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강소천 동화의 서지 및 개작 연구

박금숙 2015년
논문상세정보
' 강소천 동화의 서지 및 개작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강소천
  • 개작 양상
  • 동화
  • 동화의 개작본
  • 동화의 원본
  • 동화의 최종본
  • 발굴 작품
  • 서사 구조의 변형
  • 서술 방식의 변형
  • 서지
  • 정본
  • 제목과 인명의 변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23 0

0.0%

' 강소천 동화의 서지 및 개작 연구' 의 참고문헌

  •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이재철 일지사 [1978]
  • 한국소설학회 편,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새문사 [1996]
  • 한국 판타지 동화의 역사적 전개
    박상재 『한국아동문학연구』, 한국아동문학연구회 [2009]
  • 한국 아동문학 작가 작품론
    김용희 서문당 [1991]
  • 편, 『한국아동문학전집』
    민중서관 [1963]
  • 편, 『초록 연필』
    기독교대한 감리회 총리원 교육국 [1961]
  • 캐스린 흄, 한창엽 옮김,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 나무 [2000]
  • 철학사전 편찬위원회, 『철학사전』
    중원문화 [2008]
  • 정채봉 동화에 나타난 동심의 구현 과정에 대한 고찰
    조하연 『한국초등국어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0]
  • 이언 리드, 김종운 옮김, 『단편소설』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9]
  • 윌리스 마틴, 김문현 역, 『소설이론의 역사』
    현대소설사 [1991]
  • 엮음, 『한국동화집』
    문호사 [1960]
  • 에밀 스타이거, 이유영?오현일 공역, 『시학의 근본 개념』
    삼중당 [1978]
  • 에릭 호프만, 장현갑 옮김, 『이타적 인간의 뇌』
    불광출판사 [2012]
  • 엄마의 뜰
    신지식 교학사 [1975]
  •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역, 『시학』
    문예출판사 [1986]
  • 아동문학교육
    이성은 교육과학사 [2003]
  • 아동 문학
    이원수 [1961]
  • 시점을 통한 소설 교육 연구
    이재건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 스나이더 랜서, 김형민 옮김, 『시점의 시학』
    수잔 좋은날 [1998]
  • 소천의 아동문학
    이원수 『아동문학』10집 [1964]
  • 소천과 꿈의문학
    남미영 『아동문학 비평』, 1980년 가을호 [1980]
  • 소천 시 연구: 자연의 품에서 깨어난 꿈:『호박꽃 초롱』에서‘꽃’과 ‘하늘’ 이미지 중심으로
    신정아 『한국 아동문학 연구』, 한국아동문학 학회 [2012]
  • 소설학 사전
    한용환 고려원 [1992]
  • 성경전서다음 백과사전
    브리테니커 백과사전 참조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학 사전』
    대교출판 [1999]
  • 분석심리학
    이부영 일조각 [1998]
  • 문학비평용어사전
    이상섭 민음사 [1992]
  • 막스 뤼티, 김흥기 옮김, 『유럽의 민담』
    보림 [2005]
  • 마리아 니콜라예바, 김서정 옮김, 『용의 아이들』
    문학과 지성사 [1998]
  • 르네 웰렉?오스틴 워렌, 이경수 역 , 『문학의 이론』
    문예출판사 [1987]
  • 루크, 「니체와 고지의 상」, 『짜라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청하 [1989]
  • 로보트 스콜스, 위미숙 역, 『문학과 구조주의』
    새문사 [1991]
  • 동화론
    이성훈 건국대학교 출판부 [2014]
  • 동심의 숲에서 길찾기
