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생태학적 관점에 입각한 무형문화유산의 창조적 전승에 관한 연구

오정심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생태학적 관점에 입각한 무형문화유산의 창조적 전승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무형문화유산
  • 문화유산 공동체
  • 문화유산 산업
  • 문화유산 활용
  • 문화유산생태계
  • 생태계
  • 생태학적 관점
  • 자생력
  • 전승
  • 지역민 육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88 2

1.0%

' 생태학적 관점에 입각한 무형문화유산의 창조적 전승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박사
  • 홋카이도 에사시초 100인의 이야기꾼
    esashi.sakura.ne.jp
  • 홋카이도 관광청
    www.esashi-kankoukyoukai.com
  • 한국의 전통생태학
    이도원 서울: 사이언스북스 [2008]
  • 한국의 무형문화유산 보전과 활용
    김광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김경일 서울: 백산서당 [2003]
  • 한국민속학술단체연합회, , 『무형문화유산의 보존과 전승』
    서울: 민속원 [2009]
  • 한국문화재재단
    www.chf.or.kr
  • 한국무형유산진흥센터
    www.kihpc.kr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www.kcdf.kr
  • 한국 춤의 역사와 문화재
    성기숙 서울: 민속원 [2005]
  • 한국 춤 문화유산을 적용한 공연예술 활성화 연구
    윤덕경 『한국무용연구』, 제30집 제3호, 한국무용연구학회 [2012]
  • 한국 전통공예정책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위주영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박사
    한국 무형문화재정책의 현황과 발전방안
    송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한국 무형문화재 제도의 성립: 그 사회적 조건에 관한 연구
    정수진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한국 무형문화재 정책-역사와 진로
    이장열 서울: 관동출판사 [2005]
  • 프랑스 아베누아 에코뮤지엄
    www.ecomusee-avesnois.fr
  • 콘텐츠 생태계 중심 창조적 문화도시의 발전방향
    이병민 『인문콘텐츠』, 제25호, 인문콘텐츠학회 [2012]
  • 철학사전편찬위원회. 철학사전
    서울: 중원문화 [2009]
  • 창조경제 시대 창조적 환경과 지역발전의 의미
    이병민 『문화콘텐츠연구』, 제2호,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3]
  • 지식생태학
    유영만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6]
  • 전통공예기술의 현대적 활용
    김태호 남궁선 정수경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집 제12호, 한국콘텐츠학회 [2010]
  • 인간발달 생태학
    유리 서울: 교육과학사 [1992]
  • 유산 연구와 박물관학에서의 무형문화유산의 맥락화
    마릴레나 알리비자투 『국제저널 무형유산』, 제3호, 국립민속박물관. [2008]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www.unesco.or.kr
  • 유네스코와 유산
    www.unesco.or.kr/heritage
  •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www.ichcap.org
  • 유네스코
    www.en.unesco.org
  • 우타츠야마 공예공방
    www.utatsu-kogei.gr.jp
  • 오마이뉴스
    -4-13, 「문화재청, ‘빚’ 갚아야 무형문화재 인정?」 [2006]
  • 연합뉴스
    -9-27, 「안형환 “중요 무형문화재 18% 단절 위기”」 [2010]
  • 암스테르담 트로펀 박물관의 무형유산의 개념화: 라일라와 마즈눈 이야기를 통한 사례 연구
    사디아 본스트라 『국제저널 무형유산』, 제4호, 국립민속박물관. [2009]
  • 시장간 연결망과 조직의 생태학
    한준 『한국사회학』, 제38집 제4호, 한국사회학회 [2004]
  • 박사
  • 서울신문
    -4-08, 「문화재관리 현주소, 문화재위 권력화 실상과 해법」 [2014]
  • 박사
  • 생태학의 역사: 에콜로지의 기원과 전개
    김지영 안나 브람웰 서울: 살림 [2013]
  • 생태학의 담론
    문순홍 서울: 아르케 [2006]
