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경험의 플롯 구성을 통한 서사 창작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Narrative Writing through Plotting Learners’ Experiences

김태호 2015년
논문상세정보
' 경험의 플롯 구성을 통한 서사 창작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Narrative Writing through Plotting Learners’ Experience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경험의 플롯 구성
  • 문학교육
  • 서사 창작 교육
  • 서사 표현 교육
  • 서사교육
  • 자전적 서사 쓰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70 0

0.0%

' 경험의 플롯 구성을 통한 서사 창작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Narrative Writing through Plotting Learners’ Experiences' 의 참고문헌

  • 현대 기호학 강의
    김성도 서울:민음사 [1998]
  • 현대 교육과정 탐구
    강현석 서울:학지사 [2011]
  • 허구 서사 창작 교육 연구
    김근호 박사학위논문,서울:서울대학교 [2009]
  • 박사
    해석을 통한 필자의 상승적 의미 구성 교육 연구
    전제응 박사학위논문, 청주:한국교원대학교 [2008]
  • 한국 속담의 언술구조, 비유법 그리고 서사체에 관한 연구
    김열규 『새국 어생활』4집 2호,서울:국립국어연구원 [1994]
  • 한국 근대 고백소설의 형성과 서사양식
    우정권 서울:소명출판 [2004]
  • 학습독자 반응 연구의 문학교육적 함의 및 연구 방향
    진선희 『문학교육 학』16집,서울:한국문학교육학회 [2005]
  • 박사
    초등학교 동화 감상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곽춘옥 박사학위논문,청주: 한국교원대학교 [2006]
  • 창작 교육의 이념과 지향
    우한용 『문학교육학』2집,서울:한국문학교육학 회 [1998]
  • 박사
    자전적 서사의 반성적 쓰기 교육 연구
    정대영 석사학위논문,서울:서울 대학교 [2012]
  • 이야기문학교육론
    한명숙 서울:박이정 [2007]
  • 박사
    윤리적 가치 중심의 소설 읽기 연구
    정진석 박사학위논문,서울:서울대 학교 [2013]
  • 에릭슨의 인간이해
    박아청 파주:교육과학사 [2010]
  • 에로스적 욕망에 의한 플롯 읽기를 통한 소설 텍스트 해석 연구
    선주원 『문학교육학』41,서울:한국문학교육학회 [2013]
  • 쓰기 치료를 위한 개인적 서사문 중심의 자기표현적 글쓰기 활동
    박영민 『한어문교육』27집,공주: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2]
  • 쓰기 과정에서의 자동성과 통제성
    이재승 『국어교육』95호,서울:한국어 교육학회 [1997]
  • 신화적 조화성에 기반한 동화 감상 교육 연구
    김상한 박사학위논문,청 주:한국교원대학교 [2011]
  • 시적 감성의 교육 내용 설계 연구
    이향근 박사학위논문,청주:한국교원 대학교 [2012]
  • 소설 장르의 허구성 연구
    김혜영 『현대소설연구』21집,서울:한국현대소 설학회 [2004]
  • 사유하는 구조 : 유리 로트만의 기호학 연구
    김수환 서울:문학과지성사 [2011]
  • 문학적 정서 함양을 위한 시조 교육 연구
    김선희 박사학위논문,청주:한 국교원대학교 [2007]
  • 박사
  • 문학교육원론
    김대행 서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0]
  • 문학 소통 맥락의 교육적 탐색
    진선희 『문학교육학』26집,서울:한국문 학교육학회 [2008]
  • 문학 교육에서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 초등에서의 서사 텍스트를 중심으로
    하근희 박사학위논문,청주:한국교원대학교 [2013]
  • 모티프 중심의 서사적 사고력 교육
    최인자 『국어교육학연구』18집,서울: 국어교육학회 [2003]
  • 기호, 주체, 욕망: 정신분석학과 텍스트의 문제
    박찬부 파주:창비 [2007]
  • 기억의 허구성과 ‘서사적 진실’
    김현진 최문규 외,『기억과 망각』,서울: 책세상 [2003]
