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율곡 사상의 승반론적 이해

최보경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율곡 사상의 승반론적 이해'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liqi(理氣)
  • mind-nature[心性]
  • political thought[經世論]
  • self-cultivation
  • supervenience
  • yulgok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15 0

0.0%

' 율곡 사상의 승반론적 이해' 의 참고문헌

  • 횡설과 수설
    이승환 휴머니스트 [2012]
  • 한국학 중앙연구원,『栗谷學硏究叢書』
    율곡학회 [2007]
  • 한국유학사
    윤사순 上 -한국 유학의 특수성 탐구-, 지식산업사 [2012]
  • 풍우란 著 박성규 譯,『중국철학사』하
    까치 [1999]
  • 퇴계학 총서간행 위원회,『退溪學譯註叢書』
    퇴계학 연구원 [1991]
  • 퇴계와 율곡의 정치에 대한 인식
    이상익 『퇴계학보』110집 [2001]
  • 주자 수양론에서 ‘미발 공부’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도덕심리학적 의미
    이승환 『동양철학』32집 [2009]
  • 정다산(丁茶山)의 주자(朱子) 『논어 집주 (論語集注)』비판(批判)(7)
    김언종 『한자한문교육』 33집 [2014]
  • 율곡 이이의 인성론 연구:『中庸』중화론에 입각한『孟子』성선설의 재정립
    유연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 외암(巍巖)의 미발설과 심성일치(心性一致)의 수양론
    이천승 『철학연구』 40집 [2010]
  • 역주 사단칠정논쟁 1
    황준연 學古房 [2009]
  • 성학집요
    김태완 청어람 미디어 [2007]
  • 민족문화 연구원 한국사상연구소 편, 『역주와 해설 성학십도』
    고려대 예문 서원 [2009]
  • 다카하시 도오루 著 조남호 譯, 『조선의 유학』
    소나무 [1999]
  • 譯, 『범주로 보는 주자학』
    아키라 오하마 이형성 예문서원 [1997]
  • 聖學輯要를 통해 본 聖人의 학문과 정치
    리기용 『韓國思想과 文化』제 28 집 [2005]
  • 氣質變化, 욕망의 정화를 위한 성리학적 기획 - 율곡 이이의 심성수양론을 중심으로
    김형찬 철학연구? 제38집 [2009]
  • 栗谷의 人心道心論에 나타난 知覺과 意志의 문제
    리기용 『韓國思想과 文 化』27집 [2005]
  • 栗谷 李珥의 人心道心論 硏究
    리기용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5]
  • 栗谷 心工夫의 矯氣質論 硏究
    유성선 『한중인문학 연구』24집 [2008]
  • 性理學의 재구성인가, 해체인가?- 이승환의 『횡설과 수설』에 대한비판적 논의
    이상익 『퇴계학보』133집 [2013]
  • 『지각설에 입각한 이이 철학의 해석』
    정원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0]
  • 『장재(張載)와 이정(二程)의 철학 - 이정의 장재 비판을 중심으로』
    이현선 서울대학교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 『율곡 사상의 체계적 이해 -성리학 편- 』
    황의동 서광사 [1998]
  • 『退溪全書』 (『韓國文集叢刊』
    29-31, 민족문화추진회)
  • 『牛溪集』 (『韓國文集叢刊』
    43, 민족문화추진회)
  • 『栗谷의 哲學思想에 關한 硏究』
    황의동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87]
  • 『栗谷全書』 (『韓國文集叢刊』
    44-45, 민족문화추진회)
  • 『栗谷全書』
    1-2,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71]
  • 『栗谷 李珥의 聖學硏究』
    장숙필 高大民族文化硏究所 出版部 [1992]
  • 『栗谷 李珥의 聖學 硏究』
    장숙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1]
