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 水陸齋의 儀禮와 설행양상

연제영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연제영
    • 기타서명 韓國水陸齋的儀禮與設行樣相
    • 형태사항 vi, 224 p. :: 26 cm: 삽화
    • 일반주기 지도교수: 崔光植, 연제영의 법명은 '彌燈'임, 참고문헌: p. 189-198
    • 학위논문사항 學位論文(博士)-, 文化財學協同課程 民俗學專攻,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5. 2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高麗大學校 大學院
    • 주제어 수륙의례문
    유사주제 논문( 0)
' 한국 水陸齋의 儀禮와 설행양상'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수륙의례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 1

0.0%

' 한국 水陸齋의 儀禮와 설행양상' 의 참고문헌

  • 李英華, 朝鮮初期佛敎儀禮의 性格, .淸溪史學.10輯
    韓國精神文化硏究院淸溪史學會 [1993]
  • 李朝佛敎의 信仰儀禮
    홍윤식 崇山朴吉眞博士古稀紀念韓國近代宗敎思想史 [1975]
  • 李智冠, 看堂作法에 對한 考察, .佛敎學報.19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2]
  • 李恩奉, .高麗時代佛敎와 土着信仰의 接觸關係-燃燈會 八關會의 宗敎儀禮機能을 中心으로
    한국종교학회 [1990]
  • 李太元, .念佛의 源流와 展開史
    운주사 [1998]
  • 禮佛儀式에 관한 硏究-現行하는 禮佛儀式을 中心으로
    皮敎正 동국대학교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金炯佑, 高麗前期國家的佛敎行事의 展開樣相, .伽山李智冠스님 華甲紀念論叢韓國 佛敎文化思想史.上卷
    論叢刊行委員會 [1992]
  • 金有光, 秘密陀羅尼의 現代的理解-朝夕誦呪를 中心으로 하여 , .한국불교학.5호
    한국불교학회 [1980]
  • 현행수륙재의 몇 가지 문제 , .淨土學硏究.제18집
    이성운 여래장 [2012]
  • 현행 한국예불의 문제점과 방향 , .佛敎硏究.제38집
    김종명 한국불교연구원 [2013]
  • 현행 불교의례의 현장조사 , .불교전통의례와 그 연극.연희화의 방안 연구
    김종일 엠애드 [1999]
  • 현대 한국불교 의례의 과제와 제언 , .철학사상.11
    송현주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0]
  • 향가에 나타난 무교의식과 불교의식 연구
    유상철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3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 한국인의 죽음과 사십구재
    구미래 민속원 [2009]
  • 한국의 근대화와 전통 불교의례의 변모
    고영섭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0]
  • 한국불교 수계의식의 의미구조와 그 교육적 의의 , .宗敎敎育學硏究.6卷
    박선영 韓國宗敎敎育學會 [1998]
  • 한국밀교사상사
    서윤길 운주사 [2006]
  • 한국 일상예불의 역사적 변용 , .불교학연구.제18호
    김종명 불교학연구회 [2007]
  • 한국 불교의례집의 간행과 분류-.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와 .釋門儀範.을 중심으로 , .역사민속학.12호
    박종민 한국역사민속학회 [2001]
  • 한국 근현대신문에 나타난 불교의례 연구 , .韓國思想과 文化.第54輯
    한상길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 한.중 수륙법회연구-대만 가오슝 포광산사 수륙법회를 중심으로 , .韓國音樂硏究.제43집
    윤소희 한국국악학회 [2008]
  • 표준법요집과 의궤구조 , .불교와 사회.5집
    이성운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2009]
  • 조선전기 수륙재 설행의 사회적 의미 , .韓國禪學.제23호
    한상길 한국선학회 [2009]
  • 조선전기 수륙재 설행목적과 법규정비 , .嶺東文化.제10집