  • 박사
    기억 재형상화 원리 중심의 소설 읽기 연구
    정래필 박사학위논문,서울: 서울대학교 [2013]
  • 국어교육학과 서사교육론
    임경순 서울:한국문화사 [2003]
  •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고시제2011-36호 [2011]
  • 교육과정기별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통합 방향 연구
    이경화 『한국초등국 어교육』53집,인천: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3]
  • 박사
    경험의 서사화와 자전적 글쓰기 교육 연구
    장유정 박사학위논문,광주: 전남대학교 [2013]
  • 경험의 서사화 방법과 그 문학교육적 의의 연구
    임경순 박사학위논문, 서울:서울대학교 [2003]
  • 『현대소설플롯론』,서울:보고사.진선희(2006),『문학체험연구』
    장소진 서울:박이정 [2000]
  • 『학습자중심초등문학교육방법』
    신헌재 진선희 서울:박이정 [2006]
  • 『초등국어과교수 학습방법』,서울:박이정.연희원(2011),『에코의기호학』
    신헌재외 파주:한국학술정보원 [2009]
  • 『전쟁놀이』,서울:계수나무.현길언(2005),“기억과기록”,김진량 이재복편,『주변인의삶의문학』
    현길언 서울: [2001]
  • 『작은어릿광대의꿈』,서울:창작과비평사.손춘익(1991),『어린떠돌이』
    손춘익 서울:창작과비평사 [1990]
  • 『읽기교육의원리와방법』
    이경화 서울:박이정 [2008]
  • 『이미지』
    유평근 진형준 파주:살림 [2009]
  • 『아동문학의이해』
    곽춘옥 권혁준 신헌재 서울:박이정 [2007]
  • 『시뮬라크르의시대』,서울:거름.이정우(2000a),『담론의공간』,서울:산해.이정우(2000b),『가로지르기』,서울:산해.이정우(2001),『사건의철학』
    이정우 서울:그린비 [1999]
  • 『소설과서사문화』
    나병철 서울:소명출판 [2006]
  • 『문학의이해』
    최태호 서울:문예출판사 [1998]
  • 『문학교육론』,서울:삼지원.김대행(2006),『문학교육틀짜기』
    구인환외 서울:역락 [1988]
  • 『문학교육과정론』,서울:삼지원.우한용외(2001),『서사교육론』
    우한용외 서울:동아시아 [1997]
  • 『문학교육과문화론』,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우한용(2009),『창작교육론』
    우한용 서울:태학사 [1997]
  • 『낙서족』,서울:동서문화사.손창섭(2003),“아마추어작가의변”,송하춘편,『손창섭:모멸과연민의이중 주』,서울:새미.이청준(2010),『눈길』
    손창섭 서울:열림원 [1987]
  • 『글쓰기와글쓰기교육』,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이진경(1997),『근대적시 공간의탄생』,서울:푸른숲.이진경(2002),『노마디즘1』
    이지호 서울:휴머니스트 [2001]
  • 『글쓰기교육의원리와방법』
    이재승 서울:교육과학사 [2003]
  • 『교육심리학』
    문은식 서울:학지사 [2007]
  • 『2011국어과교육과정개발을위한시안개발연구』
    민현식외 2011년 정책연구개발사업,교육과학기술부 [2011]
  • 「초등 문학교육 장르 용어의 통시적 고찰」
    권혁준 『아동청소년문학연구』6 집,인천: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0]
  • “현실과 기호의 관계에 대한 고골의 신화론”
    이경완 한림대인문학연구소, 『현실과 기호의 이질동상성』,서울:민속원 [2007]
  • “플롯구성을 활용한 이야기 쓰기 교육 연구”
    정래필 석사학위논문,서울: 서울대학교 [2002]
  • “표현주의 쓰기 이론의 비판적 검토”
    이재승 『청람어문교육』41집,청주: 청람어문교육학회 [2010]
  • “표현적 쓰기의 특징과 지도 방향”
    김명순 『국어교육』109집,서울:한국어 교육학회 [2002]
  • “탐색적 서사 쓰기의 교육 연구”
    박찬용 석사학위논문,서울:서울대학교 [2005]
  • “칸트와 헤겔의 감성관 비교”
    최소인 『칸트연구』26집,서울:한국칸트학 회 [2010]
  • “초등문학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명숙 『문학교육학』42집,서 울:한국문학교육학회 [2013]
  • “초등 문학교육에서 서사교육의 방향”
    신헌재 『한국초등교육』24권 3호,서 울:서울교육대학교 [2013]
