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영화 재현을 통한 스펙터클 표현의 의미에 관한 연구 : 1950년대 이후의 6·25전쟁영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aning of spectacle expression in the film representation: focusing on the Korean war films since 1950s

김대근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김대근
    • 기타서명 Study on the meaning of spectacle expression in the film representation
    • 형태사항 xi, 199 p.: 27 cm: 삽화, 표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학순, 참고문헌수록
    • 학위논문사항 영상미디어,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15.2, 학위논문(박사)-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 출판년 2015[2014]
    • 발행사항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0)

' 영화 재현을 통한 스펙터클 표현의 의미에 관한 연구 : 1950년대 이후의 6·25전쟁영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aning of spectacle expression in the film representation: focusing on the Korean war films since 1950s' 의 참고문헌

  • 해방과 한국전쟁: 1945~1953. 『한국영화사: 開化期에서 開花期까지』. 103~120
    조혜정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해방 전 조선영화극장사 연구. 『한국영화사연구』. 창간호. 95~164. 한국영화사학회
    이용남 서울: 새미 [2003]
  • 할리우드 영화의 모든 것
    서정남 서울: 이론과실천 [2009]
  • 한반도 분단체제 확립 시기에 나타난 남북한 전쟁영화의 가족 드라마: 1966년 북한 <최학신의 일기>와 남한<군번없는 용사>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4권. 175~195
    정민아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07]
  • 한국전쟁과 영화, 기억의 정치학: <그 섬에 가고 싶다>와 <할매꽃>을 중심으로. 『씨네포럼 17』. 9~42
    정영권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3]
  • 한국전쟁과 애도의 수사학: <작은 연못>을 대상으로. 『영화』. Vol. 3 No. 2. 37~63
    문선영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0]
  • 한국전쟁과 내전: 세 가지 내전 개념의 구분. 『한국정치학회보』. 47(5). 297~319
    이삼성 한국정치학회 [2013]
  • 한국전쟁: 국제전적 조망
    이완범 서울: 백산서당 [2000]
  • 한국전쟁 영화에 나타난 국가관과 전쟁관: <포화 속으로>와 <고지전>을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Vol. 53, No. 4. 433~461
    정병기 한국국제정치학회 [2013]
  • 한국의 문화: 한국전쟁과 낙동강, 가려진 현실의 융기, 임권택의 <낙동강은 흐르는가>를 대상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Vol. 56. 369~393
    문선영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 한국영화에서 한국전쟁이 재현되는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55. 7~34
    김경욱 한국영화학회 [2013]
  • 한국영화에서 나타난 한국전쟁의 양상과 시각의 변화. 『영화교육연구』. Vol. 7. 175~196
    지명혁 한국영화교육학회 [2005]
  • 한국영화산업과 정책: 1980~1997. 『한국영화사 공부: 1980~1997』. 143~205. 한국영상자료원(KOFA)편
    조준형 서울: 이채 [2005]
  • 한국영화 기술사 연구팀 『한국영화기술의 역사: 1980~2008년』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한국영화 100년사
    안태근 경기: 북스토리 [2013]
  • 한국 전쟁영화의 발전과 특징: 한국전쟁에서 베트남전쟁까지.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 9, No. 2. 77~108
    김권호 역사문화학회 [2006]
  • 한국 전쟁영화에서 남성성의 문제: <포화 속으로>와 <고지전>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60. 151~177
