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영화에 재현된 민족주의와 국가 지배담론의 이해관계

원원 2015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영화에 재현된 민족주의와 국가 지배담론의 이해관계'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dominant discourse
  • korean movies
  • nationalism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87 0

0.0%

' 한국영화에 재현된 민족주의와 국가 지배담론의 이해관계' 의 참고문헌

  • 한국학중앙연구원,“해방공간의 한국정치사상,” 정영훈 등 공저,『근현대 한국정치사상사 연구』
    양동안 성남 :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 한국전쟁과 지배 이데올로기
    김동노 『아시아문화』제 16호 [2000]
  • 박사
    한국의 영화정책과 이데올로기
    양경미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민족․섹슈얼리티․병리학
    고미숙 서울 : 책세상 [2001]
  • 한국의 국가 통치전략으로서의 민족주의
    김동노 『현상과 인식』가을 제 3호 [2010]
  • 한국영화 100년
    호현찬 서울 : 문학사상사 [2000]
  •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의 풍경 : 1945-1959』
    이효인 정종화 서울: 문학사상사 [2003]
  • 한국군사혁명사편찬위원회『한국군사혁명사』,제1편 하
    서울: 동아출판사 [1964]
  • 한국 분단영화에 관한 연구 : 분단영화의 장르적 정의와 진화과정을 중심으로
    김의수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한국 민족주의 영화의 흐름과 특성 -1990년대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양경미 『영화연구』46호 [2010]
  • 편『한국 민족주의』
    노재봉 이용회 서울: 서문당 [1977]
  • 편 李承晩 著.『李大統領 訓話錄』
    김광섭 서울: 중앙문화협회 [1950]
  • 통일연구원“전환기 한국정치사상: 민주화 이후의 한국정치사상,”정영훈 등 공저,『근현대 한국정치사상사 연구』
    성남 :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 책임 편집,『한국 영화사 : 開化期에서 開花期까지』
    김미현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중국 문화민족주의와 그 실천전략
    이경희 『한국동북아논총』, 제52집 [2009]
  • 조만영 역,라이언과 켈너(Michael Ryan & Douglas Kellner) 저,『카메라 폴리티카: 현대 할리우드 영화의 정치학과 이데올로기』(상)
    백문암 서울: 시각과 언어 [1996]
  • 정부수립기~1950년대 문화영화와 국가정체성
    이하나 『역사와 현실』74호』 [2009]
  • 저 『한국영화 정책사』
    김동호 파주 : 나남 [2005]
  • 자료로 본 한국영화사
    정종화 서울 : 열화당 [1997]
  •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근대 계몽기 지식개념의 수용과 그 변용』
    서울: 소명출판 [2005]
  • 이승만의 업적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 긍정적 평가를 중심으로
    유영옥 『한국동북아논총』제63권 [2012]
  • 이승만대통령의 반일운동과 한국민족주의
    서중석 『인문과학』제 30집 [2000]
  • 이승만 “李大統領 平壤同胞에 告함,” 大韓民國國防部政訓國戰史編纂會 編,『韓國戰亂一年誌』
    서울: 대한민국국방부정훈국전사편찬회 [1951]
  • 우리민족의나갈길: 사회재건의이념
    박정희 서울 : 東亞出版社 [1962]
  • 우리 안의 파시즘
    임지현 서울: 삼인 [2000]
  • 옮김『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구해근 신광영 파주: 청작과 비평사 [2003]
