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영상 리얼리티와 미디어 가상에 의한 디지털 액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gital Actors in Image Reality and Media Virtuality

정태섭 2015년
' 영상 리얼리티와 미디어 가상에 의한 디지털 액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gital Actors in Image Reality and Media Virtualit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esthetics
  • digital actor
  • digital images
  • digital modernism
  • digital realism
  • hyperrealism
  • 디지털 리얼리티
  • 디지털 모더니즘
  • 디지털 액터
  • 디지털 이미지
  • 인문학
  • 하이퍼리얼리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45 0

0.0%

' 영상 리얼리티와 미디어 가상에 의한 디지털 액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gital Actors in Image Reality and Media Virtuality' 의 참고문헌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두시점의 개념자』
    푸른역사 [2013]
  • 프로이드,박정수,『(쉽게 읽는)꿈의 해석』
    두리미디어 [2013]
  • 폴 리쾨르,김동규,박준영 역,『해석에 대하여(프로이트에 관한 시론)』
    인간사랑 [2013]
  • 클레어 던,공지민 역,『카를 융 영혼의 치유자』
    지와 사랑 [2013]
  • 크리스티앙 메츠,이주진 역,『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
    문학 과 지성 [2011]
  • 철학 VS 철학
    강신주 그린비 [2010]
  • 챈들러,강인규 역,『미디어기호학』
    대니얼 소명출판 [2006]
  • 창의융합 콘서트
    최재천 엘도라도 [2013]
  • 차이와 타자
    서동욱 문학과 지성사 [2000]
  • 진중권의 이매진
    진중권 씨네21북스 [2010]
  • 증서』
    김석 낭시 문자라는 문학과 지성사 [2011]
  • 제이 데이비드 볼터,리처드 그루신,이재현 역,『재매개』,,2006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 정보네트워크 사회의 재현
    류재형 언론학연구 제 10권 3호
  • 장 보들리아르,이규현 역,『기호의 정치경제학 비판』
    문학과 지성사 [2001]
  • 장 보드리야르,하태완역 ,『시뮬라시옹』
    민음사,1992 [1981]
  • 인문학은 행복한 놀이다
    김무영 씽크스마트 [2013]
  • 인문학은 밥이다
    김경집 RHK [2013]
  • 인문학 개념정원
    서영채 문학동네 [2013]
  • 이미지 인문학 1
    진중권 천년의 상상 [2014]
  • 월간3D Artisan
    이준엽 (주)아티산 엔터프라이즈 [2001]
  • 월간3D Artisan
    장현진 (주)아티산 엔터프라이즈 [2006]
  • 예술과 테크놀로지
    고명석 도서출판 새빛 [2014]
  • 역,『코르푸스』
    김예령 낭시 문학과 지성사 [2012]
  • 역,『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김현 미셀푸코 민음사 [1995]
  • 역,『생각을 바꾸는 생각』
    마이클 미칼코 박종하 끌리는 책 [2013]
  • 얀 칩체이스,야나 마키에이라 역,『관찰의 힘』
    위너스북 [2013]
  • 앙드레 바젱,박상규 역,『영화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2001]
  • 알렝드 보통,정명진 역,『철학의 위안』
    청미래 [2012]
  • 알랭드 보통,최민우 역,『뉴스의 시대』
    문학동네 [2014]
  • 알랭 바디우 외,현성환 역,『라캉,끝나지 않은 혁명』
    문학동네 [2013]
  • 시각특수효과 영상의 이미지 분해와 재조합에 관한 사례연구
    정태섭 디자인지식포럼,제 [2009]
  • 슬라보예 지젝,조형준,『라캉카페』
    새물결 [2013]
  • 슬라보예 지젝,조형준 역,『헤겔 레스토랑』
    새물결 [2013]
  • 스티브 트롬블리,김영범 역,『인문학 지도』
    지식갤러리 [2013]
