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해안간척지의 생태학적 수목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 서해 남부지역 자생수종 선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cological Tree Planting Model in the Coastal Reclaimed Land : Focused on the Native Plants Selection in a Southern Coastal Area Facing the Western Sea

김기남 2015년
논문상세정보
' 해안간척지의 생태학적 수목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 서해 남부지역 자생수종 선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cological Tree Planting Model in the Coastal Reclaimed Land : Focused on the Native Plants Selection in a Southern Coastal Area Facing the Western Se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내염성
  • 내조성
  • 다층구조
  • 바다매립지
  • 생태
  • 식재모델
  • 식재지반
  • 해안간척지
  • 해안방풍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7 0

0.0%

' 해안간척지의 생태학적 수목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 서해 남부지역 자생수종 선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cological Tree Planting Model in the Coastal Reclaimed Land : Focused on the Native Plants Selection in a Southern Coastal Area Facing the Western Sea' 의 참고문헌

  • 해안방풍림의 환경특성 분석 -거제시 분포림 중심으로-.석사학위논 문
    함대식 한경대학교 [2011]
  • 해안방재림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박종석 전남대학교 [2008]
  • 해안매립도시 대규모 조성녹지의 적정 기능설정 및 식재방안 연구 - 시화 MTV 개발사업지를 대상으로-.석사학위논문
    김정철 서울시립대학교 [2008]
  • 해안림의 다면적 기능과 시대적 가치변화
    이경재 년도 동해안지역연구 소 국제학술심포지엄 논문집.1-12 [2000]
  • 한반도의 기후와 지형적 특성에 근거한 생태공간의 분류
    양금철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연안완충공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연구 -해안림과 해안사구를 중심으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8]
  • 한국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 -동해안의 사구식물군 락의 종조성과 현존량에 관하여-
    김준민 이우철 전상근 강원대학교논문집 16.113-124 [1982]
  • 한국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 -남해안의 사구식생군락의 종 조성과 현존량에 관하여-
    이우철 전상근 한국생태학회지 6(3):177-186 [1983]
  • 한국지반공학회.준설매립
    (사)한국지반공학회.p.730 [2005]
  • 한국종합조경공사.조경용소재도감-수목,초화,구조물
    한국종합조경공사 [1979]
  • 한국공항공단
    수도권 신국제공항 조경시설 실시계획 중간보고 [1995]
  • 한국 서해안의 내염성 및 내조성 자생수종
    김도균 한국생태학회지 24(2):209-221 [2010]
  • 한국 남해안방풍림 자생수종의 내염성 및 내조성 수종 선발
    김도균 한국생 태학회지 24(1):14-25 [2010]
  • 통리 해수욕장 녹지대 조성에 관한 연구
    조희두 한국임학회지.77(3): 303-314 [1988]
  • 토양사전
    류순호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 토양비료개론
    김진우 선진문화사 [2001]
  • 중부지방 자연식생분석을 통한 생태적 배식모델 연구.석사학위논문
    권전오 서울시립대학교 [1997]
  • 조경 배식학
    윤국병 일조각 [1987]
  • 자연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배식설계 기준에 관한 연구 -창덕 궁후원 자연식생분석을 통하여-.석사학위논문
    오구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1986]
  • 임해매립지의 조경수목 생장 특성 -광양만의 곰솔과 느티나무를 중 심으로-.박사학위논문
    김도균 영남대학교 [2000]
  • 임해매립지에서 복토높이에 따른 토양환경변화 및 수목생장.박사학 위논문