  • 옮김 한스 콘(Hans Kohn) 저.『민족주의』
    차기벽 서울: 삼성문화재단 [1974]
  • 옮김 팀 에덴서(Tim Edensor) 저.『대중문화와 일상 그리고 민족정체성』
    박성일 서울 : 이후 [2008]
  • 옮김 베네딕트 앤더슨(Benedict Anderson)저,『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
    윤형숙 서울: 나남 [1991]
  • 오발탄
    유현목 감독 [1961]
  • 영화진흥공사 편『한국영화자요편람(초창기~1976년)』
    서울: 映畵振興公社 [1977]
  • 영화지원정책의 이데올로기 경향성 연구
    한승준 , 서울행정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2010]
  • 영상예술학회 홈페이지 (http://www
    filmimage.org/)
  • 엮음『국사의 신화를 넘어서』
    이성시 임지현 서울: 휴머니스트 [2004]
  • 역 피터 버크(peter Burke).『이미지의 문화사: 역사는 미술과어떻게 만나는가』
    박광식 서울: 동문선 [2005]
  • 역 토마스 샤츠(Thomas Schatz),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찬호 허문영 서울: 한나래 [1995]
  • 역 스테판 히스(Stephen Hesth) 지음, 『영화에 관한 질문들』
    김소연 서울: 울력 [2003]
  • 역 비릴리오 폴(Paul Virilio) 지음,『전쟁과 영화: 지각의 병참학』
    권혜원 서울 : 한나래 [2004]
  •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권위주의 시기의 한국정치사상,” 정영훈 등 공저,『근현대 한국정치사상사 연구』
    전재호 성남 :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 박정희 체제의 민족주의 : 담론의 변화와 그 원인
    전재호 『한국정치학회보』32집 4호 [1999]
  • 박정희 정권기 영화 검열과 감성 재현의 역학
    박유희 『역사비평』특집:일상과 의식 속의 유신체제, 99호 [2012]
  • 박정희 정권기 경제개발 : 민족주의와 발전
    김보현 서울: 갈무리 [2006]
  • 박정희 시대 전통의 재창조와 통치체제의 확립
    김동노 『동방학지』제150집 [2010]
  • 민족주의의 시대
    박찬승 서울 : 경인문화사 [2007]
  • 민족주의의 다원화와 이념 갈등
    김동노 『동방학지』제159집 [2012]
  • 문화관광부, 『통계로 보는 문화산업』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997]
  • 문화 운동론
    정이담 서울: 공동체 [1985]
  • 동원체제의 과민족화 프로젝트와 섹스영화: 데카당스의 정치학
    유선영 『언론과 사회』, 15권 2호 [2007]
  • 동아일보, 「특집 해방 30년」,『동아연감』
    서울: 동아일보사
  • 대통령비서실 “1962.11.23. 반공학생의 날 기념사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2: 제5대편 [1973]
  • 김대중『통일과 민족의 운명』, 1993년 11월 30일 고려화 초청강연
    김대중 도서관자료 [1993]
  • 국방홍보원 홈페이지 (http:// www
    dream.mil.kr)
  • 국가와 시장의 갈등, 표류하는 DJ
    유승민 『신동아』9월 [2001]
  • 개발독재와 박정희 시대
    이병천 서울: 창비 [2003]
  • 간첩잡는 똘이장군
    김청기 감독 [1979]
  • 震檀學會 편,『韓國史 . 近世前期編』
    이상백 서울: 을유문화사 [1962]
  • 民族中興의 길
    박정희 서울: 광명출판사 [1978]
  • 『李大統領 訓話錄』
    공보실 第2輯, 公報室 [1956]
  •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서중석 서울: 역사비평사 [2002]
  • 『한국의 민족주의를 말한다』
    탁선산 서울: 웅진닷컴 [2004]
  • 『한국영화정책의 흐름과 새로운 전망』.