    임호민 關東大學校嶺東文化硏究所 [2009]
  • 조선전기 水陸齋의 設行과 의례 , .東國史學.제40집
    심효섭 동국대사학회 [2004]
  • 조선시대 삼장탱화 연구
    탁현규 신구문화사 [2011]
  • 연화의식집
    법성 큰수레 [1997]
  • 수륙재의례와 일반대중 범패 -대만 수륙법회와 산동적산원 불교의식을 통하여 , .韓國禪學.35
    윤소희 한국선학회 [2013]
  • 수륙재의 구성과 연행-진관사 수륙재를 중심으로 , .공연문화연구.제23집
    홍태한 한국공연문화학회 [2011]
  • 수륙재 전승의 지역적 다양성과 의미 , .실천민속학연구.제22호
    홍태한 실천민속학회 [2013]
  • 수륙재 원형에 대한 고찰 -대만 포광산 수륙법회를 통하여
    윤소희 영산재 [2008]
  • 수륙재 〈하단〉에 보이는 죽음 현상의 보편성 , .南道民俗硏究.제24집
    홍태한 남도민속학회 [2012]
  • 서해안 무속수륙재의 성격과 연행양상 , .韓國民俗學.제51권
    이경엽 한국민속학회 [2010]
  • 불교정화의 이념과 방법 , .불교정화운동의 재조명
    고영섭 조계종출판사 [2008]
  • 불교의식각론Ⅱ 侍輦.齋對靈.灌浴
    심상현 한국불교출판부 [2002]
  • 불교의례중 수륙재 지화장엄 연구
    김태숙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불교의례의 지화장엄-장인별 지화(紙花)기법의 특징을 중심으로
    김태연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 박사
  • 불교의례서 .中禮文.의 編纂考, .書誌學硏究.第43輯
    송일기 한지희 書誌學會 [2009]
  • 불교의례 재물(齋物)의 중층적 의미-천도재를 중심으로
    구미래 한국종교학회 [2006]
  • 불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사찰문화재
  • 불교 의식구
    홍윤식 대원사 [1996]
  • 불교 무형문화의 자산과 콘텐츠 가치에 대한 고찰 - 사하촌, 불교 일생의례, 불교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
    구미래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0]
  • 봉암사결사의 재조명 , .봉암사결사와 현대 한국불교
    김광식 조계종출판사 [2008]
  • 봉암사결사의 의례적 차원-특징과 의의 , .봉암사결사와 현대 한국불교
    송현주 조계종출판사 [2008]
  • 법현, .영산재 연구
    운주사 [1997]
  • 법안.우천 공저, .삼밀시식행법해설-口誦 手印 意想으로 하는 施食
    정우서적 [2011]
  • 법성포 단오제의 수륙재 수용 가능성-정읍 전씨 무계의 수륙재를 중심으로 ,.한국무속학.제17집
    이영금 한국무속학회 [2008]
  •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佛敎儀式 [1989]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한국의례문화연구사 및 연구방법 [1997]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한글통일법요집-1 천도
    다비의식집 [2005]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통일법요집
    조계종출판사 [1998]
  • 대한불교조계종 삼각산 진관사
    진관사 국행수륙대재 [2011]
  • 교육원불학연구소, .한국 근현대 불교사 연표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2000]
  • 고려시대 수륙재 연구 , .선문화연구.제10집
    고상현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 고려시대 水陸齋의 전개와 공민왕대 國行水陸齋설행의 의미 , .佛敎硏究.제38집
    강호선 한국불교연구원 [2013]
  • 감로탱에 묘사된 전통연희와 유랑예인집단 , .공연문화연구.제20집
    전경욱 한국공연문화학회 [2010]
  • 高麗의 密敎信仰의 展開와 그 特性, .佛敎學報.19호
    서윤길 불교문화연구원 [1982]
  • 高麗時代國家的佛敎行事에 대한 硏究
    金炯佑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 高麗大藏經.第12卷, 第13卷, 第36卷.
  • 高麗史.卷第二, 卷第十, 卷第九十三.