  • 박사
    “자전적 서사의 인물 형상화 교육 연구”
    홍인영 석사학위논문,서울:서울 대학교 [2014]
  • “자기 표현적 글쓰기의 교육적 함의”
    최숙기 『작문연구』5집,서울:한국작 문학회 [2007]
  • 박사
    “자기 성장 이야기 쓰기를 활용한 소설 교육 연구”
    전은경 석사학위논문, 서울:이화여자대학교 [2010]
  • “자기 모멸의 신화-손창섭론-”
    정창범 송하춘 편,『손창섭-모멸과 연민의 이중주』,서울:새미 [2003]
  • “이야기 바꾸어 쓰기를 통한 서사능력 향상 방안”
    김상한 『한국초등국어교 육』48집,광주: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2]
  • “윤리적 주체 형성을 위한 서사교육 방안 탐색”
    김태호 『문학교육학』44 집,서울:한국문학교육학회 [2014]
  • “역사동화의 서사적 특성과 서사교육”
    김태호 『한국초등국어교육』50집,광 주: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2]
  • “손창섭의 자전적 성격의 소설에 나타난 의미 고찰”
    박죽심 『어문논집』53 집,서울:중앙어문학회 [2013]
  • “손창섭의 <낙서족>에 관한 일고찰-자전적 소설과 세대론의 관점 에서-”
    방민호 『한국현대문학연구』13집,서울:한국현대문학회 [2003]
  • 박사
  • “서정시의 제개념:‘감각’,‘감정(정서)’,‘정조’에 대하여”
    유성호 『한국 현대 시의 형상과 논리』,서울:국학자료원 [1997]
  • “서사적 사고의 작용 방식 연구”
    김태호 『문학교육학』41집,서울:문학교 육학회 [2013]
  • “서사교육의 목표 설정”
    임경순 『선청어문』Vol.26No.1,서울: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1998]
  • “상실 경험의 의미 재구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안현의 최선재 『상담 학 연구』Vol.14No.1,서울:한국상담학회 [2013]
  • “문학교육과정 설계의 절차와 원리”
    김창원 문학과문학교육연구소,『문학교 육의 탐구』,서울:국학자료원 [1996]
  • “문학교육과 허구적 인식능력 ?이문열의 <황제를 위하여>를 대상 으로-”
    우한용 『국어교육연구』14집,서울: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4]
  • “라깡과 들뢰즈”
    서동욱 『라깡의 재탄생』,서울:창비 [2002]
  • “동화의 아동 성장 내용 범주와 그 교육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
    김순규 박 사학위논문,청주:한국교원대학교 [2013]
  • “동화의 서술자와 문학교육”
    한명숙 『새국어교육』76집,서울:한국국어교 육학회 [2007]
  • “교육과정 “내용 성취 기준”의 진술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영진 『국 어교육학연구』46,서울:국어교육학회 [2013]
  • “경험 서사 창작 교육 연구?자전적 서사 쓰기를 중심으로-”
    전한성 박사 학위논문,서울:동국대학교 [2014]
  • “감정과 정서의 이해”
    임일환 정대현 편,『감성의 철학』,서울:민음사 [1996]
  • “가치 수용적 심미 체험을 위한 문학교육 연구”
    서민정 박사학위논문,청 주:한국교원대학교 [2012]
  • Veyne,Paul,Commentonecritl'histoire,홍미옥 역(2004),『역사를 어떻게 쓰는가』
    서울:새물결 [1971]
  • Todorov,Tzvetan,Theoriedelalitt rature,김치수 역(1997),『러시아 형 식주의:문학이론』
    서울: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65]
  • TheNatureofNarrative,임병권 역(2007),『서사문학의 본질』
    Kellogg,R. Phelan,J. Scholes,R. 서울:예림기획 [1968]
  • The Principles ofArt,김혜련 역(1996),『상상과 표 현』
    Collingwood,R.G. 서울:고려원 [1958]
  •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우찬제 외 역(2010),『서사학 강의:이야기에 대한 모든 것』
    PorterAbbot,H. 서울:문학과 지성 사 [2002]
  • Story anddiscourse:narrativestructurein fictionand film.한용환 역(2003).『이야기와 담론 :영화와 소설의서사구조』
