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리얼 버라이어티 쇼에 내재된 동시대인의 일상 연구 = A Study of Interrelations of Up-To-Date ‘Everyday Life’ with Real Variety Shows

김진섭 2015년
논문상세정보
' 리얼 버라이어티 쇼에 내재된 동시대인의 일상 연구 = A Study of Interrelations of Up-To-Date ‘Everyday Life’ with Real Variety Show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대중문화
  • 리얼버라이어티쇼
  • 예능 프로그램
  • 일상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71 0

0.0%

' 리얼 버라이어티 쇼에 내재된 동시대인의 일상 연구 = A Study of Interrelations of Up-To-Date ‘Everyday Life’ with Real Variety Shows' 의 참고문헌

  • 한국 TV 예능 오락 프로그램의 변천과 발전
    강태영 윤태진 서울:한울아카데미 [2002]
  • 팔도 꼬꼬면 리뉴얼 하얀 라면 열풍 재점화 시도
    박미영 디지털 타임즈 [2013]
  •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주창윤 방송연구 통권59호,한국방송학회 [2004]
  •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서 웃음유발의 정치성 MBC-TV <무한도전 >의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김남일 한국방송학보 22권 6호,한국방송학회 [2008]
  • 텔레비전 비평론
    원용진 서울:한울아카데미 [2000]
  •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 :현실과 허구의 혼합을 통한 텔레비전의 장르형성에 대한 연구
    홍석경 방송문화연구,제16권 제1호,KBS방송문화연구소 [2004]
  •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
    박주연 서울:한국 언론재단 [2005]
  • 텔레비전 드라마의 사회학
    오명환 서울:나남 [1994]
  • 텔레비전 드라마 수용자연구: 다의성(polysemy)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오현 한국언론학회,한국언론학보 제46-6 [2002]
  • 카웰티,박성봉 편역, 「대중예술의 이론들」
    J.G 서울:동연 [2000]
  • 중국판 <나는 가수다>,두 번째 시즌 피날레
    윤기백 세계일보 [2014]
  • 일상적 삶의 상징적 창조성:심미적 인문주의와 유물론적 미학,안과 밖=영미문학 제28호
    여건종 영미문학연구회,(5) [2010]
  • 일상에서의 철학
    최종욱 서울:지와 사랑 [2000]
  • 일상성 일상생활연구회, 현대 한국사회의 일상문화코드
    박재환 파주:한울 [2004]
  • 음식의 생산과 문화의 소비
    김광억 한국문화인류학 제26집 [1994]
  • 오상훈 옮김,「신유한계급론」
    MacCannell,D. 서울:일신사 [1994]
  • 예능에 반한 중국 방송사 “사자” 열풍
    백솔미 한국형 스포츠동아 인터넷판 [2014]
  • 연예인이 아닌데 재밋네
    안진용 한국일보 [2007]
  • 여행 예능 그곳에 꼭 가겠다고요?
    김성규 동아일보 [2014]
  • 앨리슨 백델,김인숙 옮김,「재미난 집:어느 가족의 기묘한 이야기」
    글논 그림밭,(3) [2003]
  • 앙리 르페브르,박재환,일상성 일상생활연구회 엮음,「일상생활의 사회학」
    마페졸리 미셀 파주:한울아카데미 [2010]
  • 슈츠,쥬크만 공저,김종길 역,「거대이론의 이기와 일상성의 재발견:현상학적 영위이론의 비판적 재검토」,사회과학연구
    덕성여자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2002 [1975]
  • 슈츠,주크만 공저,김종길 역,「거대이론의 이기와 일상성의 재발견:현상학적 영위이론의 비판적 재검토」, 사회과학연구
    덕성여자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2002 [1975]
  • 샤언 무어스(임종수,김영한 역),「미디어와 일상:TV,라디로,위성TV의 시작과 근대 사회의 일상 연구」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사회문화 교육방법으로서의 ‘일상생활’ 분석
    장원순 사회과 교육,제43권 4호,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4]
  • 뿌글리 건빵 밀리터리룩,군대가 뜬다
    정종욱 세계일보 [2013]
  • 브라운관을 장악한 리얼 버라이어티의 출발
    남우정 MBN스타 [2014]
  • 방송위원회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설정 기준에 관한 연구」,(8) [2004]
  •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대중문화산업과,/6.27 [2013]
  • 문화산업과 스토리텔링
    최혜실 서울:다할 미디어 [2007]
  •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황과 쟁점
    이재현 언론과 정보 제 2호,부산대학교언론정보연구소 [1996]
  •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서사전략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
    홍지아 한국방송학보통권 23권 제2호 [2009]