  • 高麗佛敎의 信仰儀禮
    홍윤식 崇山朴吉眞博士華甲紀念韓國佛敎思想史 [1975]
  • 餓鬼報應經.
  • 預修十王生七齋儀纂要.
  • 韓泰植, 念佛의 實踐方法에 關한 硏究, .한국불교학.11호
    한국불교학회 [1986]
  • 韓普光, 新羅, 高麗代의 万日念佛結社, .佛敎學報.31호
    불교문화연구원 [1994]
  • 韓國工藝論叢.제11집
    韓國工藝學會 [2008]
  • 韓國佛敎全書.第七冊, 第十冊, 第十一冊, 第十二冊.
  • 韓國佛敎儀禮의 密敎信仰的構造-日本佛敎儀禮와의 比較를 中心으로 , .佛敎學報.12집
    홍윤식 불교문화연구원 [1975]
  • 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第1輯, 第2輯. 第3輯, 第4輯.
  • 韓國佛敎儀式에 나타난 淨土信仰, .佛敎學報.13집
    홍윤식 불교문화연구원 [1976]
  • 韓國佛敎儀式文에 보이는 華嚴信仰과 思想-대웅전 예경문을 중심으로
    전해주 종교연구.16 [1998]
  • 韓.劤, .儒敎政治와 불교-麗末鮮初對佛敎政策
    一潮閣 [1993]
  • 雲水壇歌詞.
  • 雲水壇儀文.
  • 鎌田茂雄, .中.の.敎儀.., 東京大學東洋文化硏究所, 昭和61年(1986).
  • 金純美, 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 .東洋漢文學硏究.17집
    東洋漢文學會 [2003]
  • 金熙俊, 朝鮮前期水陸齋의 設行, .湖西史學.제30집
    湖西史學會 [2001]
  • 金應起, 수륙재 의식 구성과 불교무용-釋門儀範, 儀禮要集上壇 中壇 下壇儀式構成中心으로 , .禪武學術論集.제13집
    國際禪武學會 [2003]
  • 金光明經.
  • 釋門正統
  • 鄭泰爀, 楞嚴呪解義, .佛敎學報.20호
    불교문화연구원 [1983]
  • 鄭泰爀, 千手觀音陀羅尼의 硏究, .佛敎學報.11호
    불교문화연구원 [1974]
  • 近代韓國佛敎의 信仰儀禮와 民衆佛敎
    홍윤식 崇山朴吉眞博士古稀紀念韓國近代宗敎思想史 [1984]
  • 護命法門神呪經.
  • 許詳浩, 불교의례의 佛具와 그 用法-甘露幀齋會절차에 따른 佛具의 재발견 , .文化史學.제31호
    韓國文化史學會 [2009]
  • 虛靜集
  • 蘇悉地經.
  • 藤井正雄, ..敎儀..典., 東京: 東京堂出版, 昭和59年(1984).
  • 蓮潭集文.
  • 耘虛龍夏, .佛敎辭典
    동국역경원 [1998]
  • 竹菴編纂.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의 書誌的硏究
    한지희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禹秦雄, .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의 版本에 대한 연구 , .書誌學硏究.第50輯
    書誌學會 [2011]
  • 甘露王圖圖像의 形成문제와 16, 17세기 甘露王圖硏究-水陸齋儀軌集과 관련하여
    윤은희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甘露幀畵의 造成背景과 薦度對像의 變化
    연제영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瑜伽集要救阿難陀羅尼焰口儀軌經.
  • 現代韓國佛敎儀禮의 性格에 관한 硏究
    宋賢珠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 牟梨曼.羅呪經.
  • 燕山君日記.卷四十八.
  • 無量壽如來觀行供養儀軌.
  • 潭大宗師文集刊行委員會, ..潭大宗師文集
    불기2543 [1999]
  • 淨土禮佛文에 관한 연구 , .淨土學硏究.6
    한보광 한국정토학회 [2003]
  • 淨土諸士의 禮懺에 대한 小考, .淨土學硏究.6
    이태원 한국정토학회 [2003]
  • 浮休堂集.