  • 생태계 관점에서의 문화콘텐츠 산업 구성 및 구조
    류준호(Jun-Ho Yoo) 윤승금(Seung-Keum Yoon)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한국콘텐츠학회 [2010]
  • 생태계 관점에서의 게임콘텐츠 산업구성 및 구조분석
    유길상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5권 제4호,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2]
  • 살기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의 방향과 과제
    이재하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3권 제1호, 한국지역지리학회 [2007]
  • 벤처생태계 현황과 발전 방안
    박용린 『과학기술정책』, 제191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 엮음, , 『아시아 생태문화』
    서울: 민속원 [2009]
  • 문화체육관광부
    www.mcst.go.kr
  • 문화재활용론 - 활용의 개념과 범주에 대하여
    장호수 『인문콘텐츠』, 제7호, 인문콘텐츠학회 [2006]
  • 문화재청 아태무형유산센터, , 『무형문화유산의 이해』
    대전 : 문화재관리국 아태무형유산센터 [2010]
  • 문화재청 아태무형유산센터, , 『2003년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해설집』
    대전 : 문화재관리국 아태무형유산센터 [2010]
  • 문화재청
    www.cha.go.kr
  • 문화재보호법(법률 제11228호 공포일 시행일 2012
    07.27.) [2012]
  • 문화재보호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5050호 공포일 시행일 2014.01
    01.) [2013]
  • 문화재보호법 시행규칙(문화체육관광부령 제163호 공포일 시행일 2014.01
    01.) [2013]
  • 문화재보존·활용론
    장호수 서울: 민속원 [2012]
  • 문화변동론 문화생태학과 다선진화 방법론
    조승연 줄리안 스튜어드 서울: 민속원 [2007]
  • 문명의 미래와 생태학적 세계관
    박이문 서울: 당대 [1997]
  • 문명 패러다임 전환과 생태주의
    한면희 『과학사상』, 통권41호, 범양사 [2002]
  • 무형유산 보호: 잉글랜드 동북부의 박물관들이 처한 다섯 가지 주요 난관
    미셸 L. 스테파노 『국제저널 무형유산』, 제4호, 국립민속박물관. [2009]
  • 무형문화재의 탄생
    정수진 서울: 역사비평사 [2008]
  • 무형문화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 -글로벌 시대의 문화 표상-
    정수진 『동아시아 문화연구』, 제53호, 한양대학교출판부 [2013]
  • 무형문화재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책- 예능종목을 중심으로
    강정원 『비교문화연구』, 제8집 1호,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2]
  • 무형문화재 정책 및 운영의 발전방안 연구 : 시도 지정 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김미경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박사
  • 무형문화자원의 문화적 활용과 상품화 전략
    김용범 『文化政策論叢』, 제21집,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 무형문화유산의 이해
    함한희 전주: 전북대학교20세기민중생활사연구소 [2012]
  • 무형문화유산의 보호: 2003년 협정이행을 위한 핵심 요소
    리차드 쿠린 『국제저널 무형유산』, 제2호, 국립민속박물관. [2007]
  • 무형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연구
    최종호 『문화재학』, 통권 제2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05]
  • 무형문화유산의 보존과 전승 방향의 재인식
    임재해 『비교민속학』, 제39호, 비교민속학회 [2009]
  • 무형문화유산 활용론: 무형유산 콘텐츠 측면에서
    최종호 『전통문화논총』, 제5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07]
  • 무형문화유산 경관으로서의 ‘지역사회’: 전통 직물 및 그 직물과 대중의 관계를 보여주는 일본의 사례 – 기조카 바쇼후
    수미코 사라시마 『국제저널 무형유산』, 제8호, 국립민속박물관 [2013]
  • 마을 박람회
    가나자와 www.machihaku.com
  •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
