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와 염상섭 문학의 지식인상 비교연구

최해수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최해수
    • 기타서명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age of intellectuals in the literature of Natsume Soseki and Yom Sang-seop
    • 형태사항 333 p.: 26cm: 삽도
    • 일반주기 지도교수: 최재철, 한국외대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 p.303-313
    • 학위논문사항 2015. 2, 학위논문(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비교문학과D
    • DDC 809, 22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 주제어 비교문학 영향 지식인
'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와 염상섭 문학의 지식인상 비교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비교문학
  • 영향
  • 지식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98 0

0.0%

'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와 염상섭 문학의 지식인상 비교연구' 의 참고문헌

  • 李 平, 「夏目漱石のユ―モアの對象 -『吾輩は猫である』を中心に―」, 『比較文化硏究』 11卷 2號, 慶熙大 比較文化硏究所, 2007.
  • 한일문학의 관련양상
    김윤식 일지사 [1974]
  • 한눈팔기(道草)
    김정숙 문학과의식 [1998]
  • 한국현대대표소설선
    임형택 창작과비평사 [1996]
  • 한국언론사
    정진석 나남 [1990]
  • 토시카츠(三技壽勝) 外, 『한국근대문학과 일본』
    사에구사 소명출판 [2003]
  • 임화평론집-문학의 논리-
    임화 서음출판사 [1989]
  • 염상섭소설어사전
    곽원석 고려대학교출판부 [2002]
  • 염상섭 장편소설 연구
    김경수 일조각 [1999]
  • 염상섭 연구
    김종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4]
  • 염상섭 소설 연구
    김종균 국학자료원 [1999]
  • 소외론 연구
    정문길 문학과지성사 [1979]
  • 산시로(三四郞)
    최재철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5]
  • 난세의 문학
    이보영 예림기획 [2001]
  • 나는 소세키로소이다
  • 그 후
    전수련 민음사 [2003]
  • 高田端橞, 「日本近代の特殊性」, 『夏目漱石論』, 明治書院, 1984.
  • 高橋正雄, 『夏目文學の物語るもの』, みすず書房, 2009.
  • 長谷川天溪,『近代評論集Ⅰ』日本近代文學大系 56, 角川書店, 1972.
  • 金希貞, 『韓國近代文學成立期における大正期日本文學の受容-『白樺』派を中 心に』, 金澤大學 博士學位論文, 2003.3.
  • 道草』論 - 論理の生と日常の生
    吳京煥 『인문논총』28권 1호,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1985]
  • 越智治雄,『漱石私論』, 角川書店, 1971.
  • 西鄕信綱 外 著, 日本文學協會 編, 『日本文學講座 -方法と時點-』,大修館書店, 1987.
  • 蔡永姙, 『廉想涉 「萬歲前」に見る家族․民族 - 1918年の東京․京城認識を通して -』, 『紀要』 第二部 第51号, 廣島大學大學院 敎育學硏究科, 2002.
  • 芳川泰久, 『漱石論』, 河出書房新社, 1994
  • 綱野義紘, 『夏目漱石』, 淸水書院, 1991.
  • 竹盛天雄 編, 『夏目漱石必携』, 學燈社, 1986.
  • 福田淸人 編, 『夏目漱石』, 淸水書院, 1991.
  • 神田由美子, 「僞善と露惡」, 『夏目漱石事典』, 學燈社, 1992.
  • 石崎等, 『日本文學硏究叢書 夏目漱石 Ⅲ』, 有精堂, 1989.
  • 石原千秋 編, 『漱石硏究』, 翰林書房, 1994.
  • 石井和夫 編著, 『spirit 夏目漱石』, 「作家と作品」, 有精堂, 1987.
  • 相良亨, 「一語の辭典」,『こころ』, 1995.
  • 相良亨, 「一語の辭典」, 三省堂, 1995.
  • 登尾豊, 「三四郎」, 『国文学 解釈と教材の研究』(1月臨時増刊号『夏目漱石の全小説を読む』), 學燈社, 1994.
  • 猪野謙二, 「『それから』の思想と方法」, 『漱石作品集成』(第六券), 桜楓社, 1991.
  • 猪野謙二, 「『心』における自我の問題」, 平岡敏夫 外 編 『近代小說硏究 作品 資料』, 秀英出版, 1992.
  • 渡邊澄子, 『女々しい漱石、雄々しい鷗外』, 1996.
  • 淸水孝純, 『漱石』, 翰林書房, 1993.
  • 江藤淳, 『朝日小事典 , 夏目漱石』, 朝日新聞社, 1977.
  • 水谷昭夫 著, 『近代日本文藝史の構成』, 櫻楓社, 1970.
  • 殘田隆, 『漱石』, 世界思想史, 1995.
