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단체교섭권에 관한 연구

이준희 2015년
논문상세정보
' 단체교섭권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섭창구 단일화
  • 노동3권
  • 단체교섭
  • 단체교섭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2 0

0.0%

' 단체교섭권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박사
    협약자치의 한계에 관한 연구
    김상호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헌법학원론
    이부하 법문사 [2008]
  • 헌법학원론
    정종섭 박영사 [2013]
  • 헌법학개론
    김철수 박영사 [2007]
  • 헌법학
    초굉창 현암사 [1999]
  • 헌법학
    홍성방 법문사 [2007]
  • 해고와 고용안정협약’, 노동법학 (제39호)
    경영상 박수근 한국노동법학회 [2011]
  • 한국헌법론
    허영 박영사 [2008]
  • 한국민법론
    이영준 박영사 [2003]
  • 한국노총, ‘[논평]교섭창구단일화제도, 반드시 개정할 것(교섭창구단일화제도 헌법소원 기각 판결에 대한 입장)’
    [학위 논문] [2012]
  •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전임자 및 노조의 활동과 역할에 관한 실태조사보고서’ [2009]
  • 한국노동법
    박상필 대왕사 [1991]
  • 한국과 미국의 단체교섭법제 비교
    김미영 노동법학 (제40호), 한국노동법학회 [2011]
  • 한국경영자총협회
    복수노조와 단체교섭-현장 노동법 실무 시리즈 Ⅱ [2010]
  • 한국경영자총협회
    판례로 본 노무관리 [1994]
  • 한국경영자총협회
    필수유지업무협정 쟁점분석 [2008]
  • 한국 판례 검색 : glaw
    scourt.go.kr/wsjo/intesrch/sjo022.do
  • 한국 법령 검색 : www
    law.go.kr/main.html
  • 판례노동법
    이상국 법문사, , 702쪽 [2008]
  • 파견과 도급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이정 법문사 [2014]
  • 통일독일헌법원론
    계희열 박영사 [2001]
  • 최신 노동법
    이병태 중앙경제사 [2008]
  • 직장 내 집단 괴롭힘에 대한 연구
    이준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 중앙노동위원회
    복수노조 업무 매뉴얼 [2011]
  • 중앙노동위원회
    조정 및 필수유지 업무 매뉴얼 [2013]
  • 조합내 의사결정과 단체교섭
    이종복 사법관계와 자율(이종복 교수 논문집) [1993]
  • 정파문제의 역사적 경험과 민주노조 운동의 발전 전략
    강신준 산업노동연구(제15권) [2009]
  • 일본 법령 검색 : www
    houko.com/
  • 예외상태(Stato di eccezione) , 김 항 옮김
    Giorgio Agamben 새물결 [2009]
  • 영국 법령 검색 : www
    legislation.gov.uk/ukpga/
  • 사회법서설과 노동법
    박덕배 민중서관 [1956]
  • 사내하도급과 노동법
  • 부당노동행위제도와 원하청관계
    김영문 이상윤 이정 법문사 [2012]
  • 부당노동행위제도 연구
    문무기 한국노동연구원 [2005]
  • 복수노조와 협약자율
    김영문 노동법학(제38호) , 한국노동법학회 [2011]
  • 복수노조?교섭창구 단일화 개정 내용의 평가
    김상호 노동법 포럼 (제5호),노동법 이론실무학회 [2010]
  • 복수노조 하에서의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
    김용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 복수노조 시행 전후 노사관계 비교 연구
    김종진 민주노총 정책연구원 [2012]
  • 법률의 문언을 넘는 해석과 법률의 문언에 반하는 해석
    박 철 법철학연구(제6권 1호), 한국법철학회 [2003]
  • 민법학 강의
    김형배 신조사 [2006]
  • 미국 판례 검색 : www
    uscourts.gov/FederalCourts.aspx
  • 미국 집단적 노사관계법상 단체협약 법리에 관한 연구
    김미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
  • 미국 법령 검색 : www
    law.cornell.edu/
  • 독일 법령 검색 : www
    gesetze-im-internet.de/
  • 단체협약 효력의 정당성 기초와 내용
    강선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 단체교섭의 근로자 측 주체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이철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5]
  • 단체교섭에서의 성실교섭의무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장우찬 [논문] [2012]
  • 노사정위원회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민정 합의문 [2009]
  • 노사관계제도선진화연구위원회, 노사관계 법?
