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몽 전래동화의 비교 연구 : 초등교과서의 전래동화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raditional Fairy tales between Korea and Mongolia : With a focus on the fairy tales introduc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논문상세정보
' 한·몽 전래동화의 비교 연구 : 초등교과서의 전래동화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raditional Fairy tales between Korea and Mongolia : With a focus on the fairy tales introduc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지혜' 이야기와 '금욕' 이야기의 서사구조 비교
  • 유형분류
  • 전래동화의 주제 분류
  • 한국과 몽골 초등교과서 전래동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7 0

0.0%

' 한·몽 전래동화의 비교 연구 : 초등교과서의 전래동화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raditional Fairy tales between Korea and Mongolia : With a focus on the fairy tales introduc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의 참고문헌

  • 한국전래동화의 윤리학적 탐구
    정대련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한국설화문학연구
    강은해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6]
  • 한국과 몽골 설화의 비교연구
    장장식 『비교민속학』제33집, 비교민 속학회 [2007]
  • 한국 전래동화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한선아 서울여자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3]
  • 한국 바보민담 연구
    김복순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강등학 월인 [2000]
  • 초등학교『몽골어』(1학년)~(5학년)
    올란바타르
  • 초등학교『국어-읽기-』(1-1)∼(6-2) 한국 교육과학기술부
    미래엔 [2012]
  • 초등학교『국어-듣기 말하기 쓰기-』(1-1)∼(6-2) 한국 교육과학기술부
    미래엔 [2012]
  • 쥬니어네이버 동화여행 http://study
    jr.naver.com/donghwa/categoryDonghwa.nhn?categoryId=3&ageTy pe=ALL
  • 역,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구스자브 이부영 집문당 [1964]
  • 센덴자빈 돌람; 이평래 역,『몽골 신화의 형상』
    태학사 [2007]
  • 설화·고소설 교육론
    최운식 민속원 [2002]
  • 문학교육론
    구인환 삼지원 [2007]
  • 몽고민담
    주채혁 정음사 [1984]
  • 동화나라 http://ani
    부키의 buki.co.kr/list_free.php?p=2&m=2&option=전래동화
  • 데.체렌소드놈; 이안나 역,『몽골의 설화』
    문학과 지성사 [2007]
  • 당군신화와 몽골게세르칸 서사시의 신화적 성격비교
    이선아 고려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전래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김기창 최운식 집문당 [2003]
  • 『전래동화 50』
    김용택 은하수미디어 [2013]
  • 『아동문학교육론』
    임원재 신원문화사 [2007]
  • 『설화학 강요』
    조희웅 새문사 [1988]
  • 『구비문학개설』(한글개정판)
    장덕순 일조각 [2006]
  • 『Утга зохиол шинжлэл』, МУБИС, УБ, 2006.
  • 「한국과 프랑스의 민담 유형 비교 연구」
    유미정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박사
  • 「한국과 몽골의 서사가 비교-신을 부르는 노래 몽골의 토올-」
    박소현 『민속원』 [2005]
  • 「한국 전래동화의 주제 특성과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초등학교 교과서 수록 전래동화를 중심으로-」
    고미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한국 전래동화에 반영된 가치와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
    김선배 아 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한국 전래동화 속의 인물, 동물표현에 관한 연구」
    백은희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한국 만주 몽골의 창세신화 변천의 의미」
    박종성 『구비문학연구』제11집, 한국구비문학회 [2000]
  • 「한국 동화의 환상성 연구」
    김명희 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한국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41호) [2009]
  • 「초등 국어교과서의 전래동화 연구-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정순주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창의 인성교육에 미치는 문인화의 영향에 관한 연구」
    김균옥 고려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전래동화의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용 양상 연구-제7차 교 육과정을 중심으로-」
    이형모 중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전래동화의 주제 연구-초등학교 국어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 으로-」
    김덕수 중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전래동화의 서사기능과 교재화 방안 연구」
    김동일 인천교육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99]
  • 「전래동화의 교재화 양상-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윤남 인천교육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박사
  • 「보은 설화 연구」
    김기옥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몽골 서사가(敍事歌)의 음악적 연구」
    박소현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모방담의 구조와 의미」
    서대석 『한국고전산문연구』, 동화문화사 [1981]
  • 박사
    「동물 전래동화의 주제 및 모티프 분석」
    강순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93]
  •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361호) [별책 5] [2011]
  • 「교과서에 수용된 전래동화의 교육적 의미-제7차 교육과정 국 어교과서를 중심으로-」
    전옥주 안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건국신화의 형성과 재편에 관한 연구-티벳 몽골 만주 한국 신 화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현설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 「Сургалтын төлөвлөгөө, хөтөлбөр, зөвлөмж」, Ерөнхий боловсролын 12 жилийн сургуулийн I∼Y анги, УБ, 2012.
  • 「Монгол улсын бага боловсролын стандарт」(MNS5420-2:2004), Стандартчилал, хэмжилзүйн Үндэсний төв, УБ, 2004.
  • 「Ерөнхий боловсролын сургуулийг 12 жилийн тогтолцоонд шилжүүлэх бодлого, төлөвлөлт, арга зам」, УБ, 2008.
  • 「Багшийн ном」,『Монгол хэл 5』, УБ, 2007.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시 안내」
    교육과정 연수회 자료 [2010]
  • Ш.Гаадамба,「Монгол ардын үлгэр」,『Аман зохиол судлал』XIY боть, УБ, 1987.
  • Х.Сампилдэндэв, Ш.Гаадамба,『Монгол аман зохиол』, УБ, 2006.
  • С.Дулам,『Монгол домогзүйн дүр』, УБ, 2009 . Л.Ловор,『Монгол туургатны аман зохиолын чуулган』, УБ, 2009.
  • Р.Чүлтэмсүрэн,『Монгол аман билиг』, УБ, 2009.
  • П.Хорлоо,『Монгол ардын явган үлгэр』, УБ, 1960.
  • Д.Жигзмаа(2012),「Агуйн мангасыг дарсан нь Солонгос үлгэр Монгол үлгэр туурвилаас эхтэй юу?」,『Монгол судлалын чуулган』, №12.
  • www.ulgerch.blogspot.com
  • D.마이달 N.츄르템; 김구산 역,『몽고문화사』
    동문선 [1991]
  • Amartaivan, Myagmar,「한국과 몽골의 문화 상징 비교 연구-설화에 등장하는 ‘십이지’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