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불교의 시간과 영원 : 설일체유부와 유식학파를 중심으로

이은영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이은영
    • 기타서명 focusing on Sarvāstivādins and Yogācāras
    • 형태사항 삽화: 26 cm: iii, 170 p.
    • 일반주기 지도교수: 허우성,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p. 163-168
    • 학위논문사항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 2015. 2, 학위논문(박사)-, 철학과 동양철학 전공
    • DDC 100, 22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0)

' 불교의 시간과 영원 : 설일체유부와 유식학파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핫토리 마사아키 저, 이만 역, 《인식과 초월》
    서울: 민족사 [1991]
  • 타니 타다시 저, 권서용 역, 《무상의 철학》
    부산: 산지니 [2008]
  • 크리슈난 저, 이거룡 역, 《인도철학사》 1
    라다 서울: 한길사 [1996]
  • 카지야마 유이치 저, 권오민 역, 《인도불교철학》
    서울: 민족사 [1990]
  • 저, 묘주 역, 《유식철학》
    고우이츠 요코야마 서울: 경서원 [2004]
  • 유식무경, 유식 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한자경 서울: 예문서원 [2000]
  • 유가행파 문헌에 있어서 열반의 종류에 관한 연구
    최종남 《불교학연구》 32호, 불교학연구 회, 2012년 8월. [2012]
  • 연구〉, 《학술원논문집: 인문사회과학편》 제16집
    고형곤 신화엄론 대한민국학술원 [1977]
  • 역해, 《우파니샤드》
    김세현 서울: 동서문화사 [2012]
  • 역, 《초기 부파불교의 역사》
    고타츠 권오민 후지타 서울: 민족사 [1989]
  • 역, 《인도불교사》 2권
    라모뜨 호진 서울: 시공사 [2006]
  • 역, 《밀린다 팡하(Milindapa ha)》, 서울: 동국역경원
    서경수 (개정판) [2005]
  • 엘리아데 저, 이재실 역, 《이미지와 상징》
    미르치아 서울: 까치 [1998]
  • 아우구스티누스 저, 최정선 역, 《참회록》, 서울: 지성문화사
    년(중판) [1989]
  • 시바 저, 박인성 역, 《유식사상과 현상학》
    하루히데 서울: 도서출판b [2014]
  • 시대별 유심사상의 전개와 변용
    최종남 《고려 제종교장 학술조사 2차 보고회 자료집》, 고 려대장경연구소 교장프로젝트팀, 2014년 4월. [2014]
  • 시간의 철학적 성찰
    소광희 서울: 문예출판사 [2003]
  • 슌페이 저, 정호영 역, 《아비달마의 철학》
    사쿠라베 우에야마 하지메 서울: 민족사 [1989]
  • 세이분 저, 박인성 역, 《유식삼십송 풀이》
    후카우라 서울: 운주사 [2012]
  • 사이구사 미쯔요시 저, 송인숙 역, 《세친의 삶과 사상》
    서울: 불교시대사 [1993]
  • 뿔리간드라 저, 이지수 역, 《인도철학》
    서울: 민족사 [1991]
  • 불전해설사전
    정승석 서울: 민족사 [1989]
  • 불교의 시간론
    방인 《哲學》 제49집, 한국철학회, 1996년 12월. [1996]
  • 바가바드기타
    길희성 서울: 현음사 [1988]
  • 다케무라 마키오 저, 정승석 역, 《유식의 구조》
    서울: 민족사 [1989]
  • 龍樹 造, 鳩摩羅什 譯, 《中論》, 《大正新修大藏經》 30권. (김성철 역, 《중론》
    서울: 경서원 [1993]
  • 龍樹 造, 青目 釋, 鳩摩羅什 譯, 《中論》
    《大正新修大藏經》 30권
  • 雲井昭善, 〈輪廻と無我について〉, 《印度學佛教學研究》 2卷 2号, 東京: 日本印度学仏教学会, 1954.
  • 里見泰穏, 〈仏教の時間否定について〉, 《印度学仏教学研究》, 9卷 1号, 東京: 日本印度学仏教 学会, 1961.
  • 谷貞志, 《刹那滅の硏究》, 東京: 春秋社, 2000.
  • 護法 등 造, 玄奘 譯, 《成唯識論》, 《大正新修大藏經》 31권. (김묘주 역주, 《성유식론 외》, 서울: 동국역경원
    개정판.) [2008]
  • 衆賢 造, 玄奘 譯, 《阿毘達磨順正理論》
    《大正新修大藏經》 29권
  • 藤謙敬, 〈印度佛教における時間論の一考察〉, 《印度學佛教學研究》 2卷 1号. 東京: 日本印度 学仏教学会, 1953.
  • 維祇難 등 譯, 《法句經》
    《大正新修大藏經》 4권
  • 窺基, 《成唯識論述記》, 《大正新修大藏經》 43권. (김윤수 편역, 《주석 성유식론》
    광주: 한산암 [2006]
  • 福原亮嚴, 〈毘曇と瑜伽との時間論〉, 《印度学仏教学研究》 4卷 1号, 東京: 日本印度学仏教学 会, 1956.
