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朝鮮後期 兩班層의 親族 네트워크

한상우 2015년
논문상세정보
' 朝鮮後期 兩班層의 親族 네트워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가계 계승
  • 가족전략
  • 문중
  • 족보
  • 친족 네트워크
  • 친족집단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4 0

0.0%

' 朝鮮後期 兩班層의 親族 네트워크' 의 참고문헌

  • 「조선후기의 출산력, 사망력 및 인구증가 : 네 족보에 나타난 1700~1899년간 생몰 기록을 이용한 연구」, 『한국인구학』 32-1
    차명수 한국인구학회 [2009]
  • 「안동지역 불천위 제사의 규범과 종가의 관행적 제사」, 「실천민속학연구」 5
    김영순 실천민속학회 [2003]
  • 李泰鎭, 「15世紀 後半期의 巨族과 名族意識 -『東國輿地勝覽』 人物條의 分析을 통하여」, 『韓國史論』 3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78]
  • 李樹煥, 「陶山書院 院任職 疏通을 둘러싼 嫡 庶간의 鄕戰 - 1884年 《庶類事變時日記》를 中心으로」, 『民族文化論叢』 12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91]
  • 李東厚, 「眞城李氏 族譜의 槪略」, 『東洋禮學』 12
    東洋禮學會 [2004]
  • 李成茂, 『韓國의 科擧制度』
    集文堂 [1994]
  • 金炯秀, 「1738년(영조 14년) 安東鶴東서원의 置廢와 지방관의 역할 -『法城日記』를 중심으로」, 『영남학』 17
    영남문화연구원 [2010]
  • 히로시, 『나의 한국사 공부』
    미야지마 너머북스 [2013]
  • 히로시, 「조선시대의 신분, 신분제개념에 대하여」, 『大東文化硏究』 42
    미야지마 大東文化硏究院 [2003]
  • 히로시, 「조선 후기 지배 계층의 재생산 구조 - 비교 연구를 위한 초보적 탐구」, 『韓國史學報』 32
    미야지마 고려사학회 [2008]
  • 히로시, 「동이사아 세계 속의 한국족보」, 『大東文化硏究』 77
    미야지마 大東文化硏究院 [2008]
  • 히로시, 「『안동권씨성화보』를 통해서 본 한국 족보의 구조적 특성」, 『大東文化硏究』 62
    미야지마 大東文化硏究院 [2008]
  • 히로시 저, 노영구 역
    미야지마 『양반 : 우리가 몰랐던 양반의 실체를 찾아서』, 강 [1996]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편, 『朴世堂의 西溪遺墨』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2]
  • 한국역사연구회 편, 『조선정치사(1800∼1863)』
    청년사 [1990]
  • 프리드먼 저, 양영균 역, 『중국 동남부의 종족조직』
    모리스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 중앙일보사, 『성씨의 고향』
    中央日報社會部 [1983]
  • 조선후기의 과거
    박현순 소명출판 [2014]
  • 조선후기 입양의 시점과 범위에 대한 분석
    권내현 『大東文化硏究』 62, 大東文化硏究院 [2008]
  • 조선후기 유림의 사상과 활동
    권오영 돌베게 [2003]
  • 조선후기 문중활동의 사회사적 배경
    이해준 『동양학』 23,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93]
  • 조선후기 도산서원 원장의 구성과 그 특징
    우인수 『退溪學과 儒敎文化』 53, 퇴계연구소 [2013]
  • 조선왕조 재정시스템의 재발견
    손병규 역사비평사 [2008]
  • 조선양반의 생활세계
    문옥표 백산서당 [2004]
  • 조선시대 양반가의 농업경영
    김건태 역사비평사 [2004]
  • 조선시대 과거시험과 유생의 삶
    차미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2]
  • 조선 후기 낙론계 학풍의 형성과 전개
    조성산 지식산업사 [2007]
  • 이수건, 『한국의 성씨와 족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이수건, 「족보와 양반의식」, 『한국사시민강좌』 24
    일조각 [1999]
  • 이수건 이수환, 「조선시대 신분사 관련 자료조작 家系 人物관련 僞造자료와 僞書를 중심으로」, 『대구사학』 86
    대구사학회 [2007]
  • 이브리, 『송대 중국여성의 결혼과 생활』
    P. B 한국학술정보 [2009]
  • 역주, 『(순원왕후의)한글편지』
    순원왕후 이승희 푸른역사 [2010]
  • 역, 『중국가족제도사』
    서양걸 윤재석 아카넷 [2000]
  • 에드워드 와그너 저, 이훈상 손숙경 역, 『조선왕조 사회의 성취와 귀속』
    일조각 [2007]
  • 양반의 사생활
    하영휘 푸른역사 [2008]
