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 동요?동시 정전화 연구 : 초등 교과서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최은경 2015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 동요?동시 정전화 연구 : 초등 교과서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훈주의
  • 국가주의
  • 동심주의
  • 동요?동시
  • 문학교육
  • 민족주의
  • 정전
  • 정전화
  • 초등문학교육
  • 초등학교 교과서
  • 형식주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66 0

0.0%

' 한국 동요?동시 정전화 연구 : 초등 교과서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혼다 마스코, 『20세기는 어린이를 어떻게 보았는가』, 구수진 역
    한립토이북 [2002]
  • 박사
  • 현대문학사, 『신한국문학전집 아동문학선집(2)』
    어문각 [1979]
  • 현대동요선
    박영종 한길사 [1949]
  • 해방기 ‘국어’ 교과서와 탈식민주의 -『초등 국어교본』을 중심으로-
    강진호 문학교육 학회, 『문학교육학』 [2009]
  • 한국의 교과서
    이종국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1]
  •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엮음, 『한국아동청소년문학 장르론』
    청동거울 [2013]
  • 한국아동문학회 편 , 『현대한국아동문학선집』
    동국문화사 [1955]
  • 한국아동문학가 협회 편 , 『동시, 그 시론과 문제점』
    신진출판사 [1975]
  • 한국신교육사 Ⅱ
    오천석 현대교육총서출판사 [1964]
  • 한국문인협회, 『신문학 60년 대표작 선집』
    정음사 [1968]
  • 한국근대음악사1
    노동은 한길사 [1995]
  • 한국교육문제연구소, 『文敎史-1973)』
    중앙대부설 한국교육문제연구소, 1974 [1945]
  • 한국교육과정변천사연구
    함종규 교학연구사 [2003]
  • 한국교육개발원, 『5차 종합 시범을 위한 국어수업지침서』(3~6, 학년당 2권)
    삼화서적주 식회사, ~1981 [1973]
  • 한국교육개발원 사이버교과서 박물관 누리집:http://www
    textlib.net
  • 한국교과서 연구재단 누리집 : http://www
    textbook.ac
  • 학술정보원 국학자료실 : http://library
    연세대 yonsei.ac.kr/koreanstudies
  •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박채형 『통합교육과정 연구』제 6권 1호, 한국통 합교육과정학회 [2012]
  •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Ⅴ), 교육부 [1998]
  • 창신공립국민학교 음악부, 노래책 『노래동무』
    창신공립국민학교 [1948]
  • 조선총독부편찬, 『師範學校敎科敎授及修鍊指導要目』
    조선총독부 학무국, , 50 [1944]
  • 조선일보사 출판부, 『조선아동문학집』
    조선일보사 [1937]
  • 조선어학회, 『초등국어교본』(상 중 하)
    군정청학무국, ~1946 [1945]
  • 조선어학회, 『초등 국어교본 한글 敎授 指針』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945]
  • 조선동요전집(1)
    정태병 신성문화사 [1946]
  • 이원수탄생 백주년 기념논문집 준비위원회, 『이원수와 한국 아동문학』
    창비 [2011]
  • 이원수 판타지동화와 민족현실
    원종찬 『아동문학과 비평정신』, 창비 [2001]
  • 윤석중, 이원수의 동요·동시 독자반응 연구
    최은경 『아동청소년문학연구』9호, 한국 아동청소년학회 [2013]
  • 윤석중 동요집
    윤석중 신구서림 [1932]
  • 윤석중 동요 연구의 두 가지 과제
    김용희 『한국아동문학연구』 제 10호 [2004]
  • 유능한 아동문학인을 배출한 권위있는 관문-1986~1995(10년간) 등단작가들
    이정석 『아동문학평론』Vol31No.2, 韓國兒童文學硏究院 [2006]
  • 우리말교육연구소, 『외국의 국어교육과정1』
    나라말 [2003]
  • 박사
    영문학 교육의 정당성과 정전의 문제
    송무 고려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 어린이와 한평생
    윤석중 범양사출판부 [1985]
  • 아동잡지 『어린이』와 『赤い鳥』 동요의 비교와 『어린이』 동요의 전개양상
    전송배 중앙 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1]
  • 아동문학전집에 나타난 문화적 상상력과 정전 구성에 대한 욕망: 년대 을유문화사 한국아동문학독본을 중심으로, 『아동청소년문학연구』제11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2 [1960]
  • 아동문학과 비평정신
    원종찬 창비 [2001]
  • 아동문학 사랑방 : http://kosam43
    권오삼 egloos.com
  • 시정신과 유희정신
    이오덕 창작과 비평사 [1977]
  • 시교육과 정전의 문제
    김창원 『한국시학연구』Vol 19, 한국시학회 [2007]
  • 시교육 정전 체계의 분석과 재구성
