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바슐라르와 푸코의 인식론에 나타난 불연속성의 모델 연구

김윤재 2015년
논문상세정보
' 바슐라르와 푸코의 인식론에 나타난 불연속성의 모델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바슐라르
  • 불연속
  • 인식
  • 인식론
  • 푸코
  • 프랑스철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80 0

0.0%

' 바슐라르와 푸코의 인식론에 나타난 불연속성의 모델 연구' 의 참고문헌

  • 프리드리히 니체, 『비극의 탄생 ? 반시대적 고찰』, 이진우 옮김
    책세상 [2005]
  • 푸코의 포스트구조주의 -지식의 고고학을 중심으로
    양해림 『인문학연구』,제 33집.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 푸코의 역사적 구조주의와 지식이론
    전경갑 『교육사회학연구』, 제 7집. 한국교육사회학회 [1997]
  • 푸코의 역사-비판 존재론으로서 의학적 시선의 고고학
    김성우 『의철학연구』,제 7집. 한국의철학회 [2009]
  • 푸코의 에피스테메 개념
    허경 『에피스테메』, 제 1집.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2007]
  • 푸코의 벨라스케스 -『시녀들』, 혹은 표상의 표상성-
    허경 『영상문화』, 제14집. 한국영상문화학회 [2009]
  • 푸코의 권력계보학: 서구의 근대적 주체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양운덕 『경제와 사회』, 제 35집. 한국산업사회학회 [1997]
  • 푸코의 권력개념에 대한 분석과 비판
    김성훈 『인문학연구』, 제 33집.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5]
  • 푸코와 권력의 문제 -진리를 문제화하며 자유를 추구하는 역사-비판 존재론으로서의 계보학-
    김성우 『시대와 철학』, 제 23집.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2]
  • 푸코에서 콩트로- 프랑스 사적(史的) 인식론의 한 계보 -
    심재원 『철학논집』,제 38집.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 푸코, 『헤테로토피아』, 이상길 옮김
    미셸 문학과지성사 [2014]
  • 푸코, 『푸코의 맑스: 둣치오 뜨롬바도리와의 대담』, 이승철 옮김
    미셸 갈무리 [2004]
  • 푸코, 『칸트의 인간학에 관하여 :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 서설』, 김광철 옮김
    미셸 문학과 지성사 [2012]
  • 푸코, 『지식의 고고학』, 이정우 옮김
    미셸 민음사 [1992]
  • 푸코, 『주체의 해석학 : -1982,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의 강의』, 심세광옮김
    미셸 동문선, 2007 [1981]
  • 푸코, 『정신의학의 권력 :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74년』, 심세광, 전혜리옮김
    미셸 난장, 2014 [1973]
  • 푸코, 『정신병과 심리학』, 박혜영 옮김
    미셸 문학동네 [2002]
  • 푸코, 『자유를 향한 참을 수 없는 열망 : 푸코-하버마스 논쟁 재론』, 정일준편역
    미셸 새물결 [1999]
  • 푸코, 『임상의학의 탄생: 의학적 시선에 대한 고고학』, 홍성민 옮김
    미셸 이매진 [2006]
  • 푸코,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김현 옮김
    미셸 고려대학교출판부 [2010]
  • 푸코, 『안전, 영토, 인구 :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78년』, 심세광, 전혜리, 조성은 옮김
    미셸 난장, 2011 [1977]
  • 푸코,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79년』, 심세광, 전혜리, 조성은 역
    미셸 난장, 2012 [1978]
  •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의 강의』, 박정자 옮김
    미셸 동문선, 1998 [1976]
  • 푸코, 『비정상인들 : -1975,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의 강의』, 박정자 옮김
