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영사가사 연구 = ?史歌詞硏究

손대현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영사가사 연구 = ?史歌詞硏究'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미적거리
  • 서술방식
  • 세덕가류
  • 역대가류
  • 영사가사
  • 유형
  • 지향의식
  • 한양가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41 0

0.0%

' 영사가사 연구 = ?史歌詞硏究' 의 참고문헌

  • 「「임진년 노래」 考-「漢陽五百年歌」와의 關係를 中心으로」, 開新語文硏究 14
    강윤정 개신어문학회 [1997]
  • 「「海東萬古歌」에 대하여」, 文脈 6
    김문기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1978]
  • 「「海東漫話」 考」, 국어국문학 55~57
    홍재휴 국어국문학회 [1972]
  • 「「東國曆代歌」의 作者 摸索」, 東方學志 54,55,56
    강전섭 연세대학교 국학연구 원 [1987]
  • 「歷代歌類攷」, 語文論集 1
    정재호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 [1966]
  • 「歷代世年歌 硏究-「東國世年歌」를 통해 본 鮮初 館閣文學의 한 局面」, 東 方漢文學 14
    진재교 동방한문학회 [1998]
  • 「한양가의 형상화 양상 고찰」, 동남어문논집 13
    김보경 동남어문학회 [2001]
  • 「한양가의 작가의식」, 우리문학연구 3
    최래옥 우리문학연구회 [1979]
  • 「한말 '민족'의 탄생과 민족주의 담론의 창출-민족주의 역사서술을 중심으 로」, 동양정치사상사 5-1
    김현숙 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5]
  • 「한국 근대 역사소설의 형성과 전개 : 매체를 통한 역사담론의 생산과 근 대적 역사소설 양식에 관한 통시적 고찰」
    이승윤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조선유학의 ‘道統’ 의식과 九曲圖」, 역사와 경계 61
    조규희 부산경남사학회 [2006]
  • 「조선 후기 역사소설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소고」, 洌上古典硏究 10
    권혁래 열 상고전연구회 [1997]
  • 「조선 후기 붕당정치의 역사적 의의-정당정치에의 원용가능성에 대한 시론 적 고찰」, 사회사상과 문화 19
    이재룡 동양사회사상학회 [2009]
  • 「조선 후기 붕당・사림정치론의 재검토」, 역사학연구 34
    이희환 호남사학회 [2008]
  • 「이순신의 소설적 형상화에 대한 통시적 연구」, 민족문학사연구 35
    장경남 민족 문학사학회 [2007]
  • 「이순신 담론 연구1-근․현대 역사가사를 중심으로」, 한국 근대문학의 실증 과 방법
    박태일 소명출판 [2004]
  • 「이본대조를 통한 <한양가>의 텍스트확정 문제-박순호 본 <漢陽五百年歌> 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10
    정영문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2012]
  • 「이광수의 단종애사 연구-어린 임금의 인물화와 춘원의 전회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20
    박숙자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6]
  • 「이광수 후반기 문학의 민족 담론의 양가성」, 語文學 97
    김경미 한국어문학회 [2007]
  • 「이광수 문학의 민족주의 담론의 양가성 연구」
    김경미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이광수 단종애사 연구」, 대중서사연구 7(1)
    이호규 대중서사학회 [2002]
  • 「유씨삼대록의 죽음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한국문화 39
    한길연 서울대학교 규 장각 한국학연구원 [2007]
  • 「우리나라 가계기록의 세 가지 유형」, 洌上古典硏究 34
    윤현숙 열상고전연구회 [2011]
  • 박사
  • 「영사악부의 춘추대의적 연구 : 신라소재의 반복적 모티브를 중심으로」
    엄원대 경 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영사악부류 창작 동인과 작가의 세계관 : 왕조 교체기 선비의 절의를 중 심으로」, 淵民學志 2
    신장섭 연민학회 [1994]
  • 「역대전리가에 나타난 구결에 대하여」, 語文論集 19 20
    박병채 고려대학교국어 국문학연구회 [1977]
  • 「역대전리가(歷代轉理歌)의 진위(眞僞)고」, 東方學志 36․37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3]
  • 「역대가에 관한 고찰」, 우해 이병선박사 회갑기념논총
    최두식 동간행위원회 [1987]
  • 「셰덕가 小攷」, 홍익어문 5
    김용준 홍익대학교 국어교육과 홍익어문연구회 [1986]
  • 「백두대간 속리산권 구곡동천 문화의 인문학적 가치와 의미」, 南冥學 18
    정우락 남명학연구원 [2013]
  • 「방각본 「한양가」 연구」, 洌上古典硏究 39
