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중 계사구문의 유형론적 대조 연구 = ATypological-Contrastive Study on Copula Construction in Korean and Chinese

Tan, Na-na 2015년
논문상세정보
' 한중 계사구문의 유형론적 대조 연구 = ATypological-Contrastive Study on Copula Construction in Korean and Chinese'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pula
  • copula construction
  • ellipsis
  • semantic function
  • syntactic distribution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80 0

0.0%

' 한중 계사구문의 유형론적 대조 연구 = ATypological-Contrastive Study on Copula Construction in Korean and Chinese' 의 참고문헌

  • 한국어와 중국어 계사구문의 대조 연구-통사적 분포 와 의미 기능 확장을 중심으로-
    남길임 탄나나 「외국어로서의 한국 교육」38, 253-278쪽,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2012]
  •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이선웅 월인 [2012]
  • 한국어 명사 연구
    정희정 한국문화사 [2000]
  • 프랑스어와 한국어 계사구문의 유형론적 대조 연구, 학술원 논문집 49집, 29-89쪽
    학술원
  • 표준중등말본
    정인승 어문각 [1949]
  • 지정사 활용의 형태음운론
    배주채 「국어학」37, 33-59쪽, 국어학 회 [2001]
  • 일언, “지정사구문과 존재구문의 화용론적 비교고찰”, 「中國 朝鮮語 文」 86호, 12-15쪽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1996]
  • 이다의 형태 통사 의미 범주
    한정한 「국어국문학」151, 117-1 49쪽 [2009]
  • 우리말본
    최 현배 정음사 [1937]
  • 신편고등국어문법
    정렬모 한글문화사 [1946]
  • 술어 명사 사전과 ‘-이다’ 술어명사 구문의 기술
    홍재성 <제 6회 국 제 한국어 학술 대회 논문집> [1997]
  • 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
    문금현 국어학회 [1999]
  • 국어문법론 연구
    김 민수 통문관 [1960]
  • 국어문법
    서정수 수정 증보판, 한국문화사 [1994]
  • 국어 분열문에 관한 연구
    임규홍 「어문학」제 48집, 155-175쪽 [1986]
  • 계사의 개념공간과 의미지도
    한국 언어유형론 연구회 창립 기념 연구발표회 발표 논문, 77-87쪽
  • 黎锦熙(1924,2000),《新著国语文法》, 商务印书馆.
  • 黄南松(1997), 省略和语篇,《语文研究》62期.
  • 黄伯荣 廖序东(1991,2002),《现代汉语》, 高等教育出版社.
  • 韦世林(1993), “是”字句、独语句魅力的逻辑解析, 《云南师范大学学报》第6期.
  • 陈天福(1995), 论‘是’字文, 河南大学学报 第1期.
  • 陆俭明(1999), “这是---和这个是---”《语言教学与研究》, 1999年第2期.
  • 阮畅(2007), 系词研究综述, 《唐山学院学报》.
  • 金樱(2009), 汉语存在句在韩语中的对应形式, 东北师范大学硕士学位论文.
  • 郑蔓威(2001), 现代汉语“是”字句, 黑龙江大学硕士学位论文.
  • 赵元任(1968, 1979),《汉语口语语法》,商务印书馆.
  • 谢永玲(1999), 也说“是”字句,《北京印刷学院学报》第2期.
  • 范晓(2007), 关于汉语存在句的界定和分类问题,《语言研究集刊》(第四辑).
  • 胡裕树(2004),《现代汉语》(重订本), 上海教育出版社.
  • 肖亚曼(2003), 汉语繁词‘是’的来源与成因研究, 四川大学博士学位论文.
  • 石綿敏雄․高田誠 저, 오미영 역 『대조언어학』
    제이앤씨 [1990]
  • 石毓智∙李讷(2001), 《汉语语法化的历程》, 北京: 北京大学出版社.
  • 石定栩(2003), 理论语法与汉语教学-从“是”的句法功能谈起, 《世界汉语教学》 第2期.
  • 王红旗(2010), “是”字句的话语功能, 《语文研究》第3期.
  • 王洁(2004), 试论省略动词的体词谓语句,《柳州职业技术学院学报》,第4卷 第2 期.
  • 王奇∙刘林(2003) 英汉分裂句对比初探,《阜阳师范学院学报》(社会科学版) 总第 93期.
  • 王力(1937), 中国文法中的系词,《清华学报》第12卷 第1期.