    미셸 동문선, 2001 [1974]
  • 푸코, 『미셸 푸코, 섹슈얼리티의 정치와 페미니즘』, 황정미 편역
    미셸 새물결 [1995]
  • 푸코, 『말과 사물』, 이규현 옮김
    미셸 민음사 [2012]
  • 푸코, 『담론의 질서』, 이정우 옮김
    미셸 새길 [1993]
  • 푸코, 『광기의 역사』, 이규현 옮김
    미셸 나남 [2003]
  • 푸코,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오생근 옮김
    미셸 나남 [2003]
  • 푸코, 『性의 歷史 3: 자기에의 배려』, 이규현 외 옮김
    미셸 나남 [1990]
  • 푸코, 『性의 歷史 2: 쾌락의 활용』, 문정자, 신은영 옮김
    미셸 나남 [1990]
  • 푸코, 『性의 歷史 1: 앎의 의지』, 이규현 옮김
    미셸 나남 [1990]
  • 푸코, 『性은 억압되었는가 : 性의 歷史, 그 앎의 意志』, 박정자 옮김
    미셸 인간 [1979]
  • 푸코, 『性과 權力』, 박정자 옮김
    미셸 인간사 [1989]
  • 푸코, 『(내 어머니와 누이와 남동생...을 죽인)나, 피에르 리비에르』, 심세광옮김
    미셸 앨피 [2008]
  • 푸코 외, 『자기의 테크놀로지』, 이회원 옮김
    미셸 동문선 [1997]
  • 푸코 외, 『미셸 푸코의 권력이론』, 정일준 옮김
    미셸 새물결 [1994]
  • 푸코 외, 『구조주의를 넘어서』, 이정우 편역
    미셸 인간사랑 [1990]
  • 특집 : 개념사의 이론 지평 ; 미셸 푸코의 "담론" 개념 -"에피스테메"와 "진리놀이"의 사이-
    허경 『개념과 소통』, 제 9집. 한림과학원 [2012]
  • 텍스트란 무엇인가? -리쾨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윤성우 『프랑스학연구』,Vol. 23 [2002]
  • 칸트, 『순수이성비판 1』, 백종현 옮김
    임마누엘 아카넷 [2006]
  • 질베르 뒤랑의 제3의 논리와 시니피에의 인식론
    박치완 『철학연구』, Vol. 39,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0]
  • 박사
  • 에드가 모랭의 복잡성과 상호 주관성
    진형준 『프랑스어문교육』, 제 32집 [2013]
  • 수학적 개념의 역사적 발달과 인식론적 장애
    이종희 『교과교육학연구』, 제 6집.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2]
  • 바슐라르의 상징 개념
    홍명희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 27집.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09]
  • 바슐라르의 대지의 시학에 나타난 상상력의 두 축
    김윤재 박치완 『철학사상문화』, 제 17집.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4]
  • 바슐라르, 『현대 물리학의 합리주의적 활동』, 정계섭 옮김
    가스통 민음사 [1998]
  • 바슐라르, 『풍경』, 이가림 옮김
    가스통 悅話堂 [1994]
  • 바슐라르, 『촛불의 미학』, 김웅권 옮김
    가스통 문예신서 [2008]
  • 바슐라르, 『새로운 과학정신』, 김용선 옮김
    가스통 인간사랑 [1990]
  • 바슐라르, 『불의 정신분석 ; 초의 불꽃』, 민희식 옮김
    가스통 삼성출판사 [1990]
  • 바슐라르, 『불의 시학의 단편들』, 안보옥 옮김
    가스통 문학동네 [2004]
  • 바슐라르, 『부정의 철학』, 김용선 옮김
    가스통 인간사랑 [1991]
  • 바슐라르, 『반항의 시인,로트레아몽』, 윤인선 옮김
    가스통 청하 [1985]
  • 바슐라르, 『물과 꿈 : 물질적 상상력에 관한 시론』, 이가림 옮김
    가스통 문예 [1998]
  • 바슐라르, 『몽상의 시학』, 김웅권 옮김
    가스통 동문선 [2007]
  • 바슐라르, 『대지 그리고 휴식의 몽상 : 내밀성의 이미지 시론』, 정영란 옮김
    가스통 문학동네 [2002]
  • 바슐라르, 『꿈꿀 권리』, 김웅권 옮김
    가스통 동문선 [2008]
  • 바슐라르, 『공기와 꿈 : 운동에 관한 상상력 연구』, 정영란 옮김
    가스통 이학사 [2000]
  • 바슐라르, 『공간의 시학』, 곽광수 옮김
    가스통 동문선 [2003]
  • 미셸 푸코의 파놉티시즘에서 인식, 권력, 윤리의 관계
    한희진 『의철학연구』,제 12집. 한국의철학회 [2012]
  • 미셸 푸코의 경험과 지식