    이윤석 열상고전연구회 [2014]
  • 「박순호 소장 <궁즁도회가>의 자료적 가치와 의미」, 국어국문학 157
    조규익 국 어국문학회 [2011]
  • 「문화기억과 기억융합으로서의 아리랑」, 한국민요학 39
    권오경 한국민요학회 [2013]
  • 「문명번역으로서의 전고와 <만고가>」, 우리文學硏究 37
    김용철 우리문학연구 회 [2002]
  • 「명청교체기 동북아 질서와 조선 지배층의 대응」, 역사와현실 37
    한국역 사연구회 [2000]
  • 「단종과 세조에 대한 역사소설의 검토-세조의 찬탈을 찬양한 이광수와 김 동인의 친일 역사관」, 역사비평 18
    정두희 역사문제연구소 [1992]
  • 「기속시의 성격과 조선후기의 양상」, 東方漢文學 33
    김명순 동방한문학회 [1994]
  • 「근대 한국의 탈중화주의」, 오늘의동양사상 15
    김문식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6]
  • 「그림으로 기록한 가문의 역사-조선시대 ≪풍산김씨세전서화첩≫ 연구」, 정신문화연구 29-2
    박정혜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 「국권상실기를 전후로 한 번역 및 번안 소설의 변모 양상-서술 방법의 변 화를 중심으로」, 國際語文 49
    문한별 국제어문학회 [2010]
  • 「공신선정과 전쟁평가를 통한 임진왜란 기억의 형성」, 역사와 현실 51
    노영구 한국역사연구회 [2004]
  • 「격랑의 역사에 대한 연극적 대응-황봉룡론」, 한국극예술연구 11
    김재석 한국 극예술학회 [2000]
  • 「가사문학 이본의 처리와 주석 대상 작품의 확정 방안-「한양가(漢陽歌)」를 예로 하여」, 한국문학연구 25
    최강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2]
  • 「龜溪 朴履和의 歌辭攷」, 한국시가문학논고
    정익섭 전남대학교 출판부 [1989]
  • 「高山七曲 園林과 高山七曲詩 연구」, 退溪學과 韓國文化 47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0]
  • 「韓國 詠史詩의 장르論的 硏究 : 高麗 後期 朝鮮 前期 作品을 中心으로」
    이택동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雩岡의 「漢陽歌」 考」, 국어국문학연구 6
    청구대학 국어국문학과 [1962]
  • 「詩ㆍ書에서 드러나는 화양동 ‘非禮不動’의 崖刻과 煥章菴의 건립」, 開新 語文硏究 28
    김용남 개신어문학회 [2008]
  • 「詠史類歌辭 硏究-閨房歌辭를 中心으로」, 女性 問題硏究 14
    권영철 박혜숙 장성진 홍경표 효성여자대학교 부설 한국여성문제연구소 [1985]
  • 「詠史詩의 槪念과 작품의 實相」, 東方漢文學 37
    김영숙 동방한문학회 [2008]
  • 「詠史樂府의 褒貶性 考察」, 大東漢文學 7
    대동한문학회 [1995]
  • 「詠史樂府를 通해 본 朝鮮後期 士大夫의 節義觀」, 竹夫이지형敎授定年退職 紀念論叢
    백원철 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6]
  • 「白湖 尹鑴의 시문학」, 한국한시작가연구 11
    박수천 한국한시학회 [2007]
  • 「申得淸의 「歷代轉理歌」 攷」, 師大論文集 31
    이동영 부산대학교 [1995]
  • 「王朝 漢陽歌의 異本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32
    국어국문학회 [1966]
  • 「漢陽歌 硏究」
    최강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64]
  • 「漢陽歌 硏究-作者 意識을 中心으로」, 韓南語文學 12
    정기철 한남대학교 국어 국문학회 [1986]
  • 「漢陽歌 硏究-作者 意識을 中心으로」
    정기철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漢陽 都邑에 대한 文學的 形象化의 두 方向」, 문학 작품에 나타난 서울의 형상
    한국고전문학회 [1994]
  • 「洋谷 陳復昌의 「歷代歌」 摸索」, 東方學志 62
    강전섭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 [1989]
  • 「朝鮮時代 詠史樂府 硏究」
    김영숙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 「朝鮮時代 中國古典小說의 出版樣相-國內 出版된 中國古典小說 硏究Ⅱ」, 중국소설논총 12
    민관동 한국중국소설학회 [2000]
  • 「日帝强占期 金浩直의 東千字 著述과 그 意義」, 동양한문학연구 22
    동 양한문학회 [2006]
  • 「日帝强占期 韓國歷史小說 연구 : 作家의 歷史認識과 史實反映을 中心으로」
    박종홍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世德歌系 歌辭에 관한 考察」, 국어국문학 84
    김인구 국어국문학회 [1980]
  • 「世德歌系 歌辭에 관한 硏究-安東地方을 中心으로」
    김인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0]
  • 「《임진록》에 나타난 김덕령 전승의 양상과 의미」, 한국언어문화 24
    강현모 한 국언어문화학회 [2003]
  • 「‘회고’의 세 가지 개념에 관한 소고」, 중국문학이론 9
    유혜영 한국중국문학이론 학회 [2007]
