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근대 이후 한국 사회변동에 따른 무용문화에 관한 연구

김고운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김고운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dance culture during the changes in Korean society since modern times
    • 형태사항 26 cm: 삽화: ⅴ, 175 p.
    • 일반주기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윤미라, 참고문헌: p. 168-171
    • 학위논문사항 2015. 2, 학위논문(박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 공연예술학과 무용학 전공
    • DDC 658.4, 22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 주제어 무용문화 사회변동
    유사주제 논문( 47)
' 근대 이후 한국 사회변동에 따른 무용문화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무용문화
  • 사회변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9 0

0.0%

' 근대 이후 한국 사회변동에 따른 무용문화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현대무용작품에 나타난 문화적 성향 연구
    이정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08]
  • 한일강제병합 100년 기념출판 박도 엮음 일제 강점기 1910-1945
    눈빛출판사 [2010]
  • 박사
    한국창작무용의 변천에 관한 고찰
    조정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5]
  • 한국연극사
    이두현 보성문화사 [1973]
  • 한국사
    경북대 서울 : 삼화출판사 [2014]
  • 한국사
    도면회 비상교육 [2012]
  • 한국문화사
    국사학과학연구실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4]
  • 한국무용문화의 전통적 과제
    姜理文 부산여자대학교 논문집. p54 [1982]
  •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기사연리포트
    서울: 민중사 [1987]
  • 한국 현대미술의 반성. 민족미술협의회
    김윤수 한겨례. p16 [1988]
  • 한국 신무용의 사적 위상에 관한 고찰
    김운희 이화여대졸업논문 [1991]
  • 한국 신무용 형성의 문제점
    정병호 중앙문화 제11집. p111 [1976]
  • 한국 사회변동에 따른 춤 문화 변천 연구
    김무철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1]
  • 한국 무용 비평의 흐름과 평문에 관한 분석
    민현주 경희대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00]
  • 한국 근대예술의 성립과 그 발전. 성신여대출판부유민영 (1993). 근대무용의 기점에 대하여
    유민영 이론과 한국미래춤학회 연구논문집. p189-193 [1984]
  • 편집부 동아원색 세계대백과사전 제 21권
    동아출판사 [1983]
  • 친기업주의와 한국경제
    홍종학 「기억과 전망」19호 [2009]
  • 춤의 격상, 지지부진한 예술성- 80년대 춤의 예비적 진단
    김채현 무용저널. p27 [1990]
  •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이행기 한국 춤의 전개양상
    송기숙 송방송 조규익 도서출판 보고사 [2013]
  • 일제하 무용평문연구 1920-1945
    마복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 일제강점기 권번과 기생의 전통춤 연구
    성기숙 한국민속학회 2001년 추계 학술대회(제155차 학술발표대회). p1 [2001]
  • 월북문인연구
    권영민 문학사상사 [1989]
  • 예술의 근대성. 한국 근대예술의 성립과 그 발전
    김열규 서울: 성신여대출판부 [1984]
  • 예술사회학의 전개
    양건열 미진사 [1990]
  • 예술 춤의 위기와 전망
    김태원 서울: 현대미학사 [2004]
  • 예술 사회학과 예술, 인문학, 사회과학 사이의 가교
    베라 L. 졸버그 나남출판 [2000]
  • 예술 사회학
    김영수 살림출판사 [1989]
  • 연표로 보는 한국사 & 한국 근 현대사
    정해영 문예마당 [2007]
  • 역사학연구소 함께 보는 한국근현대사
    서해문집 [2004]
  • 역사의 흐름을 통한 한국무용사
    이영란 스포츠북스 [2011]
  • 박사
  • 시대별 뉴스가치 변화에 대한 고찰: <민청학련사건과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최문기 언론정보대학원 언론매체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0]
  • 방일영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총서 우리 무용 100년
  • 미학의 기초와 그 이론의 변천
    강대석 서광사 [1990]
  • 미군정의 점령정책과 국가기구의 형성
    李正馥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편,「韓國의 現代政治1945-1948」.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
  • 문화주의 예술론의 미술관
    김진송 가나아트 [1993]
  • 문화란 무엇인가
    유태용 학연문화사 [1999]
  • 무용시와 무용극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내재된 문학적 구조와 관련하여
    김나영 이화여대졸업논문 [1993]
  • 기녀 및 교방춤에 대한 사적 고찰
    성기숙 한국무용연구 연구논문집. p63 [1993]
  • 근대미술 형성기의 예술의식
    김진송 가나아트 [1992]
  • 궁중무 그 주역들- 기녀사회 궁중무의 지도자
    김천흥 춤. pp36-37 [1977]
  • 군사안보와 자주국방외교
    이춘근 나남출판사 [1993]
  • 구한말- 일제강점기
    박윤식 도서출판 휘선 [2011]
  • 광복 이전의 한국적 현대무용의 변천과정
    김복희 대한무용학회 19집. p142 [1996]
  • 박사
  • 개화기 대중예술의 꽃, 기생
    김영희 민속원 [2006]
  • Pitirim Sorokin, Social and Cultuaral Dynamics, Vol. Ⅰ, Fluctuations of Forms of Art (American Book, 1937).
  • Kottak, C. P. Anthropology: The Exploration of Human Diversity, McGraw-Hill, New York, 1994.
  • John H. Mueller, The American Symphony Orchestra : A Social History of Musical Taste(Bloominngton, Ind : Indiana University Press, 1951).
  • James G Frazer, The Golden Bough (London, 1894), and his Totemism (London, 1898).
  • Intertextuality 관점에서 진도 북춤의 창출과정
    박진희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제72권 1호. p.101~115 [2014]
  • Hugh D. Duncan, 「Sociology of Art, Literature and Music: Social Context of Symbolic Experience」, in H. Becker and A. Boskoff, Modern Sociological Theory in Continuity and Change (New york:, 1957), p.482~97.
  • Horacekallen, Art and Freedom(New york: Duell Sloan and Pearce,1942), Ⅱ, 568.
  • Hippolyte Taine,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New york::Henry Holt, 1886), Ⅰ, 30.
  • Herbert Spencer,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New york: Appleton, 1882), Ⅱ, 629f.
  • Harry Levin, 「Literature as an Institution」: in Mark Shorer et al.(eds), Criticism-The Foundations of Modern Literary Judgment (New york: Harcourt, Brace, 1948), p.546.
  • Ernst Grosse, The Beginnings of Art(New York: Appleton, 1914), p.311.
  • Dennison J. Nash, The American Composer(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54); and 「The Socialization of an Artist: The American Composer」Social Forces, XXXV(1957), 307~313.
  • Charles Lalo, 「La Science generale de lart」, Journal de Psychologie 25 (1928), 193~ 227; "Methodes et objects de l'esthetique sociologique," Revue Internationale de Philosophie 3(1949): 5~42.
  • Bernard S. Myers, Art and Civilization (New York, 1957), p.198.
  • Arnold, Matthew (1869⦗1960⦘). Culture and Anarchy. Lond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p.6.
  • Alphons Silbermann, 「Introduction : A Definition of the Sociology of Art」, International Social Science Journal 20, 4(1968) : 586.
  • Alexander (2003). “Sociology of the Arts, Blackwell Publishing.”
  • 1980년대 우리 춤의 양상과 한계
    강미선 이예순 논문집 18호 한국체육대학. p112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