    김부용 『철학논집』, 제 33집.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3]
  • 미셸 푸코의 ‘근대’와 ‘계몽’
    허경 『근대철학』, 제 5집. 서양근대철학회 [2010]
  • 미셸 푸코의 '사물'에 나타난 ‘근대 인간과학’의 개념
    허경 『인문언어』, 제 10집.국제언어인문학회 [2008]
  • 미셸 푸코에 있어 신체와 권력
    이정우 『문화과학』, 제 4집. 문화과학사 [1993]
  • 메를로퐁티의 ‘몸-주체’와 푸코의 ‘몸-권력’비교
    강미라 한국외국어대학교 [2008]
  • 들뢰즈와 사건의 존재론
    이정우 『시대와 철학』, 제 9집. 과학사상 [1998]
  • 뒤랑의 바슐라르 비판
    송태현 『佛語佛文學硏究』, 제 55집. 한국불어불문학회 [2003]
  • 담론의 공간
    이정우 산해 [1994]
  • 니체, 프로이트, 맑스 이후
    김상환 창작과비평사 [2002]
  • 구조/탈구조와 우리 : 레비스트로스, "체계에의 정열": 푸코의 레비스트로스 수용
    허경 『기호학연구』, Vol. 24, 한국기호학회 [2008]
  • 계몽주의, 모더니즘, 휴머니즘: 하버마스 vs. 푸코
    이재정 『哲學論叢』, 제 64집. 새한철학회 [2011]
  • 박사
  • 박사
  • 『숲길』
    Heidegger, Martin 신상희 옮김, 나남 [2008]
  • 『미셸푸코의 談論空間 개념과 主體의 문제』
    이정우 서울대학교 [1994]
  • 『미셸 푸코의 권력/지식론 연구』
    고승규 중앙대학교 [2000]
  • 박사
  • 박사
  • 『미셸 푸꼬의 構造主義 연구』
    이광래 서울대학교 [1986]
  • 『리처드 로티의 신실용주의적 실천철학 : 자율성과 연대성을 중심으로』
    박대원 경북대학교 [2012]
  • 「푸코와 ‘바깥(le dehors)'의 사유」
    김영희(Kim Young-Hee) 『인문학논총』, 제 15집. 경성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10]
  • 「푸코에 있어서 “진리 게임”의 의미」
    박승규 『倫理硏究』, 제 51집. 한국국민윤리학회 [2002]
  • 「푸코를 위하여 : 지식과 권력의 관계에 대한 재고찰」
    최정운 『철학사상』, 제10집.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0]
  • 「푸코 후기 철학에서 "주체성(subjectivite)"과 "진실(verite)"의 문제」
    안현수 『동서철학연구』, 제 62집. 한국동서철학회 [2011]
  • 「푸꼬의 고고학적 방법에 관하여 : 『말과 사물』을 중심으로」
    홍은영 『철학연구』,제 17집.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1994]
  • 「탈근대적 주체와 기연적 사고 ?라깡과 푸코를 중심으로-」
    김희봉 『해석학연구』, 제 26집. 한국해석학회 [2010]
  • 「진리 이론의 틀에서 본 푸코의 진리」
    김부용 『철학논집』, 제 28집. 서강대학교철학연구소 [2012]
  • 「지식과 권력-진리에의 의지」
    이병창 『인문과학연구』, 제 3집.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인문과학연구소 [1997]
  • 「주체는 죽었는가?」
    이정우 『哲學硏究』, 제 39집. 철학연구회 [1996]
  • 「인식론과 베르크손의 형이상학」
    차건희 『大同哲學』, Vol. 6, 대동철학회 [1999]
  • 「신과학 정신과 신인류학 정신」
    秦炯俊 『弘大論叢』, 제 19집, 홍익대학교 [1987]
  • 「스피노자와 푸코 : 또는 관계론의 철학(들)」
    진태원 『(계간)시작』, 제 13집. 천년의시작 [2014]
  • 「상식, 과학기술, 형이상학 - 베르그송과 바슐라르를 중심으로」
    이정우 『동서철학연구』, 제 25집. 한국동서철학회 [2002]
  • 「상상력과 학문의 상호 연계성」
    진형준 『인문학연구』, 제 40집.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 「바슐라르의 상상력의 현상학」
    홍명희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 24집.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08]
  • 「바슐라르의 불연속의 철학」
    이정우 『哲學硏究』, 제 30집. 철학연구회 [1992]
  • 「바슐라르의 단절 개념」
    이지훈 『철학연구』, 제 21집.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1998]
  • 「바슐라르와 푸코의 인식론 비교 : 과학적 인식론과 고고학을 중심으로」
