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어와 몽골어의 격형태 대조 연구

고종열 2015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어와 몽골어의 격형태 대조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ase domination
  • case ending of the mongolian language
  • case marker
  • comparative philology
  • focus-on-form approach
  • grammaticalization
  • postposition of mongolian
  • 격 지배
  • 격조사
  • 대조언어학
  • 몽골어 격어미
  • 몽골어 후치사
  • 문법화
  • 형태초점접근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26 0

0.0%

' 한국어와 몽골어의 격형태 대조 연구' 의 참고문헌

  • 「후치사 ‘-서’의 의미에 대하여」, 『언어』 9-1
    서정목 한국언어학회 [1984]
  • 「현대몽골어의 첨사와 문종결어미에 관한 연구」
    강 신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99]
  • 「현대몽골어와 한국어 대격표지에 관하여 -주제화 기능을 중심으로-」, 『몽골학』 19
    김학선 한국몽골학회 [2004]
  • 「현대국어의 특수조사에 대한 통사적 고찰」, 『국어학』 30
    최동주 국어학회 [1997]
  • 박사
    「현대국어 조사의 배열 양상」
    류하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현대 몽골어의 한글표기에 대해」,『 몽골학』 11
    김기성 한국몽골학회 [2001]
  • 「현대 몽골어의 시제연구」, 『몽골학』 16
    김기성 한국몽골학회 [2004]
  • 「현대 몽골어와 한국어의 내포문 대조 연구」,『 몽골학』 22
    김기성 한국몽골학회 [2007]
  • 박사
  • 「현대 국어 정도 어찌씨의 의미 연구」
    이석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 「한국어의 조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임동훈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1]
  • 「한국어와 몽골어의 형용사 어두중첩」, 『언어학』 59
    송재목 한국 언어학회 [2011]
  • 「한국어 특수조사 ‘도’와 몽골어 대응표현 ‘ч’의 분포 비교 연구」, 『한국 어문학연구』 60
    박상택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13]
  •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국어학』 43
    임동훈 국어학회 [2004]
  • 「한국어 조사의 연구」
    고석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 「한국어 조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어학』 16
    임동훈 한국어학회 [2002]
  • 「통사적 파생에 대하여」,『어학연구』 25-1
    임홍빈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1989]
  • 「토씨의 하위 분류 재고」, 『한글』 245
    이원근 한글학회 [1999]
  • 「조사의 통사론적 연구」,『국어의 격과 조사』
    이관규 도서출판 월인 [1999]
  • 「조사의 작용역과 조사 중첩」,『국어학』 42
    황화상 국어학회 [2003]
  • 「조사 ‘마다’의 의미와 분포」,『국어학』 49
    유현경 국어학회 [2007]
  • 「우리말 도움토씨 연구」
    이원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자료에 나타난 중간언어 연구」
    남수정 계명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국어의 격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48ㆍ49
    김 민수 국어국문학회 [1970]
  • 「국어 조사에 대한 연구」
    성광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77]
  • 「구조문법과 국어 조사」, 『국어의 격과 조사』
    류구상 도서출판 월인 [1999]
  • 「격조사는 핵이 아니다」, 『한글』 260
    한정한 한글학회 [2003]
  • 형식동사 ‘이다’의 문법
    김의수 『어학연구』 38-3,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002]
  • 현대 한국어 조사의 연구Ⅰ
    고석주 한국문화사 [2004]
  • 핵이동과 격교체 양상
    김의수 『한국어학』 9, 한국어학회 [1999]
  •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분석
    임홍빈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 한국어의 문법화 과정
    고영진 국학자료원 [1997]
  • 한국어의 격
    김원경 박문사 [2009]
  • 한국어 조사 {의}의 문법적 지위와 의미 기능에 대하여
    목정수 『국어교육』 123, 한국어교육학회 [2007]
  • 한국어 문법의 연구
    권재일 도서출판 박이정 [1994]
  • 한국어 문법
    이익섭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 한국어 무조사 명사구의 통사와 의미
    임홍빈 『국어학』 49, 국어학회 [2007]
  • 한국어 도구격 조사의 다의어 체계
    박정운 『언어』 24, 한국언어학회 [1999]
  • 한ㆍ몽 호칭어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박상택 『언어학연구』 28, 한국중원언어학회 [2013]
  • 학교 문법에서의 '이다' 처리 재고
    유혜령 『청람어문교육』 24, 청람어문교 육학회 [2002]