  • 리얼 벌이어티 쇼 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 연구:<무한도전> <1박2일><남자의 자격>을 중심으로
    김윤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리얼 버라이어티 촬영지,여행명소로 뜬다
    박종민 오마이 뉴스 [2008]
  •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확장성과 전통연회에 대한 소고:년 <무한도전> 이후를 중심으로
    김진섭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4권 제8호,2004.(8) [2006]
  •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포맷화 가능성 연구 : <무한도전 > 을 중심으로
    송화 ,문화예술콘텐츠 제4호,문화예술학회 [2009]
  • 로렌스 그로스버그,박지영 역,“문화연구:기획의 역사,그 구성체의 시대”,언론정보연구 제 42권 1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05]
  • 라면 전쟁 ‘짜파구리’유행으로 ‘비빔전쟁’
    차병섭 인터넷 연합뉴스 [2013]
  • 드라마 ‘인어아가씨’ 시청자의 해독에 관한 연구
    김선남 원용진 정현욱 한국지역언론연합회,언론과학연구 제5권 제2호,(8) [2005]
  • 데프콘 어떻게 ‘먹방’의 지존이 됐나
    김교석 엔터미디어 [2013]
  • 데프콘 <무도> <1박2일>을 동시에 접수한 첫 남자
    김교석 엔터미디어 [2013]
  • 데틀레트 포이케르트(김학이 옮김),「나치시대의 일상사」
    서울:개마고원 [2003]
  • 대형마트까지 점령한 '진짜 사나이'
    공지영 경인일보 [2013]
  • 대중영상매체를 통해 바라본 한국 음식문화의 재인식
    김호연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제31권 3호 [2012]
  • 대중들의 카메라 밖 유재석 본다면...’
    이광수 정덕현 엔터미디어 [2013]
  • 대륙 홀린 중국판 <아빠 어디가> 오는 여름 시즌 2방송
    김윤지 스포츠 한국 [2014]
  • 까닭모를 인기몰이...‘무한도전’‘1박2일’5단계로 이해하기
    이현송 신동아 [2008]
  • 기획력 돋보인 성장 버라이어티 ...tvn‘꽃보다 누나’
    이상현 연합뉴스 [2013]
  • 그 영화에 정말 ‘여성’이 보이던가
    홍석재 한겨레 뉴스 [2013]
  • 국제적 유통상품으로서의 TV 포맷의 최근 경향과 한국 포맷의 해외진출 가능성에 대한 연구
    은혜정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22-6호,한국방송학회 [2008]
  • 국민생활체육회,KBS 2 ‘우리동네 예체능’감사패 수여
    김하진 헤럴드 경제 [2013]
  • 게임, 요리대결, 퀴즈 등의 버라이어티 쇼가 주류
    안창현 해외방송정보,(8) [2007]
  •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제1호
    홍숙영 한국콘텐츠학회,(1) [2010]
  • 「한국 근대연국사」
    유민영 단국대 출판부 [2000]
  • 「텔레비전에 대하여」,서울:동문선,HenriLefebure,박정자 역,「현대 세계의 일상성」
    부르디 피터 현택수 서울:기파랑,2005 [1998]
  • 「텔레비전 문화연구:흩어진 이미지의 파편들」
    박근서 서울:한나래 [1999]
  • 「텍스트와 문화콘텐츠」
    오장근 서울:한국문화사 [2006]
  • 「일제 강점기 사회극 연극」
    김재석 서울:태학사 [1995]
  • 「일상의 패러다임」
    강수택 서울 :민음사 [1998]
  • 「일상극 연구 ;탄생의 배경과 형식」
    서명수 『이코노미스트』통권1015호,(12) [2009]
  • 「오늘의 사회학」
    안병직 서울:한겨레신문사 [1998]
  • 「예능은 힘이 세다 :예능이 대중 문화를 지배할 수 없는 25가지 이유」
    김은영 파주:글항아리 [2011]
  • 「상상과 욕망의 시공간,극장의 역사」
    임동엽 서울:살림 [2005]
  • 「대중문화 속의 웃음,그 한계와 가능성」
    박근서 전규찬 서울:열림원 [2003]
  • 「근대사회의 여가문화」
    박재환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 「‘리얼리티 쇼’현대인을 위로하다」
    이윤정 서울:한국언론재단 [2009]
  • 「TV드라마,문화 그리고 사회」
    원용진 황인성 서울:한나래 [1997]
  • “향토음식점의 스토리텔링이 향토음식점 구매 행동에 미치는영향”
    박아름 조미숙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 25권 6호 [2010]
  • “한국생활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구미학계의 연구성과 비교의 관점에서”
    안병직 역사학보 제 21집,역사학회,(3) [2012]
  • “한국 텔레비전 코미디 프로그램의 통제 유형에 과한 연구”
    김웅래 방송시대 5호 가을 겨울 [1993]
  • “한국 영화사에서 여성관객의 영화관람 경험 연구:년대 중반에서1960년대 초반을 중심으로”
    변재란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8 [1950]
  • “텔레비전장치와 재연의 재현장치”
    홍석경 한국언론학보 43권 3호,한국언론학회 [1999]
  • “텔레비전의 사회적 이용:국제 결혼 한인 여성들의 TV이용동기와 유형에 대한 고찰”
    양정혜 한국지역언론연합회,언론과학연구 제1권 제2호,(8) [2001]
  •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특징이 질 평가와 시청 선택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프로그램 유형별,시간별,방송사별 프로그램 특성을 중심으로
