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SNS의 게임화 연구

권보연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권보연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gamification of SNS
    • 형태사항 viii, 231 p.: 삽화
    • 일반주기 지도교수: 류철균, 참고문헌: p. 210-2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2015. 2. 졸업, 디지털미디어학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DC 700
    • 발행지 서울 :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0)
인용/피인용

' SNS의 게임화 연구' 의 참고문헌

  • 현대소설의 이론과 분석
    송명희 푸른사상 [2006]
  • 전재연 역, 『디지털 시대의 가상현실』
    궁리 [2002]
  • 장성진 역, 『하프리얼: 가상 세계와 실제 규칙 사이에 존재하는 비디오게임』
    비즈앤비즈 [2014]
  • 인터랙티브 미디어와 놀이
    김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 이정엽 역,『캐주얼 게임: 비디오게임과 플레이어의 재창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 윤형섭 역, 『게임 디자인 원론 2』
    지코사이언스 [2013]
  • 에스케이 커뮤니케이션즈
    <싸이월드> 서비스 철학 기획 사내 자료 [2005]
  •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이상호 『디지털 정책 연구』, Vol.11, No.1,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3]
  • 소셜 미디어와 협력 사회
    노기영 한울 아카데미 [2012]
  • 설진아, 권오휴 역, 『뉴뉴미디어』, 피어슨 에듀케이션 코리아, Levy, Pierre, 권수경 역, 『집단지성』
    문학과지성사, 2002 [2011]
  • 뉴미디어 아트와 게임 예술
    유원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김성기, 이한우 역, 『미디어의 이해:인간의 확장』
    민음사 [2002]
  • 김상호 역,『미디어의 이해:인간의 확장』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 김겸섭 역,『억압받는 사람들을 위한 비디오게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글쓰기 공간으로서의 SNS: 재매개, 환유, 에크프라시스
    이재현 『커뮤니케이션 이론』, 8권, 1호 [2012]
  • 게이미피케이션 마케팅
    김형택 영진닷컴 [2013]
  • 박사
    『중국 SNS의 레벨시스템 연구
    JIN, YAN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 미디어 학부 석사학위 논문 [2014]
  • 『소셜 미디어 특강』, 에이콘, 한혜원,『디지털게임 스토리텔링: 게임 은하계의 뉴 패러다임』
    한상기 살림, 2005 [2014]
  • 『바흐친의 산문학』
    Morson, Gary Saul Gary, Emerson, Caryl, 오문석 차승기, 이진형 역, 책세상 [2006]
  • 『게임, 세계를 혁명하는 힘』
    박상우 씨엔씨미디어 [2000]
  • 박사
    『게임 구조의 리얼리티 쇼 연구 : '서바이버(Survivor)'를 중심으로』
    장정운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석사학위논문 [2009]
  • 「프롤로그: 트위터란 무엇인가」
    이재현 『트위터란 무엇인가: 다학제적 접근』,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기획, 이재현 엮음,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 「판단과 판단력의 의미: 칸트의 판단력 비판을 중심으로」
    김광명 『칸트연구』, Vol.12,한국칸트학회 [2003]
  • 「트위터 기반 대안 미디어의 게임성 연구」
    류철균 문아름 『한국 컴퓨터 게임학회 논213문지』, Vol.26, No.3, 한국 컴퓨터 게임학회 [2013]
  • 「인터넷 게시판 실명제의 효과에 대한 실증 연구: 제한적 본인확인제 시행에 따른 게시판 내 글쓰기 행위 및 비방과 욕설의 변화를 중심으로」
    나현수 우지숙 최정민 『행정논총』, 제48권, 1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 「인맥연결 형 네트워크 유형에 대한 사례분석: 싸이월드와 페이스북을중심으로」
    김준호 은혜정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8, No.4,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 「엔텔레키를 중심으로 해석한 맥루한의 미디어 개념」
    김상호 『언론과 사회』, 12권, 4호, 성곡 언론 문화재단 [2004]
  • 「싸이월드와 트위터에 나타난 나르시시즘 표현 양상에 대한 연구: 자크라깡의 거울 단계 이론을 중심으로」
    김민정 이길형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9, No.3,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1]
  • 「수용자 관점을 준거로 한 콘텐츠 분류 방법」
    이연숙 하동원 『한국디자인포럼』, Vol.18, 한국 디자인 트렌드 학회, , 270면 [2008]
  • 「소셜미디어 중독의 영향 요인 연구,『韓國 言論學報』
    이상호 이연 한국언론학회,Vol. 57, No.6 [2013]