  • 温锁林∙郝蕾(1995), 体词谓语句的范围, 《山西大学学报》1995(3).
  • 杨琳(1993), 汉语系词研究评议, 《烟台大学学报》(哲学社会科学).
  • 朱德熙(1978), “的”字结构和判断句,《中国语文》 1978年 第1期-第2期.
  • 曾常红∙李桂群(2006),“是”字句研究综述,《湖南科技学院学报》 第27卷 第10期.
  • 方梅(1991), 具有提示作用的“是”字句,《中国语文》第5期.
  • 情态确认型“是”字构式中“是”的语义功能,《北京大学学报》(哲学 社会科学版)第44卷 第2期.
  • 徐希明(2000), 现代汉语“是”字句研究, 复旦大学博士论文.
  • 张静(1963), 从“是……的”结构看语法单位的同一性和示差性,《郑州大学学报》 第3期.
  • 张豫峰(2006),《现代汉语句子研究》, 学林出版社.
  • 张庆文(2004), 现代汉语名词谓语句的句法语义分析, 北京语言大学硕士研究生 学位论文.
  • 张和友(2006),聚焦式“是”字句的句法、语义特点,《语言教学与研究》2006年 第 1期.
  • 姚亚平(1981), “是”字词性辨,《江西大学学报》第4期.
  • 周洪波(1992), 表判断‘是’字句的语义类型, 安徽教育学院学报 44期 51-55.
  • 周国正(2008), “是”的真正身份—论述记号 –“是”的句法、语义、语用功能的综 合诠释,《语文研究》 107期.
  • 吴正基(2003),体词谓语句研究说略,《上海大学学报》(社会科学版)第10卷第2期.
  • 吕叔湘(1979),『汉语语法分析问题』,商务印书馆
  • 刘相臣(2004),“是…的”“的是”格式中“是”“的”的性质和用法探讨, 《语文学刊》 2004年 第2期.
  • 刘月华 等 (2003), 《实用现代汉语语法》, 商务印书館.
  • 刘文正(2009), “是”的词性归属,《长江学术》第2期.
  • 冯春田(1985), 从王充的<论衡>看有关系词“是”的问题,《两汉汉语研究 山东教 育出版社》.
  • 倪兰(2002), “是……的”结构话语功能, 《语文学刊》2002年第3期.
  • 侯丹(2012), 汉语存在句研究综述, 东北师范大学硕士学位论文.
  • 丰烨(2009), “是”的语义类别研究,华东师范大学硕士学位论文.
  • 丁广华(2003),浅析汉语分裂句中的“是”,《芜湖职业技术学院学报》,2008年第10 卷第2期.
  • 丁声树(1961),《现代汉语语法讲话》, 北京商务印书馆.
  • 「현대국어 ‘이다’의 문법적 처리 ‘아니다’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송창선 「어문학」98, 121-157쪽 [2007]
  • 「현대 국어 통사론」
    태학사
  • 「현대 국어 ‘이다’ 구문 연구」
    한국문화사
  •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안주호 한국문화사 [1998]
  • 「한⦁일어 대조분석」
    역락
  • 「표준국어문법론」
    남기심 제3판, 탑출판사 [2011]
  • 「초등국어문법」
    이희승 박문출판사 [1949]
  • 「국어 의미 분석론」
    한국문화사
  • 「국어 문법론1」
    임홍빈 장소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5]
  • 「계사론」
    김광해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 논문집」, 보진재 [1983]
  • 「‘있다’의 어희 의미와 통사」
    국어학회
  • 《中国现代语法》, 商务印书馆.
  • “현대중국어‘是’구문의 구조와 특성”
    송민용 고려대학교 석사 논문 [2006]
  • “한국어 계사 연구의 쟁점.”