    제도 선진화 방안 [2003]
  • 노동헌법론
    강희원 법영사 [2011]
  • 노동판례리뷰 2012~2013
    박제성 한국노동연구원 [2014]
  • 노동조합활동실태조사단, ‘노동조합 활동 실태 조사?
    연구결과’ [2010]
  • 노동조합의 조직유형과 단체교섭당사자적격
    박종희 한국노동연구원 [1998]
  • 노동조합의 대표성과 제2노조의 문제
    김형배 노동법학 (제2호), 한국노동법학회 [1989]
  • 노동조합의 공정대표의무 시론 노동법의 쟁점과 과제(김유성 교수 화갑기념)
    김인재 [2000]
  • 노동위원회 판정례 검색 : www
    nlrc.go.kr/search/search_case.jsp
  • 노동분쟁해결제도 개선방향의 모색
    박은정 노동법학 (제22호), 한국노동법학회 [2006]
  • 노동부
    ILO 주요협약집 [2002]
  • 노동법상의 집단적 자치원리
    고호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5]
  • 노동법사례연습
    하경효 박영사 [2006]
  • 노동법강의
    김치선 박영사 [1990]
  • 노동법Ⅱ
    김유성 법문사 [1998]
  • 노동법 제정과 전진한의 역할
    이흥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 노동법 기초이론
    강희원 동림사, , 234 [2004]
  • 노동법
    김형배 박영사 [2014]
  • 노동법
    임종률 박영사 [2014]
  • 노동법
    김형배 박영사 [1996]
  • 노동단체법
    박홍규 삼영사 [2002]
  • 노동기본권의 이론과 실제
    이영희 까치글방 [1990]
  • 기초법학
    이상돈 법문사 [2010]
  • 기업집단과 노동법
    박은정 박제성 박지순 한국노동연구원 [2007]
  • 근로자의 개념
    강성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 근로자개념과 계약의 자유
    강희원 김영문 (주)중앙경제 [2001]
  • 교섭창구단일화제도와 산별교섭
    권혁 노동법학 (제43호), 한국노동법학회 [2012]
  • 교섭단위와 교섭당사자
    김동욱 노동판례리뷰 2012~2013 , 한국노동연구원 [2014]
  • 교섭단위분리제도에 관한 연구
    이승욱 중앙노동위원회 [2010]
  • 교섭단위 분리에 관한 법적 쟁점 고찰
    김상호 노동법학 (제43호), 한국노동법학회 [2012]
  • 관리적 근로자의 부당노동행위 주체성
    강성태 노동법연구 (제2호), 서울대 노동법연구회 [1992]
  • 공정대표의무의 의의와 내용
    박지순 월간노동리뷰 [2011]
  • 박사
    공무원의 근무조건 결정구조에 관한 연구
    오세웅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 공무원노동조합의 단체교섭 및 단체협약에 관한 연구
    김재훈 노동법연구 (제23호), 서울대 노동법연구회 [2007]
  • 고용노동부
    집단적 노사관계 업무매뉴얼 [2013]
  • 고용노동부
    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 보고서 , 2013 [2012]
  • 고용노동부
    사업(사업장) 단위 복수노조 업무매뉴얼 , , 9 [2010]
  • 고용노동부
    일본 노동법령집 [2004]
  • 고용노동부
    필수유지업무제도 운영안내 [2007]
  •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노사관계선진화위원회 활동보고 [2009]
  • 경제단체협의회, 단체협약 체결지침 , 한국경영자총협회
    노동관계법 연구 , 1997 [2014]
  • 西谷敏, 勞?組合法, 有斐閣, 2012
  • 菅野和夫, 勞?法, 弘文堂, 2012
  • 荒木尙志, 勞?法, 有斐閣, 2013
  • 秋田成就, 勞使關係法Ⅰ , 信山社, 2012
  • 秋田成就, ‘上部??の??交??’, 現代勞?法講座4 , 日本勞?法學會, 1981
  • 石川吉右衛門, 勞?組合法, 有斐閣, 1978
  • 渡?章, 勞?法講義(下) , 信山社, 2011
  • 水町勇一郞, ‘??交?は組合員の勞?契約のためにあるのか?’, 勞?法と現代法の理論(西谷敏先生古稀記念論集下) , 2013
  • 根本到, ‘日本における公正代表義務論’, 勞?