    강 석 한국교원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 새교육연구회, 『국민학교 새교육과정 지도요강 : 제 3학년』
    교학사 [1965]
  • 문학교육연구회, 『삶을 위한 문학교육-현장교사들이 분석한 국어교과서』
    도서출판 연구 사 [1987]
  • 문학교과서와 정전(正典)의 문제
    박용찬 『국어교육연구』 38집, 국어교육학회 [2005]
  • 문학 교재 구성을 위한 현대시 정전 연구
    윤여탁 『국어교육연구』 5집, 서울대 국어 교육연구소 [1998]
  • 문교부, 『초등 국어』(1~6, 학년당 2권)
    문교부, ~1950 [1948]
  • 문교부, 『즐거운 생활』(1~2,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6 [1982]
  • 문교부, 『즐거운 생활』(1~2,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2 [1987]
  • 문교부, 『음악 』(3~6, 학년당 1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6 [1982]
  • 문교부, 『음악 』(3~6, 학년당 1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2 [1987]
  • 문교부, 『음악 』(1~6, 학년당 1권),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문교부, ~1962 [1957]
  • 문교부, 『음악 』(1~6, 학년당 1권)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1955 [1953]
  • 문교부, 『음악 』(1~6, 학년당 1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70 [1967]
  • 문교부, 『음악 』(1~6, 학년당 1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1 [1973]
  • 문교부, 『별책1. 국민 학교 교육과정』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73]
  • 문교부, 『바른생활』(1~2,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6 [1982]
  • 문교부, 『노래책』1~6학년
    군정청 문교부 [1948]
  • 문교부, 『국어』(3~6,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6 [1982]
  • 문교부, 『국어』(1~6, 학년당 2권)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1963.2 [1954]
  • 문교부, 『국어』(1~6,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73.2 [1963]
  • 문교부, 『국어』(1~6,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1.12 [1973]
  • 문교부, 『국어』(1~5, 학년당 2권, 5~6학년 3권)
    문교부, ~1954 [1951]
  • 문교부, 『국어 읽기』(1~6,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2 [1987]
  • 문교부, 『국어 쓰기』(1~6,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2 [1987]
  • 문교부, 『국어 말하기듣기』(1~6,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2 [1987]
  • 문교부, 『국민학교 교사용 지도서 국어』(1~6,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6 [1982]
  • 문교부, 『국민학교 교사용 지도서 국어』(1~6,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2 [1987]
  • 문교부 인정 『전시음악공부』(1~2, 3~4, 5~6학년용)
    박태현 이승학 장백사 [1951]
  • 동요동인회, 『새동요곡집』제 2집
    세광출판사 [1969]
  • 기념사업회 : http://www
    나운영 launyung.co.kr
  • 군정청 문교부, 『초중등학교각과 교수요목(敎授要目)집』
    국민학교 국어과 교수요목 중 (一) 교수 요지 [1945]
  • 군정청 문교부, 『초등 노래책』(5~6학년)
    군정청 문교부 [1946]
  • 군정청 문교부, 『초등 노래책』(3~4학년)
    군정청 문교부 [1946]
  • 군정청 문교부, 『초등 노래책』(1~2학년)
    군정청 문교부 [1946]
  • 국어대사전
    이희승 민중서림 [1982]
  • 국어교육학개론
    노명완 제 4판, 삼지원 [2012]
  • 국어교과서와 국가 이데올로기
    강진호 글누림 [2007]
  •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정준섭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5]
  • 교육인적자원부, 『세계의 각국의 교육과정Ⅶ-프랑스』
    경상남도교육청 [2008]
  •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국어』(1~6, 학년당 2권)
    ㈜미래엔, ~2012 [2007]
  •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국어』(1~4, 학년당 2권)
    ㈜미래엔 [2013]