  •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사회적 플레이에 관한 연구」,『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 24, No.1
    권보연 한국 컴퓨터게임학회 [2011]
  • 「소설미디어 위치기반서비스(LBS)의 감시기제와 시선의 권력」
    김성은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6,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 「맥루한의 미디어: 인쇄, TV, 그리고 인터넷 미디어를 중심으로」
    조맹기 『한국출판학연구』, 통권 51호, 한국출판학회 [2006]
  • 「맥루언의 "매체"와 그 메시지」
    정연교 『언론문화연구』, 서강대학교언론문화연구소 [2002]
  • 「매체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
    박영욱 『매체철학의 이해』, 인간사랑 [2005]
  • 「마샬 맥루한의 미디어론: 이론과 사상-<구텐베르크 은하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6-4호
    이윤진 임상원 한국언론학회 [2002]
  • 「디지털 게임의 서사학 시론: 에이전시와 다중시점의 문제를 중심으로,『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36
    이정엽 한국 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7]
  • 「긴장과 몰입의 근본 원인: 왜 게임에 몰입할 수밖에 없는가,『디지털 스토리텔링 연구』, Vol.1
    김유중 디지털 스토리텔링 학회 [2006]
  • 「가상 세계 진화 모델로서 소셜 미디어의 공간 특성 연구: 들뢰즈 가타리의공간 개념을 중심으로」,『인문콘텐츠』
    권보연 인문콘텐츠학회, , 127-148면 [2011]
  • 「M.맥루언의 ‘매체와 매체론의 함의」
    박성진 『高凰論集』, Vol.32, 慶熙大學校 大學院 院友會 [2003]
  • http://ubm.io/1w956Hp
  • http://tcrn.ch/1xsfbF1
  • http://on.fb.me/1xwAkPb
  • http://lineplay_kr.blog.me
  • http://g4.tv/1mKm7q6
  • http://g4.tv/1kjoV9M
  • http://bit.ly/S7xFI8
  • http://bit.ly/Qhitrs
  • http://bit.ly/1xicapq
  • http://bit.ly/1x0vgO0
  • http://bit.ly/1x0B8a6
  • http://bit.ly/1wmLj9I
  • http://bit.ly/1vluWw0
  • http://bit.ly/1v5EWVN
  • http://bit.ly/1t25ECv
  • http://bit.ly/1sD2stP
  • http://bit.ly/1rSaTl6
  • http://bit.ly/1ofyj4r
  • http://bit.ly/1o448XU
  • http://bit.ly/1nq4Yzv
  • http://bit.ly/1mhFq9x221
  • http://bit.ly/1iBEcDC
  • http://bit.ly/1fveKBF
  • http://bit.ly/1EhrHaG
  • http://bit.ly/155OH09
  • http://bit.ly/13VQC6p
  • http://bit.ly/13FfDDB222No
  • http://bit.ly/11aPFWw
  • ___________________, The ambiguity of pla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 _________________, Global Twitter Behavior Q2 2014, 2014.
  • _________________, Global Facebook Behavior Q2 2014, 2014.
  • _______________, This might be a game: ubiquitous play and performance at theturn of the twenty-first century, PhD.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2006.
  • _______________(b), Simulation versus narrative: introduction to ludology, The videogame theory reader, edited by Mark J.P Wolf & Bernard Perron, Routlege,2003.
  • _____________, Tools for creating dramatic game dynamics, The game design reader:A rules of play anthology, The MIT press, 2006.
  • ____________, The art of failure: An essay on the pain of playing video games, MITPress, 2013.
  • __________, Unit operations: an approach to videogame criticism, The MIT Press,2006.
  • __________, Persuasive Games: Exploitationware, Gamasutra, 2011.boyd. d., Ellison. N. B,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2007.215
  • ______(b), GDC 2011, Gamification debate: To gamify or not to gamify?, 2011.
  • Ziv, D., Nina, Mulloth, Bala, An exploration on mobile social networking: Dodgeballas a case in point,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business, 2006.