  • 武藏野次郞, 『夏目漱石』, 成美堂出版, 1984.
  • 森田喜郞, 『夏目漱石論』- 運命の展開, 和泉書院, 1995.
  • 森田喜郞, 「運命の展開」, 『夏目漱石論』, 和泉書院刊, 1995.
  • 柄谷行人, 『漱石をよむ』, 岩波書店, 1995.
  • 柄谷行人, 『日本近代文學の起源』, 講談社, 1980.
  • 松元寬, 『漱石の實驗』, 朝文社, 1993.
  • 日本文學硏究資料叢書, 『夏目漱石』Ⅰ-Ⅲ, 有精堂, 1990.
  • 新村出, 『廣辭苑』, 岩波書店, 1991.
  • 新有精堂 編輯部 編, 『近代小說硏究必携』 1〜3, 有精堂, 1988.
  • 新文藝讀本, 『夏目漱石』, 河出書房新社, 1990.
  • 後藤文夫, 『漱石․子規の病を讀む』, 上毛新聞社出版局, 2007.
  • 平岡敏夫,『漱石序說』, 槁書房, 1976.
  • 平凡社 編輯部, 『日本史事典』, 平凡社, 1991.
  • 小泉浩一郞, 日本文學硏究資料叢書 Ⅲ 「『夏目漱石』, 漱石 「心」の 近低」, 有精堂, 1989.
  • 小森陽一, 「『こころ』を生成する心臟」, 『成城國文學』創刊第1号, 成城大學文學會, 1985.3.
  • 小森陽一, 「『こころ』を生成する心臟 」, 成城國文學, 1984.
  • 小林一郞, 『夏目漱石の硏究』, 至文堂, 1992.
  • 小山慶太,『漱石とあたたかき科學』, 文藝春秋, 1995.
  • 小宮豊隆, 『夏目漱石 三』, 岩波書店, 1970.
  • 小堀桂一郞, 「解說」, 『鷗外選集』 第2卷, 岩波書店, 1978.
  • 奧野健男, 『日本文學史 近代から現代へ』, 中央公論社, 1979.
  • 大竹雅則, 「『それから』-再現の昔-」, 『漱石 - 初期作品論の展開』, 桜楓 社, 1995.
  • 夏目漱石, 『漱石全集』全18卷 , 岩波書店, 1974〜1986.
  • 夏目漱石 著 古川久 編, 『漱石の書簡』, 東京堂出版, 1981.
  • 夏目漱石 『心』論 - 自己表現としての自殺 -
    吳京煥 『인문논총』33권 1호,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1988]
  • 堀秀彦, 『こころ』解說, 旺文社文庫, 旺文社, 1984.
  • 吉田精一, 山本健吉 編, 『日本文學史』, 角川書店, 1983.
  • 吉田精一, 『文學槪論』, 櫻楓社, 1985.
  • 右遠俊郞, 『文學 眞實 人間』, 光和堂, 1977.
  • 勝田和学, 「『それから』の構造」, 『言語と文芸』(第100号), 桜楓社, 1986.
  • 內田道雄, 『夏目漱石-「明暗」まで』, おうふう, 1998.
  • 佐藤泰正, 「『坊っちゃん』―<うた>という發想をめぐって―」, 『夏目漱石論』, 筑摩書房, 1988.
  • 佐古純一郞, 『文學の探究』, 審美社, 1976.
  • 佐古純一郞, 『夏目漱石の文學』, 朝文社, 1990.
  • 伊豆利彦, 「‘猫’の誕生」,『吾輩は猫である』, 櫻楓社, 1991.
  • 伊豆利彦 外 著, 日本文學協會 編, 『日本文學講座』, 大修館書店, 1988.
  • 伊藤整 編, 『夏目漱石』近代文學鑑賞講座 5 , 角川書店, 1966.
  • 中村光夫, 『日本の近代小說』, 岩波書店, 1981.
  • 中山和子, 「女性像」, 『夏目漱石事典』, 學燈社, 1992.
  • 上田正行, 「金錢感覺」,『夏目漱石事典』, 學燈社, 1992.
  • 三好行雄,『講座夏目漱石』第5卷, 「漱石の知的空間」, 有斐閣, 1981.
  • 三好行雄,『夏目漱石事典』, 學燈社, 1992.
  • 三好行雄,『作品論の試み』, 至文堂, 1967.
  • 三好行雄, 『近代小說硏究 作品 資料』, 秀英出版, 1992.
  • 三好行雄, 『講座 夏目漱石』第3卷, 「漱石の作品」(下), 有斐閣, 1980.
  • 三好行雄, 『漱石書簡集』, 岩波文庫, 2005.