    Chatman,S. 서울:푸른사상 [1978]
  • Schramke,J rgen,ZurTheoriedesmodernen Romans,원당희 박병화 역(1995),『현대소설의 이론』
    서울:문예출판사 [1974]
  • Ryle,Gilbert,TheConceptofMind,이한우 역(1994),『마음의 개념』
    서 울:문예출판사 [1949]
  • Rimmon-Kenan,ShlomithNarrativeFiction:ContemporaryPoetics,최상 규 역(1999),『소설의 현대시학』
    서울:예림기획 [1983]
  • Ricoeur,Paul,Tempsetre'citⅠ,김한식 이경래 역(1999),『시간과 이야 기1』
    서울:문학과지성사 [1983]
  • Ricoeur,Paul,L’identit narrative,김동윤 역(1997),“서술적 정체성”,『현 대서술이론의 흐름』
    서울:솔 [1988]
  • Ricoeur,Paul,LeConflitdesInterpr tations,양명수 역(2001),『해석의 갈 등』
    서울:아카넷 [1969]
  • Ricoeur,Paul,Hermeneuticsand the Human Sciences:Essayson Language, Action,andInterpretation,transbyThompson,JohnB.,윤철 호 역(2003),『해석학과 인문사회과학』
    서울:서광사 [1981]
  • Ricoeur,Paul,Dutexte l'action:essisd'hermeneutiqu,박병수 남기영 편역(2002),『텍스트에서 행동으로』
    서울:아카넷 [1986]
  • Ranci re,Jacques,Lepartagedusensible:esth tiqueetpolitique,오윤성 역(2008),『감성의 분할』
    서울:도서출판b [2000]
  • Prince,Gerald,Narratology:TheForm andFunctioning ofNarrative,최 상규 역(1999),『서사학이란 무엇인가』
    서울:예림기획 [1982]
  • Polkinghorne,DonaldE,NarrativeKnowingandtheHumanSciences,강 현석 외 역(2009),『내러티브,인문과학을 만나다』
    서울:학지사 [1988]
  • Nietzsche,Friedrich Wilhelm,Die Fr hliche wissenschaft,안성찬 홍사현 역 ,『즐거운 학문』
    서울:책세상 [2010]
  • Nehamas,Alexander,Nietzsche:Life asLiterature,김종갑 역(1994),『니 체:문학으로서 삶』
    서울:책세상 [1985]
  • Meyerhoff,Hans,TimeinLiterature,이종철 역(2003),『문학 속의 시간』
    서울:문예출판사 [1955]
  • Merleau-Ponty,Maurice,Qu'est-ce que la ph nom nologie,김진국 역, 「현상학이란 무엇인가」,『문학현상학과 해체론적 비평론』
    서울: 예림기획 [1999]
  • Merleau-Ponty,Maurice,Ph nom nologie de la Perception,류의근 역 (2002),『지각의 현상학』
    서울:문학과지성사 [1962]
  • May,Rollo,Man'sSearchforHimself,백상창 역(2010),『자아를 잃어버린 현대인』
    서울:문예출판사 [1953]
  • Mack,Michael(2011),How LiteratureChangestheWayWeThink,New York: Continuum.
  • MacIntyre,Alasdair,AfterVirtue,이진우 역(1997), 덕의 상실
    서울:문 예출판사 [1985]
  • Luk cs,Gy rgy,Die Theorie des Romans,김경식 역(2007),『소설의 이 론』
    서울:문예출판사 [1920]
  • Lotman, Jurij, Strukture Khudo zhestvennogo teksta, trans by Ann Arbor,유재천 역(1991),『예술 텍스트의 구조』
    서울:고려원 [1970]
  • Lejeune,Philippe,Lepacteautobiographique,윤진 역(1997),『자서전의 규 약』
    서울:문학과 지성사 [1996]
  • Kermode,Frank,SenseofanEnding,조초희 역(1993),『종말 의식과 인간 적 시간 ? 허구이론의 연구』
    서울:문학과지성사 [1967]
  • Kenney,William(1966),How toAnalyzeFiction,New York:MonarchPress.