  • 「‘역사의 문학화’와 ‘문학의 역사화’」, 역사와 문화 6
    김기봉 문화사학회 [2003]
  • 「‘아리랑’'의 장르성과 범주」, 어문론총 28
    김기현 경북어문학회 [1994]
  • 「‘논개와 계월향’의 죽음을 다시 기억하기 : 조선시대 ‘의기(義妓)’의 탄생과 배제된 기억들」, 한국여성학 23(3)
    정지영 한국여성학회 [2007]
  • 「‘再造之恩’과 조선후기 정치사-임진왜란~정조대 시기를 중심으로」, 大東 文化硏究 59
    한명기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7]
  • 「‘事大’와 ‘交隣’과 ‘小中華’라는 틀의 초시간적인 그리고 초공간적인 맥락」, 한국사학보 42
    정다함 고려사학회 [2011]
  • 「<한양가>에 나타난 한양 경관과 장소애착성」, 한국문학과 예술 10
    최은숙 숭 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2012]
  • 「<초한가>와 <우미인가>의 西漢演義 수용 양상」, 韓國民謠學 31
    손대현 한 국민요학회 [2011]
  • 「<역대전리가>와 형성기의 가사문학 고(考)」, 우리말글 47
    이임수 우리말글학 회 [2009]
  • 「<문경새재소리아리랑>의 아리랑사적 위상」, 한국민요학 29
    한국민요학 회 [2010]
  • 「<고씨본 한양가> 연구」
    김보경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漢陽歌>와 <漢陽五百年歌>」, 한국고전시가작품론2
    서종문 집문당 [1992]
  • 「<漢陽五百年歌>의 주제와 지향」, 한국문학과 예술 10
    박연호 숭실대학교 한국 문예연구소 [2012]
  • 「<海東萬古歌>의 필사시기와 교훈성에 대한 연구」, 奎章閣 27
    정한기 서울대학 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4]
  • 박사
    「20세기 초 역사 전기 소설 연구」
    오선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19세기 말 화서학파의 <고산구곡가> 수용과 그 의미」, 時調學論叢 27
    이상원 한국시조학회 [2007]
  • 「18 9세기 大明義理論과 對淸意識의 推移」, 한신논문집 5
    유봉학 한신대학교 [1988]
  • 「17세기말-18세기초 존주론의 강화와 삼국지연의 의 유행」, 韓國史學報 15
    허태용 고려사학회 [2003]
  • 한일관계사학회 편, 1590년 통신사행과 귀국보고 재조명
    경인문화사 [2013]
  • 한국문학통사
    조동일 지식산업사 [1989]
  • 한국문학개론편찬위원회편, 韓國文學槪論
    혜진서관 [1991]
  • 한국고전번역원(http://www
    itkc.or.kr)
  • 한국가사문학(http://www
    gasa.go.kr)
  • 한국 근대이행기 화이관의 변화와 민족의식
    왕원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한국 근대 역사소설의 장르론적 연구
    공임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 연구
    정옥자 일지사 [1998]
  • 조선후기 역사소설 연구
    권혁래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조선중화주의의 성립과 동아시아
    우경섭 문예원 [2013]
  • 임진왜란의 문학적 형상화
    장경남 아세아문화사 [2000]
  • 유리 로트만(유재천 역), 예술 텍스트의 구조
    고려원 [1991]
  • 영남 내방가사
    이정옥 국학자료원 [2003]
  • 애국지사 김태린이 지은 동몽수독천자문 (童蒙須讀千字文) 연구
    백두현 語文 學 95, 한국어문학회 [2007]
  • 슈타인메츠(서정일 역), 문학과 역사
    호르스트 예림기획 [2000]
  • 경북의 구곡문화
    김문기 역락 [2008]
  • 게오르그 루카치(이영욱 역), 역사소설론
    거름 [1999]
  • 韓國近代歷史小說硏究
    류재엽 국학자료원 [2002]
  • 韓國 歌辭文學의 理解
    정재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8]
  • 閨房歌辭硏究
    권영철 이우사 [1980]
  • 詩論
    김준오 삼영사 [1997]
  • 死六臣 담론의 轉變과 조선후기 詩歌의 수용 양상
    신성환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 歷代歌辭文學全集
    임기중 아세아문화사 [1998]
  • 歌辭文學論
    최강현 새문사 [1986]
  • 歌辭文學硏究
    서원섭 형설출판사 [1978]
  • 歌辭文學槪論
    윤석창 깊은 샘 [1991]
  • 樂府
    김동욱 임기중 太學社 [1992]
  • 朝鮮王朝實錄 (http://sillok.history.go.kr)
  • 懲毖錄
    이재호 ㈜위즈덤하우스 [2007]
  • 尹鑴의 學問과 南人과 西人의 政治的 分立
    이선아 民族文化 26, 한국고전번역 원 [2003]
  • 先德과 祖訓의 기억-안동 김문의 家史 계승을 중심으로-
    전성건 민족문화연구 5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 世傳書畵帖
    김미영 박정혜 민속원 [2012]
  • 三國遺事
    이민수 을유문화사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