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 전통성년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aditional Coming-of-Age Ceremony in Korea

김은희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김은희
    • 형태사항 26 cm: p271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남희
    • 학위논문사항 원광대학교, 한국문화학과, 학위논문(박사)-, 2015. 2
    • 발행지 익산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원광대학교
    유사주제 논문( 0)

' 한국 전통성년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aditional Coming-of-Age Ceremony in Korea' 의 참고문헌

  • 「화랑과 통과의례」(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10
    최인학 동국대학교 신라문 화연구소 [1989]
  • 「혼례의 위상정립을 위한 소고」( 가정관리연구 11
    김나영 목영숙 차희영 성균관대학교 가정관리학회 [1992]
  • 「현대 한국사회의 문화적 전통」(한국문화원 년 춘계학술대회 21 세기의 한국사회와 한국문화
    한상복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1995) [1995]
  • 「향교의 현대적 활용방안 모색」( 東洋古典硏究 42
    이미림 동양고전학회 [2011]
  • 「향교의 전국 분포 및 역사」( 東洋古典硏究 40
    김세봉 동양고전학회 [2010]
  • 「향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東洋古典硏究 40
    김인규 동양고전학회 [2010]
  • 「한국의 전통관례와 성인의 의미」( 동양예학 5
    동양예학회 [2000]
  • 「한국신화의 입사의례적 탄생담 연구」
    윤혜신 연세대 박사논문 [2002]
  • 「한국 향교 연구」( 圖書館學 2-1
    김영철 강남대학교 도서관학과 [1984]
  • 「한국 일생의례의 동아시아적 보편성과 고유성」( 비교민속학 39
    비교 민속학회 [2009]
  • 「한국 예절 문화의 계승과 발전에 대한 소고」( 논문집 6
    김주창 공주영상정 보대학 [1999]
  • 「태국의 통과의례에 대한 소고」( 동남아연구 3
    최창성 한국외국어대학교 동 남아연구소 [1994]
  • 박사
  • 「집단 성년례의 바람직한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교양학회 지 5-1
    한국여성교양학회 [1998]
  • 「집단 성년례의 바람직한 모형」( 論文集 21
    경원전문대학 [1999]
  • 「지역사회학교로서 향교의 기능에 관한 연구」( 교육종합연구 2-2
    서재복 교 육종합연구소 [2004]
  • 「중국 흑사회성질범죄조직 연구」
    신상철 부산대 박사논문 [2011]
  • 박사
  • 「조선후기 향교연구」( 한국사학 5
    김용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3]
  • 「조선후기 가례 담론의 등장 배경과 지역적 특색: 주자가례 에 대한 주석서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13
    한국국학진흥원 [2008]
  • 「조선중기 과거제도 정비과정과 그 교육적 의의」( 교육사학연구 20-1
    김경용 교육사학회 [2010]
  • 「조선족 학생들의 집단 성년례에 대한 인식: 중국 한연직업기술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교양학회지 9
    김정신 오환일 이행숙 조희진 한국 여성교양학회 [2002]
  • 「조선전기 향교의 정치,사회적 성격과 쇠퇴 원인」( 中原文化論叢 13
    김정신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09]
  • 「조선전기 유학교육과 향교의 기능」( 역사교육 20
    이범직 역사교육연구회 [1976]
  • 「조선시대 가례 연구의 진전」( 태동고전연구 31
    태동고전연구원 [2013]
  • 「전통․현대의 성년례 비교 및 바람직한 성년례의 방향」( 生活科學硏究誌 14-1
    숙명여자대학교 건강․생활과학연구소 [1999]
  • 「일생의례 조사의 성과와 의의」( 한국민속종합조사의 성과와 민속학 사적 의미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 「일생의례 조사의 성과와 비판적 검토」( 역사민속학 37
    주강현 한국역사민속 학회 [2011]
  • 「인물성동이론」( 논문집 16-1
    박홍식 경산대학교 [1998]
  • 「이슬람의 할례에 관한 연구」( 중동연구 25-1
    유왕종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 연구소 [2006]
  • 「유교가례의 변용과 창조적 계승」( 유교사상문화연구 31
    이희재 한국유교학 회 [2008]
  • 「옛길을 활용한 성년례의 활성화 방안 연구:신문왕로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32