  •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 구조
    박진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 토씨 ‘와/과’의 쓰임에 대하여
    남기심 『동방학지』 66,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0]
  • 충북 방언의 단어 변천사
    전철웅 보고사 [1999]
  • 처격 ‘에’의 의미
    안명철 『관악어문연구』 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2]
  • 지정사 활용의 형태음운론
    배주채 『국어학』 37, 국어학회 [2001]
  • 주어의 생략에 대하여
    朴良圭 『국어학』 9, 국어학회 [1980]
  • 주격중출문의 통사구조
    이남순 『국어국문학』 93, 국어국문학회 [1985]
  • 주격조사의 한 종류에 대하여
    고영근 『이숭녕박사 송수기념논총』, 을유문화사 [1968]
  • 조사 에와 에서의 기본 의미
    이기동 『한글』 173ㆍ174, 한글학회 [1981]
  • 조사 ‘이서’에 대하여
    김창섭 『국어학』 58, 국어학회 [2010]
  • 조사 ‘의’와 특정성
    한정한 『한민족문화연구』 40, 한민족문화학회 [2012]
  • 조사 ‘-도’의 텍스트 형성기능 연구
    황미향 『언어과학연구』 21, 언어과학회 [2002]
  • 이중주어문”과 “이중목적어문”에 대하여
    양정석 『연세어문학』 20, 연세대 학교 국어국문학과 [1987]
  • 이중 주어문의 통사 구조
    임동훈 『한국문화』 19, 한국문화연구소 [1997]
  • 이다 의 문법범주 재검토
    황화상 『형태론』 7-1, 박이정 [2005]
  • 우리말 형태론—말본론—
    김 석득 탑출판사 [1992]
  • 소유와 소재
    박양규 『국어학』 3, 국어학회 [1975]
  • 소위 지정사 구문의 통사구조
    엄정호 『국어학』 18, 국어학회 [1989]
  • 비교와 비유의 의미
    하길종 『한국어학』 7, 한국어학회 [1998]
  • 보조조사 ‘-서’의 의미
    안명철 『국어학』 14, 국어학회 [1985]
  • 문어와 구어에서의 조사 ‘의’의 문법
    김창섭 『진단학보』 106, 진단학회 [2008]
  • 문법론
    양동휘 한국문화사 [1994]
  • 문법교육론
    임지룡 역락 [2010]
  • 몽골의 언어와 문화
    유원수 소나무 [2009]
  • 국어형태론연구
    고영근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 국어학
    허웅 샘문화사 [1983]
  • 국어특수조사론: 의미분석
    홍사만 학문사 [1983]
  • 국어의 파생접사화 연구
    이양혜 박이정 [2000]
  • 국어의 파생어형성 연구
    송철의 태학사 [1992]
  • 국어의 융합현상
    이지양 국어학총서 22, 태학사 [1998]
  • 국어의 부정격과 격표지 생략
    이남순 탑출판사 [1988]
  • 국어의 보어에 대하여
    최호철 『한국어학』 9, 한국어학회 [1995]
  • 국어의 명사구 확장 규칙에 대하여
    임홍빈 『국어학』 16, 국어학회 [1987]
  •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김창섭 태학사 [1996]
  • 국어의 능격성 연구
    고광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국어의 격이론
    고창수 『홍익어문』 10ㆍ11, 홍익대학교 [1992]
  • 국어의 격 연구
    김 귀화 한국문화사 [1994]
  • 국어부사연구
    손남익 박이정 [1995]
  • 국어문법론 강의
    이익섭 학연사 [1999]
  • 국어문법론
    김 민수 일조각 [1971]
  • 국어문법
    서정수 뿌리깊은 나무 [1994]
  • 국어문법
    서정수 한양대학교 출판부 [1996]
  • 국어 특수조사 신연구
    홍사만 도서출판 역락 [2002]
  • 국어 조사의 용법
    남기심 서광학술자료사 [1993]
  • 국어 조사의 연구
    성광수 형설출판사 [1979]
  • 국어 조사의 문법
    황화상 도서출판 지식과 교양 [2012]
  • 국어 접속조사와 어미 연구
    김진수 탑출판사 [1987]
  • 국어 여격 주어 구문에 대한 범언어적 관점의 연구
    연재훈 『국어학』 28, 국 어학회 [1996]
  • 국어 문법과 主語
    강창석 『개신어문』 33, 개신어문학회 [2011]
  •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
    최형용 태학사 [2003]
  • 국어 격조사 ‘을/를’의 연구
    이 광호 탑출판사 [1988]
  • 국어 격 범주의 성격과 격 체계의 설정
    이호승 『어문학』 17, 한국어문학회 [2012]
  • 관형 구성의 통어 현상과 의미 관계
    김기혁 『한글』 209, 한글학회 [1990]
  • 겹주어론
    김영희 『한글』 162, 한글학회 [1978]
  • 격표지의 비실현과 생략
    이남순 『국어학』 31, 국어학회 [1998]
  • 격조사의 분류에 대하여
    배윤덕 『연세어문학』 4,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73]
  • 격조사는 핵인가?
    임동훈 『주시경학보』 8, 주시경학회 [1991]
  • 격의 개념과 한국어의 조사
    엄정호 『국어학』 62, 국어학회 [2011]
  • 격과 조사
    김용하 『국어학』 60, 국어학회 [2011]
  • 격과 격표지
    이남순 월인 [1998]
  • 격 표현과 조사의 의미
    성광수 도서출판 월인 [1999]
  • 頟尒德木圄(1992), 『蒙古語詞語類』, 內蒙古少年兒童出版社.
  • 石錦敏雄ㆍ高田誠, 오미영 역, 『대조언어학』
    제이앤씨 [2007]
  • 淸格爾泰(1992),『蒙古語語法』, 內蒙古人民出版社, 呼和浩特.
  • 方向性 表示의 格
    洪允杓 『국어학』 6, 국어학회 [1978]
  • 侯万庄(1990上), 『现代蒙语虚词例释上』-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хийсвэр үгси йн тайлбар Тэргүүн дэвтэр. 洛陽.
