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상상력 중심의 초등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연구

이하영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상상력 중심의 초등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과정 설계
  • 교육과정 재구성
  • 교육적 상상력
  • 상상력 중심 교육과정
  • 초등교육과정 분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9 0

0.0%

' 상상력 중심의 초등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흄의 철학에서 상상력의 성격과 의미
    강동수 철학논총, 70(4), 151-170 [2012]
  • 흄의 신념-욕구-모델에 대한 비판적 이해
    김남준 새한철학회, 67, 45-73 [2012]
  • 흄의 상상력 비판. 박사학위논문
    김선영 연세대학교 [1999]
  • 현대 교육과정 담론에 대한 후기구조주의적 비판 연구: 교육과정 지식의 현대성과 탈현대성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김봉석 성균관대학교 [2000]
  • 플라톤, 철학과 교육
    임태평 서울: 교육과학사 [2008]
  •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정도와 관련변인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미숙 이화여자대학교 [1998]
  • 통일에 대한 도덕적 상상력과 통일교육
    김국현 윤리교육연구, 10, 1-24 [2006]
  • 칸트의 인간관과 인식존재론
    문성학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2007]
  • 칸트사전 Ⅰ
    이신철 서울: 도서출판b [2009]
  •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과 사회과 교육과정 디자인. 박사학위논문
    이광원 한국교원대학교 [2013]
  • 초등, 중학생을 위한 과학적 상상력 측정도구의 개발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문지영 이화여자대학교 [2010]
  • 철학적 문제로서의 상상력
    지상범 교양논총 제5집, 100-117 [2009]
  • 철학과 인문학적 상상력
    김상환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12]
  • 창작 교육의 상상력, 창의성 발현에 관한 연구
    김선민 한국초등국어교육, 23, 63-100 [2003]
  • 창의성의 개념적 기준 비교
    팽영일 비교교육연구, 20(4), 277-298 [2010]
  • 창의성과 지능의 관계구조
    박병기 유경순 교육심리연구, 14(2), 235-261 [2000]
  • 지능과 창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유근보 한양대학교 [1985]
  • 지능, 창의성, 인성과 학력 간의 상관에 탐구. 석사학위논문
    이재섭 고려대학교 [1979]
  • 중학교 과학교과서에서의 상상력 활동에 관한 연구
    박정혜 이우붕 정원우 과학교육연구회, 27, 71-100 [2003]
  • 중등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동진 전북대학교 [2009]
  • 이해중심교육과정의 적용 사례 고찰:초등예비교사들을 중심으로
    온정덕 교육과정연구, 29(1), 41-66 [2011]
  • 이미지
    유평준 진형준 서울: 살림 [2002]
  • 음악과 음악교육에서의 상상력
    안재신 음악교육연구, 11(1), 13-30 [1992]
  • 외국의 역량기반교육과정 현장적용 사례연구
    이근호 이은영 홍원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 옛이야기를 활용한 문학적 상상력 신장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황현주 전주교육대학교 [2010]
  • 예술에서의 상상력, 그 철학적 토대- 음악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
    홍병선 철학논총, 57(3), 343-360 [2009]
  • 예술에 있어서 상상력의 근원
    오율자 한국체육철학회지, 18(1), 301-315 [2010]
  • 예술과 상상력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 음악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경숙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2]
  • 예술가의 상상력, 그 다양한 층위
    김수현 민족미학, 11(2), 183-223 [2012]
  • 역사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초등 사회과 역사 수업 방안. 석사학위논문
    정선숙 한국교원대학교 [2004]
  • 역사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인터뷰 극화학습 프로그램 개발
    최천심 사회과교육연구, 9(2), 179-196 [2002]
  • 역사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수업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맹지애 고려대학교 [2006]
  • 역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와 역사 수업의 발문
    김한종 사회과교육, 29, 83-103 [1996]
  • 역사수업이론의 재개념화
    김한종 역사교육연구, 5, 7-36 [1997]
  • 역. (비고츠키) 아동의 상상력과 창조
    팽영일 서울: 창지사 [1999]
  • 아리스토텔레스의 상상력 이론과 창작 원리. 석사학위논문
    박준영 부산대학교 [2014]
  • 아리스토텔레서의 인식론에서 판타시아의 역할
    장영란 철학연구, 36(1), 117-136 [1995]
  • 아동의 상상력 발달
    강승희 박동섭 허승희 서울: 학지사 [1999]
  • 시적 이미지의 역동성-상상력과 언어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장철환 연세대학교 [2001]
  • 시적 상상력의 유형과 그 문학교육적 함의
    김상욱 한국초등국어교육, 18, 223-245 [2001]
  • 시적 상상력의 단계를 활용한 시의 이미지 교육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조성은 이화여자대학교 [2010]
  • 시적 상상력을 통한 시 창작 교육 연구
    김영관 우리말교육현장연구, 5(1), 209-236 [2011]
  • 시 감상교육에서 상상력 활용에 관한 연구
    노철 문학교육학, 14, 335-359 [2004]
  • 시 감상 교육에서 연극놀이 전략 연구: 시적 상상력 제고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김태인 경인교육대학교 [2005]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문학적 상상력 신장 방안 지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민지 부산교육대학교 [2013]
  • 상상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론적 근거-흄과 칸트의 상상론을 중심으로
    신길수 미학, 1, 21-50 [1998]
  • 상상력이 지식보다 중요하다: Eistein의 착각?