    최진용 서울: 집문당
  • 『한국영화정책의 성격규정과 법제도에 관한 연구』
    김진태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8]
  • 『한국민족주의연구』, 민족통일연구원. 정책연구실
    조민 서울 : 民族統一硏究院 [1994]
  • 『한국근대사의 재인식』
    박성수 서울 : 동아학습사 [1982]
  • 『한국 영화정책의 흐름과 새로운 전망』
    최진용 서울 : 집문당 [1994]
  • 『한국 영화법의 개선방향』
    임미순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995]
  • 『한국 민족주의의 이념』
    양호민 서울: 아세아 정책연구원 [1977]
  • 『차기벽저작집 4 민족주의 원론』
    차기벽 서울: 한길사 [2006]
  • 『식민지의 회색시대』
    유해동 서울: 역사비평사 [2003]
  • 『시장개방이후 한국영화의 변화과정과 특성에 대한 체계분석적 연구』
    염찬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시각 저 끝 너머의 예술』
    지정하 파주: 열화당 [2008]
  • 『백기완의 통일이야기』
    백기완 서울: 청년사 [2003]
  • 『민족주의, 이제는 버려야 하나』
    이선민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8]
  •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최원규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85]
  • 『독립전야』
    설의식 최인규 감독 [1948]
  • 『나를 배반한 역사』
    박노자 서울 : 인물과 사상사 [2003]
  • 『근대의 풍경: 소품으로 본 한국영화사』
    차순하 서울: 소도 [2001]
  • 『국민으로부터 탈퇴: 국민국가, 진보, 개인』
    권혁범 서울: 삼인 [2004]
  • 「해방기 한국 영화의 형성과 전개 양상 연구」
    한영현 성신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0]
  • 「한국전쟁영화의 반공영화로의 포획과정에 관한 연구: 1954~1969」
    김권호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박사
  • 박사
    「한국민족주의연구」
    김우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4]
  • 「한국 반공영화 연구: 반공이데올로기의 의미체계와 사회 문화적 기능을 중심으로」
    김차호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박사
  • 박사
  • 박사
  • 「朴正熙 政權基 經濟開發 : 民族主義와 發展, 그리고 矛盾」
    김보현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한국형 블록버스터’와 민족주의 담론의 절합관계 연구」
    권은선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논문 [2001]
  • 「<청연>:‘신여성’ 재현에서의 민족주의와 페미니즘의 결합」
    권은선 영상예술학회, 『영상예술연구』, 11호 [2008]
  • 박사
    「1950년대 한국 멜로드라마 분석」
    박진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해방 직후 국내 정치 세력과 미국의 관계, 1945-1948,”
    이완범 박지향[외]엮음, 『해방직후사의 재인식2』, 서울 : 책세상 [2006]
  • “해방 50주년과 민족통일,”
    1995년 1월 20일 강릉대학교 총동창회 초청강연, 김대중도서관자료 [1995]
  • “한국의 사회변동과 대중문화,”
    김창남 『진보평론』, 여름 제32호 [2007]
  • “한국반공영화의 진화와 그 조건,”
    조준형 차순하 외,『근대의 풍경: 소품으로 본 한국영화사』, 서울: 소도 [2001]
  • “한국민족주의의 역사적 구조,”
    천관우 전덕규(편),『한국의 민족주의』, 현대사상사 [1976]
  • “한국민족주의 연구: 전개 과정, 성격 및 과제를 중심으로,”
    정경환 『인문연구논집』제2집 [1997]
  • “한국 민족주의와 자유주의,”
    김흥동 양호민 외, 『한국 민족주의의 이념』, 서울: 아세아 정책연구원 [1977]
  • “한국 민족주의 담론의 전개와 대안적 민족주의 모색,”
    윤인진 『한국사회』제8집 1호 [2007]
  • “일제 강점기 영화정책,”
    조준형 김동호 외, 『한국영화 정책사』, 서울:나남출판 [2005]
  • “영화법규와 시책으로 본 정책의 흐름,”
    김흥동 [1994]
  • “박정희 체제의 민족주의: 담론의 변화와 그 원인,”
    전재호 『한국정치학회보』32집 4호 [1998]
  • “박정희 대통력의 민족주의 담론,”
    강정인 『사회과학연구』제20권 2호,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 “문화영화의 정신,”
    오영진 『朝光』, 조광사 [1941]
  • “남성 팬터지의 산물, 『자유부인』의 성 정치학,”
    정미경 길밖세상 편,『20세기 여성사건사』, 서울: 여성신문사 [2001]
  • “근대적 일상과 전통의 변용: 1950년대의 경우,”
    김경일 박영은 등 공저,『한국의 근대성과 전통의 변용』,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 “국사교육의 강화와 국가주의,”
    장영민 공제욱 편,『국가와 일상』, 서울:한울아카데미 [2008]
  • “고립된 전사, 경계의 타자 -탈냉전시대 한국전쟁 영화에 나타난"북(北)"의 표상,”
    박유희 『民族文化硏究(Korean Classics Studies)』제 58권 [2013]
  • “‘식민지 근대’의 영화적 재현을 통한 한국 사회의 인식: <청연>과 <기담>을 중심으로,”
