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의 생명운동과 대안 정치운동 : 무위당 장일순을 중심으로

강창선 2015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의 생명운동과 대안 정치운동 : 무위당 장일순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생명사상
  • 생명운동
  • 장일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8 0

0.0%

' 한국의 생명운동과 대안 정치운동 : 무위당 장일순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환경철학
    박이문 (미다스 북스 [2002]
  • 해월 최시형의 정치사상
    오문환 (모시는 사람들 [2003]
  • 한살림모임,,「한살림선언」,http://www2.hansalim.or.kr모심과 살림 연구소,『죽임의 문명에서 살림의 문명으로』
    (한살림,2010) [1989]
  • 한국 풀뿌리민주주의의 사상적 기원에 관한 고찰
    하승우 『기억과 전망』18,(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8]
  • 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
    문순홍 아르케 [2006]
  • 움베르토 에코,『일반기호학이론』,김운찬 역
    (열린책들 [2009]
  • 울리히 벡,『위험사회』,홍성태 역
    (새물결 [2006]
  • 에크하르트 톨레,『NOW』,류시화 역
    (조화로운 삶 [2008]
  • 앤드루 돕슨,『녹색정치사상』,정용화 역
    (민음사 [1993]
  • 앙드레 고르,『프롤레타리아여 안녕』,이현웅 역
    (생각의 나무 [2011]
  • 알랭 리피에츠,『녹색희망』,박지현 허남혁 역
    (이후 [2002]
  • 스탠딩,『프레카리아트』,김태호 역
    가이 (박종철출판사 [2014]
  • 생태주의
    이상헌 (책세상 [2011]
  • 박사
    생애주기와 세대정치
    허석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 새로운 과학과 문명의 전환
  • 불교사상에 나타난 생태적 교육관 고찰
    박성자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무위당을 기리는 모임
    『너를 보고 나는 부끄러웠네』(녹색평론사 [2004]
  • 무위당 장일순의 노자 이야기
    이현주 장일순 삼인 [2010]
  • 머레이 북친,『머레이 북친의 사회적 생태론과 코뮌주의』,서유석 역
    (메이데이 [2012]
  • 로버트 어그로스 외,『새로운 생물학』,오인혜 김희백 역
    (범양사출판부 [1999]
  • 레베카 코스타,『지금,경계선에서』,장세현 역
    (쌤 앤 파커스 [2011]
  • 데니스L.메도즈,요르겐 랜더스,『성장의 한계』-30주년 기념 개정 판-김병순 역
    (갈라파고스 [2013]
  • 대담,「모두에게 존엄과 자유를-기본소득 왜 필요한가」,『녹색평론』131호
    강남훈 곽노완 김종철 (녹색평론사 [2013]
  • 계간『과학사상』편집부 편,『현대과학혁명의 선구자들』
    (범양사 출판부 [2002]
  • 간디의 물레
    김종철 (녹색평론사 [2006]
  • 『혼돈으로부터의 질서』
    신국조 일리야 프리고진 자유아카데미 [2013]
  • 『협동조합,참 좋다』
    차형석 김현대 하종란 푸른 지식 [2013]
  • 『한국 생명사상의 뿌리』
    이경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7]
  • 『춤추는 물리』
    G.주커브 김영덕 범양사 출판부 [1993]
  • 『지역,지방자치 그리고 민주주의』
    하승수 (후마니타스 [2013]
  • 『중국철학사(상,하)』
    박성규 풍우란 까치 [2005]
  • 『좁쌀 한 알 :일화와 함께 보는 장일순의 글씨와 그림』
    최성현 (도솔출판사 [2004]
  • 『제3의 눈』
    김용호 (돌베개 [2011]
  • 『장자』
    시천 안사 (바이북스 [2008]
  • 『이야기 세계사(하)』
  • 『육조단경』,청화 역주
    청화 혜능 광륜출판사 [2010]
  • 『원자속의 유령』
  • 『온생명과 환경,공동체적 삶』,(생각의 나무,,『물질,생명,인간』,(돌베개,2009),『생명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장회익 (한울아카데미,2014) [2008]
  • 『에세이 노자-빛으로 쓴 얼의 노래』
    유영모 (무애 [1992]
  • 『에덴의 용』
    임지원 칼 세이건 사이언스 북스 [2010]