    정영권 한국영화학회 [2014]
  • 한국 영화사 연구. 이중거 외 (1992). 『한국영화의 이해: 아리랑에서 은마는 오지않는다 까지』. 139~154
    이중거 서울: 예니 [1992]
  • 한국 분단영화에 관한 연구 : 분단영화의 장르적 정의와 진화과정을 중심으로
    김의수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 한국 반공영화의 진화와 그 조건. 차순하 외 (2001). 『소품으로 본 한국영화사: 근대의 풍경』. 332~371
    조준형 서울: 도서출판 소도 [2001]
  • 한국 반공영화 담론의 형성과 전쟁영화 장르의 기원 1949∼1956. 『현대영화연구』. 10권. 377~417
    정영권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0]
  • 한겨레신문 국산 특수효과가 낳은 ‘구미호’. 11면
    (http://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Date.nhn#) [1994]
  • 필름 『태극기 휘날리며 메이킹북』
    강제규 서울: 시공사 [2004]
  • 최종병기 활에서 드러나는 전쟁영화 관습에 대한 연구.『영화연구』. 52. 59~81
    김선엽 한국영화학회 [2012]
  • 최근 한국 첩보영화에 대한 연구: 다문화시대의 간첩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15. 249~278
    김승경 김영준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3]
  • 차이밍량 영화에 나타난 스타일상의 흐름: 통계적 분석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34. 125~157
    김정호 한국영화학회 [2007]
  • 질적 연구 : 방법과 사례
    조용환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조선일보 다시 개방된 국립영화제작소
    민간제작자에 혜택. 5면 [1962]
  • 제5차 영화법 개정 이후의 영화정책(1985~2002). 김동호 외 (2005). 『한국영화 정책사』. 269~345
    안지혜 파주: 나남출판 [2005]
  • 전후문학 각색 영화에 나타난 전쟁의 기억과 전후 현실. 『영화교육연구』. Vol. 15. 77~98
    김대중 한국영화교육학회 [2013]
  • 전쟁 스펙터클과 전장 실감의 동력학: 중일전쟁기 제국의 대륙 통치와 생명정치 혹은 조전 조선인 배치. 한국-타이완 비교문화연구회 (2010). 『전쟁이라는 문턱』. 63~95
    김예림 서울: 그린비 [2010]
  • 전쟁 기억의 영화적 재현: 한국 전쟁기 지리산권을 다룬 영화들을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Vol. 68. 101~135
    김권호 한국사회사학회 [2005]
  • 재현체계와 근대성-재현의 탈근대적 배치를 위하여. 『문화과학』. 24. 15~38
    강내희 문화과학사 [2000]
  • 일제시대의 우리 영화: 흥행과 제작의 난제. 이중거 외 (1992). 『한국영화의 이해: 아리랑에서 은마는 오지않는다 까지』. 14~70
    이중거 서울: 예니 [1992]
  • 일제강점기 영화정책(1903~1945). 김동호 외 (2005). 『한국영화 정책사』. (45~105쪽)
    조준형 파주: 나남출판 [2005]
  • 일제강점기 시대 "조선키네마"의 설립과 영화제작 활동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29. 321~346
    조희문 한국영화학회 [2006]
  • 일제 강점 말기와 유신 정권 시기의 국책선전영화 비교 연구: 사단법인 조선영화제작주식회사의 군사영화와 영화 진흥공사의 전쟁영화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50. 419~443
    이도균 전평국 한국영화학회 [2011]
  • 인천상륙작전 영화에 표현된 장소 재현. 『대한지리학회지』. Vol. 49, No. 1. 77~90
    장윤정 대한지리학회 [2014]
  • 이만희 감독 스타일 연구. 『영화연구』. 22. 145~175
    신강호 한국영화학회 [2003]
  • 육감에서 정책으로: 한국전쟁기 미 공군 전폭기들의 민간지역 폭격의 구조. 『역사와 현실』. 77. 417~454
    김태우 한국역사연구회 [2010]
  • 유신체제기 한국영화 <증언>(1974)의 영화적 특징과 시대적 특수성.『영화연구』. 11. 385~417
    오진곤 한국영화학회 [2011]
  •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화 기술사연구』
    연구자료집 2002-1 [2002]
  • 영화의 계량적 스타일 분석: 배리 솔트의 방법론과 〈애정만세〉. 『영화연구』. 23. 104~136
    김정호 한국영화학회 [2004]
  • 영화에서 드러나는 한국 전쟁영화에 대한 집단기억과 대중기억 만들기: <태극기 휘날리며>, <웰컴 투 동막골>, <포화 속으로> 그리고 <고지전>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8권. 6호. 40~75