  • 三好行雄, 『日本文學の近代と反近代』, 東京大學出版會, 1972.
  • 三好行雄, 「それから」,『夏目漱石Ⅰ』, 国書刊行会, 1989.
  • 三好行雄, 「「それから」論断章」, 『森鴎外․夏目漱石』(三好行雄 著作集 第二券), 筑摩書房, 1993.
  • 三好行雄, 「漱石の知的空間」, 『講座 夏目漱石』第五卷, 有斐閣, 1981
  • 丁貴蓮, 『國木田獨步と若き韓國近代文學者の群像』, 筑波大學大學院 文學硏 究科 國文學 專攻, 比較文學專門 博士學位論文, 2000.
  • フェミニズム批評の会 編, 「「青鞜」を読む」, 学芸書林. 1998.
  • 『廉想涉全集』
    염상섭 전12권, 민음사 [1987]
  • 『현대성의 형성』
    김진송 현실문화연구 [2003]
  • 『한국현대소설의 연구』
    이보영 예림기획 [1998]
  • 『한국문학의 비교문학적 연구』
    김학동 일조각 [1974]
  • 박사
  • 『염상섭연구』
    김윤식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 『염상섭문학론』
    이보영 금문서적 [2003]
  • 『염상섭』
    유종호 서강대학교출판부 [1998]
  • 박사
  • 『안석영 문선』
    안석주 관동출판사 [1984]
  • 『아리시마 타케오(有島武郞)와 염상섭 문학의 ‘근대적 자아’ 비교연 구』
    류리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신동아』
    제39호 [1935]
  • 『식민지시대문학론』
    이보영 필그림 [1984]
  • 『소설학 사전』
    한용환 문예출판사 [2001]
  • 『소설원론』
    조남현 고려원 [1986]
  • 『성서』
    대한성서공회 [1992]
  • 『비교문학의 새로운 조명』
    이혜순 태학사 [2002]
  • 『비교문학』
    윤호병 민음사 [2000]
  •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 문학과 신경쇠약 양상 연구』
    김숙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근대인물한국사 염상섭』
    김종균 동아일보사 [1995]
  • 『無花果』
    염상섭 동아출판사 [1996]
  • 『新版心理學事典』, 平凡社, 1981.
  • 『學之光』
    제1호~제29호~1930.4), (第1卷 - 第2卷), 재일본동경조선유학생학우회. (영인본, 역락, 2001.) [1914]
  • 『夏目漱石を讀むための硏究事典』, 學燈社, 1987.
  • 『夏目漱石の全小說を讀む』, 學燈社, 1994.
  • 『作品別 近代文學 硏究事典』, 學燈社, 1993.
  • 『世界文學事典』, 庚美文化社, 1979.
  •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1985.
  • 『不連續線』
    염상섭 프레스21 [1997]
  • 『三光』
    3호, 三光社 [1920]
  • 『それから』論
    吳京煥 『인문논총』30권 1호,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1986]
  • 「한일서간체소설의 세계와 취향」
    김순진(Soon Jeon Kim) 『일본어문학』제10집, 한국일본어문학회 [2001]
  • 「한일근대문학 지식인 유형 비교연구 - 나츠메 소오세키 (夏目漱石) 소설의 ‘高等遊民’과 염상섭 소설의 ‘심퍼사이저’의 비교 -」
    최해수 『일본학보』57호, 한국일본학회 [2003]
  • 「한국근대문학에서의 도시와 농촌」
    전혜자 『한국근대문학의 쟁점』, 정신문화연구원 [1982]
  • 「춘원 근대성 연구」
    김영민 『민족문학과 근대성』, 문학과 지성사 [1995]
  • 「청년 지식인 근대 체험의 두 양상 –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의 『산시로(三四郞)』와 염상섭의 『만세전(萬歲前)』의 비교 -」
    최해수 『일본학보』62집, 한국일본학회 [2005]
  • 「차디찬 시선과 교활한 현실」
    류보선 『무화과』해설, 동아출판사 [1995]
  • 「일본근대문학에 나타난 국민화의 표상으로서의 철도 연구」
    허석 『日本語文學』第52輯, 일본어문학회 [2012]
  • 「염상섭의 년대 중반기 장편소설」
    이동하 권영민 편『염상섭문학연구』, 민음사, 1987 [1930]
  • 「염상섭의 가족주의적 정신과 家사상」
    김승환 권영민 편 『염상섭 문학연구』, 민음사 [1987]
  • 「염상섭소설의 전개」
    최시한 『서강어문』2집, 서강어문학회 [1982]
  • 「염상섭과 아리시마 타케오(有島武郞)」
    유숙자 『비교문학』제20집, 한국 비교문학회 [1995]
  • 「염상섭 초기문학론의 형성과정 연구」
    장두영 『語文學』第121輯, 한국어문학회 [2013]
  • 「염상섭 소설의 전개 과정과 『狂奔』」
    김경수 『광분』해설, 프레스21 [1996]
  • 「아쿠타가와(芥川龍之介)와 이상(李箱) 문학 비교연구 : ‘불안의식’을 중심으로」
    장혜정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식민지 현실의 소설화와 역사의식」
    정호웅 유종호 편 『염상섭』, 서강대학교출판부 [1998]
  • 「식민지 지식인의 내면에 비친 조선의 풍경」
