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沈大允의 『論語注說』 譯註

노경희 2015년
논문상세정보
' 沈大允의 『論語注說』 譯註'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公利
  • 天命之性
  • 忠恕
  • 現實指向
  • 福善禍淫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0 0

0.0%

' 沈大允의 『論語注說』 譯註' 의 참고문헌

  • 「沈大允의 「論語」 해석의 일 단면-利와 忠恕를 중심으로-」, 「漢文古典硏究」 제29집
    노경희 한국한문고전학회 [2014]
  • 「沈大允의 「福利全書」校註 飜譯」, 학위논문(석사)
    김성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 「중국고대사상에서 利의 의미」, 「정치 정보 연구」 제12권
    김진윤 한국정치정보학회 [2009]
  • 「조선시대 논어연구에 대한 일고찰」 韓國思想論文選集. 149
    김영호 불함문화사 [2000]
  • 「유가 ‘仁’의 본래 의미와 실천론」, 「유교사상문화연구」 제47집
    조남욱 한국유교학회 [2012]
  • 「심대윤의 사회적 처지와 학문자세」, 「한문교육연구」 제16집
    진재교 한국한문교육학회 [2001]
  • 「심대윤의 二南과 關雎의 說詩에 대한 고찰」, 「한문학보」 제19집
    진재교 우리한문학회 [2008]
  • 「심대윤 복리사상과 유학의 세속화」, 「시대와 철학」 제21권
    김문용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 「심대윤 公利論의 특징과 시대적 의미」, 「퇴계학보」 제133집
    백민정 퇴계학연구원 [2013]
  • 「서학과 근대의식」, 「동양철학연구」 제28집
    이형만 동양철학연구회 [2002]
  • 「공자의 ‘서(恕)’ 개념에 관한 공감도덕론적 해석」, 「한국정치학회보」 제47집
    이영재 한국정치학회 [2013]
  • 「공감과 연민의 감정의 도덕적 함의」, 「철학」 제76집
    김용환 한국철학회 [2003]
  • 「韓國經學의 역사적 의미와 그 정리 사업」, 「민족문화」 제33집
    임형택 한국고전번역원 [2009]
  • 「星湖 李瀷 西學 수용의 경학적 기초」, 「한국실학연구」 제7집
    이광호 한국실학학회 [2004]
  • 「惠岡 崔漢綺의 食貨論」 「철학논총」 제57집
    구자익 새한철학회 논문집 [2009]
  • 「丁茶山의 朱子, 「論語集註」 批判」(4), 「어문논집」 47호
    김언종 민족어문학회 [2003]
  • 「丁茶山의 朱子 「論語集註」批判 (5)」, 한문교육연구 제20호
    김언종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 「丁茶山의 「論語」 解釋에 관한 硏究- 「論語古今注」를 中心으로 」, 학위논문(박사)
    김영호 성균관대학교 [1994]
  • 「丁若鏞의 善惡論」, 「유교사상연구」 제47집
    이영경 한국유교학회 [2012]
  • 「「論語」上十篇의 解釋에 대한 硏究」, 학위논문(박사)
    이강재 서울대 [1998]
  • 「「한국경학자료집성」의 자료적 특징과 그 보완 및 연구의 방향 - 「한국경학자료집성」 소재 「논어」해석을 중심으로」, 「大東文化硏究」 제49집
    이영호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2005]
  • 「「논어」에서의 命論의 함의와 그 위상에 대한 고찰」, 「유교사상문화연구」 제47집
    이용택 한국유교학회 [2012]
  • 「20세기 雅集의 풍경-春耕臺雅集帖에 대하여」, 「한문학보」 제27집
    박용만 우리한문학회 [2012]
  • 「19세기 조선에서의 근대 형성 내재적 발생과 도달점」,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31집
    김혜승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0]
  • 「19세기 西學에 대한 經學의 對應. 丁若鏞과 沈大允의 경우」, 「東洋學國際學術會議論文集」 권5
    임형택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95]
  •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주자학적 지식체계의 균열과 그 의미」, 「역사교육」 제110집
    조성산 역사교육연구회 [2009]