    박권생 사고개발, 7(1), 117-134 [2011]
  • 상상력의 철학적 근거 - 흄의 상상력 이론을 중심으로
    홍병선 철학탐구, 24, 119-140 [2008]
  • 상상력의 위대한 모험가들-융, 바슐라르, 뒤랑-
    송태현 경기: 살림출판사 [2005]
  • 상상력의 교육과 교육적 상상력
    홍명희 프랑스문화예술연구, 21, 631-651 [2007]
  • 상상력의 과학, 과학의 상상력
    홍성욱 독일어문화권연구, 18, 249-288 [2009]
  • 상상력을 기르는 국어교육
    김중수 유동석 국어교과교육연구, 20, 141-154 [2012]
  • 상상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승억 철학과 현상학 연구, 51, 67-85 [2011]
  • 상상력에 관한 연구 동향 및 유형 재탐색
    이하영 진영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7), 281-308 [2014]
  • 상상력과 교육-인식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오영희 대구교육대학교 [2007]
  • 상상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모색. 석사학위논문
    이금숙 대구교육대학교 [2003]
  • 상상력 중심의 시적 이미지 해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최영철 한국교원대학교 [2014]
  • 사회과 교육에서 상상력 신장을 위한 은유의 활용
    윤길복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학술대회지, 2008(1), 177-209 [2008]
  • 미술의 치료적 기능에 관한 탐색적 고찰: 지각적 경험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이모영 미술치료연구, 16(5), 829-848 [2009]
  • 미래를 예측하는 힘
    최연구 서울: 살림 [2009]
  •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교육과정 비전 연구(Ⅱ)-핵심역량영역별 하위 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이광우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총괄 보고서
    이광우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 문학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시교육 방법
    오정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1), 53-79 [2013]
  • 문학교육의 교육적 상상력
    최지현 국어국문학, 147, 167-191 [2007]
  • 문학교육에서 상상력의 역할
    윤여탁 국제학술대회, 3, 26-33 [1999]
  • 문학교육론
    구인환 서울: 삼지원 [2007]
  • 문학 상상력 평가 연구. 석사학위논문
    정유진 인천교육대학교 [2001]
  • 문학 상상력 신장을 위한 동화 지도 방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정은 한국교원대학교 [2010]
  • 문학 교수?학습 방법론
    구인환 서울: 삼지원 [1998]
  • 뒤랑의 바슐라르 비판
    송태현 불어불문학연구, 55, 363-391 [2003]
  • 도덕적 상상력을 통한 초등학교 도덕과 교수-학습 효율화 방안 연구
    김은수 도덕윤리과교육연구, 19, 227-249 [2004]
  • 도덕적 상상력으로서 루소의 ‘공감각’
    김현주 초등교육연구, 22(3), 137-157 [2009]
  •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교육
    고미숙 교육문제연구, 19, 25-54 [2003]
  • 도덕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소설교육 내용 연구. 석사학위논문
    유진현 이화여자대학교 [2013]
  • 도덕교육에서 도덕적 상상력의 역할과 함양 방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명규 서울대학교 [2007]
  • 도덕교육에 있어서 도덕적 상상력의 의미와 적용
    배상식 동서철학연구, 49, 417-442 [2008]
  • 대안적 도덕교육
    고미숙 경기: 교육과학사 [2005]
  • 네덜란드 초등학교 기하 교육과정에 대한 개관: 현실적 수학교육을 중심으로
    정영옥 학교수학, 9(2), 197-222 [2007]
  • 내러티브와 교육과정 연구, 김영천 외. (2012). 교육과정 이론화 역사적 동시대적 탐구
    박민정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2]
  • 김승옥 소설 연구: 초기소설에 나타난 인물의 갈등 양상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황수영 명지대학교 [2009]
  •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연구. 석사학위논문
    강지영 서울대학교 [2012]
  •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 체제 개선방안
    이병호 교육과정연구, 27(4), 21-45 [2009]
  • 국가 교육과정, 무엇을 왜 개정하는가
    김경자 제1차 국가교육과정 전문가 포럼. 1-36 [2014]
  • 교육에서의 창의성 개념과 현장 적용의 타당성 분석. 박사학위논문
    김광수 계명대학교 [2008]
  • 교육과정학의 이해
    박승배 서울: 학지사 [2007]
  •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
    진영은 서울: 학지사 [2005]
  •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성장. 석사학위논문
    한신영 이화여자대학교 [2014]