    태지호 황인성 한국언론학회 [2014]
  • 영화법 제정에서 제4차 개정기까지의 영화정책(1961~1984). 김동호 외 (2005). 『한국영화정책사』. (189~267쪽)
    박지연 파주: 나남출판 [2005]
  • 영화가 베트남 전쟁을 재현하는 방식: <월남에서 돌아온 김상사>를 중심으로. 『씨네포럼 17』. 43~71
    백태현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3]
  • 영화. 『한국현대예술사대계Ⅵ』.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195~233
    이명인 서울: 시공사 [2004]
  • 영화. 『한국현대예술사대계Ⅴ』.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11~273
    김영진 정종화 서울: 시공사 [2005]
  • 영화. 『한국현대예술사대계Ⅳ』.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15~256
    이호걸 서울: 시공사 [2004]
  • 영화 속에 나타난 전쟁의 재현과 의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1). 100~109
    김형주 한국콘텐츠학회 [2012]
  • 영화 속 전쟁미망인 표상 연구: <미망인>, <동심초>, <동대문 시장 훈이엄마>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16권. 201~222
    우현용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3]
  • 영화 <수취인 불명>(2001)에 나타난 세대 간 전쟁기억의 전승과 이미지의 형상화: 집단기억과 세대이론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16권 255~273
    박병윤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3]
  • 영화 <고지전>에 나타난 휴전선의 현재적 의미. 『영상예술연구』. Vol. 22. 131~152
    김병철 영상예술학회 [2013]
  • 영화 <고지전>과 전쟁의 실재. 『기호학연구』. Vol. 31. 202~227
    신정아 최용호 한국기호학회 [2012]
  • 영상매체와 사회
    주형일 파주: 한울아카데미 [2004]
  • 신자유주의 대한민국? -경쟁력 있는 국가-관념과 한국의 정치경제. 『현대정치연구』. 제6권 제2호. 157~186
    김현준 서정민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13]
  • 시각적 테크놀로지의 발전. 『한국영화사: 開化期에서 開花期까지』. 356~357
    민인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스크린 월호). 강제규 감독 인터뷰
    드라마구조가 충실한 액션영화를 만들고 싶었다 [1999]
  • 세계영화영상기술발달사
    민병록 서울: 문지사 [2001]
  • 서정민: 촬영. 『한국영화를 말한다: 한국영화의 르네상스1』
    배수경 서울: 이채 [2005]
  • 분단의 표상, 간첩 : 2000년대 간첩영화의 간첩 재현 양상. 『씨네포럼 17』. 73~104
    이현진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3]
  • 미국의 대외 문화정책을 통해 본 미군정 문화정책. 『한국언론학보』. 44권. 3호. 40~75
    김 균 한국언론학회 [2000]
  • 모든 것에 우선한 자본의 패권적 가치와 남북분단에 대한 새로운 인식: 1998년에서부터 2007년까지의 한국영화. 『디지털영상학술지』. 6권 1호. 241~270
    정태수 한국디지털영상학회 [2009]
  • 매일경제신문 중국의 거대한 대륙을 배경으로 한 영화 서태후
    12면 [1988]
  • 매일경제신문 잘 만든 영화 1편 차 150만대 수출효과
    5면 [1994]
  • 레옹스 페레의 영화스타일 연구(Ⅰ). 『한국프랑스학논집』. 78. 101~124
    송기형 한국프랑스학회 [2012]
  • 동아일보 영화재검열
    2면 [1948]
  • 동아일보 OSS117
    4면 하단광고 [1965]
  • 동아일보 7인의 여포로 감독 이피고에 선고유예
    3면 [1965]
  • 동아일보 007위기일발
    4면 하단광고 [1965]
  • 남한영화에 나타난 북한에 대한 이해: 〈쉬리〉〈간첩 리철진〉〈공동경비구역 JSA〉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16. 241~276
    변재란 한국영화학회 [2001]
  • 남북한 전쟁영화의 민족 재현 비교연구: 〈돌아오지 않는 해병〉(1963)과 〈월미도〉(1982)를 중심으로. 『씨네포럼 11』. 185~209
    정영권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0]
  • 남,북한 접근에 있어서 영화예술의 기여 가능성. 『동아연구』. 19권. 197~209