    박현수 『20세기 한국소설 - 염상섭』, 창비 [2005]
  • 「시각상의 진보성과 회고성」
    이선영 『염상섭 전집』1 해설, 민음사 [1987]
  • 「사랑과 정치학과 죄의 윤리학 – 염상섭의 『사랑과 죄』를 중심으로-」
    허병석 『한국문학연구』제31집,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6]
  • 「민족현실 대응의 두 양상 -「만세전」과 「두출발」
    김종균 ), 『염상섭소설연구』, 국학자료원 [1999]
  • 「리얼리즘에의 길」
    김우창 『염상섭전집』9, 민음사 [1987]
  • 「단눈치오의 『死의 勝利 Trionfo della morte』와 김동인의 『마음이 옅은 者여』의 비교연구」
    한성철 『외국문학연구』제1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1]
  • 「나츠메 소오세키의 『門』론 - 소스케(宗助)의 불안 -」
    윤은경 『일어일문학연구』, 46권 2호, 한국일어일문학회 [2003]
  •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의『도련님(坊っちゃん)』과 염상섭의 『E선생』비교연구 - 두 작품의 유사성과 지식인의 양상 비교를 중심으로-」
    최해수 『日本硏究』第23號, 한국외국어대학교 日本硏究所 [2004]
  •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의 유머 연구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의 문명비평을 중심으로 -」
    장남호 『인문학연구』79권,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2010]
  •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의 『풀베개(草枕)』論 : 東 西洋 藝術의 對立과 調和」
    오현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의 『코코로』小考 - ‘先生’의 성격 고찰을 중심으로 -」
    최해수 『日本硏究』第18號, 한국외국어대학교 日本硏究所 [2002]
  •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의 『그리고서(それから)』論 : 고등유민(高等遊民)의 탈피과정을 중심으로」
    오성숙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의 『그 후(それから)』와 이광수의 『무정(無情)』에 나타난 근대적 개인의 형성과정과 성격 비교 연구」
    김언정 『日本文化硏究』第39輯, 동아시아일본학회 [2011]
  •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와 염상섭문학의 영향관계 연구 -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와 『박래묘(舶來猫)』」
    최해수 『일본근대문학 –연구와 비평-』3, 한국일본근대문학회 [2004]
  •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봇찬(坊っちゃん)』론 –개인주의로부터 전통윤리로의 전환 -」
    부백 『일본문화연구』제8집, 동아시아일본학회 [2003]
  •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 텍스트에 나타난 근대비판」
    김난희 『日本文化硏究』第34輯, 동아시아일본학회 [2010]
  •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 『마음(こころ)』의 주제성에 대한 고찰」
    부백 『외국문학연구』제20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5]
  • 「근대 일본작가의 전쟁체험과 그 영향」
    최재철 『日本硏究』第23號, 한국외국어대학교 日本硏究所 [2004]
  • 「감상과 기대」
    염상섭 『조선문단』 [1924]
  • 「舶來猫」
    염상섭 『三光』3호, 三光社 [1920]
  • 「特輯『漱石論の地平を拓くもの-いま作品を讀む」『國文學』, 學燈社, 1992.
  • 「日本文壇雜觀-배흘 것은 技巧(五)」
    염상섭 『동아일보』 [1927]
  • 「文藝時評」
    염상섭 『朝鮮文壇』제20호 [1927]
  • 「寫實主義와 더불어 四十年」
    염상섭 『서울신문』 [1959]
  • 「『삼대』의 다성적 특질」
    한승옥 『염상섭소설연구』, 국학자료원 [1999]
  • 「『삼광(三光)』수록 소설 연구」
    안남일 『한국학연구』 31 ,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 「『만세전』과 「일대유업」의 거리」
    유종호 『염상섭』, 서강대학교출판부 [1998]
  • 「『三代』에 끼친 외국문학의 영향」
    김송현 『現代文學』제97호, 현대문학사 [1963]
  • 「 한 일 아시아태평양전쟁문학 비교연구 : 이병구와 오오카 쇼헤이 (大剛昇平)의 남방(南方)소설을 중심으로」
    장지영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1910년대 한국문학과 근대성
    김복순 소명출판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