    www.icomos.org
  • 국립무형유산원
    www.nith.cha.go.kr
  • 국립국악원
    www.gugak.go.kr
  • 국가지정 무형문화재의 지정현황과 문제점
    이옥희 『남도민속연구』, 제11집, 남도민속학회 [2005]
  • 구술생애사와 문화콘텐츠를 통해 본 고려인
    임영상 서울: 신서원 [2012]
  • 韓國과 프랑스의 傳統工藝政策의 현황과 문제점
    송준 『남도민속연구』, 제19호, 남도민속학회 [2009]
  • 無形文化遺産의 保存과 活用에 대한 小考-전형(典型)의 개념을 중심으로-
    송준 『남도민속연구』, 제17호, 남도민속학회 [2008]
  • 『한국경제』
    김병연 -2-26, 「신세계면세점, 문화재청과 ‘무형문화재 지정판매 협약’ 체결」 [2014]
  • 『포스트모던 시대의 세계관』
    김영한 서울: 숭실대학교출판부 [2009]
  • 『중요무형문화재 원형보존과 재창조 가이드라인 제시 학술용역』
    문화재청 [2006]
  • 『전통적 정신문화의 현대화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 『전통문화산업 실태조사 및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 『전통공연예술산업육성기본계획수립』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 『오마이뉴스』
    -12-27, 「“무형문화재 제도, 이대로 안 놔둔다!”」 [2005]
  • 『오마이뉴스』
    -10-16, 「인간문화재, 이렇게 뽑으면 국민 원성 높아진다」 [2013]
  • 『연합뉴스』
    -8-19, 「문화재 관련 비리 공무원 등 긴급체포」 [1999]
  • 『연합뉴스』
    -2-6, 「수원시 지역문화지수 전국 최고 …정책 향유 등 높아」 [2014]
  • 『연합뉴스』
    -7-12, 「인간문화재 지정의 문제점」 [1996]
  • 『세계일보』
    -6-27, 「문화권력화한 중요무형문화재」 [2006]
  • 『세계일보』
    -1-28, 「[위기의 무형문화재…한민족의 혼이 사라진다] 부실한 지정관리 체계」 [2010]
  • 『세계일보』
    -9-25, 「중요무형문화재 27,6%, 보유자 전수교조 부재 단절위기」 [2012]
  • 『세계유산협약의 유형, 무형 유산 연계 가치 연구모임 공개세미나 자료집』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이코모스한국위원회 [2012]
  • 『서울신문』
    -4-04, 「무형문화재 선정 실세 개입 의혹」 [2006]
  • 『서울세계박물관대회 종합보고서』
    서울세계박물관대회조직위원회 [2004]
  • 『새전북신문』
    -8-7, 「‘뭐 하는 곳인지 잘 몰라’ 찾는 이 없어 썰렁」 [2014]
  • 『부산일보』
    -4-10, 「경남도 32개 무형문화재 대 이을 젊은 사람이 없다」 [2014]
  • 『벤처생태계의 내실화 촉진을 위한 정책연구』
    중소기업연구원 [2012]
  • 『박물관과 무형유산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국립민속박물관 [2013]
  • 『문화재 유형별 활용 프로그램 및 실행가이드라인 개발 용역』
    문화재청 [2010]
  • 『문화유산 활용사업 활성화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7]
  • 『문화유산 스토리텔링 활성화 연구용역』
    문화재청 [2011]
  • 『문화와 발전: Post-MDGs 시대의 과제와 전망』
    정정숙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2]
  • 『문화예술교육의 생태계적 패러다임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07]
  • 『문화시설의 지역 경제 및 사회문화적 효과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7]
  • 『문화산업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 『무형유산의 창조적 가치와 지속가능한 발전: 2012 무형유산보호 국제회의 자료집』
    아 태무형유산센터 [2012]
  •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과 고등교육기관 연계방안 연구』
    문화재청 [2010]
  • 『무형문화유산의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제정 연구』
    문화재청 [2011]
  • 『매일신문』
    -10-22, 「인간문화재급 '마을 장인' 아시나요…안동 하회마을 뱃사공 등」 [2011]
  • 『동아일보』
    -7-19, 「인간문화재 선정 비리의혹 수사착수」 [2002]
  • 『뉴시스』
    -10-09, 「인간문화재 사라진다…11%↓ 179명」 [2009]
  • 『뉴시스』