    박명진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1989]
  • 국방군사연구소 『韓國戰爭 (上)』
    국방군사연구소 [1995]
  • 광복에서 1960년까지의 영화정책(1945~1960년). 김동호 외 (2005). 『한국영화 정책사』. 107~187
    이우석 파주: 나남출판 [2005]
  • 고립된 전사, 경계의 타자: 탈냉전시대 한국전쟁 영화에 나타난 “북”의 표상. 『민족문화연구』. Vol. 58. 751~791
    박유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 경향신문 제작자 측 상영신청 취하 상영중지 받은 영화 피아골
    3면 [1955]
  • 경향신문 이산 소재 영화 제작 붐
    가족 찾기 열기타고 경쟁치열. 12면 [1983]
  • 경향신문 영화 “7인의 여포로”감독 이만희씨 구속기소
    3면 [1965]
  • 경향신문 수학여행와 영화 보던 중학생 2층서 추락 중태
    3면 [1962]
  • 경향신문 소
    전쟁과 평화 수입확정. 12면 [1988]
  • 경향신문 극영화 생명
    4면 [1958]
  • 경향신문 007의 아류 위기113
    5면 [1966]
  • 『할리우드 영화』
    신강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박사
  • 박사
  • 『한국영화전사』
    이영일 서울: 도서출판 소도 [2004]
  • 『한국영화 정책과 산업』
    김미현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박사
  • 『한국 영화 역사』
    김미현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박사
  • 『정재형 교수의 영화강의』
    정재형 서울: 영화언어 [1994]
  • 박사
  • 『일제말기 한국영화사』
    함충범 서울: 국학자료원 [2008]
  • 박사
  • 『영화 이해의 길잡이』
    정재형 서울: 개마고원 [2003]
  • 『영화 기술 역사』
    정 헌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영상 재현을 통한 사회적 기억의 의미화에 관한 연구: <독립기념관>과 <우리는 8 15를 어떻게 기억하는가>(KBS)에 나타난 1945년 8월15일의 기억을 중심으로』
    태지호 서강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 『사회조사방법론: SPSS WIN 통계분석』
    김영석 서울: 나남출판 [1999]
  • 『사회복지연구방법론』
    채구묵 파주: 양서원 [2005]
  • 『사회과학연구방법(전정판)』
    차배근 서울: 세영사 [1999]
  • 『베트남전쟁의 재현 양식 연구: 1980년대 후반 이후 등장한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백태현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 『作品<Psycho>의 지하실 Sequence에 쓰인 몽따쥬의 分析 硏究: 28개 Shot들의 內容과 形式의 統一的 排列을 中心으로』
    정재형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5]
  • 『21세기 한국 영화와 네이션 』
    손희정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 박사
  • 「한국전쟁영화의 반공영화로의 포획과정에 관한 연구: 1954~1969」
    김권호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 〈피아골〉과 〈남부군〉: 빨치산에 대한 극단적인 두 시선. 『내일을 여는 역사』. 26. 214~221
    강성률 내일을 여는 역사 [2006]
  • 〈파리의 아이〉의 영화스타일 분석. 『한국프랑스학논집』. 73. 313~332
    송기형 한국프랑스학회 [2011]
  • ‘영화’-존재의 이해를 위하여
    김성태 서울: 은행나무 [2003]
  • Wm. Historical Methods in Mass Communication. 권중록 역 (1995). 『매스컴의 역사연구』
    Sloan, D. Startt, D. J. 서울: 학문사 [1989]
  • What is Genre? Creeber, G., Miller, T. & Tulloch, J. (Eds.). (2001). The television genre book. 박인규 역 (2004). 『텔레비전 장르의 이해』
    Neale, S. 서울: 산해 [2001]
  • Ways of Seeing. 강명구 역 (1997). 『영상커뮤니케이션과 사회』
    Berger, J. 서울: 나남출판 [1972]
  • Visual communication : Images with messages. 금동호 외 역 (1996).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메시지가 있는 이미지』
    Lester, P. M. 서울: 나남출판 [1995]