    이종림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텔레비전 장르의 종합적 공진화(dualco-evolution):사극 <허준> <태조 왕건> 분석을 중심으로,한국방송학보 제16-1호
    원용진 주혜정 한국방송학회,(3) [2002]
  • “텔레비전 이야기하기 문화에 관한 연구”
    김예란 한국언론학보 제47권 6호,한국언론학회,(12) [2003]
  • “텔레비전 속 패러디하는 즐거움과 한계”
    박근서 한국언어문화 제27집,한국언어문학회 [2005]
  • “텔레비전 속 패러디하는 즐거움과 한계”
    박명진 한국언어문화 [2000]
  • “탈춤과 TV 마당놀이의 관련양상”
    박진태 우리말글,우리말글학회 제33권 [2001]
  • “케이블 TV의 자체제작 프로그램 활성화가 방송산업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용준 서울:방송문화진흥원 [2010]
  • “지역학의 개념과 방법론:일상생활문화사를 중심으로”
    노명환 국제지역연구 3.1,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3) [1999]
  • “지상파 방송의 주말 18시간대 프로그램 컨셉트에 대한 비판”
    주영호 프로그램텍스트 통권 제6호 [2002]
  • “재해석된 일상에 대한 연구”
    민들레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재난 보도에 나타난 TV 뉴스의 서사적 특성”
    최인자 국어교육 제1집,한국국어교육연구회 [2000]
  • “일상생활의 개념과 일상생활론의 역사”
    강수택 사회과학연구 제15집,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9]
  • “일상생활사 접근법과 관점에 대한 노트”
    최규진 평화연구 제33집,경북대학교출판부 [2008]
  • “앙리 르페브르의 ‘일상생활 비판’에 대한 비판적 소론”
    최종욱 어문학논총 vil.3,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1997]
  • “신문화사적 관점에서 본 18세기 프랑스”
    백종률 프랑스사 연구 제 2호,한국프랑스사학회,(12) [1999]
  • “수용자의 드라마 여성 이미지에 대한 수용형태 연구”
    김선남 장해순 정현욱 한국방송학회,한국방송학보 통권 제18-1호 [2004]
  • “문화연구와 일상경험의 세계:발터 벤야민의 매체개념과 수용에 관한논의”
    김응숙 한국언론학보 제42-3호,한국언론학회 [1998]
  • “문헌정보학에 있어서 생활연구의 방법론적 함의:최근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김정근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 30-2호, 한국도서관정보학회,(6) [1999]
  • “마당극 양식의 원리와 특징”
    이영미 한국종합예술학교 한국예술연구소 [1996]
  •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재미 유발 가제에 관한 연구”
    김미라 방송연구 통권 제67호,한국방송학회 [2008]
  • “리얼 버라이어티 쇼 <무한도전>의 스토리텔링 연구
    김영성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누가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두려워 하랴?”
    최철웅 문화과학 통권 53호 [2008]
  • “그토록 낯선 그들:연극 문학 그리고 사회,언론문화연구 11집
    조은기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1994]
  • “국내 음식 스토리텔링 연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
    송영애 산경논총 제32권 2호 [2013]
  • “‘정글의 법칙’이 진정성 논란에 대처하는 방법”
    최보란 스타뉴스 [2013]
  • “‘오락적 현실감 작동 방식과 상호텍스트성 :리얼버라이어티 쇼 수용연구”
    박동숙 옥민혜 미디어, 젠더& 문화, 14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 “<무한도전>과 신자유주의”
    문형준 문화과학 통권 52호,문화과학사 [2007]
  • ‘히든싱어’‘응답하라’성공...지상파 떨게 만든 두 사람
    김성규 오마이 스타 [2013]
  • ‘트렌디 드라마’의 서사구조적 특징과 텍스트의 즐거움에 관한 이론적 고찰
    황인성 한국언론학보 43-5.한국언론학회 [1999]
  • ‘짜파구리 신드럼’짜파게티 2위 브랜드로 발돋움
    장원수 인터넷 한국일보 [2013]
  • ‘아빠 어디가?’ 김진표, 논란에서 하차까지
    문완식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14]
  • ‘무한도전’ PD “매 번 성공만 하면 ‘무한성공’이게요”
    조은별 노컷뉴스 [2008]
  • ‘맨발’
    하재근 ‘1박2일’강호동의 컵라면을 기억하는가,dongA.com-하재근의 이슈너머 [2013]
  • ‘꽃 할배’이서진 아줌마 웃음 왜 벌써 그리울까
    김교석 엔터미디어 [2013]
  • www
    becheltest.com(벡델 테스트)www.kbs.co.kr(KBS 2)
  • ko
    wikipedia.org(위키백과)www.britannica.co.kr(브리태니카 사전)
  • data.hunantv.com/show_s_815.htmldaum 텔레비존 게시판
    귀차나(글번호 :680) [2007]
  • Williams, Raymond, 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Oxford: OxfordUniversity Press, 1985.