    김용희 청동거울 [1999]
  • 꿈이란 현상과 노이로제
    이동식 『사상계』 [1964]
  • 꿈? 고향? 그리움
    남미영 『해바라기피는 마을』, 교학사 [2006]
  • 경희대학교 한국아동문학연구센터 편, 『어린이의 꿈』1-2권
    국학자료원 [2012]
  • 강소천과 나
    김 송 『자유문학』 [1963]
  • 박사
    강소천 동화의 환상성 연구
    함윤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강소천 동화의 특성 연구
    김수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강소천 동화에 나타난 전쟁 체험과 꿈의 상관성 연구
    조태봉 『한국문예창작』, 한국문예창작학회, Vol. 6 [2007]
  • 강소천 동화에 나타난 월남의식과 서사의 징환
    장수경 『현대문학의연구』, Vol. 48, 한국문학 연구학회 [2012]
  • 강소천 동화 연구
    공선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 강소천 동화 연구
    김효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강소천 동화 연구
    이선민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강소천 동화 연구
    홍의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강소천 동요 및 동시의 개작 양상 연구 -초기작품 중심으로
    박금숙 홍창수 『한국아동문학연구』25호, 한국아동문학학회 [2013]
  • 『황무지의 오두막』
    강소천 제15권, 문음사 [1981]
  • 『황무지의 오두막』
    제7권, 신교문화사 [1975]
  • 『황무지의 오두막』
    제7권, 문천사 [1976]
  • 『황무지의 오두막』
    제8권, 문천사 [1977]
  • 『황무지의 오두막』
    제12권, 문천사 [1978]
  • 『황금나비의 나들이』
    장수철 교학사 [1975]
  • 『호박꽃 초롱』
    강소천 제10권, 교학사 [2006]
  • 『해바라기 피는 마을』
    대동당 [1956]
  • 『해바라기 피는 마을』
    제7권, 문천사 [1978]
  • 『해바라기 피는 마을』
    제7권, 문음사 [1981]
  • 『한국아동문학전집-강소천 편』
    민중서관 [1962]
  • 박사
    『한국 아동문학의 가족서사 연구』
    윤소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초록색 태양』
    강소천 제5권, 배영사 [1963]
  • 『짱구라는 아이』
    제12권, 문음사 [1981]
  • 『진달래와 철쭉』
    제3동화집, 다이제스트사 [1953]
  • 『진달래와 철쭉』
    제10권, 문음사 [1981]
  • 『즐거운 메아리』
    최병화 교학사 [1975]
  • 『종소리』
    제5동화집, 대한기독교서회 [1956]
  • 『조그만 하늘』
    제6권, 배영사 [1963]
  • 『조그만 사진첩』
    제1동화집, 다이제스트사 [1952]
  • 『조그만 사진첩』
    제2권, 문음사 [1981]
  • 『잃어버렸던 나』
    강소천 제7권, 교학사 [2006]
  • 『잃어버렸던 나』
    강소천 제2권, 배영사 [1963]
  • 『인형의 도시』
    김요섭 교학사 [1975]
  • 『인형의 꿈』
    제7동화집, 새글집 [1958]
  • 『유리산의 공주』
    제6권, 신교문화사 [1975]
  • 『유리산의 공주』
    제6권, 문천사 [1976]
  • 『유리산의 공주』
    제7권, 문천사 [1977]
  • 『유리산의 공주』
    제11권, 문천사 [1978]
  • 『유리산의 공주』
    제14권, 문음사 [1981]
  • 『유년의 뜰』
    오정희 문학과 지성사 [1981]
  • 『예술비평론』
    조진기 고려원 [1984]
  • 『어머니의 초상화』
    강소천 제9동화집, 배영사 [1963]
  • 『아동문학입문』
    이원수 웅진출판 [1984]
  • 『아동문학개론』
    이재철 문운당 [1967]
  • 『아동문학 작품 해설』
    안승덕 배영사 [1986]
