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1872년 郡縣地圖의 제작과 회화적 특징 : 全羅道地圖를 중심으로

김성희 2015년
논문상세정보
' 1872년 郡縣地圖의 제작과 회화적 특징 : 全羅道地圖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1872년 군현지도
  • 군현지도
  • 읍지
  • 장황
  • 화사군관
  • 화원
  • 회화식 지도
  • 흥선대원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6 0

0.0%

' 1872년 郡縣地圖의 제작과 회화적 특징 : 全羅道地圖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龍湖閒錄
    국사편찬위원회편, -1980 [1979]
  • 한국회화의 전통
    안휘준 문예출판사 [1988]
  • 한국회화사
    안휘준 일지사 [1980]
  •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자료총서Ⅰ『숙빈최씨자료집 4 山圖, 碑文』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 한국지도의 역사
    방동인 신구문화사 [2001]
  • 한국전통지리사상
    김연호 한국학술정보(주) [2010]
  • 한국의 옛지도
    양보경 『한국의 옛 지도-자료편』, 영남대학교박물관 [1998]
  • 한국의 옛지도
    문화재청 [2008]
  • 한국의 고지도
    이찬 범우사 [1991]
  • 한국역사연구회 조선시기사회사연구반, 『조선은 지방을 어떻게 지배했는가』
    아카넷 [2008]
  • 한국역사연구회 19세기정치사연구반, 『조선정치사 1800~1863』상 하
    청년사 [1990]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우리 국토에 새겨진 문화와 역사』
    논형 [2003]
  • 택리지의 풍수지리학적 연구
    오세창 『사회과학연구』11, 대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3]
  • 택리지
    이익성 이중환 을유문화사 [2011]
  • 진단학회, 『한국사-근세사후기편』
    을유문화사 [1965]
  • 조선후기 지방 파견 화원들과 그 제도, 그리고 이들의 지방 형상화
    이훈상 『동방학지』144,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8]
  • 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
    강관식 上, 下, 돌베개 [2001]
  • 조선후기 국토관과 천하관의 변화
    배우성 일지사 [1998]
  • 조선시대 조운제 연구
    김옥근 『경제학연구』29-1, 한국경제학회 [1981]
  • 조선시대 산도를 통해서 본 지리인식
    이형윤 대구카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박정혜 일지사 [2002]
  • 석파학술연구원, 『흥선대원군 사료휘편』1∼4권
    현음사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조선후기 지방지도-황해도편』
    민족문화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조선후기 지방지도-평안도편』
    민족문화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조선후기 지방지도-충청도편』
    민족문화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조선후기 지방지도-전라도편』
    민족문화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조선후기 지방지도-경상도편』
    민족문화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조선후기 지방지도-경기도편』
    민족문화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조선후기 지방지도-강원도, 함경도편』
    민족문화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
  • 부산 동래부 군현지도의 유형과 내용 분석
    김기혁 『한국민족문화』19 20, 부산대학교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2]
  • 민화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정병모 돌베개 [2012]
  • 대원군이 만든 459장의 보물지도 [DVD]
    KBS 영상사업단 편 [2001]
  • 대원군 집권기 부국강병정책 연구
    연갑수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 규장각도서의 변천과정에 대한 일연구
    신용하 『규장각』5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981]
  • 규장각 소장 <都城圖 >의 산세 표현
    김성희 『한국고지도연구』2-1,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0]
  • 규장각 명품도록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0]
  •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명유래집-충청편』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0]
  •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명유래집-중부편』
    국토지리정보원 [2008]
  •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명유래집-전라 제주편』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0]
  •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명유래집-경상편』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1]
  •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도학발달사』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09]
  • 국역 ?畢齋集Ⅲ
    金宗直 민족문화추진회 [1997]
  • 국역 ?畢齋集Ⅱ
    金宗直 민족문화추진회 [1996]
  • 국역 ?畢齋集Ⅰ
    金宗直 민족문화추진회 [1996]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32 조선후기의 정치』
    국사편찬위원회 [2013]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록산수화의 안료 분석
    유혜선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서화유물 도록』제4집, 국립중앙박물관 [2006]
  • 고종대 정치변동 연구
    연갑수 일지사 [2008]
  • 고종대 경복궁 중건의 정치적 의미
    홍순민 『서울학연구』29, 서울시립대학교부설 서울학연구소 [2007]
  • 고려, 조선초 국도풍수 연구
    장지연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개리 레드야드, 장상훈 역, 『한국 고지도의 역사』
    소나무 [2011]
  • 邑誌
    1-19, 아세아문화사, -1989 [1982]
  • 村山智順, 최길성 역, 『조선의 풍수』
    민음사 [1990]
  • 張風雷, 『中國靑綠山水』, 河南美術出版社, 1999.