  • Visual Digital Culture: Surface play and spectacle in new media genres. 김주환 역 (2003). 『디지털 시대의 영상문화』
    Darley, A. 서울: 현실문화연구 [2000]
  • Visual Culture: An Introduction. 임산 역 (2004). 『비주얼 컬처: 이미지 시대의 이해_비너스에서 VR까지』
    Chaplin, S. Walker, J. A. 서울: 루비박스 [1997]
  • Vertov, D. (1984). Kino-eye: The Writing of Dziga Vertov. Michelson, A. (Eds.). O'Brien, K. (Tran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Understanding Movies. 김진해 역 (2000). 『영화의 이해』
    Giannetti, L. 서울: 현암사 [1996]
  • Thomas, N. (1991). Entangled Objects: Exchange, Material Culture and Colonialism in the Pacific.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 Theorie del cinema: 1945~1990. 김길훈 외 역 (2012). 『현대 영화 이론: 1945~1995년의 영화이론』
    Casetti, F. 서울: 한국문화사 [1993]
  • The technique of film editing. 정용탁 역 (1981). 『영화편집의 기법』
    Millar, G. Reisz, K. 서울: 집문당 [1968]
  • The long revolution. 성은애역 (2007). 『기나긴 혁명』
    Williams, R. 경기: 문학동네 [1961]
  • The Visual Story: Creating the Visual Structure of Film, TV and Digital Media. 민경원 역 (2010). 『비주얼 스토리 영상 구조의 연출: 영화, 방송, 애니메이션, 디지털 미디어를 위하여』
    Block, B.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The Sociology of Culture. 설준규 역 (1984). 『문화사회학』
    Williams, R. 서울: 까치 [1982]
  • The Major Film Theories. 조희문 역 (1990). 『현대영화이론』
    Andrew, J. D. 서울: 한길사 [1976]
  • The Filmmaker's Eye: Learning and Breaking the Rules of Cinematic. 김성호 역 (2011). 『필름메이커의 눈: 영화적 화면 구성의 규칙 세우기(그리고 깨기)』
    Mercado, G. 서울: 비즈앤비즈 [2011]
  • The Elements of Cinema: Toward a Theory of Cinesthetic Impact. 이용관 역 (2008). 『영화 구조의 미학』
    Sharff, S. 서울: 울력 [1982]
  • The Cognitive Semiotics of Film. 조창연 역 (2007). 『영화인지기호학』
    Buckland, W.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 The Art of Watching Films. 이용관 역 (1991). 『영화보기와 영화읽기』
    Boggs, M. J. 서울: 제3문학사 [1985]
  • Stam, R. (1992). Cine-Semiology. Stam, R., Burgoyne, R. & Flitterman-Lewis. (Eds.). (1992). (pp. 28~68). New vocabularies in film semiotics: structuralism, post-structuralism, and beyond. London: Routledge.
  • Spectacular Realities: Early Mass Culture in Fin-de-Si cle Paris. 노명우 외 역 (2006). 『구경꾼의 탄생』
    Schwartz, V. 고양: 마티 [1997]
  • Smith, M. (1998). Theses on the Philosophy of Hollywood History. Contemporary Hollywood Cinema. Neale, S. & Smith, M. (Eds.). London: Routledge.
  • Sight, Sound, Motion: Applied Media Aesthetics(3rd ed.). 박덕춘 외 역 (2003). 『영상 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Zettl, H.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 Salt, B. (2009). Film style and technology: history and analysis (third edition). London: STARWORD.
  • Salt, B. (2006). Moving into Pictures: more on film history, style, and analysis. London: STARWORD.