  • 『아기토끼』
    배영사 [1961]
  • 『아기 코끼리』
    제6권, 문천사 [1977]
  • 『아기 코끼리』
    제10권, 문천사 [1978]
  • 『아기 코끼리』
    제13권, 문음사 [1981]
  • 『숲 속 마을』
    배영사 [1961]
  • 『살진이의 일기』
    이주홍 교학사 [1975]
  • 『산불』
    차범석 범우희곡선 [2009]
  • 『불꽃의 깃발』
    이원수 교학사 [1975]
  • 『봄이 너를 부른다』
    강소천 제8권, 교학사 [2006]
  • 『봄이 너를 부른다』
    제6권, 문천사 [1978]
  • 『봄이 너를 부른다』
    제6권, 문음사 [1981]
  • 『보슬비의 속삭임』
    제5권, 신교문화사 [1975]
  • 『보슬비의 속삭임』
    제5권, 문천사 [1976]
  • 『보슬비의 속삭임』
    제5권, 문천사 [1977]
  • 『보슬비의 속삭임』
    제9권, 문천사 [1978]
  • 『보슬비의 속삭임』
    제1권, 문음사 [1981]
  • 『반딧불 켜는 집』
    김영일 교학사 [1975]
  • 『바위나리와 아기별』
    마해송 교학사 [1975]
  • 『바다여 말해다오』
    제8권, 문천사 [1978]
  • 『바다여 말해다오』
    제8권, 문음사 [1981]
  • 『문화적 차이와 인권-동아시아 맥락에서』
    장은주 한국인권재단 [2004]
  • 『무지개』
    제6동화집,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57]
  • 『말하는 남생이』
    배영사 [1961]
  • 『마당 깊은 집』
    김원일 문학과 지성 [1989]
  • 『땅 위에 그린 그림』
    임인수 교학사 [1975]
  • 『동화창작』
    이성훈 건국대학교 출판부 [2014]
  • 『동화의 이해』
    이성훈 건국대학교 출판부 [2014]
  • 『동심주의문학 연구:첨부작품을 중심으로』
    박지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대답없는 메아리』
    제5권, 문음사 [1981]
  • 『대답 없는 메아리』
    강소천 제8동화집, 대한기독교서회 [1960]
  • 『대답 없는 메아리』
    제4권, 신교문화사 [1975]
  • 『대답 없는 메아리』
    제4권, 문천사 [1976]
  • 『대답 없는 메아리』
    제4권, 문천사 [1977]
  • 『대답 없는 메아리』
    제4권, 문천사 [1978]
  • 『눈 소녀』
    박화목 교학사 [1975]
  • 『나는 겁쟁이다』
    강소천 제3권, 교학사 [2006]
  • 『나는 겁장이다』
    제1권, 배영사 [1963]
  • 『꿈의 잠재의식』
    한건덕 동방도서 [1981]
  • 『꿈을 파는 집』
    제4권, 배영사 [1963]
  • 『꿈을 찍는 사진관』
    강소천 제1권, 교학사 [2006]
  • 『꿈을 찍는 사진관』
    강소천 제3권, 문음사 [1981]
  • 『꿈을 찍는 사진관』
    제4동화집, 홍익사 [1954]
  • 『꿈을 찍는 사진관』
    제2권, 신교문화사 [1975]
  • 『꿈을 찍는 사진관』
    제2권, 문천사 [1976]
  • 『꿈을 찍는 사진관』
    제2권, 문천사 [1977]
  • 『꿈을 찍는 사진관』
    제2권, 문천사 [1978]
  • 『꾸러기와 몽당연필』
    강소천 강소천동화선집, 새글집 [1959]
  • 『꾸러기 행진곡』
    강소천 제5권, 교학사 [2006]
  • 『꾸러기 행진곡』
    강소천 제1권, 문천사 [1976]
  • 『꾸러기 행진곡』
    제1권, 신교문화사 [1975]
  • 『꾸러기 행진곡』
    제1권, 문천사 [1977]
  • 『꾸러기 행진곡』
    제1권, 문천사 [1978]
  • 『꾸러기 행진곡』
    제9권, 문음사 [1981]
  • 『꽃신을 짓는 사람』
    강소천 제2권, 교학사 [2006]
  • 『꽃신을 짓는 사람』
    강소천 제4권, 문음사 [1981]
  • 『꽃신을 짓는 사람』
    제3권, 신교문화사 [1975]
  • 『꽃신을 짓는 사람』
    제3권, 문천사 [1976]
  • 『꽃신을 짓는 사람』
    제3권, 문천사 [1977]
  • 『꽃신을 짓는 사람』