    김윤재 『철학연구』, 제 41집.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0]
  • 「바슐라르와 詩 -객관적(과학적) 사고의 극복과 순간의 형이상학으로서시를 위한 몽상-」
    박치완 『프랑스학연구』, 제 33집. 프랑스학회 [2005]
  • 「미쉘 푸코, 권력과 지식, 그리고 신역사주의」
    김용태 『人文科學硏究』, 제 15집.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6]
  • 「미쉘 푸코 : 얼굴 없는 글쓰기의 에토스」
    김성우 『시대와 철학』, 제 10집.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99]
  • 「미셸 푸코의 에피스테메(episteme)에 관한 연구(1) : 『말과 사물』에 나타난 경제적 담화(discours)를 중심으로」
    이종철 『延世哲學』, 제 2집. 연세대학교대학원 [1991]
  • 「미셸 푸코의 고고학과 계보학」
    이정우 『人文科學』, 제 74집.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5]
  • 「미셀 메이에르의 철학적 수사학 ?언어와 주체성에 대한 반성-」
    박치완 『철학탐구』, Vol. 25, 중앙철학연구소 [2009]
  • 「근대, 탈근대, 지식인」
    강수택 『韓國社會學』, 제 34집. 한국사회학회 [2000]
  • 「과학적 상상력과 시적 상상력의 구분은 정당한가?」
    박치완 『철학연구』, 제 49집.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 「과학과 현실 : 바슐라르, 그람시 및 알뛰세르를 중심으로」
    권정임 『시대와 철학』,제 19집.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8]
  • 「과학과 시: 가스통 바슐라르의 이원성과 통일성」
    송태현 『世界文學比較硏究』,제 36집.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1]
  •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의 컴플렉스 연구 : 한국에서의 수용을중심으로」
    진형준 『人文科學』, 제 4집. 弘益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96]
  • 「가스통 바슐라르: 과학철학에서 상상력의 철학으로」
    송태현 『한국프랑스학논집』,제 42집. 한국프랑스학회 [2003]
  • 「『性의 역사』를 통해 본 푸코의 권력이론」
    고승규 『인문과학연구』, 제 7집.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9]
  • 「"바슐라르의 불연속의 철학"을 읽고」
    정계섭 『哲學硏究』, 제 30집. 철학연구회 [1992]
  • le Blanc, G., La pennsee Foucault, ellipses, 2006.
  • __________, Foucault, Minuit, coll. 《Reprise》, 2006.
  • Wunenburger, J-J., “Figures de la dialectique”, Bachelard et l'epistemologie francaise,coordonne par J-J. Wunenburger, PUF, 2003.
  • Worms, F., La philosophie en France au XXe siecle: Moments, Gallimard, 2009.
  • Whitehead, A. N., Process and Reality, New york Free press, 1985.
  • Weisheipl, J. A., “Classification of the sciences in medieval thought”, MediaevalStudies, Vol. 27, 1965
  • Vuillemin, J., Physique et metaphysique kantiennes, PUF, 1955.
  • Vuillemin, J., La philosophie de l’algebre, PUF, coll. 《Epimethee》, 2e ed., 1993.
  • Viellard-Baron, J-L., “Sujet collectif et sujet individuel chez Michel Foucault”, MichelFoucault ?Savoirs, domination et sujet, Presses universitaires de Rennes, 2008.
  • Viellard-Baron, J-L., La philosophie francaise, Armand Colin, 2000.