  • Revealing Art: Why Art Matters. 이해완 역 (2010). 『예술과 그 가치』
    Kieran, M. 경기: 북코리아 [2005]
  • Questions of Cinema. 김소연 역 (2003). 『영화에 관한 질문들』
    Heath, S. 서울: 울력 [1981]
  • Qu'est-ce que le cin ma. 박상규 역 (2013). 『영화란 무엇인가?』
    Bazin, A. 서울: 사문난적 [1975]
  • Problems of historical psychology. 임철규 역 (1983). 『역사심리학』
    Barbu, Z.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76]
  • Pierson, M. (1999). CGI Effect in Hollywood Science Fiction Cinema 1989~95: The Wonder Year. Screen. Vol. 40, No. 2. pp. 158~176.
  • Picture Composition of Film and Television. 김창유 역 (2000). 『영화 TV의 화면 구성』
    Ward, P. 서울: 책과 길 [1996]
  • Orson Welles. (Les Editions du Cerf). Hoper & Row Publisher. (Trans.). (1978). Orson Welles: A Critical View. 성미숙 역 (1996). 『오손 웰즈의 영화미학』
    Bazin, A. 서울: 현대미학사 [1972]
  • On the History of Film Style, 김숙 외 역 (2002). 『영화 스타일의 역사』
    Bordrwell, D. 서울: 한울 [2002]
  • Narrative. 윤혜준 역 (2013). 『내러티브』
    Cobley, P.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1]
  • Narration in the Fiction Film, 오영숙 외 역 (2007). 『영화의 내레이션 Ⅱ』
    Bordrwell, D. 서울: 시각과 언어 [1985]
  • Mulvey, L. (1989). Visual and Other Pleasures, London: The Macmillan press.
  • Mitry, J. (1963). Esth tique et psychologie du cin ma. King, C. (Trans.). (1997). The aesthetics and psychology of the cinema.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 Meyer, B. L. (1994). Music, the Arts, and Ideas: Patterns and Predictions in Twentieth-century Cultur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Metz, C. (1991). Film language: a semiotics of the cinema.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Metromarxism: A Marxist Tale of the City. 남청수 외 역 (2005). 『매혹의 도시, 맑스주의를 만나다』
    Merrifield, A. 서울: 시울 [2002]
  • Melodrama: Genre, Style, Sensibility. 변재란 역 (2011). 『멜로드라마: 장르, 스타일, 감수성』
    Mercer, J. Shingler, M.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 Marxism and Literature. 박만준 역 (1977). 『마르크스주의와 문학』
    Williams, R. 서울: 지식을만드는지식 [1977]
  • Les genres du cin ma. 유민희 역 (2009). 『영화장르』
    Moine, R. 서울: 동문선 [2005]
  • Le Signifiant Imaginaire. 이수진 역 (2009). 『상상적 기표』
    Metz, C. 서울: 문학과지성사 [1977]
  • Language of Art: An Approach to a Theory Symbols. 김혜숙 외 역 (2002). 『예술의 언어들 기호이론을 향하여』
    Goodman, N.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76]
  • Langford, B. (2010). Post-Classial Style?. Post-Classical Hollywood: Film Indusyry, Style and Ideology Since 1945. pp. 245~264.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 La Societe du Spectacle. reprinted in 1983 by black & red, Society of the Spectacle. 이경숙 역 (1996). 『스펙타클의 사회』
    Debord, G. 서울: 현실문화연구 [1967]
  • L'Analyse des film. 전수일 역 (1999). 『영화분석의 패러다임』
    Aumont, J. Marie, M. 서울: 현대미학사 [1995]
  • Kress, G. & Leeuwen, V. T. (1996). Reading Images: The grammar of visual design. London: Routledge.
  • Konigsberg, I. (1987). The Complete Film Dictionary. New York: NAL PENGUIN.
  • King, G. (2002). New Hollywood Cinema: An Introduc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 King, G. (2000). Spectacular Narratives: Hollywood in the Age of the Blockbuster. London: I. B.Tauris.