    신상구 한민족문화학회 [2010]
  • 「어른이 된다는 의미」( 한국의 풍속사 Ⅰ
    밀알 [1994]
  • 「양주향교 성년례」(<디지털양주문화대전>
    손광순 http://yangju.grandculture. net/Contents/Index?contents_id=GC04301221)
  • 「아프리카의 여성할례와 문제점」( 여성연구논집 13
    홍진주 신라대학교 여성 문제연구소 [2002]
  • 「시간과 공간에 대한 계층별 인식과 민속문화적 대응 양상」( 한국민 속학 57
    나경수 한국민속학회 [2013]
  • 「성인식으로서의 관례의 구조와 의미 분석」( 유교사상연구 17
    이문주 한국유 교학회 [2002]
  • 「성인식:의례적 구조와 문화적 의미」( 정신건강연구 7
    김광억 한양대학교 정신건강연구소 [1988]
  • 「성인식-바르 미쯔바」( 교육교회 331
    이강근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 구원 [2005]
  • 「성년의례 입사춤(Initiation dances)의 전개양상 고찰」(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40
    이병옥 대한무용학회 [2004]
  • 「성년의 날」( 되는 집안은 장맛도 달다
    김명자 열린문화 [1994]
  • 「성년례의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여성교양학회지 16
    김정신 조희진 한국여성교양학회 [2007]
  • 「성년례와 성인되기」( 청소년행동연구 17
    임순선 홍국진 청소년문제연구소 [2012]
  • 「성년례 프로그램 모형개발 및 성년례 참여 자 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
    계선자 김연화 박미석 이정우 한국가족자 원경영학회,2005) [2005]
  • 「성년례 시연을 통해 본 성년례 모델 개발의 탐색적 연구 :참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4-1
    김경아 김연화 이정우 한국가 족자원경영학회 [2000]
  • 「상차림에 대한 의식조사와 현대화 방안」
    김수인 조선대 박사논문 [2007]
  • 「불교사상과 의례구조」( 한국종교 36
    양은용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3]
  • 「복제 예송과 미수 허목의 예론」( (진산한기두박사화갑기념논총)한국 종교사상의 재조명
    원광대학교출판국 [1993]
  • 「박정희정권 시기 가정의례준칙과 근대화의 변용에 관한 연구」( 담론 201 9-3
    고 원 한국사회역사학회 [2006]
  • 「문화원형사업과 공연문화콘텐츠:“종교문화”디지털콘텐츠화와 관련해 서」(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42
    이남희 원광대학교 종교사상연구원 [2009]
  • 「명청조와의 비교를 통해 본 조선시대 가례 연구의 특색과 연구방향 」( 한국사상사학 44
    이봉규 한국사상사학회 [2013]
  • 「동양고전에서 “古”와 “今”의 문제」( 년도 퇴계학부산연구원 시민 문화강좌 19
    김철범 퇴계학부산연구원,2012) [2012]
  • 「동서양의 人物性同異論」( 동서철학연구 52
    유원기 한국동서철학회 [2009]
  • 「도시 장례식장에서 지속되는 상례의 문화적 전통」( 실천민속학연구 9
    실천민속학회 [2007]
  • 「다산의 예학과 복제 예설」( 조선시대사학보 5
    이영춘 조선시대사학회 [1998]
  • 「고려시대의 태자 책봉과 책봉례」( 역사와 경계 80
    김철웅 부산경남사학회 [2011]
  •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조선시대 향교의 교육이념과 역할」( 東洋古典硏 究 40
    신창호 동양고전학회 [2010]
  • 「가족행사로서의 성년례 정착을 위한 방안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 회지 14-4
    주영애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0]
  • 「가가례로 보는 경기지역 제사의 특성」( 실천민속학 새책 2
    김시덕 실천민속 학회 [2000]
  • 「朝鮮時代女性禮冠에 관한 硏究」
    김지연 이화여대 박사논문 [2008]
  • 「朝鮮時代鄕校敎育制度의 연구」
    한동일 성균관대 박사논문 [1981]
  • 「朝鮮時代儀禮服飾에 나타난 象徵性硏究」
    이영임 중앙대 박사논문 [2005]
  • 「朝鮮後期嶺南地方의 鄕校硏究」
    강대민 부산대 박사논문 [1989]
  • 「朝鮮後期鄕校硏究」
    윤희면 서강대 박사논문 [1989]
  • 「朝鮮における 朱子家禮 硏究」, 都留文科大學硏究紀要 78
    장동우 都留文科 大學 [2013]
  • 「日帝植民地時期鄕校硏究」
    김명우 중앙대 박사논문 [2007]
  • 「市南의『家禮源流』의 學脈과 冠禮에 대한 硏究」( 동서철학연구 41
    변원종 한국동서철학회 [2006]
  • 「巍嚴李柬의 心性論硏究:人物性俱同論과 未發心體本善論을 中心으 로」
    건국대 박사논문 [1990]
  • 「寒齋李穆의 茶道思想硏究」
    박남식 성균관대 박사논문 [2012]
  • 「在日韓人의 通過儀禮연구」( 한국문학논총 34
    한태문 한국문학회 [2003]
