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1910년대 최남선 잡지 서사의 근대적 가치 연구 = A Study on Modernity of Choi, Nam-Sun’s Speculative System

전용숙 2015년
논문상세정보
' 1910년대 최남선 잡지 서사의 근대적 가치 연구 = A Study on Modernity of Choi, Nam-Sun’s Speculative System'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양
  • 근대적 가치
  • 인간학
  • 잡지 서사
  • 최남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53 0

0.0%

' 1910년대 최남선 잡지 서사의 근대적 가치 연구 = A Study on Modernity of Choi, Nam-Sun’s Speculative System' 의 참고문헌

  • 협력과 저항
    김재용 서울: 소명출판 [2004]
  • 한문소설의 번역 및 개작 양상에 대한 연구 , 고전문학연구20
    권영민 한국고전문학 회, 141-168쪽 [2001]
  • 한국현대문학대사전
    권영민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박사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과정 연구
    조은숙 서울: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한국 아동문학 형성과정 연구 , 동북아 문화연구15
    원종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73-97쪽 [2008]
  • 한국 근대의 ‘소설’ 범주 형성에 관한 연구
    권보드래 서울: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00]
  • 한국 근대아동문학 형성과정 연구 , 국문학논집17
    신현득 경기: 단국대학교 국어국문 학과, 261-284쪽 [2000]
  •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매일신보
    이희정 서울: 소명출판 [2008]
  • 한국 근대소설과 교양의 이념
    황종연 서울: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한국 근대 신문 연재소설 연구
    민병덕 서울: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 한국 근대 소설의 형성 과정
    김성준 서울: 소명출판 [2005]
  • 풍기혁신론
    최남선 청춘14호, 16-29쪽 [1918]
  • 편, 청춘 제1호~제15호, 1914.10~1918.9
    최남선 영인본 태학사 [1980]
  • 편, 붉은저고리・아이들보이・새별, 한국아동문학 총서 1, 역락.(최남선 편, 붉 은져고리, 1913.1~6, 아이들보이, 1913.9~1914.10
    원종찬 새별, 1913.9~1915.1.) [2010]
  • 캔터베리 이야기-인간의 선택, 결과 및 해결의 이야기 , 서강영문학3
    이승복 서강 영문학회, 13-43쪽 [1991]
  • 친일반역자의 길 , 현대사연구3
    김성준 한국현대사연구회, 255-275쪽 [1993]
  • 최남선의 청춘 연구-근대 재현의 양상을 중심으로
    홍진석 경북: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최남선의 잡지 발간과 초기 근대문학의 재편 , 大東文化硏究45
    한기형 서울: 성균관 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21-260쪽 [2004]
  • 최남선의 자조론 번역과 중역된 ‘자조’의 의미 , 어문연구65
    김남이 어문연구학회, 239-270쪽 [2010]
  • 최남선의 역사학
    이영화 서울: 경인문화사 [2003]
  • 최남선의 신화 연구와 문학의 관련 양상 , 한국현대문학연구22
    조윤정 한국현대문학 회, 39-73쪽 [2007]
  • 최남선의 시문독본 연구-근대적 글쓰기의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 문학연구23
    김지영 한국현대문학회, 83-129쪽 [2007]
  • 최남선의 글쓰기와 근대 기획 연구
    문성환 인천: 인천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최남선의 근대적 글쓰기와 민족담론 연구
    윤영실 서울: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09]
  • 최남선의 계몽의 기획과 글쓰기 연구 , 한민족어문학57
    송기한 한민족어문학회, 421-446쪽 [2010]
  • 최남선의 『시문독본』연구 : 근대적 독본의 성격과 위상을 중심으로 , 과학과 문화3
    구자황 청주: 서원대학교 미래창조연구소, 1-12쪽 [2006]
  • 최남선의 ‘만몽’ 인식과 제국의 욕망 , 역사비평76
    강해수 역사문제연구소, 58-89쪽 [2006]