  • ㆍ프리한토로ㆍ박상택ㆍ야신프레쥬, 『한국어 학습자용 한국어명사 대역사 전』
    남지순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1]
  • ㆍ채 완, 『국어문법론 강의』
    이익섭 학연사 [1999]
  • 『현대몽골어의 첨사 Č의 의미와 기능에 관한 연구』
    강 신 한국알타이학회 [2000]
  • 『현대몽골어 연구』
    강 신 도서출판 문예림 [2004]
  • 『현대국어 조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남윤진 국어학총서 36, 태학사 [2000]
  • 『한국어의 계통』
    김방한 민음사 [1983]
  • 『한국어 문법론』
    이을환 이철수 개문사 [1978]
  • 『학교 문법론』
    이관규 도서출판 월인 [1999]
  • 『표준고등말본』,『역대한국문법대계』
    정인승 제1부 31, 탑출판사 [1956]
  • 『초급국어문법』,『역대한국문법대계』
    이희승 제1부 85, 탑출판사 [1949]
  • 『조선어문법』,『역대한국문법대계』
    주시경 제1부 12, 탑출판사 [1913]
  • 『조선문전』,『역대한국문법대계』
    유길준 제1부 3, 탑출판사 [1906]
  • 『조선말본』, 『역대한국문법대계』
    김두봉 제1부 22, 탑출판사 [1916]
  • 『인지의미론』
    임지룡 탑출판사 [1998]
  •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임지룡 한국문화사 [2009]
  •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
    고영근 일지사 [1983]
  • 『우리말본』
    최현배 정음문화사 [1965]
  • 『우리말 토씨 연구』
    김승곤 건국대학교 출판부 [1989]
  • 『신편고등국어문법』,『역대한국문법대계』
    정렬모 제1부 61, 탑출판사 [1946]
  • 『새문법』
    이희승 일조각 [1968]
  •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연 구』
    사인빌리그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말의 소리』,『역대한국문법대계』
    주시경 제1부 13, 탑출판사 [1914]
  • 『대한문전』,『역대한국문법대계』
    유길준 제1부 6, 탑출판사 [1909]
  • 『대조분석론』
    강현화 도서출판 역락 [2003]
  • 『국어의 단여형성 원리』
    시정곤 국학자료원 [1994]
  • 『국어문법』,『역대한국문법대계』
    주시경 제1부 11, 탑출판사 [1910]
  • 『국어 형태학』
    이철수 인하대학 출판부 [1994]
  • 『국어 문법론』
    임홍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5]
  • 『국어 문법 연구』
    이길록 일신사 [1974]
  • 『국어 ‘이다’ 구문 연구』
    남길임 한국문화사 [2004]
  • 『관형격 조사 ‘의’의 통어적 의미 분석』
    김승곤 경진문화사 [2006]
  • 『고등국어문법』,『역대한국문법대계』
    이숭녕 제1부 90, 탑출판사 [1956]
  • 『 국어조사에 대한 연구』
    성광수 형설출판사 [1981]
  • 「형태 초점 접근법을 적용한 한국어 조사의 지도법 연구」
    박 연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형용사 파생접미사의 기능과 의미 -‘-답’, ‘-스럽-’, ‘-롭-’, ‘-하-’와 ‘-적’ 의 경우-」
    김창섭 『진단학보』 58, 진단학회 [1984]
  • 「현대국어 ‘이다’의 문법적 처리 ‘아니다’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송창선 『어문학』 98, 한국어문학회 [2007]
  • 「현대 한국어와 몽골어의 격조사 비교 및 교육 방안 연구」
    아마르자르갈 인하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현대 한국어 동등비교 구문의 의미연구」
    하길종 『한국어학』 5, 한국어학회 [1997]
  • 「현대 몽골어와 한국어의 격조사 생략에 관한 대조 분석」, 『이중언어 학회지』 14
    하 과 이중언어학회 [1997]
  • 「현대 몽골어 후치사의 문법화 연구」
    고종열 박상택 『몽골학』 37, 한국몽골 학회 [2014]
  • 박사
    「현대 몽골어 후치사 연구」
    박상택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현대 국어의 격의 상관성」
    이승욱 『국문학논집』 14, 단국대학교 [1973]
  • 박사
  • 「현대 국어 서술어의 의미연구」
    최호철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 「한국어의 머리 성분 위치 제약과 겹목적어」
    김영희 『언어논총』 4, 계명대학 교 언어연구소 [1986]
  • 「한국어와 알타이 제어의 격조사 비교 연구」
    최한우 『중앙아시아연구』 1, 중 앙아시아학회 [1996]
  • 「한국어와 몽골어의 동사상에 대한 비교 연구」
    박덕유 『이중언어학』 32, 이 중언어학회 [1996]
  • 박사
  • 박사
    「한국어와 몽골어의 격조사 비교 연구」
    제기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한국어와 몽골어의 격조사 비교 연구」
    왕충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박사
    「한국어와 몽골어 격조사 비교 연구」
    안 다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몽골어의 조사 비교 연구」
    서열에르덴 창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한국어, 만주어, 몽골어 격어미 비교 연구」
    오르곤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9]