  • 스티브 디 캐츠,김학순,최병근 역,『영화연출론 Shotby Shot』
    시공 사 [2008]
  • 빌렘 플루서,윤종석 역,『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문예출판사 [1998]
  • 빌렘 플루서,김성재 역,『디지털가상』
    피상성예찬 [1991]
  • 비트겐슈타인 철학으로의 초대
    박병철 필로소픽 [2014]
  • 브루스 누스바움,김규태 역,『창조적 지성』
    21세기북스 [2013]
  • 브라이언 보이드, 남경태 역. 이야기의 기원
    휴머니스트 [2013]
  • 버트런드 러셀,서상복역,『러셀 서양 철학사』
    을유문화사 [2009]
  • 방송소프트웨어 육성 발전을 위한 종합대책 연구
    최양수 방송문화 진흥회 역음,『영상시대의 방송 소프트웨어,한올 [1996]
  •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
    서동욱 문학과 지성사 [2014]
  • 미술관옆 인문학 1
    박홍순 서해문집 [2011]
  • 미디어 삼국지
    김영환 삼성경제연구소 [2007]
  • 멕루헌,김상호 역,『미디어의 이해』
    마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 메를로 퐁티,류의근,『지각의 현상학』
    모리스 문학과 지성사 [2002]
  • 마리아 코니코바,박인균 역,『생각의 재구성』
    청림출판 [2013]
  • 리처드 니스벳,최인철 역,『생각의 지도』
    김영사 [2004]
  • 루돌프 아른하임,『미술과 시지각』
    기린원 [1990]
  • 로만 야곱슨,박여성 역,『언어의 토대』
    문학과 지성사 [2009]
  • 렐프 페브르 외,이가람 역,『스무살의 사회학』
    민음사 [2013]
  • 렌슬롯 호그벤,김지운 역,『동굴벽화에서 만화까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 레이 몽크,남기창 역,『비트겐슈타인 평전』
    필로소픽 [2012]
  • 레비 저,김동윤 외 공역,『사이버문화』
    피에르 문예출판사 [2000]
  • 랑시에르,김상윤 역,『이미지의 운명』
    자크 현실문화 [2014]
  • 디지털화 영상과 가상공간
    이원곤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 디지털 캐릭터의 UV현상에 관한 연구
    김남훈 경성대학교 디지털 디자인 전문대학원 [2013]
  • 디지털 영화와 사실주의 미학
    이재현 언론정보 연구,제42권 제2호 [2006]
  • 디지털 시대의 영화산업
    김건 삼성경제연구소 [2006]
  • 디자인 문화실험실,『디자인문화비평 04』,진중권,『디지털 복제 시대의 예술품』
    안그라픽스 [2001]
  • 디자인 문화실험실,『디자인문화비평 04』,유지나,『영화 속의 하이테크, 하이테크 속의 영화:테크노-코기토로서의 SF 영화』
    안그라픽스 [2001]
  • 두산대백과사전 http://100
    naver.com/100.nhn?docid=26126
  • 데이비드 크리스천,밥 베인,조지형 역,『빅 히스토리』
    해나무 [2013]
  • 데리다,김성도 역,『그라마톨로지』
    자크 민음사 [2010]
  • 더글러스 코플런드,김승진 역,『맥루언 행성으로 들어가다』
    민음사 [2013]
  • 그레고리 헤밀턴,김창대 외 역,『대상관계 이론과 실재』
    학지사 [2007]
  • 광고, 디지털 시대에도 필요한가
    박성용 삼성경제연구소 [2007]
  • 관점을 디자인하라
    박용후 프롬북스 [2013]
  • 게리 켈러,제이 파파산,구세희 역,『원씽(TheOneThing)』
    비즈니스 북스 [2013]
  • 『형태지각과 구성원리』
    김지현 조열 창지사 [1999]
  • 『편집의 힘』
    김용길 행성:B잎새 [2013]
  • 『트랜드 지식사전 1』
    김환표 인물과 사상 [2013]
  • 『철학자의 노트』
    김환승 메가 북스 [2013]
  •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2』
    주현성 더좋은책 [2013]
  •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1』
    주현성 더좋은책 [2012]
  • 『절망의 인문학』
    오창은 이매진 [2013]
  •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강창래 박웅현 알마 [2009]
  • 『인문학명강 (동양고전)』
    강신주 고미숙 21세기북스 [2013]
  • 『인문의 바다에 빠져라 1』