    -9-25, 「조해진 의원, 중요무형문화재 전승 단절 위기」 [2012]
  • 『뉴시스』
    -1-15, 「2013 국립민속박물관은 “인간중심”」 [2013]
  • 『기업생태계와 플랫폼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2012]
  • 『국악성과지표 분석연구 : 국악교육 현황 및 성과를 중심으로』
    국립국악원 [2012]
  • 『공예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KDB 산업은행 [2012]
  • 『공예문화산업 유통 활성화를 위한 외국사례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 『공예문화 중장기 진흥정책을 위한 기초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2]
  • 『경기일보』
    -11-27, 「무형문화재 상당수 맥 끊길 위기」 [2009]
  • 『경기일보』
    -7-29, 「위기에 처한 중요무형문화재 전승」 [2012]
  • 『강원도민일보』
    -6-13, 「무형문화 전승 유기적 시스템 마련해야」 [2014]
  • 『YTN』
    -9-26, 「판소리 인간문화재 금품수수 영장」 [2003]
  • 『2013 지역문화지표 분석 결과』
    문화체육관광부 [2014]
  • 『2012 문화향수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3]
  • 「한국의 근대화와 한국 전통춤의 자생력상실 배경: 사회학적 접근」
    이문호 『공연문화연구』, 제15호, 한국공연문화학회 [2007]
  • 「한국 전통연극 진흥정책 연구」
    정혜원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한국 전통공예정책에 대한 일고찰」
    위주영 『남도민속연구』, 제20집, 남도민속학회 [2010]
  • 「커뮤니케이션의 확장: ‘생태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소고」
    김진웅 『추계컴퓨터학회 발표문』 [2006]
  •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혁신플랫폼의 활용전략」
    Kim, J.S. Kwon, B.R. 권보람 김주성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9권 제4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
  • 「지적정책생태계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이영재 『한국정책연구』, 제12집 제4호, 경인행정학회 [2011]
  • 「지역민의 문화적 욕구를 반영한 박물관 운영 정책에 관한 연구」
    이재호 편상훈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2권 제2호, 서울행정학회 [2011]
  • 「지역문화기반시설 실태분석: 미술관 박물관」
    양지연 『문화예술』, 통권 316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2005]
  • 「지식생태계 연구 경향, 한계 그리고 제언」
    오철호 유재미 『정보화 정책』, 제18권 제4호,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 「지식구조의 변화와 문화생태학의 복원」
    김용규 『大同哲學』, 제53호, 대동철학학회 [2010]
  • 「중요무형문화재의 합리적 지정과 효율적 관리 방향」
    임재해 『무형문화재 제도 개선을 위한 워크숍 자료집』 [2004]
  • 「중요무형문화재 전승자 현황(2014.5.31.일자)」
    문화재청 [2014]
  • 「중요무형문화재 기능분야 한국표준산업분류 현황」
    문화재청 [2012]
  • 「제국 이후의 문명화 사명」
    김용우 『역사비평』, 통권95호, 역사비평사 [2011]
  • 「정책연구에서 생태학적 관점의 적용가능성」
    김기형 오철호 『韓國政策學會報』, 제19집 제4호, 한국정책학회 [2010]
  • 「전통 민속문화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 순환 공생 상극의 생태학적 논리」
    임재해 『환경과 생명』, 제27호, 환경과 생명 [2001]
  •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의 성립과 일본의 무형문화재 보호정책」
    김현정 『翰林日本學』, 제21호, 한림대학교일본학연구소 [2012]
  • 「소스 커뮤니티의 구술 자료를 활용한 전시」
    이건욱 『제3회 한국구술사네트워크 워크숍 발표 자료집』 [2012]
  • 박사
  • 「세계일보」
    -3-13, 「道 무형문화재 맥 끊긴다」 [2013]
  • 「서울시 기술창업의 선순환 생태계 구축방안」
    김묵한 신창호 『서울시 정책리포트』, 제136호, 서울연구원 [2013]
  • 「생태담론의 연원적 고찰」
    양해림 『환경철학』, 제9집, 한국환경철학회 [2010]