    변재경 건국대학교 [2004]
  • 임해매립지내 조경수목의 하자 요인에 관한 연구 -서해안과 남해안 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구본학 서울대학교 [1993]
  • 임해매립지 식재기반조성에 관한 사례조사 연구
    최일홍 황경희 대한주택공 사주택연구소 [2000]
  • 인천해안지역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한 해안림 식 재
    권전오 이경재 장상항 한국조경학회지 31(6):53-63 [2004]
  • 인천지역 해안매립지 적정수종 선정.인천발전연구원.p.76. 경상남도(1994)
    권전오 한이채 방풍림 관리실태 및 보존대책 -방풍림 조성의 역사적 배경과 기능 분석-9-22,61-94 [2009]
  • 인천시 임해매립지 식재 개선방안 연구
    배준환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인천국제공항 진입부 경관 이미지 개선을 위한 식재방안 연구.석사학위논 문
    최세재 서울시립대학교
  • 인천국제공항 식재지반조성 학술연구 발표회,3.기상 및 비사방지
    정영상 서울대학교 농업개발연구소.p.12-19 [1998]
  • 인천 해안지역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해안림 조성기법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장상항 서울시립대학교 [2002]
  • 원색대한식물도감
    이창복 서울:향문사 [2003]
  • 우리나라 주요 참나무림의 군락구조분석 및 생태적 식재모델연구.박 사학위논문
    이미정 충남대학교 [2007]
  • 우리나라 보안림의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석사학위논문.원광대학교. 안영희.2003.녹지환경학
    안양수 태림문화사 [1985]
  • 안산시 철도변 완충녹지 기능 향을 위한 식재계획
    박현애 서 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아시아공원 식재 특성 및 경관기능 향상을 위한 식재구조 개선방안 연구.석사학위논문
    장재훈 서울시립대학교 [2008]
  • 신공항건설공단
    수도권 신공항건설사업 소개 [1995]
  •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김종원 이율경 서울:월드사이언스 [2006]
  • 시간경과에 따른 청산도 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석사학위논 문
    박정원 목포대학교 [2008]
  • 수종간의 내염력 특성에 관한 연구(Ⅲ)
    최문길 한국임학회지 77(4):371-381 [1988]
  • 수종간의 내염력 특성에 관한 연구(Ⅰ)-동해안림의 수종분포와 염분 농도와의 관계-
    최문길 한국임학회지 73:1-8 [1986]
  • 수목생리학
    이경준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 수도권 도시 내 조성녹지의 군락식재 모델 개발 연구.박사학위논문
    김종엽 서울시립대학교 [2007]
  • 서울 양지 시민의 숲 배식기법 연구.석사학위논문
    김동완 서울시립대학교 [1999]
  • 생태학적 식재를 위한 내염성 및 내조성 자생수종 선발 -전남 순천 만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백성주 순천대학교 [2012]
  •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 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2000]
  • 생태녹화공학 도서출판 광일문화사. 오구균.1997.식재설계에서 경관식재 개념 및 기법 연구
    김도균 오구균 호남대학교 정보통신연구 소 논문집 제7권.:91-96 [2009]
  • 산지형 근린공원 시설지 생태경관적 식재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 초 안산 근린공원을 대상으로-.석사학위논문
    이형욱 서울시립대학교 [2012]
  • 산림청.해안방재림의 조성 보전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보고서 [2006]
  • 산림청.전국 해안방재림 실태조사 및 정책방향에 대한 용역
    보고서 [2007]
  • 산림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박사학위논문
    남해군 이지훈 창원대학교
  • 방풍림의 식생구조와 보호관리방안 -남해안의 주요 사례지역을 중심 으로-.석사학위논문
    오현경 영남대학교 [2003]
  • 동해안 해안송림의 친환경적 이용방안
    심상화 환동해지역의 해안림 보존과 이용에 관한 국제학술심포지엄 논문집.73-96 [2000]
  • 동아새국어사전
    두산동아 동아출판사 [1994]
  • 도시내 후박나무 가로수의 생장특성 -전남 광양시를 중심으로-.석사학 위논문
    이기원 순천대학교 [2012]
  • 도시 식물군집의 구조적 특성 및 자연성 복원을 위한 식생모델에 관 한 연구.박사학위논문
    강현경 상명대학교 [2001]