  • 大院君 執政의 성격과 權力構造의 변화
    연갑수 『한국사론』27, 서울대학교 [1992]
  • 北學議
    박제가 을유문화사 [2011]
  • 『度支志』
    서울대학교규장각 [2005]
  • 『六典條例』『日省錄』『朝鮮王朝實錄』『世宗實錄地理志』『新增東國輿地勝覽』
    민족문화추진회 [1970]
  • 『흥선대원군 필첩』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2014]
  • 『화원: 조선시대 화원전』
    삼성미술관 리움 [2011]
  • 『한국회화사용어집』
    김정희 이성미 다홀미디어 [2010]
  • 『한국의 옛 지도』
    영남대학교박물관 [1998]
  • 『한국의 불화』
    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2000]
  • 『한국미술사 강의』
    유홍준 3, 눌와 [2013]
  • 『통영』
    국립진주박물관 [2013]
  • 『청록산수, 낙원을 그리다』
    국립중앙박물관 [2006]
  • 『진주성도』
    국립진주박물관 [2013]
  • 『조선후기의 기술도』
    김영식 정형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이태호 학고재 [1996]
  • 『조선의 도시, 권위와 상징의 공간』
    이기봉 새문사 [2008]
  • 『조선왕조의 관인』
    국립고궁박물관 [2009]
  •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
  • 『조선시대 휼형 사례집』
    임재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0]
  • 『조선시대 기록화의 세계』
    고려대학교 박물관 [2001]
  • 『조선시대 기록화 채색안료』
    서울역사박물관 [2009]
  • 『조선시대 그림속의 옛배』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0]
  • 『조선말기 회화전』
    삼성미술관 리움 [2006]
  • 『전북의 역사문물전 Ⅹ-임실』
    국립전주박물관 [2011]
  • 『이조의 민화』
    성문출판사 [1997]
  • 『우리 땅, 우리의 진경』
    국립춘천박물관 [2002]
  • 『문화재의 과학적 보존: 유물보존과 박물관환경관리』
    최광남 대원사 [2001]
  • 『문화재 다루기』
    이내옥 열화당 [2000]
  • 『문자도』
    유홍준 대원사 [1993]
  • 『땅의 마음』
    윤홍기 ㈜사이언스북스 [2011]
  • 『땅의 논리 인간의 논리』
    최창조 민음사 [1995]
  • 『국역 여지도서』
    1∼50, 디자인흐름 [2009]
  • 『국립중앙박물관한국서화유물도록 제14집』
    국립중앙박물관 [2006]
  • 『국립광주박물관 특별전 남도문화전 Ⅳ-순천』
    국립광주박물관 [2013]
  • 『국립광주박물관 남도문화전 Ⅲ-강진』
    국립광주박물관 [2012]
  • 『국립광주박물관 남도문화전 Ⅱ-광양』
    국립광주박물관 [2011]
  • 『輿地圖書』
    국사편찬위원회편 [1993]
  • 『花江邑誌』
    규장각자료총서 지리지편(강원도읍지 3), 서울대학교규장각 [1997]
  • 『經國大典』, 「禮典」(『譯註經國大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6]
  • 『牧民心書精選』
    정약용 현대실학사 [2004]
  • 『江原道邑誌』
    서울大學校奎章閣 [1997]
  • 『承政院日記日』
    영인본 38-39, 민족문화추진회 [1995]
  • 『奎章閣志』
    한국학술정보(주) [2011]
  • 『大典會通』, 「禮典」, 1865.
  • 『地理新法』
    韓國地理風俗誌叢書113, 경인문화사 [2000]
  • 『圖書關係書類綴』, 朝鮮總督府取調局編, 1911.
