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동향 분석
홈
알림
이용안내
오류접수
API
서비스소개
인기 연구 키워드 :
인기 활용 키워드 :
박사
栗谷 李珥의『聖學輯要』編刊과 影響에 관한 硏究
이정효
2015년
활용도 Analysis
논문 Analysis
연구자 Analysis
활용도 Analysis
논문 Analysis
연구자 Analysis
활용도
공유도
영향력
논문상세정보
저자
이정효
기타서명
(A) study on the publication and influence of Seonghakjipyo written by Yulgok Yi I
형태사항
30 cm: vii, 181 p.: 삽화
일반주기
부록: 『성학집요』제판본 교감표, 지도교수: 신승운, 참고문헌: p. 170-175
학위논문사항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논문(박사)-, 문헌정보학과, 2015. 2
DDC
22, 020
발행지
서울
언어
kor
출판년
2015
발행사항
성균관대학교
주제어
성학집요
율곡
이이
참고문헌( 102)
유사주제 논문( 279)
율곡 159건
이이 97건
성학집요 23건
인용/피인용
栗谷 李珥의『聖學輯要』編刊과 影響에 관한 硏究
' 栗谷 李珥의『聖學輯要』編刊과 影響에 관한 硏究'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성학집요
율곡
이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82
0
0.0%
자세히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주제
주제별 논문수
주제별 피인용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
주제어
성학집요
24
0
0.0%
율곡
160
0
0.0%
이이
98
0
0.0%
계
282
0
0.0%
* 다른 주제어 보유 논문에서 피인용된 횟수
0
닫기
' 栗谷 李珥의『聖學輯要』編刊과 影響에 관한 硏究'
의 참고문헌
「조선후기 서연(書筵) 연구」
육수화
교육학연구 43(1)
[2005]
李象靖, 「大山集」, 한국문집총간 226~227집
한국고전번역원
[1999]
李裕源, 「林下筆記」
李縡, 「陶菴先生集」, 한국문집총간 194~195집
한국고전번역원
[1997]
李珥, 「石潭日記」
李珥, 「栗谷先生全書」, 한국문집총간 44~45집
한국고전번역원
[1989]
李恒老, 「華西先生文集」, 한국문집총간 304~305집
한국고전번역원
[2003]
李德懋, 「靑莊館全書」, 한국문집총간 257~259집
한국고전번역원
[2000]
李廷龜, 「月沙先生集」, 한국문집총간 69~70집
한국고전번역원
[1991]
李山海, 「鵝溪遺稿」, 한국문집총간 47집
한국고전번역원
[1989]
栗谷學의 繼承과 創新
황의동
유학연구 23집,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논문집
[2010]
金集, 「愼獨齋先生遺稿」, 한국문집총간 82집
한국고전번역원
[1992]
金重權, 「朝鮮 太祖 世宗年間 經筵에서의 讀書討論 考察」
서지학연구 27집
[2004]
金平黙, 「重菴先生文集」, 한국문집총간 319~320집
한국고전번역원
[2003]
金壽興, 「退憂堂集」, 한국문집총간 127집
한국고전번역원
[1994]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front/search/totalSearch
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
aks.ac.kr)
한국고전종합DB : http://db
itkc.or.kr)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http://www
dibrary.net/korcis)
한국고전번역원 승정원일기 번역팀, 「후설」
한국고전번역원
[2013]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http://www.riss.kr)
청주고인쇄박물관, 「조선시대 지방감영의 인쇄출판 활동」
조선왕실 주조 금속활자복원사업 학술대회논문집
[2009]
조선총독부편, 「조선도서해제」
朝鮮通信社
[1919]
율곡의 교육사상
김경호
율곡사상연구 5집
[2002]
왕의 서재
소준섭
어젠다
[2012]
서지학개론 편찬위원회, 「서지학개론」
한울아카데미
[2004]
리기용, 「한국철학 : 「聖學輯要」를 통해 본 聖人의 학문과 정치」
韓國思想과 文化 28집
[2005]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kyujanggak
snu.ac.kr/)
고려말 개혁정치와 경연제도의 개편
윤훈표
사학연구 93집
[2009]
黃金重, 「栗谷의 工夫論과 「聖學輯要」」
한국교육사학 24(1)
[2002]
鄭宗魯, 「立齋先生文集」, 한국문집총간 253∼254집
한국고전번역원
[2000]
鄭在薰, 「「聖學輯要」를 통해본 朝鮮中期의 政治思想 : 「大學衍義」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규장각 22집
[1999]
鄭亨愚, 尹炳泰 共編, 「韓國冊板目錄總覽」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詩經
許篈, 「荷谷集」 , 한국문집총간 58집
한국고전번역원
[1990]
英祖實錄
肅宗實錄
純祖實錄
百度百科(www.baidu.com)
申欽, 「象村稿」 , 한국문집총간 71~72집
한국고전번역원
[1991]
洪달아기, 「「聖學輯要」에 나타난 家族觀」
社會思想硏究 3집
[1993]
洪大容, 「湛軒書」, 한국문집총간 248집
한국고전번역원
[2000]
池斗煥, 「朝鮮後期 英祖代 經筵科目의 變遷」
震檀學報 81집
[1996]
正祖, 「御定大學類義」
正祖, 「弘齋全書」, 한국문집총간 263집
한국고전번역원
[2001]
權相一, 「淸臺先生文集」, 한국문집총간 속61집
한국고전번역원
[2008]
權尙夏, 「寒水齋先生文集」, 한국문집총간 150~151집
한국고전번역원
[1995]
朴絪, 「无悶堂集」, 한국문집총간 속21집
한국고전번역원
[2006]
朴世采, 「南溪集」, 한국문집총간 138~142집
한국고전번역원, ~1995
[1994]
朝鮮王朝實錄(http://sillok.history.go.kr/main/main.jsp)
書經
明義錄
承政院日記(http://sjw.history.go.kr/main/main.jsp).