  •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 실태에 관한 소고 –일본어를 모어로 하는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김선효 『한국어교육』 18, 국제한국 어교육학회 [2007]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형성 교육 방안 연구-중ㆍ고급학습자 대상의 체계설정을 중심으로-」
    고종열 『개신어문연구』 39, 개신어문학회 [2014]
  • 「한국어 특수조사 ‘도’와 몽골어 대응표현 ‘ч’의 비교 연구」
    박상택 선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한국어 조사의 분류와 기능에 대하여」
    최웅환 『언어과학연구』 33, 언어과학 회 [2005]
  • 「한국어 조사결합에 대한 연구」
    고창수 『한국어학』 5, 한국어학회 [1997]
  • 「한국어 명사 ‘법’의 문법화 양상 연구」
    김희숙 『언어학연구』 33, 한국중원 언어학회 [2014]
  • 「한국어 격조사와 몽골어 격어미의 비교」
    뭉흐체첵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13]
  • 「한국어 격조사 ‘의’의 연구」
    강연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 박사
  • 「한ㆍ일어 대조 연구의 어제와 오늘」, 『이중언어학』 22
    홍사만 이중언어학회 [2003]
  • 「풀이자리 토씨 ‘이다’에 대하여」
    이철우 『건국어문학』 11ㆍ12,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8]
  • 「평택시 간판어 연구」
    고종열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토씨구의 설정에 대하여」
    최규수 『우리말연구』 4, 우리말학회 [1994]
  • 「최현배의 품사 분류」
    서태룡 『주시경학보』 14, 주시경학회 [1994]
  • 「체언병렬구 구성의 ‘과/와’」
    이승욱 『제효이용주박사 회갑기념논문집』, 한샘 [1984]
  • 「지정사 ‘이다」, 『왜 다시 품사론인가』
    남길임 커뮤니이션 북스 [2006]
  • 「중기어 부정어 ‘아니’에 대하여」
    안병희 『국어국문학』 20, 국어국문학회 [1959]
  • 「주어의 통상 관한 고찰」
    이승욱 『국문학논집』 4, 단국대학교 [1969]
  • 「주격중출론을 찾아서」
    임홍빈 『국어문법의 심층: 명사구와 조사구의 문법』, 태학사 [1998]
  • 「주격조사 ‘이’에 대한 연구」
    李基白 『한국언어문학』 11, 한국언어문학회 [1958]
  • 「주격어미 ‘가’에 대하여」
    홍윤표 『국어학』 3, 국어학회 [1974]
  • 「주격보어에 한 소고」
    강명윤 『생성문법연구』 5-2, 한국생성문법 학회 [1995]
  • 「주격 중출의 문장 구조에 대하여」
    李崇寧 『어문학』 20, 한국어문학회 [1969]
  • 「주격 ‘께서’고」
    류구상 『새국어교육』 14ㆍ15, 한국국어교육학회 [1970]
  • 「조선어의 품사분류론」
    최현배 『 역대한국문법대계』, 제1부 47, 탑출판사 [1930]
  • 「조사의 형태론적 연구」
    시정곤 『국어의 격과 조사』, 도서출판 월인 [1999]
  • 「조사의 의미론적 연구」
    최호철 『국어의 격과 조사』, 도서출판 월인 [1999]
  • 「조사의 성격과 그 생략 현상에 대한 한 기술 방법」
    권재일 『어학연구』 25,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1989]
  • 「조사 ‘을’의 의미에 대하여」
    이홍식 ( Hong Shik Yi ) 『한국어 의미학』 15, 한국어 의미학회 [2004]
  • 박사
  • 「조사 ‘-를’의 의미」
    성기철 『한국말교육』 5,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94]
  • 「조사 ‘-로’의 용법에 관한 연어론적 연구(Ⅱ)」
    김지은 남기심 『동방학지』 76,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2]
  • 「조사 ‘-로’의 용법에 관한 연어론적 연구(Ⅰ)」
    김지은 남기심 『동양학』 22,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92]
  • 「정체 밝힘의 형용사 ‘이다’ 문제와 연어」
    임홍빈 『어문학 연구의 넓이와 깊 이』, 도서출판 역락 [2006]
  • 「정도 자질과 국어의 음운 규칙」
    김차균 『허웅박사 환갑기념논문집』, 과학사 [1978]
  • 「접속과 접속형식」
    이은경 『주시경학보』 9, 주시경학회 [1992]
  • 「전통문법에서의 격연구」
    이광정 『국어의 격과 조사』, 도서출판 월인 [1999]
  • 「전통문법에서의 격연구」
    최경봉 『국어의 격과 조사』, 도서출판 월인 [1999]
  • 「잡음씨의 연구 2」
    이석린 『한글』 200, 한글학회 [1988]
  • 「잡음씨의 연구 1」
    이석린 『한글』 197, 한글학회 [1987]
  • 「이중주어구문 재고」
    남기심 『국어 문법의 탐구Ⅰ』, 태학사 [1996]
  • 「이다’의 문법 특성」
    송창선 『경산문화연구』 10, 대구한의과대학교 경산문 화연구소 [2006]
  • 「이다’ 구문의 제시문 성격」
    임동훈 『국어학』 45, 국어학회 [2005]
  • 「이다’ 구문과 통사 사설을 다시 논의함」
    시정곤 『한국어학』 28, 한국어학회 [2005]
  • 「의미격과 화용격 어떻게 다른가」
    한정한 『국어의 격과 조사』, 도서출판 월인 [1999]
  • 「어간형성접미사의 설정에 하여」
    고창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 「양태조사의 통보기능에 대한 연구 -{이}, {을}, {은}을 중심으로-」
    유동석 『국어연구』 60, 동아출판사 [1984]
  • 「선어말어미 ‘-시-’의 통사구조상의 위치」
    박진호 『관악어문연구』 19, 서울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4]
  • 「생성문법과 국어의 격」
    홍종선 『국어의 격과 조사』, 도서출판 월인 [1999]
  • 「비교격에 관하여」
    하길종 『국어의 격과 조사』, 도서출판 월인 [1999]
  • 「부정격의 정립을 위하여」