  • Veyne. P., Comment on ecrit l’histoire, Seuil, coll. 《L’Univers historique》, 1996.
  • Veyne, P., Foucault, Albin Michel, 2008.
  • Tinland, F., “Une epistemologie non bachelardienne est-elle envisageable?”, Actualiteet posterite de Gaston Bachelard, PUF, coll. 《Science, Histoire etSociete》, 1993.
  • Tiles, M., Bachelard: Science and Objectivity, Cambridge, 1984.
  • Simson D. P., Cassell’s Latin Dictionary, Cassell, 1959.
  • Serres, M., Hermes V -Le passage du Nord-ouest-, Minuit, 1980.
  • Serres, M., Hermes IV -La distribution-, Minuit, 1977.
  • Serres, M., Hermes III -La traduction-, Minuit, 1974.
  • Serres, M., Hermes II -l'interference-, Minuit, 1972.
  • Serres, M., Hermes I -La communication-, Minuit, 1969.
  • Sardinha, D., Ordre et temps dans la philosophie de Foucault, L’Harmattan, 2011.
  • Ricoeur, P., Le conflit des interpretations. Seuil, 1969.
  • Revel, J., Le vocabulaire de Foucault, ellipses, 2009.
  • Revel, J., Foucault, une pensee du discontinu, Mille et une nuits, 2010.
  • Renard, G., L’Epistemologie chez Georges Canguilhem, Nathan, 1996.
  • Reinenbach, H., The Rise of Scientific Philosophy, California press, 1951.
  • Reinenbach, H., The Philosophy of Space & Time, trad. M. Reinenbach J.Freund,Dover, 1958.
  • Reinenbach, H., Philosophic Foundations of Quantum Mechanics, Dover, 1944.
  • Rajchman, J., The Story of Foucault's History, Social Text, No. 8, Duke UniversityPress, 1984.
  • Rajchman, J., Michel Foucault: la liberte de savoir, trad. S. Durastanti, PUF, 1987.
  • R. Damien et B. Hufschmitt,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he-Comte, 2006.
  • Potte-Bonneville, M., Michel Foucault, l’inquietude de l’histoire, PUF, 2004.
  • Popper, K. R.,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Routledge, coll, 《Classics》, 2002.
  • Popper, K. R., Objective Knowledge ?An Evolutionary Approach, Oxford, 1972.
  • Piaget, J., Le structuralisme, PUF, coll. 《Que sais-je?》, 10e ed, 1992.
  • Paltrinieri, L., L’experience du concept, Michel Foucault entre epistemologie ethistoire, Sorbonne, 2012.
  • Oudeis, J., “L’idee de rupture epistemologique chez Gaston Bachelard”, Revue del’enseignement philosophique, n 3, 1971.
  • Nietzsche, F., Le gai savoir, OEuvres, tome. Ⅴ, trad. P. Klossowski, Gallimard, 1982.
  • Nagel E., Newman J. R., Godel’s Proof, New York University Press, 1958.
  • Morin, E., “Complexite restreinte, complexite generale”, Intelligence de la complexite,Hermann, 2013.
  • Michel Foucault, Un heritage critique, sous la directoin de Bert, J-F. et Lamy, J.,CNRS Editions, 2014.
  • Meillassoux, Q., Apres la finitude, essai sur necssite de la contingence, Seuil, 2006.
  • Martin, M. E., Les realismes epistemologiques de Gaston Bachelard, Editions Universitairesde Dijon, 2012.
  • Macherey, P., De Canguilhem a Foucault: la force des normes, La Fabrique, 2009.
  • L’engagement rationaliste, PUF
    Bachelard, G. : 약칭 ER [1972]
  • L’activite? rationaliste de la physique contemporaine, PUF, (3e ed
    Bachelard, G. 1977) : 약칭 ARPC [1951]
  • Les mot et les choses, Gallimard, coll. 《Biblotheque des scienceshumaines》, (coll. 《tel》
    Foucault, M. 2005) : 약칭 MC [1966]
  • Lecourt, D., Pour une critique de l'epistemologie : Bachelard, Canguilhem, Foucault,Mapesto, 1972.
  • Lecourt, D., L’epistemologie historique de Gaston Bachelard, Vrin, 2002.