  •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과 요인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경진 이화여자대학교 [2006]
  • 교육과정 실행 형태의 제 변이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손승희 충남대학교 [2009]
  • 교육과정 실행 방안에 관한 연구
    윤광보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 65-86 [2000]
  • 과학소설의 환상성과 과학적 상상력
    한금윤 현대소설연구, 12, 89-110 [2000]
  •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핵심역량 재구조화 방안
    곽영순 한국지구과학회지, 34(4), 378-387 [2013]
  • ‘과학적 상상력’에 관한 교육철학적 고찰. 석사학위논문
    임광국 동국대학교 [2011]
  • Wilke, J. (2008). Using Imagination the math classroom. In Judson, Gillian. (ed.). Teaching 360 : Effective learning through the imagination. Sense Publishers. 67-73.
  • Wiggins, G. & McTighe, J. (1998). Understanding by design. Alexandria, Virgini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White, J. (2002). The child's mind. NY: Roughtledge Falmer.
  • Warnock, Mary. (1977). Schools of thought. London: Faber.
  • Warnock, Mary. (1976). Imagination. Berkeley: U of California.
  • Wallas, G. (1970). The art of thought. In Vernon, P. E. (ed.). Creativity. NY: Penguin Books.
  • Vygotsky, L. S..(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Vygotsky, L. S. (1998). The collected works of L. S. Vygotsky. In R. Rieber & A. Carton. (ed.), Problems of general psychology. NY: Plenum Press.
  • Vallance, Elizabeth. (1996). Releasing the imagination: Essays on education, the arts, and social change by Maxine Greene.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105(1), 102-107.
  • Tyler, R. W. (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Treffinger, Donald J. Creativity and giftedness. 김정휘, 이정규, 이민희 역. (2008). 창의성과 영재성
    서울: 학지사 [1980]
  • Thomas, A. R mer. (2012). Imagination and judgment in John Dewey's philosophy: Intelligent transactions in a democratic context.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44(2), 133-150.
  • The future of education: Reimagining our schools from the ground up. 김회용, 곽덕주 역. (2014). 상상력 교육: 미래의 학교를 디자인하다
    Egan, K. 서울: 학지사 [2008]
  • The educated imagination. 이상우 역. (1992). 문학의 구조와 상상력
    Frye, N. 서울: 집문당 [1964]
  • The body in mind. 이기우 역. (1992). 마음속의 몸: 의미, 상상력, 이성의 신체적 기초
    Johnson, M. 서울: 한국문화사 [1987]
  • The Process of education. 이홍우 역. (1973). 브루너 교육의 과정
    Bruenr, J. 서울: 배영사 [1960]
  • Teresa, Wilson. (2003). Maxine's table: Connecting action with imagination in the thought of Maxine Greene and Hannah Arendt. Educational Theory, 53(2), 203-220.
  • Strawson, P. F. (1974). Imagination and Perception. Freedom and Resentment. London: Methuen.
  • Sternberg, R. J. (2007). Creativity as a habit. In Tan, A. (ed.), Creativity: A handbook for teachers. Singapore: World Scientific Publishing. 3-25.
  • Sternberg, R. J. (1988). A three-facet model of creativity. In Sternberg, R. J.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5-147.
  • Stephen, S. Triche. (2002). Reconceiving curriculum: An historical approach. Louisiana State University. Doctor of Philosophy In Department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 Stenhouse, L. (1975). An instruction to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London: Heinemann.
  • Spencer, L. & Spencer, S. (200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work. NY: John Wily and Sons.