  • 「南塘/巍巖人物性同異論의 比較연구 :朱子의 理氣同異論과 聯關하 여」
    형려국 성균관대 박사논문 [2009]
  • 「元明交替期朱子學의 東傳과 朝鮮初의 鄕村敎化」
    지부일 경희대 박사논문 [1994]
  • 「傳統冠禮와 現代成年禮服飾硏究」
    김혜경 성균관대 박사논문 [2008]
  • 「人物性同異論爭의 요인:巍巖과 南塘의 용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 사상사학 18
    홍정근 한국사상사학회 [2002]
  • 「BuddhistRitualsandIt’sThoughtsintheGoryeoDynasty」( 원불 교사상과 종교문화 49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 「15․16세기 朱子家禮의 시행과 그 의의」( 韓國史論 21
    고영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9]
  • 「 가례 주석서를 통해 본 조선 예학의 진전과정」( 동양철학 34
    한국 동양철학회 [2010]
  • 「 國朝五禮儀 에 규정된 大夫․士․庶人의 四禮에 관한 고찰」( 한국 학연구 31
    장동우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 禮記
  • 禮典
  • 論語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사회민속연구실, 전통적 생활양식의 연구 중
    한국정신문 화연구원 [1982]
  • 한국전통문화 이해의 길잡이
    김헌선 지식산업사 [1999]
  • 한국인의 인성예절
    김명식 백양출판사 [2003]
  • 한국인의 도와 미풍양속
    손인수 문음사 [1984]
  • 한국의 전통의례
    이희재 한국학술정보 [2007]
  • 한국의 전통색과 색채심리
    하용득 명지출판사 [1991]
  • 한국의 예속 연구
    박경섭 서광학술자료사 [1993]
  • 한국의 사회화 문화:한국현대사회의 문화전통
    한상복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의 문화변동과 문화정치
    강내희 문화과학사 [2003]
  • 박사
  • 한국불교이 일생의례:출생에서 죽음까지
    민족사 [2012]
  • 한국미의 조명
    조요한 열화당 [1999]
  • 한국문화재보호협회 편,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방향
    한국문화재보호협회 [1987]
  • 한국문화인류학회 편,「특집:현대 한국인의 일생의례」( 한국문화인류학 40-2
    한국문화인류학회 [2007]
  • 한국문화원총연합회경기도지부,『경기도 향교총람』
    한국문화원총연합회경기도 지부 [2009]
  • 한국문화사서설
    조지훈 탐구당 [1980]
  • 한국문화 전통론
    김철준 이호영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3]
  • 한국 복식의 역사-고대편
    이은창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8]
  • 품격 있는 문화국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13]
  • 편, 한국인과 한국문화:인류학적 접근
    심설당 [1982]
  • 편, 한국문화연구
    강신표 현암사 [1985]
  • 편, 일본․일본인론
    한태호 황성규 교학연구사 [1984]
  • 편, 동아시아문화와 한국문화
    도광순 교문사 [1995]
  • 조선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신명호 돌베개 [2002]
  • 전통문화의 자주적 현대화 방안
    한국문화예술진흥원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발전연 구소 [1989]
  • 전통가례
    이길표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0]
  • 전통:예법과 의례
    곽정환 성화출판사 [1997]
  • 전라남도 편, 전남의 향교
    전라남도 [1987]
  • 전남대학교 아시아문화원형연구사업단, 동아시아인아인의 통과의례와 생사의 식
    전남대학교 [2010]
  • 전경수 역, 통과의례
    을유출판사 [1985]
  • 이윤기 옮김, 샤마니즘
    까치 [1992]
  • 의례
    박동신 화성사 [1996]
  • 율곡학회, 알기 쉽게 풀이한 우리의 전통예절
    L&C디자인연구소 [1997]
  • 유교의례의 전통과 상징
    김미영 민속원 [2010]
  • 우리의 전통예절
    한국문화재보호협회 한국문화재보호협회 [1988]
  • 우리의 근대 일생의례 이야기
    이상미 채륜서 [2013]
  • 역, 통과의례
    반겐넵 서영대 인하대출판부 [1986]
  • 여성가족부
    <제82차 국가정책조정회의:21세기 생활공감형 관혼상제 추진계 획>년 6월 10일 발표자료) [2011]
  •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안동양반의 생활문화
    안동시 [2000]
  • 실천예절개론
    김득중 교문사 [2002]
  • 석주선기념박물관, 조선시대 우리 옷의 멋과 유행
    단국대학교출판부 [2011]
  • 사진으로 보는 관혼상제
    권영한 전원문화사 [2009]