  • Lecourt, D., La philosophie des sciences, PUF, coll. 《Que sais-je?》, 5e ed, 2012.
  • Lecourt, D., Bachelard ou le jour et la nuit, Bernard et Grasset, 1974.
  • Le rationalisme applique, PUF, (coll. 《Quadrige》
    Bachelard, G. 2008) : 약칭 RA [1949]
  • Le nouvel esprit scienfitique, Alcan, (PUF, coll. 《Quadrige》
    Bachelard, G. 2008) : 약칭 NES [1934]
  • Le materialisme rationnel, PUF, (coll. 《Quadrige》
    Bachelard, G. 2000) : 약칭 MR [1953]
  • Le concept, le sujet et la science, eds. Cassou-Noguees, P. et Gillot, P., Vrin, 2009.
  • Latour B., Woolgar, S., Laboratory Life ? The Construction of Scientific Facts, PrincetonUniversity Press, 1986.
  • Laporte, J., Le rationalisme de Descartes, PUF, coll. 《Epimethee》, 4e ed., 2000.
  • Lalande, A., Vocabulaire technique et critique de la philosophie, PUF, 1960.
  • La philosophie du non, PUF, (coll. 《Quadrige》
    Bachelard, G. 2005) : 약칭 PN [1940]
  • La formation de l’esprit scientifique, Vrin
    Bachelard, G. : 약칭 FES [1938]
  • L'ordre du discours, Gallimard
    Foucault, M. : 약칭 OD [1971]
  • L'archeologie du savoir, Gallimard, coll. 《Biblotheque des scienceshumaines》, (coll. 《tel》
    Foucault, M. 2008) : 약칭 AS [1969]
  • Kuhn, T. 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4e ed, 2012.
  • Koyre, A., Etudes newtoniennes, Gallimard, 1968.
  • Koyre, A., Etudes d’histoire de la pensee scientifique, Gallimard, coll. 《tel》, 2010.
  • Koyre, A., Du monde clos a l’univers infini, Gallimard, coll. 《tel》, 1993.
  • Kant, E., Logique, trad. L. Guillermit, Vrin, 2007.
  • Kant, E., Critique de la raison pure, trad. A. Renaut, Flammarion, 3e ed, 2006.
  • Hume, D., A Treatise of Human Nature, eds. D. F. Norton M. J. Norton, Oxford, 2000.
  • Histoire de la folie a l’age classique, coll. 《tel》
    Foucault, M. (2005) : 약칭 HF [1976]
  • Heisenberg, W., Physics & Philosophy, Harper & Row, 1962.
  • Hegel, G. W. F., Lecons sur la philosophie de l’histoire, trad. J. Gibelin, Vrin, 1987.
  • Hacking, I., Representing and Intervening, -introductory topics in the philosophy ofnatural science, Cambridge, 1983.
  • Hacking, I., Entre science et realite, trad. B. Jurdant, La decouverte, 2008.
  • Gutting, G., Michel Foucault's archaeology of scientific reason, Cambridge, 1989.
  • Gutting, G., French Philosophy in the Twentieth Century, Cambridge, 2001Koyre, A., Etudes galileennes, Hermann, 1966.
  • Gros, F., Marcher, une philosophie, Flammarion, 2011.
  • Ginestier, P., Bachelard, Bordas, 1968.
  • Gane, M., Towards a Critique of Foucault, edited by M. Gane, Routledge andKegan Paul, 1986.
  • Galison, P., How Experiments En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 Fruteau de Laclos, F., “Le sujet de epistemologie et l’objet de la phenomenologie,De quelques lignes tranquillement entremelees dans l’entre deux-guerresfrancais”, Le concept, le sujet et la science, eds, Cassou-Noues, P. ?Gillot, P., Vrin, 2011Hyppolite, J., “Gaston Bachelard ou le romantisme de l’intelligence”, Revuephilosophique de la France et de l’Etranger, n 1, 1954.
  • Foucault, Wittgenstein: de possibles rencontres, sous la direction de Gros, F., etDavidson, A., Kime, 2011.
  • Foucault, M., Surveiller et punir, Gallimard, 1975 (coll. 《tel》, 2005).