    이승환 『영화연구』41호 [2009]
  • “87년 체제인가, 97년 체제인가: 민주화 시대에서 세계화 시대로,”
    김호기 『사회비평』제36권 [2007]
  • “80년대 한국의 민족주의,”
    김동춘 『근대의 그늘』, 서울: 당대 [2000]
  • “5.16-산업화 민족주의 혁명,”
    김세중 정성화 편, 『박정희시대 연구의 쟁점과 과제』, 서울: 선인 [2005]
  • “1948~1950년 평화적 통일론의 구조,”
    한상구 역사문제연구소 편,『분단 50년과 통일시대의 과제』, 서울:역사비평사 [1995]
  • Tripathy, Jyotirmaya & Dharmabrata Mohapatra(2011). Does Development Exit outside Representation?(Journal of Developing Societies 27(2).
  • Tilly, Charles(1990). Coercion, Capital and European States, OXford: Basil Blackwell.
  • Smith, Anthony(2001). Nationalism : theory, ideology, history . -2001, Malden, Mass. : Polity Press, c2001.
  • Smith, Anthony(1986). The Ethnic Origins of Nations, Cambridge: Blackwell.
  • Shin, Gi-Wook(2006). Ethnic Nationalism in Korea,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 Said, Edward Q. (1978). Orientalism , New York: Pattheon.
  • Pfaff,William(1993). The Wrath of Nations: Civilization and the Fury of Nationalism, New York: Simon&Schuster.
  • O'Brien, Conor Cruise(1993). "The Wrath of Ages: Nationalism's Primordial Roots", Foreign Affairs, Noverber/December.
  • Nairn, Tom (1977). The Break-up of Britain, London: New Left Books.
  • Moon, Katherine (2003). The Making of 'Anti- American' Sentiment in Korea and Japan,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 Mead, George H.(1934). Mind, Self and Society from the standpoint of a Social Behaviorist,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Mann, Michael (1995). "A Political Theory of Nationalism and Its Excess", Sukumar Periwal ed,. Notions of Nationalism, Budapest: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 Kohn, Hans (1959). The Idea of Nationalism, a study in its orgins and background, New York : Macmillan.
  • Jowett, Garth S. & O'Donnell, Victoria(2012). Propaganda & Persuasion, Thousand Oaks, Calif. : SAGE.
  • Jarvie, I. C.(1970). Towards a Sociology of the Cinema, London : Routledge & K. Paul.
  • Hobsbawm, Eric J. (1990). Nations and Nationalism since 1780, Cambridge : The Press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 Habermas, Jurgen(1995). "Citizenship and National Identity: Some Reflections on the Future of Europe", Theorizing Citizenship,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Greenfield, Liah(1992). Nationalism: Five Roads to Modernit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Graham, Dav and Thompson, Andrew. (2004). Theorizing Nationalism, Houndmills: Palgrave Macmillan.
  • Giddens, Anthony(1985). “A Contemporary Critique of Historical Materialism,” Nation State and Violence, Vol. 2, Cambridge: Polity Press.
  • Gellner, Ernest(1983).Nations and Nationalism, Ithac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 Gellner, Ernest(1964). Thought and Change, London: Wedenfeld and Nicolson.
  • Geertz, Clifford (1973).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 New York: Basic Books.
  • Gans, Chaim(2003).The Limits of Nationalis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Fox, Robin W.(1994). "Nationalism: Hymns Ancient and Modern", The National Interests, .