  • 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김성기 외 역 (2010). 『키워드』
    Williams, R. 서울: 민음사 [1983]
  • Kellner, D. (2003). Media Spectacle. London: Routledge.
  • Hollywood Genres. 한창호 외 역 (1996).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Schatz, T. 서울: 한나래 [1995]
  • Hall, S. (2000). The work representation. Hall, S. (Eds.). (2000). Representation: Cultural Representation and Signifying Practice. pp. 13~74. London: SAGE.
  • Gunning, T. (1994). The whole town’s gawking: Early cinema and the visual experience of modernity. Yale Journal of Criticism. Vol. 7, No. 2. pp. 189~201.
  • Gunning, T. (1990). The cinema of attractions: Early film, its spectator, and the avavt-garde in Elsaesser. Early cinema: Space, frame, narrative. British Film Institute.
  • Guerre et Cin ma: Logistique de la Perception. 권혜원 역 (2004). 『전쟁과 영화: 지각의 병참학』
    Virilio, P. 서울: 한나래 [1991]
  • Grenzg nge der sthetik. 심혜련 역 (2005). 『미학의 경계를 넘어』
    Welsch, W. 서울: 향연 [1996]
  • Grammar of the Shot. 권창현 역 (2004). 『숏의 문법』
    Thompson, R.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 Goliot-L t , A. Pr cis d'Analyse Filmique. 주미사 역 (1997). 『영화 분석 입문』
    Vanoye, F. 서울: 한나래 [1992]
  • Gaudreault, A. (1987). Theatricality, narrativity, and “Trickality”: Reevaluating the cinema of Georges Melies. Journal of Popular Film & Television. Vol. 15, No. 3. pp. 111~119.
  • Gage, J. (1999). Color and Meaning: Art, Science, and Symbolism.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Film History: An Introduction, 3rd edition. HS MEDIA 번역팀 역. (2011). 『Film History: An Introduction, 3rd edition.』
    Bordwell, D. Thompson, K. 서울: HS MEDIA [2010]
  • Film Genre: Hollywood and Beyond. 방혜진 역 (2010). 『영화 장르: 할리우드와 그 너머』
    Langford, B. 서울: 한나래 [2005]
  • Film Dreting: Shot by Shot. 김학순 외 역 (1998). 『영화연출론: 개념에서 스크린까지의 시각화』
    Katz, S. 서울: 시공사 [1991]
  • Film Art: An Introduction. 주진숙 외 역 (1993). 『영화예술』
    Bordrwell, D. Thompson, K. 서울: 이론과 실천 [1993]
  • Esth tique du film. 이용주 역 (2003). 『영화미학』
  • Essais sur la signification au cin ma. 이수진 역 (2011).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2』
    Metz, C.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3]
  • Einf hrung in die Filmanalyse. 이상면 역 (2003). 『영화의 분석』
    Faulstich, W. 서울: 미진사 [1980]
  • Einf hrung in die sthetik. 공병혜 역 (1999). 『미학입문』
    Siefert, G. 서울: 철학과현실사 [1995]
  • Eberwein, R. (2010). The Hollywood War Film. Oxford: Wiley-Blackwell.
  • Doherty, T. (1993). Projections of War: Hollywood, American Culture, and World War Ⅱ.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 Cowiw, E. (1998). Storytelling: Classical Hollywood cinema and classical narrative. Neale, S. & Smith, M. (Eds.). (1998). Contemporary Hollywood Cinema. (pp. 178~190). London: Routledge.
  • Concepts in Film Theory. 김시무 외 역 (1995). 『영화이론의 개념들』
    Andrew, J. D. 서울: 시각과 언어 [1984]
  • Color Appearance Models, 조성대 외 역 (2007).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
    Fairchild, D. F.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5]
  • Buckland, W. (2002). Mise-en-sc ne criticism and statistical style analysis (The English Patient). Elsaesser, T. & Buckland, W. (2002). Studying contemporary American Film: A Guide to movie analysis. pp. 80~116. London: Arnold.