  • 洪潤植, 佛敎儀式에 나타난 諸神의 性格-神衆作法을 中心으로 , .韓國民俗學.창간호
    韓國民俗學會 [1969]
  • 法苑珠林
  • 法界聖凡水陸大齋普利道場性相通論.
  •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
  • 池斗煥, .朝鮮前期儀禮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 水陸齋硏究-作法과 梵唄를 중심으로
    吳成美 淸州大學校大學院석사학위논문 [1992]
  • 水陸齋儀疏榜文牒節要.
  • 水陸無遮平等齋儀纂要.
  • 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 水陸儀軌會本., 香港寶蓮禪寺.
  • 水陸儀軌會本., 臺灣佛光山寺, 中華民國八十四年(2005).
  • 正覺, .千手經硏究
    운주사 [1996]
  • 梵網經
  • 桂苑筆耕集.
  • 東海三和寺國行水陸齋의 背景과 展開, .朝鮮史硏究.제17호
    차장섭 형설출판사 [2008]
  • 東文選
  • 朴志娟, 바라춤 연구-인천수륙재의 바라춤을 중심으로 , .우리춤 연구.제18집
    우리춤연구소 [2012]
  • 朝鮮朝佛敎儀禮의 詩歌硏究-.梵音刪補集.을 중심으로
    김순미 慶星大學校大學院 박사학위논문 [2005]
  • 朝鮮時代의 万日念佛結社, .佛敎學報.32호
    한보광 불교문화연구원 [1995]
  • 朝鮮時代甘露幀畵下段場面과 社會相의 相關性, .한국문화.49
    연제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 朝鮮時代 佛敎儀式의 三壇儀禮와 佛畵 硏究
    정명희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朝鮮後期水陸齋硏究
    梁智淪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朝鮮後期三藏菩薩圖와 水陸齋儀式集, .美術資料.第72.73號
    이용윤 國立中央博物館 [2005]
  • 朝鮮前期國行祈.佛事硏究
    金容祚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 朝鮮前期.魂을 위한 祭祀의 변화와 의미 , .종교문화연구.제3호
    이욱 종교와문화연구소 [2001]
  • 朝鮮佛敎通史., 新文館
    이능화 大正七年(서울: 민속원영인, 2002) [1918]
  • 朝鮮 前期 津寬寺 水陸齋 연구
    엄윤희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月渚集.
  • 月渚堂集.
  • 智度論
  • 智冠, .伽山佛敎大辭林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13]
  • 施食通覽.
  • 施食正名.
  • 新羅의 佛敎儀禮와 發達
    이만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0]
  • 文宗實錄.卷四, 卷九.
  • 文化硏究所編集部, .大施餓鬼集類分解., .文化硏究所, 平成7年(1995).
  • 摩詞衍論.
  • 振虛集.
  • 懶菴集.
  • 懶庵雜著.
  • 徐閏吉, .韓國密敎思想史
    불광출판부 [1995]
  • 徐潤吉, 高麗의 護國法會와 道場, .佛敎學報.14호
    불교문화연구원 [1977]
  • 彌燈(연제영), .국행수륙대재-삼화사 수륙재를 중심으로
    조계종출판사 [2010]
  • 張慶姬, 韓國佛敎儀式法具의 美術史的意味-王室工藝品과의 比較를 통하여 , .佛敎美術.제13집
    東國大學校博物館 [1996]
  • 弘法院, .佛敎學大辭典
    도서출판홍법원 [2001]
  • 山西省博物館, ..寧寺明代水陸畵., 文物出版社, 1988.
  • 尹龍爀, 고려 대몽항쟁기의 불교의례 , .歷史敎育論集.제13 14합집
    경북대학교 역사교육과 [1990]
  • 尹武炳, 國行水陸齋에 對하여 , .白性郁博士頌壽記念佛敎學論文集., 東國大學校
    檀紀4292 [1959]
  • 安震湖, .釋門儀範., 卍商會, 1931.