  • TV 영상자막의 특징 및 기능에 관한 연구 : 지상파TV 3사의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중심으로
    정수영 한국언론학보 53권 6호, 한국언론학회,(12) [2009]
  • Reading television, London: Methuen, 1978.
  • RaymondWilliams,이일환 역,「이념과 문학」,서울:문학과 지성사.RogerCailois,LesJeuxetLesHommes,이상율 역
    “놀이와 인간”서울:문예출판사 [1994]
  • PD가 밝힌 중국판 <아빠 어디가> 인기 비결’
    김영희 정덕현 엔터 미디어 [2014]
  • PD 中<나가수>도 제작 참여..첫 플라잉 PD
    김영희 김현륵 머니투데이 [2011]
  • PD ‘나는 여행을 즐기지 않는다’
    나영석 서병기 헤럴드 경제 [2011]
  • Neale, “Questions of genre”, Screen, 31(1), 1990.Peukert, Detlev, Volksgenossen und Gemeinschaftsfremde, Bund-Verlag, 1982.
  • Maffesoli, Michel et Lefebvre, Henri, Current Sociology, Volume 37 Number 1.Moores, Shaun, Media and Everyday Life in Modern Society, Edinburgh: EdinburghUniversity Press, 2000.
  • MacCannell, Dean, The tourist: a new theory of the leisure class, Berkeley: Universityof California Press, 1999.
  • MBC <아빠 어디가> 1월 종영 예정
    김연지 일간 스포츠 [2014]
  • MBC <무한도전> 게시판,살리마(글번호 :5522),수호천사
    글번호 :592,2007.1.21 [2008]
  • LudtkeA.,알프 뤼케르 외,이동기 외 옮김,「일상사란 무엇이며,누가이끌어가는가?
    」서울:청년사,2002 [1990]
  • Lefebvre, H. Critique of everyday life volume one: introduction, trans. J. Moore.London: Verso. 1991.(La) vie quotidienne dans le monde moderne, Paris: Gallimard, 1968.
  • Joseph P. Natoli, “Librarianship as a Human Science: Theory, Method andApplication”, Library Research 4. 1982.
  • Jones, S. “But this time you choose!: Approaching the 'interactive' audience in realityTV”, International Journal Studies, 7(2), 2004.
  • Holmes, S, “But this time you choose!: Approaching the `interactive' audience in realityTV”,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studies, Vol.7 No.2, 2004.
  • Henri Lefebvre, La vie quotidienne dans le monde moderne, Paris: Gallimard, 1968.
  • Fiske, John et Hartely, John, Reading Terevision, New York: Methuen. 994.Reading television, London: Routledge, 1994.
  • Fiske, J. Television Culture, London; New York: Routledge, 1987.
  • Caillois, Roger, Les jeux et les hommes: Le masque et le vertige, Paris: Gallimard,1967.
  • Bourdieu, Pierre Sur la television: suivi de L'emprise du journalisme, Paris: Liber, 1996.
  • Alf Ludtke (Hg.), Alltagsgeschichte: zur Rekonstruktion historischer Erfahrungen undLebensweisen, Frankfurt; New York: Campus, 1989.
  • AGB 닐슨 미디어 리서치 시청율 조사/TNms넬슨 코리아 시청율 조사cafe
    dame.net/Bestdresser [2007]
  • ?텔레비전 코미디의 즐거움과 담론화하는 권력에 관한 연구?
    박근서 서강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논문 [1998]
  • <무한도전>,한국형 쌩얼
    강명석 한겨레 21,제632호,,26 [2006]
  • <내 이름은 김삼순 >에 대한 수용자의 현실적 공감과 즐거움에 대한 연구
    정영희 한국언론학보 51권 4호,한국언론학회 [2007]
  • /한국일보(손영우)
    한계레 1997.2.21 [1997]
  • '별 그대'등 한류 열풍에 빗장 걸어 잠그는 중국
    윤종은 조선비즈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