    안병희 『동아문화』 6, 성균관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966]
  • 「보어에 관한 일고」
    유형선 『한국어학』 9, 한국어학회 [1999]
  • 「문접속 ‘와’와 구접속 ‘와’」
    김완진 『어학연구』 6-2,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1970]
  • 「문의 성분과 격에 대한 고찰」
    金相大 『국어국문학』 62ㆍ63, 국어국문학회 [1973]
  • 「문법 기술에서의 ‘정도성’에 대하여」
    권재일 『국어국문학』 100, 국어국문학회 [1988]
  •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처ㆍ여격 조사 사용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강남욱 『한국어교육』 2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0]
  •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오류 분석 연구」
    김승희 동국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2]
  • 「몽골어 속격형 내포문주어 연구」
    최동권 『몽골학』 15, 한국몽골학회 [2003]
  • 「몽골어 대격형 내포문주어 연구」
    최동권 『몽골학』 16, 한국몽골학회 [2004]
  • 「목적격표지 ‘를’의 의미」
    신현숙 『언어』 7-1, 대한 언어학회 [1982]
  • 「국어의 통사 어형성」
    고창수 『국어학』 22, 국어학회 [1992]
  • 「국어의 주제화 연구」
    임홍빈 『국어연구』 28, 동아출판사 [1972]
  • 「국어의 조사」
    홍윤표 『언어』 4-2, 대한언어학회 [1974]
  • 「국어의 이중목적어에 관한 소고」
    이윤표 『국어의 격과 조사』, 도서출판 월인 [1999]
  • 「국어의 비교구문에 관한 역사적 연구」
    김규하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 「국어의 능격성에 대한 검토」
    고광주 『국어의 격과 조사』, 도서출판 월인 [1999]
  • 「국어의 기능범주에 대하여」
    시정곤 『국어학 연구 백년사 1』, 일조각 [1992]
  • 「국어의 격 중출 구성에 대하여」
    유동석 『국어학』 31, 국어학회 [1998]
  • 「국어의 격 교체 구문의 연구」
    유혜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박사
    「국어의 ‘와’에 대한 연구」
    노황진 『한국어문학연구』 25, 한국어문학연구학 회 [1990]
  • 「국어 처격조사의 발달」
    남풍현 『국어국문학논총』, 탑출판사 [1977]
  • 「국어 주격접어미 ‘이’고」
    김방한 『서울대 논문집』 7, 서울대학교 [1957]
  • 「국어 주격어미 ‘이’고 재론」
    김방한 『학술원 논문집』 5, 대학민국 학술원 [1965]
  • 「국어 조사의 직능고」
    金昇坤 『국어국문학』 58ㆍ60, 국어국문학회 [1972]
  • 「국어 조사의 연구Ⅰ-그 분류를 중심으로-」
    신익성 『국어국문학』 67, 국어국 문학회 [1975]
  • 「국어 조사 ‘는’에 대한 연구」
    류구상 『한글』 170, 한글학회 [1980]
  • 「국어 부사격 연구」
    손남익 『국어의 격과 조사』, 도서출판 월인 [1999]
  • 「국어 문법에서 격의 해석」
    김기혁 『말』 14,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1989]
  • 「국어 문법에서 격은 어떻게 정의되어 왔는가」
    남기심 『꼭 읽어야 할 국어학 논문집』, 집문당 [1988]
  • 「국어 공동격조사에 대한 연구」
    조용상 『홍익어문』 6, 홍익대학교 국어교육 과 [1987]
  • 박사
    「국어 격중출 구문 연구」
    김의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국어 ‘(-)이-’의 품사 분류와 자릿수에 한 연구사 고찰」
    이선웅 『국어학논 집』 4권, 도서출판 역락 [2000]
  • 「구조격과 내재격에 대하여」
    이정식 『국어의 격과 조사』, 도서출판 월인 [1999]
  • 「구어 조사의 특성 –문법 표준화를 위한 계량적 분석-」
    권재일 김건희 『한 말연구』15, 한말연구학회 [2004]
  • 「관형격조사고」
    金昇坤 『문호』7, 건국대학교 [1969]
  • 「관형격 구성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변정민 『새국어교육』 79, 한국국어 교육학회 [2008]
  • 「계사론」
    김광해 『난대 이응백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제 [1983]
  • 「계사 구문과 그 부정문의 통사 구조에 하여」
    서정목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 의 연구』, 문학과지성사 [1993]
  • 「계사 ‘이다’ 문제의 재고」
    朴錠奎 『어문연구』 26-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98]
  • 「격조사」
    홍윤표 『國語硏究 어디까지 왔나』, 서울대 대학원 국어연구회, 동 아출판사 [1990]
  • 「격조사 생략에 대한 고찰」
    이기백 『어문론총』 11, 경북대학교 [1977]
  • 「격조사 ‘으로’에 의해 표지될 수 있는 의미역의 계층 적 분류」
    송만석 양단희 정의석 『1998년도 한국인지과학회 춘계학슬발표논문집』, 한국인지과학 회 [1998]
  • 「격의 종류와 특성」
    이관규 『한국어학신연구』, 한국문화사 [1992]
  • 「격의 부차기능에 대하여」
    李基白 『국어국문학』 28, 국어국문학회 [1965]
  • 「격의 독립품사 시비」
    李崇寧 『국어국문학』 4, 국어국문학회 [1953]
  • 「격의 개념과 분류」
    李善雄 『어문연구』 40-3, 한국어문연구학회 [2012]
  • 「격에 대하여」
    신익성 『한글』 142, 한글학회 [1968]
  • 「격배당의 문제」
    강명윤 『국어의 격과 조사』, 도서출판 월인 [1999]
  • 「’-(으)시-‘의 통사적 위치에 대하여」