  • 『備邊司謄錄』
    영인본, 국사편찬위원회 [1960]
  • 『19세기 정치론 연구』
    김명숙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4]
  • 「흥선대원군의 개혁정치와 그 한계성」
    李玟洙 『동학연구』11, 한국동학학회 [2002]
  • 「화원의 형성과 직무 및 역할」
    홍선표 『화원-조선화원대전』, 삼성미술관Leeum [2011]
  • 「한국의 고지도와 회화」
    안휘준 『해동지도-해설?색인』,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5]
  • 「풍수서 『地理人子須知』산도의 지형표현 연구」
    성동환 이형윤 『한국지역지리학회지』16-1, 한국지역지리학회 [2010]
  • 「판화예술로 본 金正浩의 『大東輿地圖』, 『한국고지도연구』3-2
    이태호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1]
  • 「텍스트로서 풍수경관 읽기」
    권선정 『문화역사지리』21-1, (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 「지지 및 지도의 표현요소와 환경인식-조선 후기 영남지역의 군현지도를중심으로」
    이경미 『한국의 옛 지도』, 영남대학교박물관, 199
  • 「지류문화재의 보존처리」
    김성희 천주현 『박물관보존과학』, 국립중앙박물관 [2002]
  • 「조선후기 회화식 지도 연구-발달배경과 화풍을 중심으로-」
    정은주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 「조선후기 회화식 군현지도 연구」
    정은주 『문화역사지리』23-3,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1]
  • 「조선후기 통제영 화원 연구』, 『석당논총』39
    이현주 동아대석당학술원 [2007]
  • 「조선후기 중국서책의 구입과 장황의 변화」
    조계영 『한국문화』48,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
  • 「조선후기 장시발달과 사회?문화 생활변화」
    김대길 『정신문화연구』35-4,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 「조선후기 분첩식 대축척 전국지도의 제작과 조선도」
    蔣尙勳(Sang-Hoon Jang) 『문화역사지리』20-2,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8]
  • 「조선후기 방안식 군혀지도의 발달 연구: 『東國地圖三』을 중심으로」
    김기혁 『문화역사지리』19-1,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7]
  • 「조선후기 동래지역 화원 활동과 회화적 특징」
    이현주 『역사와 경계』83, 부산경남사학회 [2012]
  • 「조선후기 군현지도의 유형연구-동례부를 사례로」
    김기혁 『대한지리학회지』40-1, 대한지리학회 [2005]
  • 「조선후기 군현지도의 발달」
    양보경 『문화역사지리』7, 문화역사지리학회 [1995]
  • 「조선후기 군현지도에 재현된 공간인식과 공간의식」
    전종한 『문화역사지리』20-2, 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 박사
    「조선후기 경상도지역 화원 연구」
    이현주 동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조선총독부의 '조선도서 및 고문서'의 수집ㆍ분류 활동」
    이승일 『기록학연구』4, 한국기록학회 [2001]
  • 「조선중기 이후 회화의 채색안료 연구: 17∼20C 초상화, 장식화, 기록화를중심으로」
    문선영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조선시대의 지방지도-고종대 군현지도를 중심으로-」
    양보경 『조선시대 지방지도』,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5]
  • 「조선시대의 지도책」
    이찬 『한국의 전통지리사상』, 민음사 [1991]
  • 「조선시대의 도별지도」
    양보경 『측량』77, 대한측량협회 [2004]
  • 「조선시대 행정구역의 역사지리성:시대적 지역 특성」
    이성학 『논문집』36, 경북대학교 [1983]
  • 「조선시대 행정 문서의 어보, 관인, 서명」
    박준호 『조선왕조의 관인』, 국립고궁박물관 [2009]
  • 「조선시대 청록산수화의 개념과 유형」
    이수미 『국립중앙박물관한국서화유물도록 제14집』, 국립중앙박물관 [2006]
  • 「조선시대 전라감사의 출신 및 임용실태」
    이동희 『전라감영연구』, 전주역사박물관 전북대 전라문화연구소 [2008]
  • 「조선시대 관아의 입지와 좌향을 통해 본 부 읍의 조형논리 연구」
    임동일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 「조선시대 고서의 표지문양」
    남권희 『능화판』, 대원사 [2006]
  • 「조선시대 彩色材料에 관한 연구-의궤에 기록된 회화의 채색재료를 중심으로」
    신현옥 용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조선 후기의 왕실 태봉도」
    윤진영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대원사 [2005]
  • 「조선 후기의 왕릉도」
    이예성 『조선 왕실의 미술 문화』, 대원사 [2005]
  • 「전통시대의 지리학」
    양보경 『한국의 지리학과 지리학자』, 한울아카데미 [2001]
  • 「전라감영의 조직구조와 관찰사의 기능」
    이희권 『전라감영연구』, 전주역사박물관 전북대 전라문화연구소 [2008]