    제3권, 문천사 [1978]
  • 『꽃신』
    제2동화집, 한국교육문화협회 [1953]
  • 『꼬마 눈사람』
    배영사 [1961]
  • 『그리운 얼굴』
    강소천 제3권, 배영사 [1963]
  • 『그리운 메아리』
    강소천 제11권, 문음사 [1981]
  • 『그리운 메아리』
    제10동화집, 배영사 [1963]
  • 『그리운 메아리』
    제5권, 문천사 [1978]
  • 『국어교과서』
    한국 학년 1학기 [1955]
  •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
    김주영 문이당 [2008]
  • 『경향신문』, 『교육시보』, 『국제신문』, 『기독시보』, 『대한일보』,『동아일보』, 『만선일보』, 『민국일보』, 『매일신문』, 『대구매일신문』, 『서울 신문』, 『세계일보』, 『새한 일보』, 『소년시보』, 『연합신문』, 『저축순보』, 『중앙일보』, 『조선일보』, 『태양신문』, 『평화신문』, 『한국일보』
  • 『강소천아동문학가작품 스크랩 권외』
    국립청소년어린이도서관 소장
  • 『강소천아동문학 스크랩북 1∼15』
    국립청소년어린이도서관 소장
  • 『강소천 동화 선집-꾸러기와 몽당 연필』
    제일문화사 [1962]
  • 『가톨릭 소년』, 『가정교육』, 『교육주보』, 『국민학교 「학생」』,『동화』, 『모범생활』, 『만화세계』, 『새벗』, 『새가정』, 『새교실』,『새동화』, 『소년』, 『소년계』, 『소년생활』, 『소년세계』, 『소년태양』, 『수병』, 『신가정』, 『신소년』, 『아동문예』, 『아동문학』, 『아이동무』, 『아이생활』, 『어린이』, 『어린이동산』, 『어린이 다이제스트』, 『여름공부』, 『여성계』, 『저축문집』, 『학생』, 『학원』, 『현대문학』
    2) 잡지
  • 『韓國 創作童話의 形成過程과 構成原理 硏究』
    김용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해설」
    박목월 『강소천 아동문학독본』, 을유문화사 [1961]
  • 「해설-아름다운 꿈의 세계」
    서석규 『꿈을 파는 집』 [1963]
  • 「해설-『꿈을 파는 집』에 붙임」
    김동리 『꿈을 파는집』 [1963]
  • 「한국아동문학사 연구(2)-윤석중과 강소천의 동시」
    이재철 (『국문학논집』, Vol. 11, 단국대학교국어국문학과 [1983]
  • 「한국동화문학의 현실인식 연구」
    오길주 가톨릭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한국기독교 아동문학 연구」
    정선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박사
    「한국 현대 판타지 동화의 문학 교육적 수용 연구」
    정유경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박사
    「한국 창작동화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박상재 단국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998]
  • 「한국 동화의 환상성 연구」
    김명희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 「한 못난 제자의 회상」
    정원석 『해바라기 피는 마을』, 문음사 [1981]
  • 「추석과 어머니」
    강소천 『강소천 아동문학 독본』, 을유문화사 [1961]
  • 「천직의 아동문학가」
    최태호 『현대문학』9권 6호 [1963]
  • 「책 끝에 드림」
    전영택 『종소리』, 대한 기독교서회, , 6. 25 [1956]
  • 「제9회 아동문학연구 발표대회 자료집:한국 동화문학의 재조명;강소천론: 발표자;꿈을 매개(媒介)로 한 그리움의 미학」
    박상재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11 [2005]
  • 「전후 아동소설 연구 전후 아동소설 연구 : 『그리운 메아리』와 『메아리 소년』을 중심으로」
    장영미 『한국아동문학연구』 Vol.22 [2012]
  • 「잃어버린 동화의 주인공들」
    강소천 『강소천 문학선』, 경진사 [1954]
  • 「영원한 어린이의 벗」
    차능균 『아동문학』10집 [1964]