  • Foucault, Michel(1980). Power/Knowledge: Selected Interviews and Other Writings 1972-1977, New York: Pantheon Books.
  • Foucault, Michel(1977). Discipline and Punish: The Birth of the Prison, New York: Pantheon Books.
  • Edensor, Tim(2002). National identity, popular culture and everyday life, Oxford: Berg.
  • Duara, Prasenjit(1996). “Historicizing National Identity, or Who Imagines What and When.” Geoff Eley and Ronald Grigor Suny eds., Becoming Nationa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Deutsch, Karl W.(1984). Nationalism and Communication Theory .
  • Carr, Edward H.(1968). Nationalism and After, London : Melbourne, [etc.] : Macmillan.
  • Calhoun, Craig(1997). Nationalism,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 Brubaker, Rogers (1996). Nationalism Reframed: Nationhood and the National Question in the New Europ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reuilly, John(1993). Nationalism and the Stat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Breuilly, John(1982). Nationalism and the State, New York: St, Martin’s Press.
  • Bauman, Zygmunt(1992).“Blood, Soil, and Identity,” Sociological Review, Vol. 40. No.4.
  • Anthony, Smith(2000). Theories of Nationalism: Alternative Models of Nation Formation, Michael Leifer ed., Asian Nationalism, London: Routledge.
  • Anderson, Benedict(1990).Language and power : exploring political cultures in Indonesia, Ithaca, N.Y. : Cornell University Press.
  • Anderson, Benedict(1983).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London: Verso.
  • <후라이보이 박사소동>
    정창화 감독 [1959]
  • <효자동 이발사>
    임찬상 감독 [2004]
  • <황금70 홍콩작전>
    최인현 감독 [1970]
  • <화륜(火輪)>
    김유영 감독 [1931]
  • <화려한 휴가>
    김지훈 감독 [2007]
  • <혼가(昏家)>
    김유영 감독 [1929]
  • <혈로>
    신경균 감독 [1954]
  • <한반도>
    강우석 감독 [2006]
  • <피아골>
    이강천 감독 [1955]
  • <프락치>
    황철민 감독 [2005]
  • <풍운아>
    나운규 감독 [1926]
  • <풍산개>
    전재홍 감독 [2011]
  • <포화 속으로>
    이은정 이재한 감독 [2010]
  • <팔푼며느리>
    심우섭 감독 [1968]
  • <태풍>
    곽경택 감독 [2005]
  • <태양의 거리>
    민경식 감독 [1952]
  • <태백산맥>
    권영순 감독 [1975]
  • <태백산맥>
    임권택 감독 [1994]
  • <태극기 휘날리며>
    강제규 감독 [2003]
  • <크로싱>
    편집부(편집자) 김태균 감독 [2008]
  • <출격명령>
    홍성기 감독 [1954]
  • <청연>
    윤종찬 감독 [2005]
  • <천사의 분노>
    노진섭 감독 [1973]
  • <처음 만난 사람들>
    김동현 감독 [2009]
  • <창수만세>