  • 「박물관이 지역정체성 강화에 미치는 영향」
    최식원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민속문화의 생태학적 성격과 문화다양성의 세계화」
    임재해 『한민족연구』, 제2호, 한민족학회 [2006]
  • 「미디어생태계의 ‘평형상태’를 위하여 : ‘분해자’로서 소비자에 대한 소고」
    김유석 『한국방송학회 봄철정기학술대회 자료집』 [2008]
  •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태도 및 1인 창작 전문기업 육성 방안」
    류준호 한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문화재 보존 관리 활용에 관한 5개년 기본계획(2012-2016)」
    문화재청 [2012]
  • 「문화유산 담론과 인류학」
    박상미 『사회과학논집』, 제24권 제1호, 한국외국어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06]
  • 「무형의 것들이 주제가 된 전시에 대한 실험 : 아리랑 특별전과 다문화특별전을 사례로」
    이건욱 『박물관과 무형유산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2012]
  • 「무형문화재 제도의 성립, 그 역사성 제고」
    정수진 『韓國民俗學』, 제40집 제1호, 한국민속학회 [2004]
  • 「무형문화재 전승사와 전수과정의 재이해: 교육학적 관점」
    최성욱 『敎育原理硏究』, 제16권 제1호, 한국교육원리학회 [2011]
  •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실태조사 자료」
    문화재청 [2009]
  • 「무형문화재 심사 및 관리제도 개선권고」
    국민권익위원회 [2010]
  • 「무형문화재 공연 활성화방안 연구」
    김광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무형문화유산을 활용한 관광자원화 방향」
    최종호 『문화재관리학』, 통권 제7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10]
  •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과 한국의 무형문화재 제도 비교연구」
    홍일표 『문화재관리학』, 제7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10]
  • 「마을 만들기를 통한 공동체 성장과정 연구」
    여관현 『도시행정학보』, 제26집 제1호,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
  • 「디지털 시대의 문화생태계」
    조은하 『한국학연구』, 제37집,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 「동아시아 무형문화유산 보호제도와 유네스코 협약」
    박계리 『美術史論壇』, 제34호, 국립민속박물관 [2012]
  • 「동북의 조선족문화관과 콘텐츠 기획」
    임영상 『역사문화연구』, 제44집, 한국외국어대학교역사문화연구소 [2012]
  • 「김장문화의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통해 본 무형유산 보호의 패러다임 변화」
    황경순 『민족문화논총』, 제55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3]
  • 「근대 국민국가의 문화재 창출」
    정수진 『韓國民俗學』, 제46집 제1호, 한국민속학회 [2007]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문화예술의 소통과 융합」
    최연구 『과학기술정책』, 제19권 제2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9]
  • 「공예산업 활성화 대책」
    문화체육관광부 [2013]
  • 「고려인 사회의 전통공연예술: 고려극장과 소인예술단」
    임영상 『CIS 고려인 공동체 무형유산 전승실태 연구 성과 발표회 자료집』 [2013]
  • 「2014년 주요업무계획서」
    문화체육관광부 [2014]
  • 「2014년 문화재청 주요업무계획서」
    문화재청 [2014]
  • 「2013년도 문화재청 국정감사 요구자료」
    문화재청 [2013]
  • 「2013년 중요무형문화재 전승지원 및 전승활성화 주요사업 계획안」
    문화재청 [2013]
  • 「2012년도 문화재청 국정감사 요구자료」
    문화재청 [2012]
  • 「2012년 중요무형문화재 활성화 종합계획」
    문화재청 [2012]
  • 「2011년도 문화재청 국정감사 요구자료」
    문화재청 [2011]
  • “Yamato Declaration on Integrated Approaches for Safeguarding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ara, 23 October 2004.