  • 田端哲哉, 〈三世実有の原文について〉, 《印度学仏教学研究》 28卷 1号. 東京: 日本印度学仏教 学会, 1979.
  • 玄奘 譯, 《解深密經》
    《大正新修大藏經》 16권
  • 無性 造, 玄奘 譯, 《攝大乘論釋》
    《大正新修大藏經》 31권
  • 法顯 譯, 《大般涅槃經》
    《大正新修大藏經》 1권
  • 求那跋陀羅 譯, 《雜阿含經》
    《大正新修大藏經》 2권
  • 普光, 《俱舍論記》
    《大正新修大藏經》 41권
  • 平川彰 梶山雄一 高崎直道 편, 이만 역, 《유식사상》
    서울: 경서원 [1993]
  • 實叉難陀 譯, 《大方廣佛華嚴經》
    《大正新修大藏經》 10권
  • 安慧 造, 玄奘 譯, 《大乘阿毗達磨雜集論》
    《大正新修大藏經》 31권
  • 宇野智行, 〈ジャイナ教文献に現れるkālavādin〉, 《印度学仏教学研究》 51卷 2号, 東京: 日本 印度学仏教学会, 2003.
  • 向井亮, 〈《瑜伽論》に於ける過去未来実有論に就いて〉, 《印度学仏教学研究》, 20卷 2号, 東京: 日本印度学仏教学会, 1972.
  • 加藤宏道, 〈三世実有と法体恒有〉, 《印度学仏教学研究》 38卷 2号, 東京: 日本印度学仏教学会, 1990.
  • 僧伽提婆 譯, 《中阿含經》
    《大正新修大藏經》 1권
  • 佛陀耶舍 竺佛念 譯, 《長阿含經》
    《大正新修大藏經》 1권
  • 佐佐木現順, 《佛敎に於ける時間論の硏究》, 東京: 淸水弘文堂, 1974.
  • 五百大阿羅漢 등 造, 玄奘 譯, 《阿毘達磨大毘婆沙論》
    《大正新修大藏經》 27권
  • 世親 造, 玄奘 譯, 《阿毘達磨俱舍論》, 《大正新修大藏經》 29권. (권오민 역, 《아비달마구사론》 1-4
    서울: 동국역경원 [2002]
  • 世親 造, 玄奘 譯, 《唯識二十論》
    《大正新修大藏經》 31권
  • 世親 造, 玄奘 譯, 《唯識三十論頌》
    《大正新修大藏經》 31권
  • 三枝充悳 편, 김재천 역, 《존재론 시간론》
    서울: 불교시대사 [1995]
  • 《인도철학사》
    이병욱 서울: 민음사 [2004]
  • 《원효사상연구 2》
    이기영 서울: 한국불교연구원 [2001]
  • 《아비달마불교》
    권오민 서울: 민족사 [2003]
  • 《시간론》
    김규영 서울: 서강대학교출판부 [1980]
  • 《선의 세계》,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고형곤 (개정 번역판) [2006]
  • 《불성론 연구》
    최현민 서울: 운주사 [2011]
  • 《불교의 물질과 시간론》
    오형근 서울: 유가사상사 [1994]
  • 《불교의 무아론》
    한자경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6]
  • 〈티베트어 역 《해심밀경》 〈blo gras yaṅs pa〉 장 한글역〉, 중앙승가대학교 교수 논 문집 제10집
    최종남 중앙승가대학교 [2003]
  • 〈초기경전에 나타난 망상(papa ca)에 대한 일고찰〉, 《불교학연구》 13호
    윤희조 불교학연구 회, 년 4월 [2006]
  • 〈초기경전에 나타나는 궁극 목표에 관한 고찰〉, 《불교학연구》 19호
    임승택 불교학연구회, 년 4월 [2008]
  • 〈중론에 의한 시간의 본질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성환 동국대학교 대학원, 년 2월 [1987]
  • 〈인도철학에 있어서 불교의 시간관 고찰〉, 《동국사상》 23집
    임경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1990]
  • 〈인도철학사상에 나타난 시간관〉, 석사학위논문
    김영 동국대학교 대학원, 년 2월 [1982]
  • 〈용수의 시간론〉, 《학술원논문집: 인문사회과학편》 제32집
    김규영 대한민국학술원, 년 12월 [1993]
  • 〈소광섭 교수의 불교와 시간〉 1-9, 《법보신문》
    소광섭 년 2월 18일~6월 23일 연재 [2008]
  • 〈불교의 시간론〉, 《불교학보》 제29집
    오형근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92]
  • 〈불교의 시간관〉, 《사회 비평》 제21호
    이종철 서울: 나남, 년 8월 [1999]
  • 〈불교의 두 주요 개념인 진여와 윤회의 시간론적 해석〉, 《존재론 연구》, 제26집
    정은해 한국 하이데거학회, 년 10월 [2011]
  • 〈불교와 데리다의 연기(緣起), 연기 (延期)와 시간관〉, 《동서비교문학저널》 2호
    이명섭 한국 동서비교문학학회, 년 12월 [1999]
  • 〈불교시간론〉, 《동국사상》 9집
    한상연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1976]
  • 〈멸진정과 두 가지 열반이론〉, 《불교학연구》 11호
    최종남 불교학연구회, 년 8월 [2005]
  • 〈들뢰즈와 불교의 시간론〉, 《동서비교문학저널》 16호
    오현숙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년 6월 [2007]
  • 〈두 가지 해탈의 의미에 대한 고찰〉, 《불교학연구》 14호
    정준영 불교학연구회, 년 8월 [2006]
  • 〈두 가지 열반에 대한 서구적 해석〉, 《불교평론》 19호
    최종남 만해사상실천선양회, 년 6월 [2004]
  • 〈깨달음의 근거와 실현의 원리〉, 《백련불교논집》 제7집
    김묘주 성철선사상연구원 [1997]
  • 〈구원학적 측면에서 본 초기인도불교의 열반〉, 《남아시아연구》 16권 1호
    황순일 한국외국어 대학교 남아시아연구소, 년 6월 [2010]
  • 〈경량부의 삼세실유설 비판〉, 《한국불교학》 11권
    권오민 한국불교학회, 년 12월 [1986]
  • 〈《대승광백론석론》에 나타나는 시간론의 현대적 의의〉, 석사학위논문
    오태봉 위덕대학교 대 학원, 년 2월 [2003]
  • Willams, Paul., Mahāyā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New York: Routledge, (폴 윌리엄스 저, 조환기 역, 《대승불교》