  • 안동대학교 안동문화연구소 엮음, 『터를 안고 仁을 펴다 : 퇴계가 굽어보는 하계마을』
    예문서원 [2005]
  • 안동대학교 안동문화연구소 엮음, 『안동 원촌마을 : 선비들의 이상향』
    예문서원 [2011]
  • 세도정치를 다시 본다
    오수창 『역사비평』 12, 역사문제연구소 [1991]
  • 성리학의 도입과 한국가족제도의 변화 ━종법제도의 정착과 부계혈연집단의 조직화 과정━
    이창기 『민족문화논총』 46 [2010]
  • 사회네트워크 분석
    손동원 경문사 [2002]
  • 불천위 추대 기준에 대한 제도적‧담론적 고찰 -안동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영 『국학연구』 17, 한국국학진흥원 [2010]
  • 마크 피터슨, 『儒敎社會의 創出 – 조선 중기 입양제와 상속제의 변화』
    일조각 [2000]
  • 네트워크 분석의 사회학 이론
    이원재 『정보과학회지』 29, 한국정보과학회 [2011]
  • 끝내 세상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김학수 삼우반 [2005]
  • 기시모토 미오 미야지마 히로시 저, 김현영 문순실 역, 『조선과 중국 근세 오백년을 가다 – 일국사를 넘어선 동아시아 읽기』
    역사비평사 [2003]
  • 과거, 출세의 사다리
    한영우 1 2 3 4, 지식산업사 [2013]
  • 가족사 연구의 동향과 이론적 쟁점
    김흥주 『사회와역사』 46, 한국사회사학회 [1995]
  • 高麗後期 이후 ‘同氣’ 理論의 전개와血緣意識의 變動
    이종서 『東方學志』 120, 東方學硏究所 [2003]
  • 韓相祐, 「조선후기 鄕戰을 통해 본 양반층의 親族, 婚姻 - 안동의 屛虎是非를 중심으로」, 『大東文化硏究』 81
    大東文化硏究院 [2013]
  • 韓相祐, 「조선후기 退溪 후손들의 陶山書院 院長職 취임 양상과 친족집단의 역할」, 『大東文化硏究』, 87
    大東文化硏究院 [2014]
  • 韓國家族制度史硏究
    최재석 일지사 [1983]
  • 韓國學文獻硏究所 編, 「名世譜」, 『東洋古典硏究』 1, 1993
  • 陳知超, 「史學 硏究에 있어서 家譜(族譜)의 이용」, 『歷史敎育論集』 39
    歷史敎育學會 [2007]
  • 金龍德, 「安東座首考」, 『진단학보』 46 47
    진단학회 [1979]
  • 金斗憲, 『韓國家族制度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1969]
  • 金成潤, 「안동 남인의 정치적 일상과 지역정치의 동향 - 철종대 金洙根서원 건립과 고종대 屛虎保合을 중심으로」, 『영남학』 15
    영남문화연구원 [2009]
  • 金容燮, 「朝鮮後期에 있어서의 身分制의 動搖와 農地占有 - 尙州量案硏究의 一端」, 『史學硏究』 15
    한국사학회 [1963]
  • 金仁杰, 「조선후기 鄕村社會 변동에 관한 연구 : 18,19세기 '鄕權' 담당층의 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鄭萬祚 외, 『(조선시대 경기북부 지역)集姓村과 士族』
    국민대학교출판부 [2004]
  • 郑振满, 『明清福建家族组织与社会变迁』, 湖南教育出版社, 1992
  • 車美姬, 『朝鮮時代 文科制度硏究』, 國學資料院, 1999
  • 趙康熙, 『嶺南地方 兩班家門의 婚姻關係』
    景仁文化社 [2006]
  • 池斗煥, 「朝鮮前期의 宗法制度 理解過程」, 『태동고전연구』 1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1984]
  • 權奇奭, 「19世紀 勢道政治 勢力의 形成 背景 (上 下)」 『震檀學報』 90 91
    震檀學會 [2000]
  • 朴賢淳, 「16∼17세기 禮安縣 士族社會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朴炳鍊, 「韓國의 傳統社會와 族譜읽기 – 葛藤과 一體化, 差別과 同化의 二重的 컨텍스트」, 『藏書閣』 1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 朱玫, 「17,18세기 大邱月村 지역 丹陽 禹氏 가계 형제 간 사회,경제위상의 분화」, 『大東文化硏究』 83
    大東文化硏究院 [2013]
  • 朱玫, 「17 18세기 대구월촌지역 단양우씨가 족계 형성의 주도세력」, 『大東文化硏究』 87
    大東文化硏究院 [2014]
  • 朝鮮後期閥閱硏究
    차장섭 일조각 [1997]
  • 朝鮮後期門中書院硏究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 服部民夫, 『韓國 : ネットワ-クと 政治文化』, 東京大學出版會, 1992
  • 張弼基, 『朝鮮後期 武班閥族家門 硏究』, 集文堂, 2005
  • 張仁鎭,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족보의 현황과 문헌적 가치」, 『한국족보의 특성과 동아시아에서의 위상』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3]