  •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임해매립지 식재지반 조성에 관한 사례조사 연구
    대한주택공사 [2000]
  • 다층식재 모델 개발을 위한 자연식생 구조 분석 -중부내륙과 남부해 안지역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김민경 고려대학교 [2011]
  •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간척지 조성후 토양특성 변화 및 활용방안 연구 [2004]
  • 농림부.특수지역의 생태적 산림조성 및 관리기술 개발.농림부.p119-278. 농어촌진흥공사.1995
    한국의 간척.p.85-99 [2000]
  • 녹지축 연결을 통한 생태공간조성계획 -성남시 분당 Ecobridge지역 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강현경 서울시립대학교 [1995]
  • 녹색연합.우리나라 황폐지 복구사에서 산림조합의 역할과 성과
    한국사방100 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123-136 [2005]
  • 내염성 전작물의 개발과 재배 전망
    박근용 최원열 농진청 심포지엄. 17:53-78 [1991]
  • 내염성 및 내조풍성 조경수목 개발에 관한 생태학적 고찰-우리나라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이종석 한국 조경학회지 8(1):13-19 [1980]
  • 내염성 및 내조성 관상식물의 개발을 위한 생태학적 연구
    김일중 이종석 한 국원예학회지 18(2):215-220 [1977]
  • 남해도의 천연기념수림과 그 수종
    김삼식 문창국 한국조경학회지 5(2):45-50 [1977]
  • 난대 상록활엽수종간 내염력 비교
    강영제 김찬수 이갑연 이임균 정은주 월간 임업정보.95:64-68 [1999]
  • 근린공원 입지유형별 공간기능에 따른 녹지배치 및 식재기법 연구 - 서울시 강남구 근린공원을 사례로-.석사학위논문
    황서현 서울시립대학교 [2003]
  • 군락식재기법을 활용한 생태적 경관림 조성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 문
    조창종 한양대학교 [2010]
  • 광양만 임해매립지 느타나무 이식이후의 연륜생장
    김도균 한국조경학회지 33(6):40-50 [2006]
  • 경관훼손지의 생태적 복구방안에 관한 연구
    김남춘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 회지 1(1):28-44 [1998]
  • 간척지에서 수답 및 식물의 내염성에 관한 연구(13)- 간척지에서 수답의 양분 흡수와 쌀성분에 대하여-
    심재욱 임동빈 임응규 한국식물학회지 14(1): 25-31 [1970]
  • 간척지 조성후 토양특성 변화 및 활용방안 연구(1)
    노희명 안영 농림부 농업 기반보고서 [2004]
  • 가로수로서 상록활엽수 도입 필요성에 관한 고찰
    강신구 유태성 대구시시정 연찬 11:363-383 [1999]
  • 靑沼和夫.1977.京葉臨海埋立地における腦林業技術を?用した綠林帶造成-2.森林 地帶18(2):30-40.
  • 沖中健 福原秀夫 菅原思. 1984. 臨9海埋立地に植栽されたクロマOツとヤマモモに對 すゐ潮風の影響.造園雜誌.47(5):95-100.
  • 本間啓.1973.綠地學硏究No4.東京大學農學部園藝制二(綠地學)硏究室報告書.
  • 日本造園學會.1998.ランドスケ?プと綠化.技報堂出版.p.228-237.
  • 岡本試明.재인용 :박용진,이기의.1992.최신환경녹화
    강원대학교출판부 [1989]
  • 宮脇昭. 1972. 橫浜市の植生一都市の環境保全とみどりの環境創造に對する植物社會 學的基礎硏究.橫浜市報告書.
  • 宮脇昭 奧田重俊 鈴木邦雄.1975.東京?臨海部の植生.橫浜大學環境硏究所報告書. 龜山章.1989.最先の綠化技術- Frontiertechniquesofrevegetation.東京:ソフト サイェンス.p.360.
  • 吉良龍夫.1976.陸上生態系槪論(講座2:12-47).共立出版.東京.
  • 千葉喬三.1992.環境林造成と管理(小橋澄治, 村井宏,龜井章編.1992.環境綠化工 學). 東京:朝倉書店
  • 中島宏.1993.植栽の設計 施工 管理.東京:經濟調査會.p.22.
  • Zube,E.H.1973.Rating everyday rurallandscapers ofthe northeastern US. LandscapeArchitecture,July:371:375.
  • Zube,E.H.,J.L.Selland J.Taylor.1982.Landscape perception:Research, applicationandtheory.LandscapePlanning9:1-33.
  • Yim Y.J.andT.Kira.1975.Distributionofforestvegetationandclimateinthe koreanPeninsula.I.Distributionofsomeindicesofthermalclimate.Jap.J.Ecol 25:77-88
  • US Salinity Lap Staff.1953.Dignosis and improvementofsaline and alkaline soils. Handbook 60.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DC.