    서울: 시공사, 2000.) [1989]
  • Velleman, J. David, “So it goes”, The Amherst Lecture in Philosophy Lecture 1, <www.amherstlecture.org/velleman2006/>, 2006.
  • Time in Indian Philosophy
    최종남 Delhi: Sri Satguru Pulbications [1992]
  • Theragāthā (PTS ed.)
  • The Conception of Buddhist Nirvāṇa,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 (체르바츠키 저, 연암종서 역, 《열반의 개념》
    최종남 서울: 경서원, 1994.) [1989]
  • Suttanipāta (PTS ed.) (전재성 역, 《숫타니파타》, 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개정본.) [2005]
  • Stcherbatsky, Theodore, The central conception of buddhism and the meaning of the word ‘Dharma’, Motilal Banarsidass Publishe, (체르바츠키 저, 권오민 역, 《소승불교개론》
    서울: 경서원, 1986.) [1922]
  • Saṃyutta Nikāya (PTS ed.) (전재성 역, 《쌍윳따니까야》 1-3
    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1999]
  • Prasad, Hari Shankar(ed.), Essays on Time in Buddhism,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1.
  • Nanananda, Concept and Reality in Early Buddhist Thought, Kandy: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냐냐난다 저, 아눌라 역, 《위빠사나 명상의 열쇠 빠빤차》
    서울: 한언, 2006.) [1971]
  • Miyamoto, S.(宮本正尊), “Time and Eternity in Buddhism”,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XXVII 2, Oxford University Press, 1959.
  • Mansfield, Victor. “Time in Madhyamika Buddhism and Modern Physics”, The Pacific World: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uddhist Studies 11&12, Berkeley: Numata Center for Buddhist Translation & Research, 1996.
  • Majjhima Nikāya (PTS ed.) (전재성 역, 《맛지마 니까야》 1-5
    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3]
  • Lancaster, Lewis R., “Discussion of time in Mahayana texts”, Philosophy East and West 24.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74.
  • Koller, John M., “On Buddhist views of devouring time”, Philosophy East and West 24,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74.
  • Kalupahana, David J., “The Buddhist conception of time and temporality”, Philosophy East and West 24,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74.
  • Dīgha Nikāya (PTS ed.) (각묵 역, 《디가니까야》 1-3
    울산: 초기불전연구원 [2006]
  • Coomaraswamy, A. K., “Time and Eternity”, Artibus Asiae Supplementum, Vol. 8, Ascona: Artibus Asiae Publishers, 1947.
  • Buddhist logic, New York: Dover publications, (체르바츠키 저, 임옥균 역, 《불교논리학》 1-2
    최종남 서울: 경서원, 1995.) [1962]
  • Brown, Jason W., “Microgenesis and Buddhism: the concept of momentariness”, Philosophy East and West 49,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9.
  • Bareau Andre, “The Notion of Time in Early Buddhism”, Philosophy East and West 7,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57.
  • Balslev, Anindita Niyogi, A Study of Time in Indian Philosophy , Wiesbaden: Otto Harrassowits, 1983.
  • <열반개념의 변화와 불교윤리>, 《철학논구》 제30집
    박정록 서울대학교 철학과, 년 12월 [2002]
  • (전재성 역, 《쌍윳따니까야》 6-9
    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1]
  • (전재성 역, 《쌍윳따니까야》 4-5
    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0]
  • (전재성 역, 《쌍윳따니까야》 10-11
    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