    시정곤 『남사이근수박사 환력 기념논 총』, 반도출판사 [1992]
  • 「‘이다’의 의미와 통사」
    양정석 『연세어문학』 19,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6]
  • 「‘이다’의 문법범주에 한 고찰」
    양정호 『형태론』 5-2, 박이정 [2003]
  • 「‘이다’는 동사인가?」
    고창수 김원경 『한성어문학』 17, 한성대학교 한국어문 학부 [1998]
  • 「‘이’의 문법 성격 재고찰」
    안명철 『국어학』 25, 국어학회 [1995]
  • 「‘의’의 의미」
    김광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1]
  • 「‘의’의 분포에 대한 조사 연구」
    김광해 『선청어문』 11-1,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과 [1981]
  • 「‘와’의 접속기능과 격표시기능에 관하여」
    이필영 『수연어문논집』 16, 부산 여자대학교 국어교육과 [1989]
  • 「‘와’의 연결과 공도」
    이관규 『한국어학신연구』, 한신문화사 [1990]
  • 「‘와, 과’의 以而不同에 대하여」
    왕문용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태학사 [1993]
  • 「‘에’와 ‘로’의 통사와 의미」
    李南淳 『언어』 8-2, 한국언어학회 [1983]
  • 「‘아니다’의 패턴 연구」, 『어문논총』 44
    남길임 한국문학언어학회 [2006]
  • 「‘로’와 선택의 양태화」
    任洪彬(Hong-Pin Im) 『어학연구』 10-2,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1974]
  • 「‘-와’ 구문의 의미 해석」
    김준희 『한말연구』 3, 한말연구학회 [1997]
  • 「‘-와/과’ 문장의 통사구조」
    양정석 『국어문법의 탐구Ⅲ -국어 통사론의 문제 와 전망』, 태학사 [1996]
  • 박사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Khalkha Mongolian」
    송재목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London.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1997]
  • 「-이다’의 형용사 특성」
    이준희 『동아시아 문화연구』 29, 한양대학교 한국학연 구소 [1996]
  • 「-이다’의 통사 구조와 의미 기능」, 『우리말』 28
    박 호 우리말학회 [2003]
  • 「-답-’을 통사적 접사로 보는 관점에 대한 비판」
    송창선 『우리말 연구의 이 론과 실제』, 경진문화사 [2006]
  • “활용 개념과 소위 ‘이다’와 관련된 오해들: 표지이론적 관점에서」, 『언 어학』 44
    우순조 한국언어학회 [2006]
  • ‘주다’ 구문에 나타나는 조사 ‘에게’와 ‘에’
    유현경 『한국어학』 20, 한국어학회 [2003]
  • ‘이다’의 범주 규정
    엄정호 『국어국문학』 110, 국어국문학회 [1993]
  • ‘이다’의 문법범주와 의미
    양정석 『국어학』 37, 국어학회 [2001]
  • ‘이다’의 ‘-이’가 조사인 새로운 증거들
    우순조 『형태론』 3-1, 박이정 [2001]
  • ‘이다’와 ‘아니다’의 상관성
    우순조 『형태론』 2-1, 박이정 [2000]
  • ‘이다’론
    이남순 『한국문화』 24, 한국문화연구소 [1999]
  • ‘이다’ 구문의 통사구조와 {이}의 문법적 지위
    박철우 『한국어학』 33, 한국 어학회 [2006]
  • ‘이다’ 구문의 의미해석
    양정석 「동방학지」 91,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6]
  • ‘와’의 양상
    김영희 『국어국문학』 65ㆍ66, 국어국문학회 [1974]
  • ‘-이다’의 ‘이’는 조사인가
    엄정호 『형태론』 2-2, 박이정 [2000]
  • ‘-이다’의 ‘-이’는 주격 조사이다
    최기용 『형태론』 3-1, 박이정 [2001]
  • ‘-이-’의 삭제와 생략
    이승재 『주시경학보』 13, 탑출판사 [1994]
  • ‘-이(다)’의 ‘-이-’가 접사인 몇 가지 이유
    시정곤 『주시경학보』 11, 탑출판사 [1993]
  • Өнөрбаян, Ц.(2006),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үйл үг бүтэх ёс. Улаанбаатар.
  • Өнөрбаян, Ц.(2004),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үг зүй. Улаанбаатар.
  • Өнөрбаян, Ц.(1998),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үг зүй. Улаанбаатар.
  • Шиотани, Шигэки(2004), Монгол хэлний үг зүй ба үгсийн сангийн судалгаа. Улаанбаатар.
  • Шижээ, Б.(2004), Структурно-семан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сложных слов монгольского языка. АКД. 27 с.
  • Шагдарсүрэн, Ц.(2000), “Францаар гарсан монгол хэлзүйн зарим судалгааны тухай”, Монгол судлалын эрдэм шинжилгээний бичиг, МУИС. МХС. Боть 15 (153). 273-275.
  • Чоймаа, Ш.(1997),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үг бүтэх ёс”,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 Шинжлэх Ухааны Академи, ХЗХ, Улаанбаатар: 152-200.
  • Цэрэнпил, Д.(2009), “Монгол хэлний харьцал бүтээвэр”, Монгол судлал. МУИС. МХСС. Боть XXX (318), 112-124.