  • Shafar,E.L.1969b.Naturallandscape preferences:A predictive model.J.of LeisureReserch1:1-19.
  • Shafar,E.L.1969a.Selection cutsincreased naturalbeauty in two adirondack foreststands.J.ofForest67:415-419.
  • Rogers,E.B.(1987)Rebuilding centralpark :A managementand restoration plan.CambridgeMA:TheMIT Pressp.160.
  • Richard.B.and I.H.Walter.1996.Adaptaions to environmentalchange in Marinefauna.MangroveEcology Workshop ManualED.Ilka C.Feller.
  • NaCl처리가 몇 수종의 생육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박사학 위논문
    박우진 전북대학교 [2008]
  • Morrison,D.G.1996.Design,restoration and management.Dept.ofLandscape Architecture,Univ.ofGeorgia,Athens.
  • Menninger,E.A.1964.Seasideplantsoftheworld.HearthsidePress,Inc,New York,p.303.
  • MarshaSitnik.SmithsonianInstitution.WashingtionDC. Robinson,N.1992.ThePlantingDesignHandbook.Gower.p.271.
  • Major,J.1951.A functionalfactorialapproachtoplantecology.Ecology32:392?12. Mengel,K.and E.A.Kirkby.1978.Principles ofPlantNutrition(Salinity).eds, InternationalpotashinstituteWorblaufe.p.203-210.
  • Liu,G.M.,J.S.Yang.,andR.J.Yao.2006.Electricalconductivityinsoilextracts: ChemicalFactors and there intensity.SoilScience Society of China 16(1):100-107.
  • Lisney,Aand K.Fieldhouse.1990.Landscape desing guide :Volume 1 Soft landscae.GowerTechnical,Hants,England,p.168.
  • LandsatTM Data를 이용한 해안 환경림 조사
    김응남 박용진 국제심포지엄 InternationalSymposium).46-54 [2000]
  • Knapp,E.E.andK.J.Rice.1994.Starting from seed;Geneticissuesin using nativegrassesforrestoration.Restoration andManagementNotes12(1); p.40-45.
  • Jung,Y.S.,J.H Joo,S.D.Hong,I.B.Lee and H.M.Ro.2001.Discussion on dilution factor for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 by saturation-past extractand1:5soiltowaterextract,and CEC ofKorean soils.Kor.J. SoilSci.Fert34(1):71-75.
  • Jenny,H.1941.Factors ofSoilFormation:A System ofquantitative pedolog. DoverPub,Mineola,N.Y.
  • Jabu,S.1982.Restoration ofakaolin clay stripmineforwildlifehabitatusing biotechnicaland revegetation methods.MS thesis,Univ.of Georgia, Athens.
  • Hackett.B.1982.PlantingDesign.E&F.N.Spon.p.174.
  • Clouston,B.(ed).1997.LandscapeDesignwithPlants.VanNostrandReinhold.p.456. Daubenmire,R.E.1974.Plantsandenvironment.JohnWiley& Sons,New York. p.267-285.
  • Brush,R.O.1979.The attractiveness of woodlands: perceptions of forest landownersinMassachusetts.ForestScience25:495-506.
  • Braun-Blanquet.1965.Plantsociology:thestudy ofplantcommunities,Hafner, London,p.439.
  • Bradshaw,A.D.1972.Someevolutionary consequencesofbeing aplant.Evol. Biol.5:25-47.
  • Bonnie,A.,G,Vickie,S.Aileen,F.Susan,K.Brian,F.Laurie,D.Adam,andG. Traci.2002.Tree and shrubs thattolerate saline soils and saltspray drift.VirginiaCooperativeExtension.Publication430-031.
  • Austin,R.L.1982.DesigningwithPlants.VanNostrandReinholdCo.p.190.
  • Arthur.L.M.1977.Predicting scenic beauty of forest environments:some empiricaltests.ForestScience23:151-160.
  • Anderson,L.M.1981.Landusedesignationsaffectperceptionofscenicbeautyin forestlandscape.ForestSciences27:392-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