  • Short, Edmund C. (1991). Forms of curriculum Inquir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Ryle, Gilbert. (1949). The concept of min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Rosers, C. R. (1962). On becoming a person: A therapist's view of psycho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 Plucker, J. A. & Beghetto, R. A. (2004). Why creativity is domain general, why it looks domain specific, and why the distinction does not matter. In Sternberg, R. J. & Grigorenko, E. L. & Singer, J. L. (ed.), 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53-167.
  • Pinar, W. F. (1975). Currere: Towards reconceptualization. Curriculum Theorizing, 396-414.
  • Osborn, A. F. (1963).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 and procedures of creative solving. NY: Charles Scribner's Sons.
  • Noone, L. & Cartwright, P. (2005). Teaching 'now'-imagining the 'not yet': Possibilities and dilemmas of doing a critical pedagogy in the tertiary classroom.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ination and Education, Canada.
  •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Morrow, R. & Torres, C. (2002). Reading Freire and Habermas: Critical pedagogy and transformative social chang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Moriaty, Marilyn. Writing science through critical thinking. 정희모, 김성수, 이재성 역. (2008). 비판적 사고와 과학 글쓰기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6]
  • Moral imagination. 노양진 역. (2008). 도덕적 상상력: 체험주의 윤리학의 새로운 도전
    Johnson, M. 서울: 서광사 [1993]
  • Moore, M. Elizabeth. (2010). Imagination and the mind's ear.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Temple University.
  • Miller, Janet L. (2010). Curriculum as a Consciousness of Possibilities. Curriculum Inquiry, 40(1), 125-141.
  • Methodology for the Human Sciences: Systems of Inquiry. 김승현․이경숙․심미선․황치성 역. (2001). 사회과학 방법론
    Polkinghorne, D. 서울: 일신사 [1983]
  • Mellou, E. (1996). Can creativity be nurtured in young children? Early Child Development & Care, 19, 119-130.
  • McLaughlin, M. W. (1976). Implementation as mutual adaption: Change in classroom organization. The curriculum studies reader. NY: Routledge.
  • McKernan, J. (2008). Curriculum and imagination: Process theory, pedagogy and action research. NY: Routledge.
  • Martin, B. & Brouwer, W. (1991). The sharing of personal science and narrative element in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75, 707-722.
  • MacDonald J. B. (1982). How literal is curriculum theory? Theory into Practice, 21, 55-65.
  • L'air et les songes: essai sur pimationa du mouvement. 정영란 역. (2003). 공기와 꿈: 운동에 관한 상상력
    Bachelard, G. 서울: 이학사 [1943]
  • Kritik der reinen Vernunfit. 최재희 역(1972). 순수이성비판
    Kant, I. 서울: 박영사 [1956]
  • Klieme, E., Avenarius, H., Blum, W., DoBrich, P., Gruber, H., Prenzel, M., Reiss, K., Riquarts, K., Rost, J., Tenorth, H., Vollmer, H. (ed.). (2004).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ducational standards. Berlin: BMBF.
  • Jennifer, B. Bleazby. (2012). Dewey's notion of imagination in philosophy for children. Educationa and Culture, 28(2), 95-111.
  • Jegla, V. (1994). Teacher's everyday use of imagination and intuition: In Pursuit of the elusive image. Ald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Jacson, P. W. (1992).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AERA,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 Iannone, Ron. (2001). Imagination: The missing link in curriculum and teaching. Education, 122(2), 307-309.
  • Hunter, Murray. (2013). Imagination may be more important than knowledge: The eight types of imagination we use. Review of Contemporary Philosophy, 12, 113-120.
  • Hlebowitsh, P. S. (2005). Designing the school curriculum. Boston, MA: Allyn & Bacon.
  • Harwood, V. (2010). The place of imagination in inclusive pedagogy: thinking with Maxine Greene and Hannah Arendt. International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14(4), 357-369.
  • Harbermas, J. (1992). Postmetaphysical thinking. Cambridge, Uk: Polity Press.
  • Hamlyn, D. W. (1994). Philosophical imagination and cultural memory: Appropriating historical traditions. History of European ideas, 18(6), 981.
  • Guilford, J. P. (1967). Creativity: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
  • Guilford, J. P. (1953).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 444-454.
  • Greene, Maxine. (1995). Releasing the imagination: Essays on education, the arts, and social change. Jossey-Bass Publishers: San Francisco.