    최진기 스마트북스 [2012]
  • 『이미지 인문학2』
    진중권 천년의 상상 [2014]
  • 『영상에서의 공간감 표현에 관한 연구』
    정태섭 산학기술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2010]
  • 『애니메이션 영화의 현상학적 지각에 의한 실재성』
    안세웅 홍익대학교 대학원:영상학과 [2008]
  • 『소비자본주의시대의 영상 게릴라들』,『한국 단편영화의 쟁점 들 2:이미지와 사운드,정치학,관계들』
    맹수진 소도 [2004]
  • 『선과 빛,욕망이론』
    권영택역 라캉 자크 문예출판사 [2012]
  • 『사이버스페이스 시대의 미학』
    심혜련 살림 [2006]
  • 『비언어적 형태의 서술과 프레이밍』
    조정혁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6-1 [2008]
  • 『방송시스템과 영상제작』
    유승식 구민사 [2013]
  • 『모든 순간의 인문학』
    한귀은 한빛비즈 [2013]
  • 박사
    『디지털 영상편집을 이용한 시각특수효과에 관한 연구』
    이윤정 영남대 학교 조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디지털 영상에서의 운동학적 움직임과 메커니즘에 관한연구』
    정태섭 디지털디자인학연구,Vol8,No.1,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 『디지털 놀이터』
    김홍탁 중앙M&B [2014]
  • 『뉴미디어 영상미학』,『컴퓨터 영화』
  • 『8개의 철학 지도』
    김선희 지식너머 [2014]
  • 『3dsmax로 만드는 3D 캐릭터 애니메이션』
    이천주 한빛미디어 [2006]
  • 『3D 애니메이션에서 시각특수효과의 표현에 관한 연구』
    박범수 세종 대학교 영상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5]
  • https://mirror.enha.kr/wiki/%EB%A7%A4%ED%8A%B8%EB%A6%AD% EC%8A%A4(%EC%98%81%ED%99%94)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0789&cid=43667&categoryId=4 3667
  • http://ko.wikipedia.org/wiki/%ED%94%84%EB%9E%80%EC%8B%9C%EC%8A%A4%EC%BD%94_%EA%B3%A0%EC%95%BC
  • http://blog.naver.com/ahddnwhtpqzl?Redirect=Log&logNo=120036770068
  • http://100.naver.com/100.nhn?docid=747948
  • http://100.naver.com/100.nhn?docid=104058
  • Worldoftomorrow
  • TRON
  • SteveWright,민경원 외,『시각특수효과의 영상합성의 이해』
    책과 길 [2011]
  • OscarGustaveRejlander,『AnApologyforArt-Photography(1863).In: VickiGoldberg(ed.),PhotographyinPrin』t:WritingsFrom 1816tothe Present,UniversityofNew MexicoPress,1988.
  • MargotLovejoy,PostmodernCurrents: 『Artand Artists in the age of ElectronicMedia』,New Jersey:plrentice-Hall,1992.
  • Lynn Pocock,Judson Rosebush,『ThecomputerAnimator'sTechnical handbook』,MorganKaufmann,2002.
  • JakeHamilton,『SpecialEffects』,DK PUBLISHING, 1998.
  • JBaudrillard,하태환 역,『시뮬라시옹』
    민음사 [1992]
  • FinalFantasy:TheSpiritsWithin
  • DouglasKellner『Postmodernism asSocialTheory :SomeChallenges andProblemsTheory,Culture& Society』,London:SAGE.
  • Bordwell,D.(1989).『Making Meaning:Inference and Rhetoric in the Interpretation ofCinema』.Cambridge & London:Harvard University Press.
  • 3D Artisan2007.4Vol.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