    法律旬報(제1727호) [2010]
  • 林弘子, 勞?法, 法律文化社, 2014
  • 村田毅之, 日本の勞使關係法, 晃洋書房, 2012
  • 日本勞?法學會, 現代勞?法講座7 , 總合勞?硏究所, 1982
  • 日本勞?法學會, 現代勞?法講座4 , 總合勞?硏究所, 1981
  • 手塚和彰, ‘?交と協議?參加’, 現代勞?法講座4 , 日本勞?法學會, 1981
  • 山口浩一郞, 勞?組合法, 有斐閣, 1996
  • 山口浩一朗, ‘??者派遣の見直しと今後の派遣??’, ??
    法令通信(제2202호) [2010]
  • 中山和久, ‘??交??とその法的構造’, 現代勞?法講座4 , 日本勞?法學會, 1981
  • 下井隆史, 勞使關係法, 有斐閣, 1995
  • 三宅正男, ‘不???行?’, ?現代勞?法講座7?, 日本勞?法學會, 1982
  • 三浦惠司, ‘?交拒否’, 現代勞?法講座7 , 日本勞?法學會, 1982
  • 『노동법』
    임종률 법문사 [2012]
  • ‘협약자치의 견지에서 본 단체교섭응낙가처분결정인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 안암법학 (제31호)
    박종희 안암법학회 [2010]
  • ‘헌법상 단체교섭권의 보장과 교섭창구 단일화제도’, 노동판례리뷰 ~2013
    조용만 한국노동연구원, 2014 [2012]
  • ‘항만근로자의 근로조건결정’, 노동법학 (제15호)
    이승욱 한국노동법학회 [2002]
  • ‘한국의 노동쟁의조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사저널 (통권55호)
    하경효 산업노동연구원 [1996]
  • ‘필수유지업무의 범위와 관련 법조항의 법리 해석’, 노동법의 쟁점(Ⅰ)
    문무기 한국노동연구원, 2007 [2007]
  • ‘프랑스의 단체협약 적용의 연구’
    김상호 성균관법학 (제20권 제3호) [2008]
  • ‘파업시 유지되는 필수유지업무의 범위와 관련된 조항의 법리적 해석 토론문’, 노동쟁의의 해결과 공익보호
    김홍영 한국노동법학회 년도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2007 [2007]
  • ‘파업권의 주체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전윤구 민사법의 현대적 과제와 전망(서광민 박사 정년기념) [2007]
  • ‘중재재정의 대상’, 노동법학 (제13호)
    최홍엽 한국노동법학회 [2001]
  • ‘중재의 대상이 되는 노동쟁의의 범위’
    최홍엽 노동판례 비평 [1997]
  • ‘조합원총회의 결과에 따라 단체협약을 체결하도록 한 협약규정에 대한행정관청의 변경명령’, 노동법학 (제3호)
    이광택 한국노동법학회 [1991]
  • ‘자율교섭’과 ‘교섭단위분리’에 관한 법적 쟁점
    이정 노동법학 (제41호), 한국노동법학회 [2012]
  • ‘일본 노동운동 변천과정과 노사관계 동향’, 노사공포럼(계간)
    이원우 통권 제11호 [2008]
  • ‘사용자의 정당한 단체교섭 거부와 이를 이유로 하는 쟁의행위의 위법성’
    박종희 월간 경영계 (제240권) [1998]
  • ‘사업(장) 단위에서의 복수노조와 단체교섭 문제’, 노동법학 (제8호)
    윤성천 한국노동법학회 [1998]
  • ‘복수노조와 단체협약의 근로조건 통일기능’, 고려법학 (제70호)
    하경효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 ‘복수노조와 교섭창구단일화’
    이승욱 법과 노동의 소통Ⅲ(서울대노동법연구회가을학술발표회 자료집) [2009]
  • ‘복수노조?노조 전임제의 법리와 입법론적 과제’, 복수노조?