  • Kant,Immanuel,KritikderUrteilskraft,백종현 역,『판단력 비판』
    서울: 아카넷 [2009]
  • Kant,Immanuel,Kritik der reinen Vernunft,백종현 역,『순수이성비판 Ⅰ』
    서울:아카넷 [2006]
  • Kagan,Moissej,Vorlesungen zurmarxistischleninistischen sthetik,진 중권 역(1989),『미학강의』
    서울:벼리 [1975]
  • Heidegger,Martin,Seinund Zeit,전양범 역(2008),『존재와 시간』
    서울: 동서문화사 [1927]
  • Guattari,Felix,Anti- dipus,최명관 역(1994),『앙띠 오이디 푸스』
    Deleuze,G. 서울:민음사 [1977]
  • Greimas,AlgirdasJulien& Fontanille,Jacques,S miotiquesdespassions, 유기환 외 역(2014),『정념의 기호학』
    서울:강 [1991]
  • Giddens,Anthony,Modernityand Self-Identity,권기돈 역(1997), 현대성 과 자아정체성
    서울:새물결 [1991]
  • Genette,G rard,Discoursdu r cit,transby Jane E.Lewin,권택영 역 (1992),『서사담론』
    서울:교보문고 [1980]
  • Geertz,Clifford,TheInterpretation ofCultures,문옥표(1998),『문화의 해 석』
    서울:까치글방 [1973]
  • Fink,Bruce,A ClinicalIntroduction to Lacanian Psychoanalysis,맹정현 역(2002),『라캉과 정신의학』
    서울:민음사 [1997]
  • Erlich,Victor,Russian Formalism: History-Doctrine,박거용 역(1984), 『러시아 형식주의:역사와 이론』
    서울:문학과지성사 [1965]
  • Eco,Umbertoetc,TheSignofthree,김주환 한은경 역,『논리와 추리 의 기호학』
    서울:인간사랑 [1994]
  • Eco,Umberto,Semioticaefilosofiadellinguaggio,김성도 역(2009),『기호 학과 언어철학』
    파주:열린책들 [1984]
  • Eco,Umberto,A Theory ofSemiotics,정운찬 역(2009),『일반 기호학 이 론』
    파주:열린책들 [1976]
  • Dipple,Elizabeth,Plot,문우상 역(1979),『플롯』
    서울:서울대학교출판사 [1970]
  • Dickie,George,AestheticsanIntroduction,오병남 황유경 역(1980),『미 학입문』
    서울:서광사 [1971]
  • Dewey,John,Experienceand Education,박철홍 역(2002),“경험과 교육”,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과 교육』
    서울:문음사 [1938]
  • Dewey,John,DemocracyandEducation,이홍우 역(2007),『민주주의와 교 육』
    서울:교육과학사 [1916]
  • Deleuze,Gilles,Logique du sens,이정우 역(2007),『의미의 논리』
    서울: 한길사 [1969]
  • Cohan,Steven,Telling Stories: A TheoreticalAnalysis ofNarrative Fiction,임병권 임호 역,『이야기하기의 이론』
    서울:한나래 [1988]
  • Cassirer,Ernst,An EssayonMan -An IntroductiontoaPhilosophyof Human Culture,최명관 역(1988),『인간이란 무엇인가-문화철학서 설』
    서울:서광사 [1944]
  • Carr,David,Time,Narrative,and History,유화수 역(2009),『시간,서사 그리고 역사』
    서울:한국문화사 [1986]
  • Bruner,Jerome,TheCultureofEducation,강현석 이자현 역(2005),『교 육의 문화』
    서울:교육과학사 [1996]
  • Bruner,Jerome(1986),Actual Minds, Possible Worlds,Harvard University Press.
  • Brooks,Peter,Reading forthePlot,박혜란 역(2011),『플롯 찾아 읽기』
    서울:강 [1984]
  • Bourdieu,Pierre,LaDistinction-critiquesocialedu jugement,최종철 역 (2006),『구별짓기(상)』
    서울:새물결 [1979]
  • Bergson,Henri,La pens e etle mouvant,이광래 역(2012),『사유와 운 동』
    서울:문예출판사 [1919]
  • Bergson,Henri(1896),Mati reetm moire,박종원 역,『물질과 기억』
    서 울:아카넷 [2005]
  • Berger, Arthur Asa(1997), Narratives in Popular Culture, Media, and EverydayLife,ThousandOaks:SAGE Publications.
  • Bakhtin, Mikhail Mikhailovich, The Dialogic Imagination, trans by Caryl Emerson and MichaelHolquist,전승희 서경희 박유미 역 (2009),『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서울:창비 [1981]
  • Assmann,Aleida,Erinnerungsr ume,변학수 채연숙 역(2011),『기억의 공간』
    서울:그린비 [2009]
  • AspectsoftheNovel,이성호 역(1975),『소설의 이해』
    Forster,E.M. 서 울:문예출판사 [1969]
  • Abbot,PorterH.,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우찬제 외 역(2010),『서사학 강의:이야기에 대한 모든 것』
    서울:문학과 지성 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