  • 崔珍玉, 『朝鮮時代 生員進士硏究』, 集文堂, 1998
  • 崔承熙, 『(古文書를 통해 본) 朝鮮後期 社會身分史硏究』
    지식산업사 [2003]
  • 宗法의 원리와 한국 사회에서의 전통
    이영춘 『사회와역사』 46, 한국사회사학회 [1995]
  • 宋俊浩, 『李朝生員進士試의 硏究』
    國會圖書館 [1970]
  • 宋俊浩, 『朝鮮社會史硏究』, 一潮閣, 1987
  • 孫炳圭, 「조선왕조 1600년경 편찬 족보의 계보형태와 특성 - 1606년 편찬 「晉陽河氏世譜萬曆本」의 분석을 중심으로」, 『大東文化硏究』 77
    大東文化硏究院 [2012]
  • 坪内玲子, 『継承の人口社会学』, ミネルヴァ書房, 2001
  • 吳世炫, 「月沙 李廷龜(1564~1635)의 文翰活動과 學統 意識」, 『韓國史論』 51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05]
  • 元廷植, 「明 中期 福建의 新縣 設置 運營과 宗族社會」, 『명청사연구』 27
    명청사연구회 [2007]
  • 倉橋圭子, 『中国伝統社会のエリートたち : 文化的再生産と階層社会のダイナミズム』, 風響社, 2011
  • 何柄棣 저, 조영록 역, 『中國科擧制度의 社會史的 硏究』
    동국대학교출판부 [1993]
  • 任敏赫, 『朝鮮時代 蔭官硏究』
    한성대학교출판부 [2002]
  • 井上徹, 『中國の宗族と國家の禮制 ; 宗法主義の視點からの分析』, 研文出版, 2000
  • 上田信, 『傳統中國; 〈盆地〉〈宗族〉にみる明淸時代』, 講談社, 1995
  • 『禮記』, 『四禮便覽』
  • 『廬江顚末』, 『廬江志』, 『坪門諸賢錄』
  • 『호적』
    손병규 휴머니스트 [2007]
  • 『조선후기 安東 金門 연구』
    이경구 일지사 [2007]
  •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정진영 한길사 [1999]
  • 『고려 조선의 친족용어와 혈연의식』
    이종서 신구문화사 [2009]
  • 『退溪集』, 『愼庵集』, 『下廬集』, 『臺山集』, 『楓皐集』, 『櫟翁遺稿』
  • 『豊山柳氏世譜』, 1985
  • 『萬家譜』, 『蔭譜』, 『縉紳譜』
  • 『義城金氏大同譜』, 1992
  • 『眞寶李氏世譜』, 1912
  • 『眞城李氏安東派世譜』, 1984
  • 『溫溪逸稿』, 『頤齋亂藁』, 『羅巖隨錄』, 『星湖僿說』, 『弘齋全書』
  • 『朝鮮王朝實錄』, 『承政院日記』, 『經國大典』
  • 『明淸徽州宗族史硏究』
    박원호 지식산업사 [2002]
  • 『延安李氏館洞派譜』 1863
  • 『延安李氏判事公派大譜』, 2002
  • 『安東金氏世譜』, 1833 1982
  • 『安東權氏成化譜』에 나타난 13~15세기 관료 재생산과 혈연관계
    이상국 『大東文化硏究』 81, 大東文化硏究院 [2013]
  • 『古文書集成』
    18 55 64권
  • 「혈통과 사회적 위세에 따른 종가의 위상 –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김미영 『역사민속학』 21, 한국역사민속학회 [2005]
  • 「한말 한 종가의 입후(立後)를 둘러싸고 발생한 사건들」
    허원영 『사회와 역사』 75, 한국사회사학회 [2007]
  • 「한국에 있어서의 가계기록의 역사와 그 해석」
    송준호 『역사학보』 87, 역사학회 [1987]
  • 「퇴계학파의 분화와 屛虎是非(Ⅱ)」
    설석규 『퇴계학과 유교문화』,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9]
  • 「퇴계학파의 분화와 屛虎是非(Ⅰ)」
    설석규 『한국사상의 재조명』, 성심 [2002]
  • 「지방 지식인 黃胤錫과 京華士族의 교유」
    박현순 『韓國史硏究』 163, 한국사연구회 [2013]
  • 「조선후기, 보송의 일사례 – 종통계승과 위보」
    박병호 『한국계보연구』 1 [2011]
  • 「조선후기 향촌 양반사회의 지속성과 변화상 (1) - 안동 향안의 작성과정을 중심으로」
    정진영 『大東文化硏究』 35, 大東文化硏究院 [1999]
  • 「조선후기 문과급제자의 성분」
    차장섭 『대구사학』 47, 대구사학회 [1994]
  • 「조선후기 동성촌락 구성원의 통혼 양상」
    권내현 『韓國史硏究』 132, 韓國史硏究會 [2006]
  • 「조선후기 石室書院의 위상과 학풍」
    조준호 『조선시대사학보』 11, 조선시대사학회 [1999]
  • 「조선후기 安東 河回의 豊山柳氏 門中 연구」
    김명자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조선중기 총부권과 입후(立後)의 강화」
    이순구 『古文書硏究』 9, 한국고문서학회 [1996]
  • 「조선시대 향권의 추이와 지배층 동향」
    김인걸 『한국문화』 2,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981]
  • 「조선시대 족보의 유형과 특징」
    차장섭 『역사교육논집』 44, 역사교육학회 [2010]
  • 「조선시대 불천위(不遷位)」