    어약선 감독 [1954]
  • <짝코>
    임권택 감독 [1980]
  • <지하촌(地下村)>
    강호 감독 [1930]
  • <지옥화>
    신상옥 감독 [1958]
  • <지슬>
    오멸 감독 [2013]
  • <증언>
    임권택 감독 [1973]
  • <줄탁동시>
    김경묵 감독 [2011]
  • <주검의 상자>
    김기영 감독 [1955]
  • <죄 없는 죄인>
    최인규 감독 [1948]
  •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김지운 감독 [2008]
  • <조선해협>
    박기채 감독 [1943]
  • <정의의 진격>
    한형모 감독 [1951]
  • <젊은 아들의 마지막 노래>
    조긍하 감독 [1970]
  • <전우>
    홍개병 감독 [1949]
  • <적과의 동침>
    유재철 박건용 감독 [2011]
  • <장미>
    유현목 감독 [1979]
  • <장군의 아들>
    박봉현 임권택 감독 [1991]
  • <잔류 첩자>
    김시현 감독 [1975]
  • <자유전선>
    김홍 감독 [1955]
  • <자유만세>
    최인규 감독 [1946]
  • <임자 없는 나룻배>
    이규환 감독 [1932]
  • <이중간첩>
    김현정 감독 [2002]
  • <이국정원>, , 전창근, 도광계
    와카스기 미츠오 감독 [1958]
  • <의형제>
    장훈 감독 [2010]
  • <은마는 오지 않는다>
    장길수 감독 [1991]
  • <육체의 고백>
    원씨계태 조긍하 감독 [1964]
  • <육체는 슬프다>
    이해랑 감독 [1962]
  • <유관순>
    윤봉춘 감독 [1948]
  • <웰컴 투 동막골>
    박광현 감독 [2005]
  • <월하의 맹서>
    윤백남 감독 [1923]
  • <원스 어픈 어 타임>
    정용기 감독 [2007]
  • <울지 않으리>
    임권택 감독 [1974]
  • <운명의 손>
    한형모 감독 [1954]
  • <용의자>
    원신연 감독 [2013]
  • <요절복통 일망타진>
    심우섭 감독 [1969]
  • <오래된 정원>
    황석영 임상수 감독 [2007]
  • <오랑캐의 발자취>
    윤봉춘 감독 [1951]
  • <오 꿈의 나라>, , 이은, 장동홍
    장윤현 감독 [1989]
  • <영과의 길>
    윤봉춘 감독 [1953]
  • <여정만리>
    양인은 감독 [1962]
  • <여섯 개의 시선>, , 임순례, 정재은
    여균동 감독 [2003]
  • <여간첩 에리샤>
    최경옥 감독 [1965]
  • <암로(暗路)>
    독고성 감독 [1929]
  • <아리랑>
    나운규 감독 [1926]
  • <아름다웠던 서울>
    윤봉춘 감독 [1950]
  • <아름다운 시절>
    한창훈 이광모 감독 [1998]
  • <아내들의 행진>
    임권택 감독 [1974]
  • <싸리골의 신화>
    이만희 감독 [1967]
  • <실미도>
    강우석 감독 [2003]
  • <시선 너머>, , 강이관, 부지영
    김대승 감독 [2010]
  • <스파이 파파>
    한승룡 감독 [2011]
  • <쉬리>
    이태관 강제규 감독 [1999]
  • <수취인불명>
    김기덕 감독 [2001]
  • <송환>
    김동원 감독 [2004]
  • <소문난 구두쇠>
    김영걸 감독 [1970]
  • <성벽을 뚫고>
    한형모 감독 [1949]
  • <서울로 가는 길>
    이병일 감독 [1962]
  • <서부전선>
    윤봉춘 감독 [1951]
  • <삼호탈출>
    최인현 감독 [1970]
  • <삼천만의 꽃다발>
    신경균 감독 [1951]
  • <사랑할 때와 죽을 때>
    김묵 감독 [1971]
  • <사랑과 죽음의 해협>
    노필 감독 [1962]
  • <사람팔자 알 수 없다>
    김화랑 감독 [1958]
  • <빼앗긴 일요일>
    정일몽 감독 [1963]
  • <빛나는 건설>
    유장산 감독 [1954]
  • <붉은 장미는 지다>
    이원초 감독 [1962]
  • <붉은 가족>
    이주형 감독 [2012]
  • <불꽃>
    유현목 감독 [1975]
  • <북한의 실정>
    이창근 감독 [1949]
  • <베를린>
    류승완 감독 [2013]
  • <박하사탕>
    이창동 감독 [1999]
  • <무죄>
    김희철 감독 [2007]