  •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Paris, 2 November 2001.
  •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Paris, 20 October 2005.
  • “Convention on the Means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Ex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 Paris, 14 November 1970.
  •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aris, 17 October 2003.
  •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Event of Armed Conflict with Regulations for the Execution of the Convention” The Hague, 14 May 1954.
  •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Paris, 16 November 1972.
  • e-나라지표
    www.index.go.kr
  • Yoshida, Kenji, 2004, “The Museum and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useum International, Vol.56.
  • Yahaya Ahmad, 2006, “The Scope and Definitions of Heritage: From Tangible to Intangible”,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Vol.12.
  • World Tourism Organization, 2012, Tourism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adrid : World Tourism Organization.
  • Wend Wendland, 2004, “Intangible Heritage and Intellectual Property: challenges and future prospects”, Museum International, Vol.56.
  • UNESCO 지음,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옮김,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0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0]
  • Tongyun YIN, 2006, “Museum and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Ethic Arts, Issue.6.
  • Suzanne Keene, 2006, “All that is solid? - Museums and the postmodern”, Public Archaeology, Vol.5.
  • Shouyong P., 2008, “Museums and the protection of cultural intangible heritage”, Museum International, Vol.60.
  • Rudy Demotte, 2004, “National Policies Concern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example of Belgium's French community”, Museum International, Vol.56.
  • Rodrigues, Ana Aparecida Villanueva, 2006, “The Intangible Dimension: from the museum to the city – the case of S o Paulo”, Museum International, Vol.58 No.3.
  • Richard Kurin, 2007, “Safeguard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Key Factors in Implementing the 2003 Conv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2.
  • Richard Kurin, 2004, “Museums and Intangible Heritage: Culture Dead or Alive?”, ICOM News, No.2.
  • Rhianedd Smith, 2009, “Finding the ‘First Voice’ in rural England: the challenges of safeguarding intangible heritage in a national museum”,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4.
  • Noriko Aikawa, 2004, “An Historical Overview of the Preparation of the UNESCO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useum International, Vol.56.
  • Munson Bruce, 1994, “Ecological misconceptions”,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Vol.25 Issue4.
  • Marilena Alivizatou, 2012, Intangible Heritage and the Museum: New Perspectives on Cultural Preservation, Calif.: Left Coast Press.
  • Marilena Alivizatou, 2006, “Museums and Intangible Heritage: The Dynamics of an ‘Unconventional’ Relationship”,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Journal, Vol.17.
  • Lucas Lixinski, 2013,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International Law,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Lourdes Arizpe, 2004,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versity and Coherence”, Museum International, Vol.56.
  • Kevin Walsh, 1992, The Representation of the Past: Museums and Heritage in the Post-Modern World, London: Routledge.
  • Kenji Yoshida, 2004, “The Museum and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museum international, Vol.56.
  • KBS뉴스
    -8-7, 「무형문화재 4분의 1 단절 위기」 [2012]
  • Jon Norberg, 1999, “Linking Nature’s services to ecosystems: some general ecological concepts”, Ecological Economics, Vol.29.
  • Janet Marstine, 2005, New Museum Theory and Practice: An introduction, Malden: Blackwell.
  • Gail Dexter Lord, 2000, Manual of museum planning, London: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 Eugene P. Odum, 1992, “Great ideas in ecology for the 1990s”, Bioscience Vol.42.
  • Etymonline dictionary, www.etymonline.com.
  • Eileen Hooper Greenhill, 1995, Museum, media, message, London: Routledge.
  • Dawson Munjeri, 2004,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from difference to convergence”, Museum International, Vol.56.
  • David C. Harvy, 2001, “Heritage pasts and heritage presents: Temporality, meaning and the scope of heritage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Vol.7.
  • Corsane Gerard E., 2008, “Ecomuseology: a holistic and integrated model for safeguarding ‘spirit of place’ in the North East of England”, 16th ICOMOS General Assembly and International Sympos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