    이철수 전임자 문제 어떻게 풀 것인가(노사정대토론회자료집) [2009]
  • ‘복수노조 하에서의 단체교섭창구단일화’, 고려법학 (제36호)
    박종희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01]
  • ‘복수노조 사업장의 징계 관여 노동조합 결정’
    김동욱 월간 노동법률 [2013]
  • ‘민주노총 민주주의의 위기’
    허영구 월간 좌파 (통권2) [2013]
  • ‘독일 집단적 노사관계법상 판례 법리의 주요 특징’, 고려법학 (제58호)
    박종희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 ‘단체협약의 해석과 적용에서의 공정대표의무’, 노동법학 (제51호)
    노상헌 한국노동법학회 [2014]
  • ‘단체협약의 기본법리 시론’
    고호성 노동법의 쟁점과 과제(김유성 교수 화갑기념) [2000]
  • ‘단체협약의 경합?병존과 단일 단체협약의 원칙’, 노동법학 (제29호)
    유성재 한국노동법학회 [2009]
  • ‘단체협약 추인조항의 합법성’
    이종복 사법관계와 자율(이종복 교수 논문집) [1993]
  • ‘단체협약 체결에 관한 인준투표’
    임종률 성균관법학 (7호) [1996]
  • ‘단체교섭의 대상’
    임종률 노동법에 있어서 권리와 책임(김형배 교수 화갑기념논문집) [1994]
  • ‘단체교섭권의 법적성질과 문제’
    이영희 노동법과 현대법의 제문제(심태식 박사 화갑기념) [1983]
  • ‘단체교섭거부와 불법행위책임’
    이철수 월간 노동법률 [2007]
  • ‘단체교섭거부에 대한 구제방법과 내용’
    하경효 민사법의 현대적 과제와 전망(서광민 박사 정년기념) [2007]
  • ‘단체교섭, 교섭권과 협약 체결권한에 관한 고찰’, 노동관계법 연구
    손창희 한국경영자총협회, , 120 [1997]
  • ‘단체교섭 대상, 어디까지 가능한가’
    하경효 월간 경영계 (제222권) [1996]
  • ‘단체교섭 당사자 확정의 법리: 자율성과 효율성, 특히 단위노동조합 하부조직인 지부 분회와 연합단체의 단체교섭 당사자 적격성을 중심으로’노동법학 (제17호)
    박종희 한국노동법학회 [2010]
  • ‘노동조합의 개념과 협약능력’
    박종희 노동법에 있어서 권리와 책임(김형배 교수 화갑기념) [1994]
  • ‘노동조합법상 사용자 개념의 이원성’
    류문호 노동정책연구 제14권 제2호 [2014]
  • ‘노동조합법 제33조 1항의 단체교섭권의 의미’
    이종복 판례월보 [1991]
  • ‘노동조합 대표자의 협약체결권 제한 가능성’, 노동법연구 (제30호)
    유성재 서울대 노동법연구회 [2011]
  • ‘노동조합 대표자의 단체교섭권과 단체협약체결권’, 노동법강의
    정진경 법문사 [2002]
  • ‘노동위원회의 노동쟁의조정 대상의 확대’, 노동법연구(제19호)
    김홍영 서울대노동법연구회 [2005]
  • ‘노동법의 과제로서의 근로자 인격권 보호 (1)’, 노동법연구 (제33호)
    전윤구 서울대 노동법연구회 [2012]
  • ‘노동법에서의 학설, 그 현상과 문제점’, 안암법학 (제31호)
    박지순 안암법학회 [2010]
  • ‘노동법 규제개혁의 관점과 방법 : 노동법적용의 탄력화와 근로계약법제정을 중심으로’ 경영법률
    박지순 한국경영법률학회 [2009]
  • ‘노동관계와 파업결정단위’ 노동법연구 (제29호)
    정인섭 서울대 노동법연구회 [2010]
  • ‘노동가처분에 관한 최근 동향’, 노동법학 (제51호)
    권창영 한국노동법학회 [2014]
  • ‘노동3권 보장의의와 내용’, 고려법학 제48호
    박종희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07]
  • ‘교섭창구단일화제도의 쟁점과 문제점’, 노동법학 (제43호)
    조상균 한국노동법학회 [2012]
  • ‘교섭창구단일화와 관련한 법률적 쟁점’, 노동법연구 (제18호)
    이철수 서울대노동법연구회 [2005]
  • ‘교섭창구 단일화 방안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해석방안’, 안암법학 (제34호)