  • 교육과학기술부, 『즐거운 생활』(1~2, 학년당 2권)
    ㈜미래엔, ~2012 [2007]
  • 교육과학기술부, 『음악 』(3~6, 학년당 1권)
    ㈜미래엔, ~2012 [2007]
  •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14호〔별책5〕, 2012 [2012]
  • 교육과학기술부, 『국어』(1~4, 학년당 4권)
    ㈜미래엔 [2013]
  • 교육과학기술부, 『국어 활동』(1~4, 학년당 4권)
    ㈜미래엔 [2013]
  • 교육과학기술부, 『국어 읽기』(1~6, 학년당 2권)
    ㈜미래엔, ~2012 [2007]
  • 교육과학기술부, 『국어 쓰기』(1~3, 학년당 2권)
    ㈜미래엔, ~2012 [2007]
  • 교육과학기술부, 『국어 듣기말하기쓰기』(4~6, 학년당 2권)
    ㈜미래엔, ~2012 [2007]
  • 교육과학기술부, 『국어 듣기말하기』(1~3, 학년당 2권)
    ㈜미래엔, ~2012 [2007]
  • 교과서박물관 누리집:http://www
    textbookmuseum.co.kr
  • 경희대학교한국아동문학연구센터 편 , 『동요 동시 어린이의 』1~3
    국학자료원 [2012]
  • 겨레아동문학선집9, 10
    원종찬 보리 [1999]
  • 橫須賀, 『동심주의와 아동문학』, 박숙경 역
    『창비 어린이』5~6호 [2004]
  • 柄谷行人, 「아동의 발견」,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박유하 역
    민음사 [1997]
  • 朝鮮總督府編纂, 『敎科書編輯彙報』, 제 8집
    조선총독부 [1941]
  • 朝鮮總督府 編, 『初等音樂』(3)~(6), 朝鮮書籍印刷株式會社, 1943~1944.
  • 『현대명작동요선』
    산아방 [1950]
  • 『해묵은 동시를 던져 버리자』
    창비 [2014]
  • 『한국의 동요』
    한용희 세광음악출판사 [1994]
  • 『한국의 교과서 출판 변천의 연구』
    일진사 [2001]
  • 『한국아동문학의 쟁점』
    창비 [2010]
  • 『한국아동문학사』
    개문사 [1978]
  • 『한국아동문학론』
    이상현 동화출판공사 [1976]
  • 『한국아동문학 독본 6권 : 강소천 아동문학 독본』
    강소천 을유문화사 [1962]
  • 『한국아동문학 독본 5권 : 이원수 아동문학 독본』
    을유문화사 [1961]
  • 『한국아동문학 독본 3권 : 윤석중 아동문학 독본』
    을유문화사 [1962]
  • 『한국국어교육전사』
    박붕배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7]
  • 『한국 편수사 연구(Ⅰ)』
    곽상만 재단 법인 한국 교과서 연구 재단 [2000]
  • 『초생달』
    박문출판사 [1946]
  •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국어』
    교육부 (1~6,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7 [1992]
  •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국어』
    교육부 (1~6,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007 [1997]
  • 『즐거운 생활』
    (1~2,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007 [1997]
  • 『즐거운 생활』
    교육부 (1~2,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7 [1992]
  • 『종달새』
    이원수 서울 새동무사 [1947]
  • 『조선어독본』1(자구정정본)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보 권2~8
    강진호 허재영 제이 엔씨 [2010]
  • 『조선어독본』
    강진호 3,(제 3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독본 권1~6, (제 4차 교 육과정기)보통학교 조선어독본 권1~6, 제이엔씨 [2010]
  • 『조선동요선집』
    조선동요연구회 편 [1928]
  • 『음악 』
    박영란 (3~6, 학년당 1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7 [1992]
  • 『음악 』
    (3~6, 학년당 1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007 [1997]
  • 『윤석중 동요 백곡집』
    학문사 [1954]
  • 『어린이문학을 보는 시각』
    김이구 창비 [2005]
  • 『어깨동무』
    박문서관 [1940]
  • 『아동시론』
    세종문화사 [1972]
  • 『아동문학전집29-동시동화 작법』
    이원수 웅진출판사 [1984]
  • 『아동문학개론』
    이재철 서문당 [1967]
  • 『속 책은 만인의 것』
    이경훈 보성사 [1993]
  • 『소학생』의 성격 연구 - 학교 교육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김유진 『아동청소년문학 연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1]
  • 『소학년문예독본』
    박목월 아동예술원 [1949]
  • 『색동회 어린이 운동사』
    정인섭 휘문출판사 [1961]
  • 『새싹 노래선물』
    새싹회 [1957]
  • 『문학교육론』
    구인환 삼지원 [1989]