  • 『안심법문』
    청화 광륜출판사 [2010]
  • 『신과학과 영성의 시대』
    김재희 프리초프 카프라 범양사출판부 [1999]
  • 『신과학 산책』
    김재희 김영사 [1995]
  • 『세계사 이야기2』
    김희보 (가람기획 [2001]
  • 『생명이란 무엇인가』
  • 『불교사회경제사상』
    박경준 (동국대학교출판부 [2013]
  • 『복지국가와 기본소득』
    이명현 (경북대학교출판부 [2014]
  • 『문명의 충돌』
    새뮤얼 헌팅턴 김영사 [2006]
  • 『모두에게 기본소득을』
    최광은 (박종철출판사 [2014]
  • 『대한민국 선거이야기』
    서중석 (역사비평사 [2008]
  • 『노자 생명사상의 현대적 담론』
    김경수 (문사철 [2011]
  • 『노자 강의』
    기세춘 (바이북스 [2008]
  • 『노동의 종말』
  • 『나락 한알 속의 우주』
    장일순 (녹색평론사 [2009]
  • 『나는 미처 몰랐네 그대가 나였다는 것을』
    김익록 시골생활 [2010]
  • 『깨어나라!협동조합』
    김기섭 (들녘 [2013]
  • 『기본소득의 쟁점과 대안사회』,(박종철출판사,,『기본소득운동의 세계적 현황과 전망』
    강남훈 곽노완 (박종철출판사,2014) [2014]
  • 『강의』
    신영복 (돌베개 [2007]
  • 「함석헌과 장일순」
    김호기 『신동아』54권 10호 [2011]
  • 「한국생명운동의 뿌리와 전통사상」,『녹색전망』,최병두외
    윤형근 도요새 [2002]
  • 「자유로운 노동을 위한 유령들의 투쟁」,『말과 활』창간호
    심보선 일곱번째 숲 [2013]
  • 「인민이여 안녕,민주주의여 안녕」
    서동진 『말과 활』창간호,(일곱번째숲 [2013]
  • 「용수의 상의성의 연기에 대한 연구」
    윤종갑 『철학논총』22,(새한철학회 [2000]
  • 「왜 협동조합 ‘운동’인가」
    박승옥 『녹색평론』125호 [2012]
  • 「성장시대의 종언」
    김종철 『녹색평론』125호 [2012]
  • 「생협운동에 보다 진지한 성찰을 부탁한다」,『녹색평론』129호,(녹색평론사,,「협동조합의 이념과 사업성」
    신성식 『녹색평론』132호, (녹색평론사,2013.1) [2013]
  • 「생태주의의 제 문제와 불교의 생명사상」
    전재성 『인드라망』3호 [2011]
  • 「생태적 세계관,생명의 철학」
    박준건 『인문학연구』5,(경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99]
  • 「생명위기 시대와 협동운동」
    정규호 『녹색평론』137호, (녹색평론사 [2014]
  • 「생명사상과 한국적 생태담론」
    주요섭 『녹색전망』,최병두 외,(도요새 [2002]
  • 「반유신 재야운동」
    김대영 『유신과 반유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5]
  •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최장집 (후마니타스 [2003]
  • 「민주화 이후 지역의 보수적 지배와 대안운동의 가능성」
    이광일 『거대한 운동에서 차이의 운동들로』,조희연 김동춘 김정훈 엮음,(한울 [2010]
  • 「동학의 정치사상과 개벽」
    임형진 『동학연구』통권17호 [2004]
  • 「노자사상의 생태윤리학적 고찰」
    이윤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노자 생명 사상의 현대적 의미」
    金京秀(Kim kyoung-su) 『도교문화연구』32집,(한국도교문화학회 [2010]
  • 「경제위기시대에 슈마허를 생각한다」
    이계삼 『녹색평론』128호,(녹색평론사 [2013]
  • 「‘민중 민족 전선’을 넘어 ‘생명전선’으로」
    박맹수 『녹색평론』135호,(녹색평론사 [2014]
  • 「‘거대한 운동’으로의 수렴에서 ‘차이의 운동들’로의 분화-한국 민주화 과정에서의 사회운동의 변화에 대한 연구」
    조희연 『거대한 운동에서 차이의 운동들로』,조희연 김동춘 김정훈 엮음,(한울 [2010]
  • c,「한국 생협운동에 대한 몇 가지 단상」,『녹색평론』130호
    (녹색평론사 [2013]
  • c,「소국사상의 흐름과 무위당의 생명사상」,『녹색평론』137호
    (녹색평론사 [2014]
  • b,「한국의 생태담론과 생명운동」
    『계간 사상』15권 4호 [2003]
  • b,「한국 생협,성장 신화 버려라」,『녹색평론』128호
    (녹색평론사 [2013]
  • b,「지속가능성 위기와 민주주의」,『녹색평론』134호
    (녹색평론사 [2014]
  • b,‘우리시대 사상의 풍경’;생태학?김종철과 최재천 편
    (경향신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