  • 최남선 연구
    류시현 서울: 역사비평사 [2009]
  • 최남선 시가의 근대성에 관한 연구 , 민족문학사연구13
    서영채 민족문학사학회, 236-279쪽 [1998]
  • 박사
    조선광문회 연구
    장병극 서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잡지의 서적 광고와 내면화된 근대-청춘과 개벽을 중심으로 , 상허학보 16
    김한식 상허학회, 119-152쪽 [2006]
  • 잡지 소년에 수록된 고시조와 최남선의 창작 시조에 대한 연속적 고찰 , 한 국시가연구32
    김윤희 한국시가학회, 289-320쪽 [2012]
  • 잡지 소년과 국민문화의 형성 , 한국현대문학연구21
    조윤정 한국현대문학회, 9-44 쪽 [2007]
  • 임화 신문학사
    임규찬 경기: 한길사 [1993]
  • 육당 최남선
    조용만 서울: 삼중당 [1963]
  • 옮김, 문학론
    문성환 서울: 경인문화사 [2013]
  • 온달(溫達)의 주제적 수용 양상과 의의 , 동방학31
    박종호 충남: 한서대학교 동양고전 연구소, 269-297쪽 [2014]
  • 열하일기 연구
    김명호 경기: 창작과 비평사 [1990]
  • 연암의 주체의식과 세계인식 , 동양학국제학술회의논문집
    임형택 서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81-100쪽 [1985]
  • 엮음, 칸트사전, 이신철 역
    구로사키 마사오 서울: 도서출판 b [2009]
  • 역사의식 부재의 사서 읽기와 회고적 감정에 대한 비판 , 어문연구38-2
    엄기영 한국 어문교육연구회, 271-292쪽 [2010]
  • 안데르센 동화의 한역소고 , 아동문학평론11-1
    윤희자 한국아동문학연구원, 155-164 쪽 [1986]
  • 아첨의 영웅주의
    서영채 서울: 소명출판 [2011]
  • 아이들보이의 아동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연구 , 한국아동문학연구22
    권혁준 한국아 동문학학회, 5-60쪽 [2012]
  • 실학파의 문학 , 연암연구
    이우성 대구: 계명대출판부 [1984]
  • 신채호, 근대의 경계에 선 작가 , 인문과학연구38
    양진오 대구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73-84쪽 [2012]
  • 신채호 문학에서의 혁명 개념 연구, 국어교육연구52
    양진오 국어교육학회, 413-442 쪽 [2013]
  • 신문관의 ‘문화운동’ 연구
    권두연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신문관 최남선・강담사 야간청치(野間淸治) 연구 - 한국・일본 근대화기 두 출 판인의 생애와 사상
    고정일 서울: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신문관 번역소설전집, 박진영 편
    최남선 서울: 소명출판 [2010]
  • 신문관 번역소설전집
    박진영 서울: 소명출판 [2010]
  • 신문관 간행<육전소설>연구 , 고전문학연구11
    이주영 한국고전문학회, 423-442쪽 [1996]
  • 박사
    신문관 간행 판소리계 소설의 개작 양상
    이태화 서울: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3]
  • 신문관 간행 육전소설에 대한 연구 , 한민족어문학57
    최호석 한민족어문학회, 131-160쪽 [2010]
  • 시민의 탄생
    송호근 서울: 민음사 [2013]
  • 시문독본(1916), 근대독본총서 1
    최남선 서울: 경진 [2009]
  • 스위프트, 걸리버 여행기, 신현철 역
    조나단 경기: 문학수첩 [1992]
  • 솔거와 그 시대 , 경주문화연구
    정병모 경북: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131-154쪽 [2002]
  • 소년과 청춘의 창-잡지를 통해 본 근대 초기의 일상성
    권보드래 서울: 이화여 자대학교출판부 [2007]
  • 소년 제1년 제1권~제4년 제2권, 1908.11~1911.5
    최남선 영인본 현대사 [1980]
  • 세계문학의 탄생과 청춘의 문학적 기획 , 우리말글59
    전용숙 우리말글학회, 397-423쪽 [2013]
  • 세계문학과 국민문학은 공존할 수 있을까? , 고교 독서평설 12월호
    이현우 서울: 지 학사, 78-81쪽 [2008]
  • 서라미, 개화기 아동잡지 《소년》연구-문명과 민족 담론을 중심으로
    서울: 서울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빅토르 위고, 레미제라블1, 김은희 역
    서울: 금성출판사 [1982]
  • 번역과 번안의 시대
    박진영 서울: 소명출판 [2011]
  • 번역가로서의 최남선 , 외국문학연구35
    김욱동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문학연 구소, 49-68쪽 [2009]
  • 버드내 유역의 구비설화1
    김균태 충남: 금산문화원 [2007]