  • 「어린이의 꿈을 찍는 사진사 강소천」
    이원태 『지방행정』, Vol. 43,대한지방행정공제회 [1994]
  • 「어린이와 사회를 보는 두 가지 시선-이원수와 강소천의 소년소설」
    권나무 『우리말 교육현장 연구』, Vol. 6, 우리말 교육현장학회 [2012]
  • 「어린이 헌장과 어깨동무 학교」
    서석규 『잃어버렸던 나』, 교학사 [2006]
  • 「애도 강소천 형」
    조지훈 『아동문학』10집 [1963]
  • 「아버지」
    강남향 『아동문학』10집, 배영사 [1964]
  • 「아동문학의 나아갈 길」
    박목월 『아동문학』5, 배영사 [1963]
  • 「순수무구에의 꿈」
    유경환 『아동문학』10집 [1964]
  • 「소파와 아동문학」
    이원수 『소파 방정환 문학전집 8』, 문천사 [1974]
  • 「소천형 영전에」
    박목월 『아동문학』10집 [1963]
  • 「소천이 걸어온 길」
    윤석중 『아동문학』10집 [1963]
  • 「소천이 가시다니 웬 말인고」
    전영택 『아동문학』10집 [1963]
  • 「소천의 세계」
    윤석중 『보슬비의 속삭임』, 문음사 [1981]
  • 「소천의 문학세계」
    최태호 『강소천 문학전집』, 문음사 [1981]
  • 「소천의 문학」
    최태호 『아동문학』10집 [1963]
  • 「소천의 동화」
    임인수 『현대문학』9권 6호 [1963]
  • 「소천의 동시-호박꽃을 중심으로」
    박목월 『현대문학』 [1963]
  • 「소천의 고향과 나」, 『조그만 사진첩』, 문음사, 전양숙, 「채만식 소설의 개작에 대한 연구」
    전택부 한국정신문화원 석사학위논문, 1993 [1981]
  • 「소천의 고향과 나」
    전택부 『강소천 아동문학 전집 1권』, 문천사 [1975]
  • 「소천의 고향과 나」
    전택부 『조그만 사진첩』, 문음사 [1981]
  • 「소천을 기린다」
    최태호 『아동문학』10집 [1963]
  • 「소천에게」
    박목월 『아동문학』10집 [1963]
  • 「소천 형의 작품-성인들의 이해를 위하여」
    박목월 『』 [1963]
  • 「소천 시 연구-『호박꽃 초롱』을 중심으로」
    노경수 『한국아동문학연구』, 한국아동문학학회, Vol. 15, , 189∼212쪽 [2008]
  • 「소천 동화에 나타난 꿈의 상징성」
    김용희 『한국아동문학 작가작품론』, 서문당, , 209-228 [1991]
  • 「소천 강 선생의 생애와 아동문학」
    박창해 『봄동산 꽃동산』, 배영사 [1964]
  • 「세월」
    강소천 『강소천 문학선』, 경진사 [1954]
  • 「생명 돈 의사」
    강소천 『봄이 너를 부른다』, 문천사 [1975]
  • 「사랑하는 어린이 여러분께」
    강소천 『인형의 꿈』, 새글집 [1958]
  • 「방정환 문학 연구」
    장성유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바람의 시, 구름의 동화」
    김요섭 『아동문학』10집 [1964]
  • 「무슨 빛깔의 카네이션을 달까요?」
    강소천 『강소천 아동문학 독본』,을유문화사 [1961]
  • 「모랄의 긍정적 의미」
    하계덕 『현대문학』 [1969]
  • 「동화에 나타난 환상연구」
    최선희 『수련문논집』, Vol. 15, 수련어문학회 [1988]
  • 「동화소설」
    박목월 『아동문학』제2집, 배영사 [1962]
  • 「동화문학과 작가(一)」
    송창일 『동아일보』 [1939]
  • 「동심으로 외친 항일의 함성-강소천 선생의 동시 세계」
    신현득 『강소천선생 40주기 기념 추모의 글 모음』, 교학사 [2003]
  • 「동심 그대로의 작가」
    이종환 『현대문학』9권 6호 [1963]
  • 「돌맹이 이후」
    강소천 『동아일보』 [1960]
  • 「대보다 더 곧은 소천 형」
    박경종 『짱구라는 아이』, 문음사 [1981]
  • 「님 고향 민족의 변증법」
    유재천 『현대문학』417호 [1989]
  • 「남겨야 될 글과 버려야 될 글」
    李在徹 『아동문학 평론』12-4, 한국아동문학연구원 [1987]
  • 「나의 작품 중 가장 재미있는 작품」
    강소천 《소년동아일보》 [1960]
  • 「나를 길러준 내 고향은 동화의 세계」