  • Foucault, M., Naissance de la clinique, PUF, 1963 (coll. 《Quadrige》, 2005).
  • Foucault, M., L’origine de l’hermeneutique de soi ?Conferences prononcees aDartmouth College, 1980, Vrin, 2013.
  • Foucault, M., La pensee du dehors, Fata Morgana, 1966.
  • Foucault, M., Histoire de la sexualite, tome. Ⅲ, Gallimard, 1984 (coll. 《tel》, 2011).
  • Foucault, M., Histoire de la sexualite, tome. Ⅱ, Gallimard, 1984 (coll. 《tel》, 2012).
  • Foucault, M., Histoire de la sexualite, tome. Ⅰ, Gallimard, 1976 (coll. 《tel》, 2011).
  • Foucault, M., Dits et ecrits, tome. Ⅳ, : 1980-1988, Paris, Gallimard, coll. ≪Bibliotheque des Sciences humaines ≫, 1994.
  • Foucault, M., Dits et ecrits, tome. Ⅲ, : 1976-1979, Paris, Gallimard, coll. ≪Bibliotheque des Sciences humaines ≫, 1994.
  • Foucault, M., Dits et ecrits, tome. Ⅱ, : 1970-1975, Paris, Gallimard, coll. ≪Bibliotheque des Sciences humaines ≫, 1994.
  • Foucault, M., Dits et ecrits, tome. Ⅰ, : 1954-1969, Paris, Gallimard, coll. ≪ Bibliothequedes Sciences humaines ≫, 1994.
  • Fichant, M., “L‘epistemologie en France”, Histoire de la philosophie, No 8,Hachette, 1973.
  • Essai sur la connaissance approchee, Vrin, (6e ed
    Bachelard, G. 2006) : 약칭 EC [1926]
  • Einstein, A., Relativity ?The Special and The General Theory, 15e ed., Crown publisher, 1952.
  • Easley, J. A. Tatsuoka, M. M., Scientific Thought, Allyn and Bacon, 1962.
  • Ducrot, O., Qu’est-ce que la structuralisme? Ⅰ. le Structuralisme en linguistique,Seuil, 1968.
  • Druand, G., L’ame tigree, Danoel/Gonthier, 1980.
  • Drefus, H. L. Rabinow, P., Michel Foucault: Beyond Structuralism and Hermeneutics,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e ed, 1982.
  • Dits et ecrits, tome. Ⅱ, Gallimard, coll. 《Quarto》
    Foucault, M. : 약칭 DEⅡ [2008]
  • Dits et ecrits, tome. Ⅰ, Gallimard, coll. 《Quarto》
    Foucault, M. : 약칭 DEⅠ [2008]
  • Descombes, V., Philosophie par gros temps, Minuit, coll. 《Critique》, 2007.
  • Descombes, V., Le meme et l’autre; Quarante-cinq ans de philosophie francaise(1933-1978),Minuit, coll. 《Critique》, 2005.
  • Descombes, V., Le complement de sujet; Enquete sur le fait d’agir de soi-meme, Gallimard, 2004.
  • Descartes, R., Oeuvres de Descartes, eds. Ch. Adam P. Tannery, t. Ⅸ, Vrin, 1996.
  • Descartes, R., Oeuvres de Descartes, eds. Ch. Adam P. Tannery, t. Ⅵ, Vrin, 1996.
  • Descartes, R., Oeuvres de Descartes, eds. Ch. Adam P. Tannery, t. Ⅱ, Vrin, 1996.
  • Deleuze, G., “A quoi recnnait-on le structuralisme?”, L’ile deserte ?Textes etentretiens 1953-1974, ed. Lapoujade, D., Minuit, 2002.
  • Deleuze, G., Difference et repetition, PUF, coll. 《Epimethee》, 11e ed., 2011.
  • Deleuze, G. Guattari, F., Qu’est-ce que la philosophie?, Minuit, coll. 《Reprise》, 2008.
  • Davy, G., “Gaston Bachelard : l’unite de l’homme et de l’oeuvre”, Les etudesphilosophiques, n 2, 1958.
  • Dagognet, F., “Sur une second rupture”, Bachelard et l’epistemologie francaise,PUF, 2006.