  • 姜春愛, 佛敎의례와 演戱, .불교전통의례와 그 연극.연희화의 방안 연구
    엠애드 [1999]
  • 姜好鮮, 宋 元代水陸齋의 성립과 변천 , .歷史學報.제206집
    歷史學會 [2010]
  • 太祖實錄.卷七, 卷九.
  • 天鏡集
  • 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補集.
  • 天地冥陽水陸儀文.
  • 大虛空藏菩薩念誦法.
  • 大正新脩大藏經.第17卷, 第20卷, 第21卷, 第53卷.
  • 大方廣佛華嚴經
  • 增補文獻備考
  • 南珉., 죽은 자를 위한 무속의례와 불교의례의 구조적 분석 , .韓國佛敎學.제29집
    한국불교학회 [2001]
  • 南希叔, 16~18세기 佛敎儀式集의 간행과 佛敎大衆化, .韓國文化.제34집
    서울大學校韓國文化硏究所 [2004]
  • 卍續藏經.第2冊, 第101冊, 第129冊, 第130冊, 第131冊.
  • 千手陀羅尼에 대한 印度神話的一考察, .미래불교의 향방-미천 목정배박사 화갑기념 논총
    정각 장경각 [1997]
  • 儀禮面으로 본 불교의 現代化, .한국종교.2
    홍윤식 한국종교학회 [1975]
  • 作法龜鑑.
  • 佛說救面然餓鬼陀羅尼神呪經.
  • 佛說救面然焰口經天地冥陽水陸齋儀文.
  • 佛說救拔焰口餓鬼陀羅尼經.
  • 佛祖統紀
  • 佛敎思想硏究會編, 佛敎의 認識. 論理. 儀禮, .黃晟起博士佛敎文集2
    保林社 [1989]
  • 佛敎儀禮의 法衣.法具와 그 用法, .불교전통의례와 그 연극.연희화의 방안 연구
    김형우 엠애드 [1999]
  • 佛敎儀禮의 本質에 관한 硏究-유형적 고찰을 중심으로
    全星南 동국대학교佛敎大學院 석사학위논문 [1997]
  • 佛敎儀禮에 受容된 假花의 文獻的硏究
    河守暎 동국대학교佛敎文化大學院석사학위논문 [2005]
  • 佛敎儀式에서 佛讚類詩歌의 기능 , .東洋漢文學硏究.19집
    김순미 東洋漢文學會 [2004]
  • 佛像과 佛敎儀式에 나타나는 手印의 比較硏究
    李庸愛 동국대학교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伽山藁.
  • 仔..補文.
  • 仁川水陸齋의 바라춤 연구
    박지연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五種梵音集.
  • 五洲衍文長箋散稿
  • 事物紀原.
  • 中國元 明代水陸法會圖에 관한 考察, .美術史學硏究.제29호
    홍기용 韓國美術史學會 [1998]
  • 中國佛敎百科全書.五儀軌卷, 上海古籍出版社, 2001.
  • 中國佛敎協會編, .中國佛敎.第二輯, 知, 1989.
  • 世祖實錄.卷四.
  • 世宗實錄.卷九, 卷五十五, 卷九十七.
  • 三國遺事와 佛敎儀禮, .佛敎學報.16집
    홍윤식 불교문화연구원 [1979]
  • 三國時代의 佛敎信仰儀禮
    홍윤식 崇山朴吉眞博士古稀紀念韓國近代宗敎思想史 [1975]
  • 三國史記.卷第四.
  • ‘일생’에 대한 불교적 관념과 불교 일생의례의 특성
    구미래 비교민속학회 [2009]
  • ?朝鮮後期 佛書刊行 硏究 : 眞言集과 佛敎儀式集을 中心으로?
    남희숙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한국의 종교의례) 불교의례의 역사와 구조
    진철승 한국종교문화연구소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