  • 부산산업대학교 향토문화연구소 편, 釜山慶南鄕校記文
    부산산업대학교 향토 문화연구소 [1986]
  • 부산대학교, 한국인의 삶과 미의식
    부산대학교출판부 [1998]
  • 문화체육관광부, 전통문화의 창조적 발전전략:전통문화의 대중화․현대화․ 세계화
    문화체육관광부 [2012]
  • 문화대국으로 가는 길
    정태환 지식산업사 [1995]
  • 동양사상산고
    김충렬 범학도서 [1977]
  • 동아시아의 시간관
    김상홍 경인문화사 [2008]
  • 단국대학교, 일생의례의 문학적 표상과 그 변용: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단국대학교출판부 [2013]
  • 국사편찬위원회 편, 유교적 사유와 삶의 변천
    두산동아 [2009]
  •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의 전통문화
    국립중앙박물관 [1987]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전라북도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 국립문화재연구소 무형문화재연구실 편,「울릉도의 일생의례」( 한국인의 일생 의례-경상북도
    국립문화재연구소 무형문화재연구실 [2010]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한국연구실 편, 한국의 전통과 변천
    고려대학 교출판부 [1973]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편, 한국민속의 세계 제2권(의례생활․일상생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 顯宗改修實錄
  • 順菴先生文集 (安鼎福)
  • 釋名 (劉熙)
  • 趙殷尙․吳學忠,「從電影看香港三合會及其幫派文化」( 지방사와 지방문화 14-1
    역사문화학회 [2011]
  • 萬曆三十三年乙巳增廣司馬榜目
  • 荀子
  • 英祖實錄
  • 純祖實錄
  • 省齋集 (辛應純)
  • 白虎通德論
  • 桓檀古記
  • 栗谷先生全書
  • 朱子家禮 (朱熹)
  • 朝鮮相識
    최남선 동명사 [1948]
  • 星湖先生全集
  • 星湖僿說 (李瀷)
  • 成宗實錄
  • 張德順外, 韓國의 風俗 上
    文化財管理局 [1970]
  • 居家雜服考 (朴珪壽)
  • 實踐生活禮節
    곽인성 오메가 [1994]
  • 家禮增解 (李宜朝)
  • 孟子
  • 太祖實錄
  • 太宗實錄
  • 增補四禮便覽 (黃泌秀)
  • 國朝五禮儀
  • 四禮便覽 (李縡)
  • 北史
  • 儀禮
  • 中宗實錄
  • 世祖實錄
  • 三國史記
  • 『高麗史』
  • 『淸代內丹思想의 心性修行論:唱道眞言을 중심으로 』
    김낙필 (원불교사상 과 종교문화 58:원광대학교 종교사상연구원 , 연구논문 [2013]
  • 「조선시대 지방교육행정 연구」
    박수정 서울대 박사논문 [2008]
  • 《환경일보》;5
    22 [2012]
  • 《전북도민일보》;2012.5.1
    5 [2010]
  • 《신아일보》;5
    22 [2012]
  • 《뉴시스》;5
    20 [2012]
  • 《뉴스와이어》;5
    18 [2012]
  • 《CNBNEWS》2012.5.14.
  • SimoneVierne저,이재실 옮김, 통과제의와 문학
    문학동네 [1996]
  • Patricia Buckley Ebrey,"Revised Versions ofthe Family Rituals Written During the Ming Dynasty",Confucianism and Family Rituals in ImperialChina,Princeton:PrincetonUniversityPress,1991.
  • Moon,O.P.,“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Change in a Japanese Village”,D.Phil.,theses,UniversityofOxford,1984.
  • MartinaDeuchler저,이훈상 역, 한국사회의 유교적 변환
    아카넷 [2005]
  • M.Eliade저,이동하 역, 聖과 俗:종교의 본질
    학민사 [1983]
  • Lebistrauss.C著왕빈역, 神話學入門
    金蘭出版社 [1980]
  • La Fontaine,J.“The SocialOrganization of the Gisu of Uganda with SpecialReferencetoTheirInitiation Rites”.,Ph,D.thesis,University ofCambridge,1957.
  • Hendry,J.,UnderstandingJapaneseSociety,London,Croom Helm,1987.
  • Heald,S.,“TheMarking ofMan:theRelevanceofVernacularPsychology totheInterpretationofaGisuRitual”.,Africa,52,no.1,1982.
  • Beardsley, Hall & Ward., Village Japan,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Press,1959.
  • Arnold van Gennep,The Rites ofPassage.,The University ofChicago Press,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