    박종희 안암법학회 [2011]
  • ‘교섭의제 결정에 관한 설명의무와 공정대표의무’, 노동판례리뷰 ~2013
    노상헌 한국노동연구원, 2014 [2012]
  • ‘교섭대표 노동조합의 공정대표의무’, 노동법연구 (제34호)
    송강직 서울대 노동법연구회 [2013]
  • ‘교섭단위 분리제도의 내용과 쟁점 : 복수노조 시대 무엇이 쟁점인가’
    이승욱 월간노동리뷰 [2011]
  • ‘공무원 단체교섭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동법연구 (제25호)
    이승욱 서울대 노동법연구회 [2008]
  • ‘고용안정협약의 법적성격과 경영사항’, 노동법학 (제51호)
    최홍엽 한국노동법학회 [2014]
  • The Committee on Freedom of Association of ILO, Freedom of Association ,ILO, 1996
  • Susan Hayter(Edited by), The Role of Collective Bargaining in the GlobalEconomy , ILO, 2011
  • Supiot, 프랑스 노동법 , 박제성 옮김
    오래 [2011]
  • Sinzheimer, Grundzuge des Arbeitsrechts , 1927
  • Sinzheimer, Der korporative Arbeitsnormenvertrag , 1907
  • Simon Honeyball, Textbook on Labour Law , Oxford, 2006
  • Scholz, Koalitionsfreiheit als Verfassungsproblem , 1971
  • Rousseau, 인간불평등기원론/사회계약론 , 최석기 옮김
    동서문화사 [2007]
  • Rivero/ Savatier, Droit du travail ,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93
  • Rieble, 'Der Tarifvertrag als kollektive-privatautonomer Vertrag', ZfA(Vol.31), 1/2000
  • Richard Freeman, ‘New Roles of collective bargaining in the global economy’,The Role of Collective Bargaining in the Global Economy , ILO,20113.
  • Oberer/ Hanslowe/ Heinsz, Labor Law?Collective Bargaining in a FreeSociety , West Publishing Co, 1994
  • Lowisch / Rieble, Tarifvertragsgesetz , Vahlens Kommentare, 2004
  • Junker, 'Grundfragen der Tarifeinheit in den Mitgliedstaaten der EU', ZfA(Vol.42), 6/2011
  • Harper/ Estreicher/ Flynn, Labor Law-Cases, Materials, and Problems ,Wolters Kluwer, 2007
  • Hansjorg Otto, Arbeitsrecht , De Gruyter Recht, 2008
  • Douglas L. Leslie, Labor Law , Thomson/West, 2008
  • Daubler(Hrsg.), Kommentar zum Tarifvertragsgesetz , Nomos Verlagsgesellschaft, 2003
  • Calvin, 기독교 강요1 , 고영민 옮김
    기독교문화사 [2010]
  • Brox / Ruther / Henssler, Arbeitsrecht , Kohlhammer, 2004
  • Botticher, Gestaltungsrecht und Unterwerfung im Privatrecht , 1964
  • Biedenkopf, Grenzen der Tarifautonomie , 1964
  • 2010년 개정 노동법에 대한 입법론적 평가
    유성재 노동법학 (제34호), 한국노동법학회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