  • 『동요와 시의 전망-아동문학사상7』
    김요섭 보진재 [1972]
  • 『동시교실』
    아데네사 [1957]
  • 『꽃초롱별초롱』
    윤복진 아동예술원 [1949]
  • 『굴렁쇠』
    수선사 [1948]
  • 『국어교육 100년사Ⅰ Ⅱ』
    윤여탁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 『국어 읽기』
    교육부 (1~6,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7 [1992]
  • 『국어 읽기』
    교육부 (1~6,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007 [1997]
  • 『국어 쓰기』
    교육부 (1~4,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7 [1992]
  • 『국어 쓰기』
    교육부 (1~3,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007 [1997]
  • 『국어 말하기듣기쓰기』
    교육부 (5~6,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7 [1992]
  • 『국어 말하기듣기쓰기』
    교육부 (4~6,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007 [1997]
  • 『국어 말하기듣기』
    교육부 (1~4,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7 [1992]
  • 『국어 말하기듣기』
    교육부 (1~3, 학년당 2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007 [1997]
  • 「해설」
    피천득 『윤석중 아동문학독본』, 을유문화사 [1962]
  • 「해방공간의 음악교육 연구-음악교육 정책과 음악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김기복 목 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 「해방-년대 중반까지 한국아동문학전(선)집 편찬과 정전화」
    조은숙 『한국문학이론 과 비평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3 [1950]
  • 「해방 후 아동문학 ‘운문 장르’ 명칭에 대한 사적 고찰」
    김제곤 『아동청소년문학연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09]
  • 「한국아동문학소사」
    윤석중 대한민국예술원 문학분과 [1990]
  • 「한국과 프랑스의 문학 교과서 비교 연구」
    김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한국 현대시 교육의 담론 분석 -년대 저항시를 중심으로」
    최지현 서울대 석사논문, 1994 [1940]
  • 「한국 아동문학 中興의 견인차-~1985(10년간) 등단 작가들」
    심후섭 『아동문학평 론』Vol31No.2, 韓國兒童文學硏究院, 2006 [1976]
  • 「표절 동시론」
    이오덕 『동시 그 시론과 문제성』, 한국아동문학가협회 [1975]
  • 「최근 아동문학 문단의 동향」
    『아동문학과 비평정신』, 창비 [2001]
  • 「초등학교 3학년 음악교과서의 시대적 고찰-가창을 중심으로」
    김경주 단국대학교 대학 원 석사논문 [2001]
  • 「초등교과서에 수록된 동요 동시의 현황과 특성-미군정기~3차 교육과정을 중심으 로」
    『아동청소년문학연구』11호, 한국아동청소년학회 [2013]
  • 「초등교과서 수록 동요 동시의 현황과 특징-4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아동청 소년문학연구』14호, 한국아동청소년학회 [2014]
  • 「초등 서정교육의 다성적 확장과 메타적 성찰」
    『초등문학교육의 담론과 아동문 학의 지평』, 한국문학사 [2008]
  • 「초등 문학교육 장르 용어의 통시적 고찰」
    권혁준 『아동청소년문학연구』, 한국아동청 소년문학학회 [2010]
  • 「초기 한국 문교정책의 교육이념 구성에 관한 교육사회학적 분석 」
    정미숙 『분단시대의 학교교육』, 푸른나무 [1989]
  • 「지배 이데올로기의 교과서 전유 양상 」
    조미숙 『한국문예비평연구』21집, 한국현대문 예비평학회 [2006]
  • 「정치사회적 조건에서 본 초등학교 음악교육내용의 변천」
    박정원 전남대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1993]
  • 「정전이란 무엇인가」
    이지호 『창비어린이』36호, 창비 [2012]
  • 「정전의 관점에서 본 문학작품 선정의 문제점과 과제」
    권혁준(Kwon, Hyug Jun) 『아동청소년문학연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2]
  • 「정전과 문학정전」
    라영균 『외국문학연구』제 7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0]
  • 「정전」
    J. Guillory 박찬부 역, 프랭크 랜트리키아 토마스 맥로프린 공편 , 정정호 외 공역, 『문학연구를 위한 비평용어 』, 한신문화사 [1996]
  • 「일제강점기의 동요동시론 연구-한국적 특성에 대한 고찰」
    『한국아동문학연구』 20집 [2011]
  • 「이원수와 70년대 아동문학의 전환」
    『한국아동문학의 쟁점』, 창비 [2010]
  • 「윤석중과 이원수」
    『아동청소년문학연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1]