  • Dagognet, F., “Le relationnel eclipse le rationnel”, Bachelard: Confiance raisonneeet defiance rationnell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he-Comte, 2006.
  • Cournot, A., Essai sur les fondements de nos connaissances et sur les caracteresde la critique philosphique, Hachette, 1912.
  • Chalmers, A. F., W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Open University Press, 1978.
  • Castelao, T., Gaston Bachelard et les etudes critiques de la science, L’Harmattan, 2010.
  • Canguilhem, G., Le normal et le pathologique, PUF, coll. 《Quadrige》, 2009.
  • Canguilhem, G., La connaissance de la vie, Vrin, 1998.
  • Canguilhem, G., Ideologie et rationalite dans l’histoire des sciences de la vie,Vrin, 1977.
  • Canguilhem, G., Etudes d'histoire et de philosophie des sciences, Vrin, 5e ed., 1989.
  • Brehier, E., Histoire de la philosophie, PUF, coll. 《Quadrige》, 2012.
  • Bouton, C., “Hegel et l’antinomie de l’histoire”, Lectures de Hegel, Le Livre dePoche, 2005,Chazal, G., “Bergson et Bachelard face a la nouvelle physique”, Bachelard et Bergson ?continuite et discontinuite?, sous la directions de F. Worms J-J. Wunenburger,PUF, 2008.
  • Bloch O. ? von Wartburg W., Dictionnaire etymologique de la langue francaise, PUF, 8e ed. 1989.
  • Beraval, Y., “Continu et discontinu en histoire de la philosophie”, Philosophie etmethode, Bruxelles, 1974.
  • Benveniste, E., Problemes de linguistique generale Ⅱ, Gallimard, 1980.
  • Benveniste, E., Problemes de linguistique generale Ⅰ, Gallimard, 1966.
  • Bellahcene, D., Michel Foucault ou l’ouverture de l’histoire a la verite, L’Harmattan, 2008.
  • Begrson et Bachelard, continuite et discontinuite, sous la direction deWorms, F. et Wunenburger, J. J., PUF, 2006.
  • Beaune, J-C., “Bachelard et Popper, deux ennemis intimes: obstacles epistemologies etfalsifiabilite”, Bachelard: Confiance raisonnee et defiance rationnelle, eds.
  • Barsotti, B., Bachelard critique de Husserl : Aux racines de la fractureepistemologie/phenomenologie, L’Harmattan, 2002.
  • Barreau, H., L’epistemologie, PUF, coll.≪Que sais-je?≫, 1990.
  • Barberousse, A. Kistler, M. Ludwig, P., La philosophie des sciences au XX siecle, Champs, 2011.
  • Balibar, E., “Le concept de coupure epistemologique de Gaston Bachelard a Louis Althusserexamen retrospectif et critique”, Cahiers philosophiques, n 12, 1982.
  • Bacon, F., Novum Organon, The Works of Francis Bacon, eds. Spedding, J. ?Leslie Ellis, R. ? Denon Heath, D., Vol. 4, Cambridge, 1858.
  • Bachelard, sous la direction de Gouhier, H. Poirier, R., Hermann, 1974.
  • Bachelard, G., L’experience de l’espace dans la physique contemporaine, Alcan,1937 (PUF, 1938).
  • Bachelard, G., L’eau et les reves, Jose Corti, 1942.
  • Bachelard, G., Les intuition atomistiques : essai de classification, Boivin, 1935.
  • Bachelard, G., Le pluralisme coherent de la chimie moderne, Paris, Vrin, 1929.
  • Bachelard, G., La valeur inductive de la relativite, Vrin, 1929.
  • Bachelard, G., La psychanalyse du feu, Gallimard, 1938.
  • Bachelard, G., La fragments d’une poetique du feu, PUF, 1988.
  • Bachelard, G., Etude sur l’evolution d’un probleme de physique, Vrin, 1927 (2e ed., 1973).
  • Bachelard ?Science et poetique, une nouvelle ethique?, sous la direction deWunenburger, J-J., Hermann, 2013.
  • Althusser, L., Pour Marx, Maspero, coll. 《Theorie》, 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