承政院日記
成宗實錄
徐居正, 「東文選」
한국고전종합DB
張伯偉, 「朝鮮時代書目叢刊」, 中華書局, 2004
尹鳳九, 「屛溪先生集」, 한국문집총간 203~205집
한국고전번역원
[1998]
尹炳泰, 「朝鮮後期 活字와 冊」
범우사
[1992]
尹拯, 「明齋先生遺稿」, 한국문집총간 135~136집
한국고전번역원
[1994]
宣祖實錄
宣祖修正實錄
宋浚吉, 「同春堂文集」, 한국문집총간 106~107집
한국고전번역원
[1993]
宋時烈, 「宋子大全」, 한국문집총간 108~116집
한국고전번역원
[1993]
宋來熙, 「錦谷先生文集」 , 한국문집총간 303집
한국고전번역원
[2003]
孫仁銖, 「栗谷의 敎育思想 硏究」
율곡사상연구 1집
[1994]
姜泰訓, 「朝鮮後記 經筵과 經筵의 敎育內容 比較 -肅宗~高宗을 中心으로-」, 교육연구 9집
원광대학교 교육문제 연구소
[1990]
太宗實錄
國譯承政院日記
國朝寶鑑
周易
內閣日曆
光海君日記
任憲晦, 「錦陽講案」「善谷書室講規」
仁祖實錄
『高麗史』
『聖學輯要』간행에 관한 硏究
李貞效
서지학연구 58집
[2014]
「한국서지학」
천혜봉
민음사
[2010]
「한국금속활자 인쇄사」
천혜봉
범우
[2012]
「학규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의 서원 강회」
박종배
교육사학연구 19(2)
[2009]
「학규(學規)를 통해 본 조선 시대 서원 교육과정의 변천」
김해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조선전기『대학연의』이해과정」
지두환
태동고전연구 10집
[1993]
「조선시대 서원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김춘식
한국행정사학지 28호, (6)
[2011]
「조선 전기 경연(經筵)의 이념과 전개 -태조~중종 연간을 중심으로-」
신동은
정신문화연구 32(1)
[2009]
「장서각 수집 교육ㆍ과거관련 고문서 해제 : 원문자료집」
김경용
민속원
[2008]
「율곡의 「聖學輯要」에 함의된 도덕교육론」
강봉수
윤리교육연구 12집
[2007]
「율곡의 「聖學輯要」에 드러난 家교육의 位相」
신창호
전선숙
율곡사상연구 20집
[2010]
「숙종대 「성학집요(聖學輯要)」 진강(進講)의 경위와 의미 -숙종 정국 운영방식의 일단면-」
윤정
南冥學硏究 21집
[2006]
「성학집요를 통해 본 율곡의 성학관」
정원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3]
「성학집요를 통한 이이의 교육사상」
장성수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지두환
韓國史市民講座 40집
[2007]
「韓國思想(哲學) : 朝鮮朝에서 孝思想과 家政文化의 定礎 -主로 율곡의 「聖學輯要」의 正家 孝敬을 중심으로」
김익수
韓國思想과 文化 49집
[2009]
「退溪와 栗谷의 工夫論 比較 硏究 : 「聖學十圖」와 「聖學輯要」를 중심으로」
황금중
한국교육사학 25-1집
[2003]
「講筵說話」
「英祖의 「성학집聖學輯要」 이해와 君師 이념」
윤정
역사와 경계 66집
[2008]
「英祖의 「聖學輯要」進講과 정책적 활용: 蕩平 均役 濬川과의 상관성」
윤정
한국문화 38집
[2006]
「算術新書」
「書誌學的 관점에서 본 전적의 시대별 특성」
옥영정
민족문화연구소 138차 연구발표회
[2004]
「大學衍義」
「17세기 栗谷 李珥 文集의 편찬에 관한 제 논의 고찰」
박관규
「사대도협회지」 9호, 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의회
[2008]
「16C 서원교재의 교육내용 분석」
전영조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
(서울특별시이북5도청내), 「황해도지」
황해도
서울
[1970]
' 栗谷 李珥의『聖學輯要』編刊과 影響에 관한 硏究'
의 유사주제(
)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