  • Gardner, Howard. (2007). Five mind for the futur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 Gardner, Howard. (1993). Frame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Y: Basic Books.
  • Gajdamaschko, Natalia. (2008). Vygotsky on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In Gillian Judson. (ed.). Teaching 360 : Effective learning through the imagination. Sense Publishers. 83-96.
  • Gajdamaschko, Natalia. (2006). Theoretical concerns: Vygotsky on Imagination Development. Educational Perspective, 39(2), 34-40.
  • Gajdamaschko, Natalia. (2005). Vygotsky on Imagination: Why an understanding og the imagination is an important issue for school teachers, Teaching Education, 16(1), 13-22.
  • Fullan, M. G. (1991).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NY: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 Freire, P. (1998). Cultural action and conscientization. Harvard Educational Review, 68(4), 499-520.
  • Fettes, M. (2011). Imagination and experience: An integrative framework. Democracy and Education, 28(1), 1-11.
  • Eisner, E. W. (1985). The art of educational evaluation: A personal view. London: The Farmer.
  • Egan의 이야기 형식 모형에 기초한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전현정 경북대학교 [2009]
  • Egan, K. (2005). An imaginative approach to teaching.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Egan, K. (1997). The educated mind: How cognitive tools shape our understand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Egan, K. (1992). Imagin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in middle school year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Egan, K. (1988). The origin of imagination. In K. Egan & D. Nadaner. (ed.). Imagination and education.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 Durand, Gilbert. L'imginaire. Essai sur les sciences et la philosophie de l'image. 진형준 역. (1997). 상상력의 과학과 철학
    서울: 살림 [1994]
  • Die Traumdeutung. 김기태 역. (2002). 꿈의 해석
    Freud, S. 서울: 선영사 [1900]
  • Diachenko, O. M. (2011). On major developments in preschooler's imagi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19(1), 19-25.
  • Dewey, J. (1925). Experience and nature.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 Dewey, J. (1887). The early Works:1882-1898: psychology.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 Democracy and education. 이홍우 역. (2007). 민주주의와 교육
    Dewey, J. 서울 : 교육과학사 [1916]
  • Croply, A. J. (2001a). Definition of creativity. Encyclopedia of Creativity, 1.
  • Cropley, A J. Creativity in education and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or.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역(2004). 창의성 계발과 교육
    서울: 학지사 [2001]
  • Creswell, John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2011).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2007]
  • Creativity: a componential approach.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인간발달연구소 역. (1996). 창의성: 요소적 접근 모델
    Urban, K. K. 인간발달연구, 24(1). 5-27 [1995]
  • Coleridge. Biographa Literaria. 장경렬, 진형준, 정재서 역. (1997).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서울: 살림 [1983]
  • Calhoun, C. (1995). Critical social theory. Cambridge, MA: Blackwell Publisher.
  • Bruner, J. (1997). The Culture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 Bruner, J. (1986). Actual minds, possible world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Boden, M. (2001). Creativity & knowledge. Craft, B. Jeffery. & Leibling. (ed.). Creativity in education. London: Continuum. 95-102.
  • Bland, D., Vinathe Sharma-Brymer. (2012). Imagination in school children's choice of their learning environment: An Australia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6, 75-88.
  • Bland, D. (2006). Researching educational disadvantael: Using participatory research to engage marginalised students with education.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 Barrow, R. (1988). Some observations on the concept of imagination. In K, Egan & E. Nadner. (ed.). Imagination and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70-90.
  • Bachelard의 상상력과 그 도덕교육적 의의. 박사학위논문
    황석하 경북대학교 [2008]
  • Arieti, S. (1976). Creativity: The magic synthesis. NY: Basic Book. Inc, Publishers.
  • Amos.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진영은 역. (2008). 교육 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Hatch, J. 서울: 학지사 [2002]
  • Alexander, Gadi. (2009). Where is the best place to kickstart one's imagination? The Tension between 'Schooled' and 'Unschooled' Experiences. In Blenkinsop, Sean. (ed.). The Imagination in Education: Extending the boundaries of theory and practice. Cambridge Scholars. 19-33.
  • 2015 융합형 교육과정 개편 추진 일정. 2013. 10. 25
    교육부 보도자료 [2013]
  •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과학과 핵심 성취기준 개발 연구, 연구보고 CRG 2013-9
  • (1739). A Treatise of Human Nature, Of the passion. 이준호 역.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제2권 정념에 관하여
    Hume, D. 서울: 서광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