  • Bordrwell, D., Staiger, J. & Thompson, K. (1985). The classical Hollywood cinema: Film style & mode of production to 1960. London: Routledge.
  • Bordrwell, D. (2006). The way Hollywood tells it: story and style in modern movies. Berkeley, Los Angeles,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Blandford, S., Grant, K. B. & Hiller, J. (2001). The Film Studies Dictionary. London: Arnold.
  • Beaver, F. (1994). Dictionary of Film Terma: The Aesthetic Companion to Film Analysis. New York: Twayne
  • Basinger, J. (2005). The World War Ⅱ Combat Film: Defination. Eberwein, R. (Eds.). The War Film. (pp. 30~49). New Jersey: Rutgers University Press.
  • Art and Knowledge. 오종환 역 (2013). 『예술과 지식』
    Young, O. J.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1]
  • Art and Illusion. 차미례 역 (2003). 『예술과 환영 회화적 재현의 심리학적 연구』
    Gombrich, E. H. 서울: 열화당 [1960]
  • Andrew, J. D. (1984a). Film in the Aura of Art. Princetone: Princeton University Press.
  • An Introduction Guide to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박모 역 (1999).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Story, J. 서울: 현실문화연구 [1993]
  • America Cinema / American Culture. 이형식 역 (2000). 『미국영화 / 미국문화』
    Belton, J. 서울: 한신문화사 [1994]
  • Aesthetics and the Philosophy of Art. Lamarque, P. & Olsen, H, S. (Eds.). (2004). 김지원 역 (2007). 재현은 상징인가.『예술과 미학』. pp. 187~218
    Walton, K. 서울: 종문화사 [2004]
  • <한국영상자료원> KMDB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http://www
    kmdb.or.kr/)
  • <팡토마스〉와 〈방피르〉의 영화스타일 비교연구. 『한국프랑스학논집』. 69. 247~266
    송기형 한국프랑스학회 [2010]
  • <지슬>의 스타일 분석: 배리 솔트의 통계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486~505
    김정호 김학민 한국콘텐츠학회 [2014]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 홈페이지 (http://www.kobis.or.kr/
    kobis/business/main/main.do)
  • <영화진흥위원회> DB검색/영화 (http://www.kobis.or.kr/
    kobis/business/mast/mvie/searchMovieList.do)
  • <쉬리>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한국영화사: 開化期에서 開花期까지』. 369~370
    김경욱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6 25전쟁기 북한 영화와 전쟁 재현. 『현대영화연구』. Vol. 11
    한상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1]
  • 6 25전쟁 소재 한국영화 <남과 북>(1965) 연구: 휴전 표상의 방식과 시대 반영의 양상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Vol. 46. 509~543
    함충범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 1990년대 한국영화. 『한국영화사 공부: 1980~1997』. 81~140. 한국영상자료원(KOFA)편
    유지나 서울: 이채 [2005]
  • 1980년대 한국영화. 『한국영화사 공부: 1980~1997』. 9~79. 한국영상자료원(KOFA)편
    강소원 서울: 이채 [2005]
  • 1960년을 묻다
    권보드래 천정환 서울: 천년의 상상 [2012]
  • 1960년대 한국영화. 『한국영화사 공부: 1960~1979』. 9~79. 한국영상자료원(KOFA)편
    이효인 서울: 이채 [2004]
  • 1960년대 첩보액션영화와 반공주의. 『대중서사연구』. 2009.12. 39~69
    오영숙 대중서사학회 [2009]
  • 1960, 70년대 한국영화정책과 산업. 『한국영화사 공부: 1960~1979』. 143~185. 한국영상자료원(KOFA)편
    박지연 서울: 이채 [2004]
  • 1960, 70년대 한국영화기술사. 『한국영화사 공부: 1960~1979』. 238~279. 한국영상자료원(KOFA)편
    정종화 서울: 이채 [2004]
  • 1950년대 한국영화와 문화담론
    오영숙 서울: 소명출판사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