    신명호 『朝鮮時代의 社會와 思想』, 朝鮮社會硏究會 [1998]
  • 「조선시대 관권과 사족, 타협과 충돌」
    송양섭 『역사비평』 65, 역사문제연구소 [2003]
  • 「조선 후기 유력 가문 형성의 한 사례 - 壯洞 金門을 중심으로」
    이경구 『奎章閣』 26,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3]
  • 「조선 향촌사회 속의 생원 진사」
    이수환 『한국사 시민강좌』 46, 一潮閣 [2010]
  • 「정치집단의 성격」
    남지대 『조선정치사(1800∼1863)(상)』, 청년사 [1990]
  • 「정치집단의 성격」
    홍순민 『조선정치사(1800∼1863)』, 청년사 [1990]
  • 「정조대의 정국 동향과 僻派」
    최성환 『朝鮮時代史學報』 51, 조선시대사학회 [2009]
  • 「정국의 추이」
    오수창 『조선정치사(1800∼1863)』, 청년사 [1990]
  • 「인구사적 측면에서 본 호적과 족보의 자료적 성격」
    손병규 『大東文化硏究』 46, 大東文化硏究院 [2004]
  • 「위조 족보의 유행」
    백승종 『한국사 시민강좌』 24집, 일조각 [1999]
  • 「영조말 정조초의 정국 동향」
    정만조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 지식인의 생활사』 [2007]
  • 「영남지방의 혼반연구 - 진성이씨 퇴계파 종손을 중심으로 한 추적조사」
    조강희 『민족문화논총』 6, 민족문화연구소 [1984]
  • 「안동지방 사회계층화에 있어 씨족집단의 역할 - 그 형성과 분파의 기제 분석」
    김용환 『한국문화인류학』 21, 한국문화인류학회 [1989]
  • 「선덕(先德)과 조훈(祖訓)의 기억 - 안동 김문의 가사(家史) 계승을 중심으로」, 『民族文化硏究』 56
    전성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 박사
    「베트남 가보와 그 가치」
    Nguyen Thi Mai Hoa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高麗의 五服親과 親屬關係 法制」
    노명호 『韓國史硏究』 33, 고려사학회 [1981]
  • 「陶山書院의 機能과 政治 社會的 役割」
    설석규 심상훈 『東アジア文化交涉硏究』 別冊2 [2007]
  • 「英祖 14年의 安東 金尙憲書院 建立是非 – 蕩平下 老‧少論 분쟁의 一端」
    정만조 『朝鮮時代 書院硏究』, 집문당 [1997]
  • 「英 正祖代 豊山 洪鳳漢 家門의 부흥과 분열」
    김영민 『史學硏究』 100, 한국사학회 [2010]
  • 「義城金氏 族譜硏究 」
    김시황 『東方漢文學』 7, 동방한문학회 [1991]
  • 「楓皐 金祖淳 연구」
    유봉학 『韓國文化』 19, 한국문화연구소 [1997]
  • 「朝鮮時代 文科及第者 硏究」
    원창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6]
  • 「朝解時代 龍仁地域 士族의 動向」
    정만조 『韓國學論叢』 19, 韓國學硏究所 [1996]
  • 「屛虎是非에 대하여」
    신석호 『신석호전집1』, 신서원 [1996]
  • 「固城李氏 『先世外家族譜』와 『八高祖圖』 檢討」
    성봉현 『古文書硏究』 24, 한국고문서학회 [2004]
  • 「哲宗初 辛亥祧遷禮訟」
    이영춘 『朝鮮時代史學報』 1, 조선시대사학회 [1997]
  • 「19세기 후반 영남유림의 정치적 동향」
    정진영 『지역과 역사』 4, 부경역사연구소 [1997]
  • 「19세기 재지사족층의 친족결집 노력과 내적 균열양상 : 호남지역 善山 柳氏家의 친족활동을 중심으로」
    최주희 『韓國史學報』 38, 고려사학회 [2010]
  • 「18세기 洛論의 學風과 思想의 계승양상」
    권오영 『震檀學報』 108, 震檀學會 [2009]
  • 「18∼19세기 ‘지배양반’ 되기의 다양한 조건들」
    김성우 『大東文化硏究』 49, 大東文化硏究院 [2005]
  • 「17세기 영남학파 연구」
    김학수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7]
  • 「17∼18세기 壯洞 金門 연구」
    이경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16∼19세기 豊山柳氏 河回派의 婚班」
    김명자 『국학연구』, 한국국학진흥원 [2008]
  • 「16∼17世紀 安東의 眞城李氏 門中 硏究」
    김문택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4]
  • 「15∼17세기 族譜 편찬과 참여계층 연구」
    권기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陶山書院 前任案》, 『퇴계학연구』 2
    단국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988]