  • Төмөртогоо, Д.(2008), Монгол хэлний биеийн төлөөний нэрийн гарал, бүтэц, тогтолцоо. Улаанбаатар.
  • Төмөртогоо, Д.(2004), Хэлшинжилэлийн нэр томъёоны хураангуй толь. (Монгол-орос-англи). Улаанбаатар.
  • Сүхбаатар, Ц.(1988), Монгол хэлний найруулга зүй. Улаанбаатар.
  • Сэржээ, Ж., Лувсанбалдан, Х.(1985) “Дагавар үг”, Монгол хэлнүүдийн харьцуулсан хэл зүй, 243-251, Улаанбаатар: Шинжлэх Ухааны Академи.
  • Сэржээ, Ж.(1992),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оноосон нэрийн зарим онцлог”, Монгол хэл шинжлэл. Шинжлэх Ухааны Академи, ХЗХ, Tom I (XXIII). 80-85.
  • Пүрэв-Очир, Б.(1987), “Үйлийн нөхцөлдүүлэн холбох нөхцөл”,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үгзүйн байгуулалт. Монгол хэлний үйл үгийн тогтолцоо. ШУА-ийн ХЗХ, УБДС. Улаанбаатар: 108-138.
  • Лувсандэндэв, А.(1966), “Үг бүтэхийн ёс”,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 зүй. Шинжлэх Ухааны Академи, ХЗХ, Улаанбаатар: 66-76.
  • Лувсандэндэв, А.(1956), “Монгол хэлний үгсийн аймгийг ангилах тухай асуудалд”, Монгол хэл бичгийн зарим асуудлууд. Улаанбаатар: 24-32.
  • Лувсанвандан, Ш., Дэмчигдорж, Б.(1951), Монгол хэлний зүй. Нэгдүгээр дэвтэр. Авиа ба үгийн зүй. -Шадавын Лувсанвандан Бүтээлийн чуулган. II боть. Эрхлэн хэвлүүлсэн Ж.Баянсан, Д.Заяабаатар. Улаанбаатар: 2010.
  • Лувсанвандан, Ш.(1968),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бүтэц. Үг, нөхцөл хоёр нь. Улаанбаатар.
  • Лувсанвандан, Ш.(1961),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 -Шадавын Лувсанвандан Бүтээлийн чуулган. IV боть. Эрхлэн хэвлүүлсэн Ж.Баянсан, Д.Заяабаатар. Улаанбаатар: 2010.
  • Лувсанвандан, Ш.(1939), Монгол хэлний зүй. -Шадавын Лувсанвандан Бүтээлийн чуулган. I боть. Эрхлэн хэвлүүлсэн Ж.Баянсан, Д.Заяабаатар. Улаанбаатар: 2010.
  • Ким Гисонг(Kim Kisung).(1998),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үйл үгийн цаг, түүний тогтолцоо. Улаанбаатар.
  • Жамбалсүрэн, Г.(2000), “Монгол хэлний үйл үгийн утгыг эгэл утгаар нь жиших нь”, Нэр томъёо судлал, № 3. Шинжлэх Ухааны Академи, ХЗХ, Улаанбаатар: 89-109.
  • Жамбалсүрэн, Г.(1987b.), “Монгол хэлний үгсийг аймаглах зарчим, нэр үг”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үгзүйн байгуулал. Тэргүүн дэвтэр. Шинжлэх Ухааны Академи, ХЗХ, Улаанбаатар: 26-46.
  • Жамбалсүрэн, Г.(1987a.), Монгол хэл шинжлэлийн онолын зарим асуудал. (Хэлний нэрлэх, мэдээлэл, харилцах дохио), Улаанбаатар.
  • Жамбалдорж, Г.(2010), “Баримжаалсан цаг хугацааны нэрсийн бүтэц, харьцаа”, Монгол судлалын чуулган, МУБИС. МСС. № 9 (44). 27-33.
  • Гүн-Үйлс, Д.(2009), Аигли монгол зэрэгцүүлсэн хэлзүй, Улаанбаатар: Мөнхийн Үсэг Групп’ ХХК-д хэвлэв.
  • Гантогтох, Г.(1987), “Сул үг”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үгзүйн байгуулал. Тэргүүн дэвтэр. Шинжлэх Ухааны Академи, ХЗХ, Улаанбаатар: 130-139.
  • Бямбасан, П.(1989),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үгсийг аймаглах асуудалд”, Шинжлэх ухаан амьдрал, № 2. 28-32.
  • Бямбадорж, Б.(2006),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хэлбэрсудлал. (Сургалт, судалгааны бүтээл). Улаанбаатар.
  • Болд, Л.(1996),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тэмдэг нэрийн ангилал, зэргийн тухай асуудалд”, Монгол хэл шинжлэл, Том II (XXIV). 23-36.
  • Болд, Л.(1986),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дагавар. Улаанбаатар.
  • Барайшир, Ш.(1966b), “Дайвар үг”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 зүй. Шинжлэх Ухааны Академи, ХЗХ, Улаанбаатар: 178-198.
  • Барайшир, Ш.(1966a), “Дагавар үг”,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 зүй, 212-224, Улаанбаатар: Шинжлэх Ухааны Академи.
  • Барайшир, Ш.(1961), “Монгол хэлний гарахын тийн ялгалын тухай асуудалд”, Эрдэм шинжилгээний бичиг, МУИС. Боть VI, № 2, 13-27.
  • Барайшир, Ш.(1958),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дагавар үгийн тухай. Улаанбаатар: Шинжлэх Ухаан, Дээд Боловсролын Хүрээлэнгийн хэвлэл.