  • 「일제강점기에 전승된 開花形사찰지도-부산 범어사와 양산 통도사의 全景圖및 그 형식적 연원에 대하여」
    이태호 『한국고지도연구』2-2,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0]
  • 「이종범의 사림열전」
    이종범 김종직 : 경계인을 위한 변명④, 프레시안 년 9월 3일 기사 [2007]
  • 「영조을유기로연ㆍ경현당수작연도병 채색 재료 및 기법 분석」
    문선영 『문화재보존연구』제5집, 서울역사박물관 [2008]
  • 「여지도서의 성격과 도별 특성」
    변주승(Byun Ju-seung) 『한국사학보』25, 고려사학회 [2006]
  • 「여지도서에 게재된 읍지도에 관한 연구」
    노희방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0]
  • 「여지도서에 게재된 색지도에 관한 연구」
    노희방 『지리학과 지리교육』10, 서울대학교 [1980]
  • 「상징경관으로서의 고지도연구」
    양보경 『문화역사지리』21-1, 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 「삼군부의 복설과 역할」
    임재찬 『신라학연구』6, 위덕대학교부설 신라학연구소 [2002]
  • 「비변사의 정치적 기능」
    오종록 『조선정치사(1800-1863)』하, 청년사 [1990]
  • 「병인양요와 흥선대원군 정권의 대응 : 《巡撫營謄錄》을 중심으로」
    연갑수 『군사』33, 국방군사연구소 [1996]
  • 「백두대간의 의의와 시적 상상력 : 산경표와 백두대간」
    양보경 『시안』, 시안사 [2001]
  • 「민화, 민화 그리고 화사군관」
    이훈상 『한국민화연구소 국제학술세미나』1, 계명대학교 한국민화연구소 [2009]
  • 「문화?역사지리학에서 지역문화 연구의 동향과 과제」
    정치영 『정신문화연구』30-3,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 「대원군시기 사창제의 운영실태-충청도 청산현 사창문서 분석」
    송찬섭 『고문서연구』17-1, 한국고문서학회 [2000]
  • 「대원군 집권기 국방정책 : 지방포군의 증설을 중심으로」
    연갑수 『한국문화』20,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97]
  • 「근대 한국 동양화에 미친 서양화의 영향」
    이성미 『한국근대화 100년 ?21세기를 지향하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 「군현지도의 발달과 《해동지도》」
    양보경 『해동지도-해설?색인』, 서울대학교규장각 [1995]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관인 고찰」
    김정임 『조선왕조의 관인』, 국립고궁박물관 [2009]
  • 「고종대의 서원 철폐와 양반 유림의 대응」
    尹熙勉 『한국근현대사연구』10, 한국근현대사학회 [1999]
  • 「고종 초년 합설 의정부의 직능과 위상」
    홍순민 『한국역사연구회 제136회 공동연구발표회 자료집』, 한국역사연구회, , 11 [2014]
  • 「고문헌 보존관리의 현황과 과제-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서고 보존환경을중심으로 」
    권재철 『서울대학교 도서관보』133, 서울대학교 [2011]
  • 「경기도 고지도의 현황과 유형별 특징」
    오상학 『경기도의 옛지도』, 경기도 [2005]
  • 「개화기 구한말 서화계의 보수성과 근대성-1860년부터 년 사이 미술의 동향」
    유홍준 한국서예사특별전20『위창 오세창』, 예술의 전당, 2001 [1910]
  • 「朝鮮時代지도의 繪?性」
    이태호 『한국의 옛 地圖-자료편』, 영남대학교 박물관 [1998]
  • 「大院君의 保定府談草-吳汝綸對談記」
    성대경 『향토서울』40, 서울시편찬위원회 [1982]
  • 「大院君執政의 성격과 權力構造의 변화」
    연갑수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 「18세기 지리서?지도의 제작과 국가의 지방지배」
    양보경 『응용지리』20, 성신여자대학교한국지리연구소 [1997]
  • 「18세기 비변사지도의 고찰-규장각 소장 도별 군현지도집을 중심으로」
    양보경 『규장각』15, 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 [1992]
  • 「18세기 관찬지도 제작과 지리 인식」
    배우성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 「1899년 全國邑誌上送令과 읍지편찬 연구」
    정대영 『서지학보』38, 한국서지학회 [2011]
  • 「1872년 군현지도 제작의 배경」
    배우성 『조선후기 지방지도: 경기도편 해설색인』,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1872년 강원도지도의 회화적 표현방식-양양읍지도를 중심으로-」
    김성희 『한국고지도연구』4-1,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2]
  • “산경표의 문화지리학적 해석”
    김종혁 『문화역사지리』14-3,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2]
  • Max Loehr, Great Painters of China, PHAIDON, 1980.
  • 19세기 회화식 군현지도와 지방문화
    박은순 『한국고지도연구』1-1,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09]
  • 18세기 전국지리지 편찬과 지리지 인식의 변화
    배우성 『한국학보』22-4, 일지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