  • Zongwei Zhao, 「Chinese genealogies as a source for demographic research: A further assessment of their reliability and biases」 , 『Population Studies』 55, 2001
  • Son, Byung-giu, 「The Effects of Man's Remarriage and Adoption on Family Succession in the 17th to the 19th Century Rural Korea」『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10, 2010
  • Son, Byung-giu, and Sangkuk Lee, 「The Effect of Social Status on Women's Age at First Childbirth in the Late Seventeenth to Early Eighteenth Century Korea」, 『The History of the Family』 15(4), 2010
  • Rubie S. Watson, 『Inequality among Brothers - Class and kinship in South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 Robert D. Mare, 「A Multigenerational View of Inequality」, 『Demography』 48, 2011
  • R. Hymes, 『Statesman and Gentlemen : The Elite of Fu-Chou, Chiang-Hsi Northen and Southern Su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 Kim, Kuentae and Hyunjoon Park, 「Family Succession through Adoption in the Chosun Dynasty」 『The History of the Family』 15, 2010
  • John F. Padgett, 「Open Elite? Social Mobility, Marriage, and Family in Florence, 1282–1494」, 『Renaissance Quarterly』 63, 2010
  • James Z. Lee, Feng Wang, 『One quarter of humanity : Malthusian mythology and Chinese realities, 1700-』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 제임스 리(李中淸) 왕펑(王豊) 저, 손병규 김경호 역, 『인류 사분의 일 : 맬서스의 신화와 중국의 현실, 1700~2000년』,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2 [2000]
  • James Z. Lee, Cameron D. Campbell, 『Fate and Fortune in Rural China: Social Organization and Population Behavior in Liaoning 1774-1873』,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 Hyunjoon Park, Sangkuk Lee, 「A survey of data sources for studies of family and population in Korean history」, 『History of the Family』 13, 2008
  • Chaffee, John W., 『송대 중국인의 과거생활 : 배움의 가시밭길』
    신서원 [2001]
  • Cameron Campbell and James Lee, 「Kin Networks, Marriage, and Social Mobility in Late Imperial China」, 『Social Science History』 32, 2008 summer
  • Benjamin A. Elma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Reproduction via Civil Service Examinations in Late Imperial China」,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50, 1991
  • 19세기 지배질서의 변화와 정치문화의 변용 -仁政 願望의 향방을 중심으로-
    배항섭 『韓國史學報』 39 [2010]
  • 18세기말~19세기초 지식인과 지식계의 동향
    이경구 『韓國思想史學』 46, 韓國思想史學會 [2014]
  • 18세기 후반 石室書院과 지식·지식인의 재생산
    조성산 『역사와 담론』 66, 호서사학회 [2013]
  • 17세기 도산서원과 예안향교의 비교 검토
    박현순 『안동학연구』 11, 한국국학진흥원 [2012]
  • 17~18세기 田畓소유규모의 영세화와 양반층의 대응
    김건태 『한국사학보』 9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