  • 『栗谷 李珥의 修養工夫論』
    유성선 국학자료원 [2002]
  • 『朱文公文集』 (上同)
  • 『朱子語類』 (『朱子全書』, 上海古籍出版社 安徵敎育出版社, 2002)
  • 『朱子 修養論의 구조와 실천적 성격』
    홍성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 『朱子 仁論 체계와 工夫論의 전개』
    전병욱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
  • 『書經集傳』(『書經說 書經集傳』, 吉林出版集團, 2005)
  • 『巍巖遺稿』 (『韓國文集叢刊』
    317-318, 민족문화추진회)
  • 『寒洲集』 (『韓國文集叢刊』
    190, 민족문화추진회)
  • 『太極圖說解』 (上同)
  • 『大學或問』 (上同)
  • 『四書通』(吉林出版集團, 2005)
  • 『四書章圖?括叢要』(德信書堂)
  • 『周易本義』 (上同)
  • 『南塘集』 (『韓國文集叢刊』
    201-202, 민족문화추진회)
  • 『二程遺書』(上海古籍出版社, 2000)
  • 『中庸章句』 (上同)
  • 『中庸或問』 (上同)
  • 『中國哲學史』宋明篇
    노사광 정인재 탐구당 [1987]
  • 「현대세계와 퇴계학 ; 퇴계선생의 예안향약(禮安鄕約)과 향좌(鄕坐)의 문제」
    이우성 『퇴계학보』68권 [1990]
  • 「퇴계(退溪)와 율곡사상(栗谷思想)의 대비적 고찰 -오늘에도 살아있 는 그 가치-」
    윤사순 『율곡사상연구』12권 [2006]
  • 「중국 근대의 국가주의와 세계주의- 梁啓超와 康有爲를 중심으로」
    오상무 『哲學』80집 [2004]
  • 「율곡학과 퇴계학의 리기론」
    이동희 『율곡사상연구』12집 [2006]
  • 「율곡학과 퇴계학」
    홍원식 『율곡학과 한국유학』 [2007]
  • 「율곡의 ‘理氣之妙’가 성선론의 새로운 전개에서 갖는 의의」
    김기현 『陽明 學』제11집 [2004]
  •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심성정의(心性情意)론 연구」
    유연석 『韓國學報』 31집 [2005]
  • 「율곡 학맥의 수양론에 관한 연구: 율곡, 외암, 남당을 중심으로? ?
    이천승 유 교사상연구? 제35집 [2009]
  • 「율곡 이이의 貢納制 改革案 연구」
    박도식 『율곡사상연구』16집 [2008]
  • 「남당(南塘) 미발론과 공부론의 현실적 함의」
    이승환 『철학연구』제40집 [2010]
  • 「退溪의 鄕約과 社會觀」
    김유혁 『퇴계학보』1집 [1990]
  • 「牛溪 후학의 栗谷 性理學 이해와 비판- 朴世采 趙聖期 林泳을 중 심으로-」
    유연석 『율곡사상연구』제 23집 [2011]
  • 「栗谷學과 實學의 차별성에 관한 연구 : 홍대용 등 북학파 실학을 중심 으로」
    홍원식 『한국학논집』43집 [2011]
  • 「栗谷學派의 退溪學 비판」
    이상익 『퇴계학보』130집 [2011]
  • 「栗谷 李珥의 鄕約觀 -당시 사회적 배경과 논의 과정을 중심으로-」
    오환일 『율곡사상연구』제4집 [2001]
  • 「栗谷 李珥의 理通氣局說과 人物性論」
    장숙필 『율곡학보』14 [2000]
  • 「栗谷 李珥의 性善說 연구」
    유연석 『율곡사상연구』10집 [2005]
  • 「栗谷 李珥의 心性論에 대한 연구」
    최일범 『퇴계학보』 128집 [2010]
  • 「栗谷 李珥의 勸學論: 凡人에서 聖人으로」
    유연석 『율곡사상연구』제 21집 [2011]
  • 「朱子 수양론에서 未發의 의미 - 심리철학적 과정과 도덕 심리학적 의미-」
    이승환 『퇴계학보』119집 [2009]
  • 「『莊子』의 좋은 삶에 대한 구성적 이해」
    오상무 『철학』111집 [2012]
  • Bol 著 김영민 譯, 『역사 속의 성리학』, 예문서원
    Peter K. 논문 [2010]
  • ?栗谷 李珥의 心性論에 관한 硏究?
    김경호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1]
  • 19세기 심론(心論)의 주재(主宰) 문제로 본 율곡학의 양상 -임헌회, 송병선, 이항로, 기정진 등을 중심으로
    김근호 『율곡사상연구』28집 [2014]
  • 17세기 율곡학파의 인심도심 논변 – 이세필, 송시열, 윤증의 ‘氣用事’ 논변을 중심으로 –
    이선열 『동양철학연구』57집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