  • Базаррагчаа, М.(2005), Монгол хэлний өгүүлбэр судлал. Улаанбаатар.
  • Базаррагчаа, М.(1999), Монгол хэлний үйлийн тийн ялгал. Улаанбаатар.
  • Базаррагчаа, М.(1987), Монгол хэлний өгүүлбэр. (Өнөөгийн өгүүлбэр судлалын үндсэн асуудлууд). Улаанбаатар.
  • Street, John Charles(1963), Khalkha structure. Uralic and Altaic Series 24. Bloomington: Researcher Center in Anthropology, Folklore and Linguistics. Indiana University.
  • Song, Jae-mog(1997),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Khalkha Mongolian. Thesis(doctoral), Imperial College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University of London.
  • Skribnik Elena(2003), Chapter five “Buryat”, The Mongolic Languages. New York: Routledge.
  • Selkirk, E.(1982), The Syntax of Words. Cambridge, MA: MIT Press.
  • Schmidt, I. J.(1831), Grammatik der Mongolischen Sprache. St. - Petersburg.
  • Ramstedt, G. J.(1939). A Korean Grammar. Helsinki: Suomalais-Ugrilainen Seura.
  • Poppe, Nikolaus(1951), Khalkha-Mongolische Grammatik. mit Bibliographie, rachproben und Glossar, Wiesbaden: Franz Steiner Verlag GMBH.
  • Poppe, N.(1960), Buriat Grammar. (Uralic and Altaic series, 2.). Bloomington: ndiana University.
  • Poppe, N.(1955), Introduction to Mongolian Comparative Studies. (M moires de la Soci t Finno-Ougrienne, 110.), Helsinki:Suomalais-Ugrilainen Seura.
  • Poppe, N.(1954), Grammar of Written Mongolian. Wiesbaden: Otto Harrassowitz.
  • Park(1991), “Uses of the Imstrumental Case in Korean and Lithuanian”, m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 Muriel Norde, Oxford U.K,『탈문법화(Degrammaticalization)』, 김진수 외(김진수ㆍ 박미자ㆍ이숙의ㆍ이연옥) 옮김
    역락 [2013]
  • Kullmann, Rita and D. Tserenpil(1996), Mongolian Grammar. Hong Kong: Jensco Ltd.
  • Kapisovska, Veronika(2006), “Language Planning in Mongolia II,” Mongolica Pragensia, 06, Ethnolinguistics and Sociolinguistics in Synchrony and Fiachrony, Prague:Charles University.
  • Kapisovska, Veronika(2005), “Language Planning in Mongolia I,” Mongolica Pragensia, 05, Ethnolinguistics and Sociolinguistics in Synchrony and Fiachrony,
  • Janhunen, Juha Antero(Edited by)(2003), The Mongolic Language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Janhunen, Juha Antero(2012), Mongolian, Londin Oriental and African Language Library 19, Amsterdam & Philadelphia: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Fillmore, Charles(1968), “The Case for Case”, in Bach & Harms eds.(1968), 1-88.
  • Fillmore, C.(1971), “Some Problems for Case Grammar,” Monograph Series on Languages and Linguistics 24.
  • Chomsky, N.(1995), The minimalist Program. Cambridge, MA: MIT Press.
  • Chomsky, N.(1994), “Bare Phrase Structure,” MIT Occational Papers in Linguistics 5, Cambridge, MA: MIT Press.
  • Chomsky, N.(1986), Barriers. Cambridge, MA: MIT Press.
  • Chomsky, N.(1981),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Dordrecht: Foris Publication.
  • Chomsky, N.(1980), “On Binding,” Linguistic Inquiry 11-1.
  • Chomsky, N. (1965).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Cambridge, MA: MIT Press.
  • Chinggaltai(1963), A Grammar of The Mongol Language. Frederick Ungar Publishing Co. New York.
  • Charles Bawden(1997), Mongolian-English Dictionar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USA.
  • Buck, Holden Frederick(1955), Comparative study of postpositions in Mongolian dialects and the written language. Harvard-Yenching Institute Studies Ⅻ.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Blake B.(1994), Case, Cambridge: Cambrige University Press.
  • Binnick, Robert I.(1990), “On the Pragmatic Differentiation of the Mongolian Past Tenses,” Mongolian Studies. Bloomington, Vol. XIII.
  • Binnick, Robert I.(1987),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Mongolian Languages,” Central Asiatic Journal. Vol. 31.
  • Binnick, Robert I.(1979b), Modern Mongolian, A Transformational Syntax. University of Toronto Press. Toronto., Canada.
  • Binnick, Robert I.(1979a), “Past and Perfect in Modern Mongolian,” Studies on Mongolia. Proceedings of the First North American Conference on Mongolian Studies, ed. Henry G.Schwarz. Western Washington.
  • Bese, L.(1968), “On the Problem Word Classes in Mongolian,”, – “Хэл зохиол”. Tomus VI.
  • Belletti, A.(1988), “The Case of Unaccusative,” Linguistic Inquiry 19-1.
  • Baker, M.(1988), Incorporation: A Theory of Grammatical Function Changin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21세기 국어 토씨 연구
    김승곤 도서출판 경진 [2009]
  • (1890), An Introduction to the Korean Spoken Language
    Underwood, H. G. 역대 한국문법 대계 2-11
  • '-이서'의 분포와 문법범주
    김민국 『형태론』 11-2, 박이정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