    강소천 『강소천 아동문학 독본』, 을유문화사 [1961]
  • 「나는 왜 아동문학을 하게 되었나?」
    강소천 『강소천 아동문학 독본』, 을유문화사 [1961]
  • 「꿈 많은 세계」
    최인학 『아동문학』10집, 배영사 [1964]
  • 박사
    「김용익 문학의 서지 연구」
    김민영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그리운 메아리 후기」
    강소천 『그리운 메아리 』, 학원사 [1963]
  • 「강소천의 장편동화 연구」
    천희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강소천씨와 나」
    손소희 『현대문학』 [1963]
  • 「강소천론」
    박화목 『아동문학』 [1973]
  • 박사
    「강소천과 마해송 동화의 대비적 연구」
    차보금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 「강소천, 그 인간과 문학」
    김동리 『유리산의 공주』, 문음사 [1981]
  • 「강소천 형을 애도함」
    김동리 『아동문학』10집, , 12쪽 [1963]
  • 「강소천 장편동화의 서사학적 연구」
    이종호 『동화와번역』,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Vol. 15 [2008]
  • 「강소천 연구」
    남미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0]
  • 「강소천 소년 문학선-後記」
    강소천 『강소천 소년 문학선』, 경진사 [1954]
  • 「강소천 선생의 작품-어린이들의 이해를 위하여」
    최태호 『강소천 아동문학 전집-잃어버렸던 나』, 배영사 [1963]
  • 「강소천 선생의 동시의 세계-어린이들의 이해를 위하여」
    박홍근 『조그만 하늘』 [1964]
  • 「강소천 선생, 어린이와 함께 살아온 문학가」
    박창해 『강소천 문학전집』, 배영사 [1963]
  • 「강소천 선생 영전에」
    조석기 『아동문학』10집 [1963]
  • 「강소천 동화의 서사 전략 연구」
    이종호 『동화와번역』, 건국대학교동화와번역연구소, Vol. 12 [2006]
  • 「韓國兒童文學의 兩面性 硏究:姜小泉과 李元壽의 小年小說을 中心으로」
    권영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 「韓國 童謠?童詩에 關한 一硏究: 年 以前을 中心으로」
    차보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69 [1945]
  • 「韓國 兒童文學論 韓國 兒童文學論 : 姜小泉의 作品을 中心으로」
    한성자 『성심어문논집』, Vol. 2 [1968]
  • 「跋」, 『어머니의 초상』
    최태호 배영사 [1963]
  • 「跋-『조그만 사진첩』후기」
    최태호 『조그만 사진첩』 [1952]
  • 「跋-『어머니의 초상화』후기」
    최태호 『어머니의 초상화』 [1962]
  • 「固有語 地名의 過程과 그 對立 樣相에 관한 硏究」
    박병철 『새 국어교육』제82호 [2009]
  • 「『대답 없는 메아리』에 부치는 말씀」
    전영택 『대답 없는 메아리』, 대한기독교서회 [1960]
  • 「「돌멩이 」이후」
    강소천 『동아일보』 [1960]
  • 「<호박꽃 초롱>은 내 교과서」
    어효선 『강소천 선생 40주기 기념 추모의 글모음』, 교학사 [2003]
  • 「 소천의 시 세계」
    윤석중 『강소천 문학전집』, 문천사 [1975]
  • S . 채트먼, 한용환 역, 『이야기와 담론』
    푸른 사상 [2003]
  • G?들레즈, F?가타리, 김재인 역,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 G H R 파긴슨, 김대웅 옮김, 『루카치 미학사상』
    문예출판 [1986]
  • 3) 강소천 동화집강소천, 『호박꽃 초롱』
    박문서관 [1941]
  • 박사
  • 1950년대 동화 아동소설연구
    선안나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1930년대 동시 연구
    황수대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