    한국어 계사 ‘-(이)다’의 쟁점 워 크숍, 1-4쪽
  • “한⦁일어 대조 연구의 어제와 오늘”
    「이중언어학」제22호, 49-89쪽, 이중언어학회
  • “지정의 문법 범주”
    김기혁 「이중언어학」17, 77-95쪽, 이중언어학 회 [2000]
  • “지정사 이다”
    「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 “중국어 繫辭 ‘是’의 起源과 再分析”
    양세욱 「중국문학」47, 131-1 53쪽 [2006]
  • “정체 밝힘의 형용사‘이다’문제와 연어”
    「어문학 연구의 넓 이와 깊이」, 도서출판 역
  • “의미지도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요소와 문법요소의 의미기 술”
    「국어학」63집, 459-519쪽, 국어학회
  • “어간 형성 접미사의 설정에 대하여”
    고창수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1985]
  • “슈타센(Stassen,L.), Intransitive Predication”
    「형태 론」14권1호, 135-152쪽, 도서출판 박이정 [1997]
  • “말뭉치 기반 국어 분열문 연구”
    「형태론」8권 2호, 339-3 60쪽
  • “국어의 통사적 어형성”
    「국어학」, 22집, 259-269쪽, 국어 학회
  • “국어의 계사 ‘-이’ 연구”
    강미석 경희대학교 석사 논문 [2008]
  • “국어 품사 분류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임홍빈 「국어 연구의 이론과 실제」, 태학사 [2001]
  • “국어 지정문과 존재문의 상관성”
    「한글」271, 한글학회. 5 1-76쪽, 한글학회
  • “국어 분열문의 통사구조”
    「제27회 한말연구학회 전국학술 대회」77-96쪽
  • “계사 유형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 ‘(시작)이다/(유명)하다’의 정체”
    「사학과 언어학」19, 99-125쪽, 사학과언어학회
  • “계사 유형론과 한국어 ‘이다’의 정체성”
    박진호 2005년 세종전자사 전 ‘이다’ 워크샵 [2005]
  • “韓國語 문법 체계에서의 ‘이다’의 正體性: 기능동사 擁護論”
    목정수 「어문연구」132, 55-81쪽,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 “繫辭 ‘이다’ 問題의 再考”
    박정기 「어문논문」99호, 100-125쪽 [1998]
  • “國語에 있어서의 準自立語에 對하여”
    강복수 「청구대논문집」7, 1 -10쪽, 靑丘大學 [1964]
  • “國語 形容詞{이-}의 語彙素 分類 試稿 -‘確認, 屬性, 所在, 提示 等’의 意味를 中心으로-”
    임근석 「어문연구」37, 133-158 쪽,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 “不完全名詞+{하(다), 이(다)}에 대한 生成論的 分析”
    성광수 「어문 논집」17, 283-301쪽,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 [1976]
  • “‘이다’의 문법범주와 의미”
    「국어학」37, 337-366쪽, 국어 학회
  • “‘이다’를 機能動詞로 分析해야 하는 이유 몇 가지”
    「어문연 구」제35권 제4호, 7-27쪽,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이다’구문의 한 유형-양태 구문으로서의 ‘이다’ 구문 연구”
    「한글」259, 171-198쪽, 한글학회
  • “‘이다’구문과 통사적 접사설을 다시 논의함”
    「한국어학」28 집, 55-80쪽, 한국어학회
  • “‘이다’ 처리의 논쟁사”
    「주시경학보」13집, 3-13쪽
  • “‘예정이다’류 구문 연구”
    「한국어학」22, 69-94쪽, 한국어 학회
  • “‘아니다’의 사용패턴과 부정의 의미”
    「한국어 의미학」 32 집, 1-28쪽, 한국어 의미학회
  • “‘부사+이다’ 구문에 대한 연구 -‘그만이다’류를 중심 으로-”
    김선혜 최정도 「국제어문」제46집, 133-164쪽, 국제어문 학회 [1999]
  • “‘是’자의 번역에 대하여”
    최흥수 「중국조선어문」56호, 49-52쪽,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1991]
  • “‘-이다’ 구문의 통사적 분석”
    남기심 「한불 연구」7, 연세대 [1986]
  • “‘-는 법이다’류의 양태표현 연구”
    「국어학」44, 185-210 쪽, 국어학회
  • “<이다>의 文法範疇에 대한 고찰”
    이종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9]
  • ‘행위성 명사+이다’ 구문의 통사론적 분석
    박소영 「생성분법 연 구」22, 391-416 [2012]
  • ‘하다’동사 형성의 몇 문제
    김창섭 「冠嶽語文硏究」22, 247-267 쪽, 서술대 [1995]
  • ‘이다’의 용법과 사전기술
    남길임 「한국사전학」제2호, 247-273 쪽, 한국사전학회 [2003]
  • 박사
  • ‘이다’ 연구의 사적 고찰
    이광정 「국어문법연구」, 역락(1994, 2003) [1994]
  • ‘이다’ 구문의 통사구조와 {이}의 문법적 지위
    박철우 「한국어학」 33, 235-263 [2006]
  • ‘이다’ 구문의 제시문적 성격
    임동훈 「국어학」45, 119-144쪽, 국 어학회 [2005]
  • ‘이다’ 구문과 재구조화
    양정석 「한글」232, 337-366쪽, 한글학회 [1996]
  • ‘이’의 문법적 성격 재고찰
    안명철 「국어학」25, 29-49쪽, 국어학 회 [1995]
  • ‘것이다’ 구문에 관하여
    신선경 「국어학」23, 119-158쪽, 국어학 회 [1993]
  • ‘-이다’의 범주적 성격: 중국어 ‘是’와의 대조를 중심으로-
    董磊 한 림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석사논문 [2005]
  • ‘-이-’의 삭제와 생략
    이승재 「주시경 학보」13, 14-28쪽, 주시 경연구소 [1994]
  • ‘-이(다)’의 ‘-이-’가 접사인 몇 가지 이유
    시정곤 「주시경학보」11집, 143-149쪽 [1993]
  • Whaley저| 김기혁 역 『언어유형론』
    Lindsay J. 소통 [2008]
  • The Korean Copula and Palatalization
    오미라 「어학연구」27- 4호, 서울대 어학연구소 [1991]
  • Stig Johansson.(2002), Contrastive Linguistics and Corpora, Reports fro m the project Languages in Contrast.