  • 「윤석중(尹石重)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3]
  • 「어린이 잡지 『새벗』의 성격과 의의」
    장수경 『아동청소년문학연구』제 10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2]
  • 「아동청소년 문학의 정전과 권정생의 ‘한국전쟁 3부작’」
    김성진 『정전』, 역락 [2007]
  • 「아동문학과 천사주의」
    송완순 『아동문화』제 1권, 동지사 [1948]
  • 「아동문학 텍스트와 초등 문학교육」
    원종찬 ( Jong Chan Won ) 『문학교육학』 제 24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07]
  • 「새해의 동요운동-동심순화와 작가유도」
    신고송 『조선일보』 [1930]
  • 「반공주의와 국어교과서」
    『새국어교육』74호, 한국국어교육학회 [2006]
  • 「미군정의 교육 정책」
    이광호 『광복 전후사의 인식 2』, 한길사 [1985]
  • 「미군정기 이데올로기 갈등과 반공주의」
    정해구 역사문제연구소 편 , 『한국정치의 지배 이데올로기와 대항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1994]
  • 「문학교육의 문제점에 대하여」
    이상옥 『현대비평과 이론』3호, 한신문화사, 봄 [1992]
  • 「문학교육에서 정전과 학습자의 정서체험이 갖는 위계적 구조에 관한 연구」
    『문 학교육학』제 5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00]
  • 「문학교육과 정전 구성」
    유성호 『문학교육학』25집, 한국문학교육학회 [2008]
  • 「문학교육과 문학정전의 새로운 관계 맺기」
    박인기 『한국현대소설사의 정전 재구성과 문학교육』, 한국문학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07]
  • 「무서워하는 기차는 바보인가」
    김이구 『해묵은 동시를 던져 버리자』, 창비 [2014]
  • 「동요와 동시의 구분」
    박목월 『아동문학』 3집, 배영사 [1963]
  • 「동시의 경향」
    이원수 『아동문화』, 동지사아동원 [1948]
  • 「년대 한국아동문학전집 편찬과 정전화」
    『1970년대 아동문학장의 역동 성』,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4겨울학술대회 자료집, 2014 [1970]
  • 「근대 한국에서의 ‘단군민족주의’」
    정영훈 『한국민족운동사연구』29, 한국민족운동사학 회 [2001]
  • 「근대 창작 동요의 수용과 동심의 재구성」
    김수경 『청람어문교육』40집, 청람어문교육 학회 [2009]
  • 「근 현대 한국동요의 전개양상 연구- 『소년 기마대』를 중심으로」
    조성환 『民族文化論 叢』, 제 41집,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 「그리움과 희망을 노래하는 겨레의 동시인」
    김권호 『이원수와 한국 아동문학』, 창비 [2011]
  •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교과서의 구현 양상 」
    김예니 『국어 교과서와 국가 이데올 로기』, 글누림 [2007]
  • 「교수요목기의 초등음악교육에 관한 연구」
    신계휴 『교육논총』 제 25권 제 1호, 경인교 육대학교 [2005]
  • 「교과서 동요동시 정전화 연구-미군정기~교수요목기를 중심으로」
    『문학교육 학』45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14]
  • 「敎科書의 作品(詩)을 다루는 敎師들에게」
    이종기 『아동문학』11호, 배영사 [1965]
  • 「《兒評》 30주년 回顧와 展望 :《兒評》30周年의 長征을 되돌아보면서-最初의 史的 點檢」
    이재철 『아동문학평론』Vol31.No2, 한국아동문학연구원 [2006]
  • 「‘조선어독본’과 일제의 문화정치-제 4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독본』의 경 우」
    『조선어독본과 국어문화』, 제이엔씨 [2011]
  • 「~53 문교정책의 이념과 특성」
    정미숙 한준상 『해방전후사의 인식 4』, 한길사, 1989 [1948]
  • Nodelman, Perry, 『어린이문학의 즐거움 1~2』, 김서정 역
    시공주니어 [2001]
  • Anderson, Benedict, 『상상의 공동체』, 윤형숙 역
    나남출판 [2002]
  • Alastair Fowler, “Gener and the Literary Canon”, New Literary History, 1979.
  • : http://www
    강소천 누리집 kangsochun.com
  • 1960년대 아동문학의 분화와 위상 연구 : 아동소설을 중심으로
    장영미 성신여자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1960년대 아동문학 담론의 형성과 잡지『아동문학』
    이충일 『아동청소년문학연구』 11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2]
  • -1970년대 세계아동문학전집과 정전의 논리: 계몽사 소녀소녀계문학전집을 중심으로, 『아동청소년문학연구』제 11호
    최애순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2 [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