  • 「18~19세기 조선 지식인의 병세의식(幷世意識)」, 「한국문화」, 제54집
    정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 「18~19세기 朝鮮性理學의 心學化 傾向에 대한 考察」, 「한국민족문화」 제33호
    최영진 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09]
  • 沈大允, 「論語」 2책, 筆寫本
    규장각 (청구기호 古 1333-4-v.1-2 M/F84-16-92-C)
  • 沈大允 著, 林榮澤 編, 「沈大允全集」 3책
    동아시아학술원 大東文化硏究院 [2005]
  • 論語集注
  •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http://www
    koreanhistory.or.kr)
  • 한국고전번역원(http://www
    itkc.or.kr)
  • 한국경학자료시스템 (http://koco
    skku.edu)
  • 조선시대논어해석연구
    김영호 심산 [2011]
  • 역주, 「論語古今註」
    이지형 정약용 사암 [2010]
  • 역주, 「이탁오의 논어평」
    이영호 이탁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 뤄 양, 「공자의 충서사상 논고」, 「동서사상」 제6집
    경북대 동서사상연구소 [2009]
  • 高橋亨 저, 조남호 옮김「조선의 유학」
    소나무 [1999]
  • 鄭寅杓, 「春耕臺稿」, 「東邱先生敍述」
  • 裵宗鎬, 「韓國儒學史」,延世大學校出版部, 1990.
  • 英祖實錄
  • 稽文甫, 「左派王學」, 開明書店, 1934.
  • 皮錫瑞 著 , 韓國中國學會 編 , 李鴻鎭 譯 「中國經學史」, 同和出版公社, 1984.
  • 武內義雄 著 , 李東熙 譯, 「中國思想史」, 驪江出版社, 1987.
  • 日原利國 編, 「中國思想史」 下, ペリカン, 1987.
  • 承政院日記
  • 張炳漢, 「沈大允의 「書經蔡傳辨正」에 대한 硏究(1)」, 「한국사상과 문화」 제18집
    한국사상문화학회 [2002]
  • 張炳漢, 「沈大允의 「大學考正」에 관한 硏究」, 「한국사상과문화」 제14집
    한국사상문화학회 [2001]
  • 張炳漢, 「沈大允과 李贄의 理欲觀 比較 一考察 - 沈大允 사상의 陽明左派的 性向과의 差別性 顯示를 중심으로」, 「양명학」 제24집
    한국양명학회 [2009]
  • 張炳漢, 「沈大允 經學에 대한 硏究. 19世紀 現實指向的 經學觀의 一斷面」, 학위논문(박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4]
  • 張炳漢, 「천주학설에 대한 심대윤의 논변과 극복원리-19세기 기학적 대응을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Culture 제4호
    고려대 한국학 교육연구단 [2002]
  • 張炳漢, 「霞谷 鄭齊斗와 白雲 沈大允의 經學 비교 -「大學」, 「格致章」의 해석체계 比考를 중심으로」, 「양명학」 제18집
    한국양명학회 [2007]
  • 張炳漢, 「朴世堂 沈大允의 「中庸」해석 체계 비고-성리학적 해석체계에 대한 해체주의적 입장과 그 연계성 파악을 중심으로」, 「한국실학연구」 제11집
    한국실학회 [2006]
  • 張炳漢, 「戴震과 沈大允의 理欲觀 문제」, 「한국교육연구」 21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 張炳漢, 「丁若鏞과 沈大允의 經學 比考(1) - 程‧朱學의 經學觀에 대한 批判과 연계하여」, 「한문학보」 제4집
    우리한문학회 [2001]
  • 張炳漢, 「19세기 陽明學者로 규정된 沈大允의 思惟體系」, 「한국실학연구」 제10집
    한국실학회 [2005]
  • 張炳漢, 「19세기 脫性理學的 經學觀의 一斷面-沈大允의 心性二氣論을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제9집
    한국사상문화학회 [2000]
  • 張炳漢, 「19세기 惠岡 崔漢綺와 白雲 沈大允의 氣學 比考」, 「한문학보」 제16집
    우리한문학회 [2007]
  • 張炳漢, 「19C 主氣的 經學觀의 一斷面 - 沈大允 氣哲學의 經學的 性格」, 「연민학지」 제4집
    연민학회 [1996]
  • 安作璋, 「論語辭典」
    상해고적출판사 [2007]
  • 「한국서지학」
    천혜봉 민음사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