  • Stassen, L.(1997), Intransitive Predication, Oxford; Clarendon Press.
  • Shiao Wei Tham.(2008), The semantic category of the subject NP in Mandarin specificational copular sentences. J East Asian Lingui st(2008) 17:61-82.
  • Pustet.(2003), Copulas-Universals in the Categorization of the Lexicon. Oxford University Press.
  • P.Collins.(1991), Cleft and Pseudo-cleft Constructions in English, Boutl edge.
  • Michael Barlow.(2011), Corpus Linguistics and theoretical linguistics, In ternational Journal of Corpus Linguistics 16, 3-44.
  • Matthew S. Dryer(2007), Clause types, In Timothy Shopen (ed.), Langu age Tyoplogy and Syntactic Dsecription(Second edition), Volum e 1.
  • Martin Haspelmath.(2010), Comparative concepts and descriptive categ ories in crosslinguistic studies, Language, Volume 86, 663-68 7.
  • Lyons, J.(1977). Semantics. Cambridge etc.: Cambridge University Pres s.
  • Li and Thompson(1977), A mechanism for the development of copula morphemes, in Li (1977), 419-444.
  • Jack Feuillet.(2006), Introduction la typologie linguistique, Paris, Cha mpion, coll. Biblioth que de grammaire et de linguistique
  • Higgins, F. Roger.(1979) The Pseudo-cleft Construction in English. Ph D. thesis, Cambridge, MA: MIT. Published by Garland Press, New York.
  • Hengeveld, K.(1992), Non-verbal Predication. Berlin, New York: Mouto n de Gruyter.
  • FangqiongZhan and Chaofen Sun(2013), A Copula Analysis of shi in th e Chinese Cleft Construction, LANGUAGE AND LINGUISTICS 14.4: 755-789.
  • Dixon(2002), Copula Clause in Australian Language: A Typological Per spective, Anthropological 44:1
  • Den Dikken, M.(2006), Specificational Copular Sentences and Pseudocl efts, In Everaert, M. and van Riemsdijk, H, eds., The Blackwel l Companion to Syntax, vol. IV, Malden, MA/Oxford: Blackwell Publishing.
  • Declerck, Renaat.(1988), Studies on Copular Sentences, Clefts and Pse udoclefts. Dordrecht: Foris.
  • Crystal, D.(1980), A First Dictionary of Linguistics and Phoentics. Lon don: Deutsch.
  • Croft, W.(1991), Syntactic Categories and Grammatical Relationas. Chic ago, Lond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Comire,(1997), Aspect: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Verbal Aspect and Related Problems. Cambridge Universtity Press.
  • (1989, 2000), 《汉语语法史》, 北京商务印书馆.
  • 汉语对比焦点的句法表现手段,《中国语文》1995(4).
  • 《现代汉语八百词》, 商务印书馆.
  • 《汉语语法纲要》, 上海教育出版社.
  • 《朱德熙文集 第一卷》<语法讲义>, 商务印书馆.
  • “中国文法中的系词”,《王力语言学论文集》,375-474, 商务印书 馆.
  • Mandarin Chinese. A Functional Reference Gr ammar. Berkeley et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