然), ?삼국유사?
    김원중 을유문화사 [2002]
  • 「敦煌寫本『水月觀音經』硏究」, 『敦煌硏究』, 1992年 3期.
  • ?高麗佛畵?, 中央日報社,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