  • 박지은 동화의 문학적 성취:동화의 본질 탐색 논의를 기반으로 , 한국아동문학 연구19
    한명숙 한국아동문학학회, 69-105쪽 [2010]
  • 박지원 문학 연구
    김명호 서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1]
  • 문화, 문화과학, 문화공동체로서의 ‘민족’-최남선 ‘단군학’을 중심으로 , 대동문 화연구47
    김현주 서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21-247쪽 [2004]
  • 문학의 시대적 수용-일제시대의 최남선과 이광수의 경우 , 새국어교육32
    김병택 한 국국어교육학회, 116-129쪽 [1980]
  • 문학의 가치 , 대한흥학보 11호, 이광수 전집 1
    이광수 서울: 삼중당, 545-547쪽 [1910]
  • 문학양식을 통한 최남선의 근대 기획 , 어문학122
    전용숙 한국어문학회, 599-621쪽 [2013]
  • 무정에 나타난 ‘사랑’과 ‘주체’의 근대성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26
    김지영 한국문학 이론과 비평학회, 79-109쪽 [2005]
  • 만몽문화(滿蒙文化)의 친일적 해석과 제국 국민의 창출 , 한민족어문학47
    곽은희 한 민족어문학회, 243-278쪽 [2005]
  • 루이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 , 레닌과 철학, 이진수 역
    서울: 백의 [1997]
  • 동화적 상상력과 근대문학의 성립-최남선을 중심으로 , 인문학 연구32-1
    남기택 충 남: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25-44쪽 [2005]
  • 대중의 계보학
    김성일 서울: 이매진 [2014]
  • 다니엘 데포의 생애와 문학 , 로빈슨 크루소, 다니엘 데포
    박석기 서울: 자유교양사 [1993]
  • 나의 할아버지 육당 최남선
    최학주 경기: 나남 [2011]
  • 나오끼, 육당 최남선 문학 연구
    요시무라 충남: 충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나가미네 시게토시, 독서국민의 탄생, 다지마 데쓰오․송태욱 역
    서울: 푸른역사 [2010]
  • 금오신화에 투영된 김시습의 내면의식 , 교육이론과 실천8-1
    이원수 경남: 경남대 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57-167쪽 [1998]
  • 근대한국학연구소 기초학문연구팀, 한국 근대 서사양식의 발생 및 전개와 매체의 역할
    연세대 서울: 소명출판 [2005]
  • 근대한국의 민족운동과 그 사상
    김경태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4]
  • 근대초기 현상공모 일고찰-잡지 《청춘》을 중심으로 , 반교어문연구18
    김미정 반교 어문학회, 151-181쪽 [2005]
  • 근대잡지와 근대문학형성의 제도적 연관 , 大東文化硏究48
    한기형 서울: 성균관대학 교 대동문화연구원, 33-71쪽 [2004]
  • 근대의 특권화를 넘어서
    김흥규 경기: 창비 [2013]
  • 근대의 의미론 , 개념과 소통9
    박근갑 강원: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117-147쪽 [2012]
  • 근대계몽기 서사문학에서 민족국가의 상상력과 매체의 상관성 , 현대문학의 연 구23
    최현식 한국문학연구학회, 163-197쪽 [2004]
  • 근대 초기 매체의 세계 인식과 문학사 , 한민족어문학5
    박승희 한민족어문학회, 75-98쪽 [2008]
  • 구전설화연구
    최인학 서울: 새문사 [1994]
  • 교육적 관점에서 본 그림형제의 동화 , 독일어문학15
    김정철 한국독일어문학회, 23-47쪽 [2001]
  • 교육인간학의 성격과 의미:교육학적 인간학과 인간학적 교육학을 중심으로 , 교 육문화연구10
    최종인 인천: 인하대학교교육연구소, 413-433쪽 [2004]
  • 광문전승에 나타난 형상화의 양상 , 한민족문화연구41
    강현모 한민족문화학회, 139-165쪽 [2012]
  • 과농소초, 최홍규 역
    박지원 경기: 아세아문화사 [1987]
  • 고전의 근대적 재생산과 최남선의 국한문체 글쓰기-조선광문회고백 검토 , 민 족문학사연구44
    임규찬 민족문학사학회, 514-547쪽 [2009]
  • 고전의 근대적 재생산과 최남선의 국한문체 글쓰기-조선광문회고백 검토 , 민 족문학사연구44
    임상석 민족문학사학회, 514-547쪽 [2009]
  • 고시조 수용작업과 근대전환기의 문학인식
    윤설희 서울: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계급/민족, 자본주의 , 현대사상12
    양종근 현대사상연구소, 171-186쪽 [2013]
  • 게오르그 가다머, 진리와 방법, 이길우 외 역
    한스 경기: 문학동네 [2000]
  • 가토 히사다케 외 엮음, 헤겔사전, 이신철 역