  • <무적자>
    송해성 감독 [2010]
  • <무산일기>
    박정범 감독 [2010]
  • <무너진 삼팔선>
    윤봉춘 감독 [1949]
  • <무궁화>
    안철영 감독 [1948]
  • <모던 보이>
    정지우 감독 [2008]
  • <만다리>
    임권택 감독 [1981]
  • <마음의 고향>
    윤용규 감독 [1949]
  • <량강도 아이들>, , 김성훈
    정성산 감독 [2011]
  • <라디오 데이즈>
    하기호 감독 [2008]
  • <들쥐>
    나운규 감독 [1927]
  • <들국화는 피었는데>
    이만희 감독 [1974]
  • <두만강>
    장률 감독 [2009]
  • <두고온 산하>
    이강천 감독 [1962]
  • <동창생>
    박홍수 감독 [2013]
  • <동경을 울린 사나이>
    박춘배 감독 [1970]
  • <독립협회와 청년 리승만>
    신상옥 감독 [1959]
  • <댄스타운>
    전규환 감독 [2010]
  • <내가마지막 본 홍남>
    고영남 감독 [1983]
  • <내가 넘은 삼팔선>
    손전 감독 [1951]
  • <남편은 경비대로>
    도전장 감독 [1932]
  • <남부군>
    이경윤 정지영 감독 [1990]
  • <나의 결혼 원정기>
    황병국 감독 [2005]
  • <나라를 위하여>
    안종화 감독 [1949]
  • <나도 인간이 되련다>
    유현목 감독 [1969]
  •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이장호 감독 [1987]
  • <꽃잎>
    부도건부 장선우 감독 [1996]
  • <김정일리아>, , N. C
    헤이킨 감독 [2009]
  • <길소뜸>
    임권택 감독 [1986]
  • <기담>, , 정범식
    정식 감독 [2007]
  •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배창호 감독 [1984]
  • <그림자 살인>
    박대민 감독 [2009]
  • <그녀를 모르면 간첩>
    박한준 감독 [2004]
  • <그 섬에 가고 싶다>
    박광수 감독 [1994]
  • <굳세어라 금순아>
    최학곤 감독 [1962]
  • <군용열차>
    서광제 감독 [1938]
  • <국경의 남쪽>
    안판석 감독 [2006]
  • <공동경비구역- JSA>
    박찬욱 감독 [2000]
  • <경계>
    장률 감독 [2007]
  • <겨울나비>
    김규민 감독 [2011]
  • <검은 장갑>
    김성민 감독 [1963]
  • <검사와 여선생>
    윤대룡 감독 [1948]
  • <간첩>
    우민호 감독 [2012]
  • <간첩 리철진>
    장진 감독 [1999]
  • <가고파>
    곽정환 감독 [1984]
  • <7인의 여포로>
    이만희 감독 [1965]
  • 87년 체제론: 민주화 이후 한국사회의 인식과 새 전망
    김종엽 파주:창비 [2009]
  • 20세기 전반 한국 사상계의 궤적과 민족주의 담론
    장규식 『한국사연구』제150권 [2010]
  • 1950년대, 한국영화의 장르형식과 문화담론 연구
    오영숙 한양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5]
  • *“우리는 이렇게 실천하련다/ 예술원 회원들의 포부,” 서울신문
    년 4월 22일자 [1954]
  • *“영화작가협회발족,” 자유신문
    년 11월 10일자 [1946]
  • *“영화검열 파문, 조선영화계 중대 난관에 봉착,” 자유신문
    년 5월 5일자 [1946]
  • *“미 UIP사 영화직배 파문 확산,” 경향신문
    년 9월 6일자 [1989]
  • *“모던 보이, 모던 걸 마음껏 즐리라” 식민지 소재 영화 붐 ,경향신문
    년 10월 2일자 [2008]
  • *“독일 신문화영화 - 대규모의 테육장려영화,” 동아일보
    년 5월 16일자 [1925]
  • * 추민,“영화운동의 노선2” ,중앙신문
    년 2월 26일자 [1946]
  • * 동아일보
    년 3월 23일자 [1923]
  • * 김유영,“영화가에 입각하야” (1)~(6),『동아일보』
    년 3월 26일 ~ 4월5일자 [1931]
  • (Michael Wood) 저, 시찬주, 성미숙 옮김,『영화 속의 미국』
    마이켈 우드 서울: 현대미학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