    서울: 도서출판 b [2009]
  • 朝鮮後期傳의 小說的性向硏究
    박희병 서울: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 朝鮮光文會에 對하여 우리 소년 讀者列位의 熱烈한 贊成을 求함
    최남선 소년 제4 년 제2권 [1910]
  • ‘이야기꾼’으로 본 <민옹전>의 ‘민옹’ , 구비문학연구8
    황인덕 한국구비문학회, 67-98 쪽 [1999]
  • ‘옛이야기’의 환상적 함의와 어린이 ‘독자/청중’의 ‘환상성’에 대한 문화적 재규정 , 현대문학의 연구39
    최기숙 한국문학연구학회, 549-586쪽 [2009]
  • ‘옛 것’의 근대적 소환과 ‘옛 글’의 근대적 재배치 , 민족문학사연구34
    최기숙 민족문 학사학회, 304-335쪽 [2007]
  • ‘수성지’의 3단 구성과 그 의미 , 한국한문학연구13
    윤주필 한국한문학회, 45-79쪽 [1990]
  • Werner Faulstich, 근대 초기 매체의 역사-매체로 본 지배와 반란의 사회 문화사
    서 울: 지식의 풍경 [2007]
  • Walter Benjamin, 『아케이드 프로젝트』
    서울: 새물결 출판사 [2005]
  • Terry Eagleton, 문학이론입문, 김현수 역
    경기: 인간사랑 [1983]
  • Terry Eagleton, 美學思想, 방대원 역
    경기: 한신문화사 [1995]
  • Taylor, 『근대의 사회적 상상: 경제 공론장 인민 주권』, 이상길 역
    Charles R. 서울: 이 음 [2010]
  • Shmuel Noah Eisenstadt(1966), Modernization: protest and change, New Jersey, USA: Prentice-Hall.
  • Raymond Williams, 시골과 도시, 이현석 옮김
    경기: 나남 [2013]
  • Marshall McLuhan, 미디어의 이해, 김상호 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Jacques Ranciere, 감성의 분할: 미학과 정치, 오윤성 역
    서울: 도서출판b [2008]
  • Homi Bhabha(1990), Nation and Narration, New York, USA: Routledge.
  • Gy rgy Luk cs, 소설의 이론, 반성완 역
    서울: 심설당 [1985]
  • Enrique Dussel, 1492년 타자의 은폐: ‘근대성 신화’의 기원을 찾아서, 박병규 역
    서울: 그린비 [2011]
  • Dirlik, Arif(2007), Global Modernity: modernity in the age of global capitalism, Virginia, USA: Paradigm Publishers.
  • Dietrich schwanitz, 교양: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인성기 외 역
    경기: 들녘 [2007]
  • Benedict Anderson, 상상의 공동체, 윤형숙 역
    경기: 나남 [2002]
  • Aesop, 정본 이솝 우화, 권미선 역
    경기: 창비 [2009]
  • 20세기 초 잡지 《소년》에 나타난 소년의 정체성, 정신문화연구31
    권희영 한국학중 앙연구원, 363-387쪽 [2008]
  • 1910년대, 국역의 양상과 한문고전의 형성 , 사이間SAI8
    임규찬 국제한국문학문화학 회, 63-88쪽 [2010]
  • 1910년대 한국문학과 근대성
    김복순 서울: 소명출판 [1999]
  • 1910년대 잡지와 근대단편소설의 형성 , 배달말36
    양문규 배달말학회, 135-161쪽 [2005]
  • 1910년대 잡지 새별 연구 , 한국아동문학연구22
    박영기 한국아동문학학회, 89-121 쪽 [2012]
  • 1910년대 아이들 독서물 연구 - <신문관>발행 정기간행물을 중심으로
    구인서 서울: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1910년대 아동문학 연구
    정혜원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1910년대 아동 신문 붉은져고리 연구, 한국근대문학연구4(2)
    조은숙 한국근대문학 회, 101-135쪽 [2003]
  • 1910년대 신문의 역할과 근대소설의 정착 과정 , 현대문학의 연구25
    김성준 한국문학 연구학회, 261-300쪽 [2005]
  • 박사
    1910년대 신문관의 문학 기획과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
    이경현 서울: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1910년대 번안소설 연구
    전은경 대구: 경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1900년대 신문, 잡지 미디어와 근대 소설의 탄생 , 현대문학의 연구23
    양문규 현대문 학연구학회, 199-229쪽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