  • Zichermann, Gabe, Cunningham, Christopher, 정진영, 송준호, 김지원 역, 『게이미피케이션: 웹과 모바일 앱에 게임 기법 불어넣기』
    한빛미디어 [2012]
  • Wolf, J.P., Mark, The medium of the video game,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1.
  • Werbach, Kevin, Hunter, Dan, 강유리 역,『게임하듯 승리하라』
    매일경제신문사 [2012]
  • WU, Yi, Zheng Wang, Klarissa Chang, Yunjie Xu, Why People Stick to Play SocialNetwork Site Based Entertainment Applications: Design Factors and FlowTheory Perspective, PACIS. 2010. pp. 1041-1050.
  • Varney, Allen, Lifegame 2020, the Escapist, issue 5, 2006.
  • Tuan, Yi-Fu, 구동회, 심승희 역, 『공간과 장소』
    대윤 [2007]
  • Tolkien, John Ronald Reuel, On fairy-stories, Oxford University Press, 1947.
  • Sutton-Smith, Brian, A syntax for play and games, Child's play, John Wileyu andSons, 1971.
  • Sudnow, David, Pilgrim in the Microworld, Warner Books, 1983.Suits, Bernard, The grasshopper: games, life and utopia, broad view press, 2005.
  • Sicart, Miguel, Defining game mechanics, Game Studies, 8.2, 2008.Stern, Craig, Some thoughts on gamification, Sinister Design, 2006.
  • Shaviro, Steven, Money for nothing: virtual worlds and virtual economies, The IcfaiUniversity Press, Hyderabad, 2008.
  • Seth, Priebatsch, The game layer on top of the world, TED talk Boston, 2010.220
  • Salen, Kate, Zimmerman, Eric, 윤형섭, 권용만 역, 『게임 디자인 원론1』
    지코 사이언스 [2010]
  • SNS의 열 가지 얼굴
    이재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SNS의 게임성 연구: 클래식 게임 모델의 테트래드적 분석
    권보연 『한국 게임학회논문지』, 제14권, 제 2호, 한국게임학회 [2014]
  • SNS 이용동기에 따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유형의 포지셔닝 탐색에 관한 연구
    김영애 신호균 『대한경영학회 학술연구발표대회』, Vol., No.6, 대한경영학회, 2013 [2013]
  • Rughini?, Razvan, Gamification for productive interaction: reading and working withthe gamification debate in education, Information Systems and Technologies(CISTI), 2013 8th Iberian Conference on, IEEE, 2013.
  • Rouse, III, Richard, Game design: Theory and practice. Jones & Bartlett Learning,Texas: wordware publishing, 2005.
  • Rheingold, Howard, 이재현 역,「머드와 다중 정체성」, 이재현 편, 『인터넷과 온라인게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 Rao, Valentina, Facebook Applications and playful mood: the construction ofFacebook as a third place, Proceedings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Entertainment and media in the ubiquitous era. ACM, 2008.
  • Radoff, John, 박기성 역, 『Gamification & 소셜 게임』
    에이콘 [2011]
  • R, 박기순 역, 『지구촌: 21세기 인류의 삶과 미디어의 변219화』
    McLuhan, M. Powers, B.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 Pearce, Celia, Tom, Boellstorff, Bonnie, A., Nardi, Communities of play: Emergentcultures in multiplayer games and virtual worlds, MIT Press, 2011.
  • Oldenburg, Ray, The great good place: Cafes, coffee shops, bookstores, bars, hairsalons, and other hangouts at the heart of a community, Marlowe, 1999.
  • Novak, Jeannie, 김재하 역, 『게임학 이론』
    청문각 [2006]
  • Nieuwdorp, Eva, The pervasive interface; Tracing the magic circle, Proceedings ofDiGRA 2005 Conference: Changing Views ? Worlds in Play, 2005.
  • Newman, James, 박근서, 홍성일, 곽경윤, 나보라, 강신규 역, 『비디오게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Murray, Janet, Horowitz, 한용환, 변지연 역, 『사이버서사의 미래: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안그라픽스 [2001]
  • Montola, Markus, Jaakko Stenros, Annika Waern, Pervasive games: theory anddesign, Morgan Kaufmann Publishers Inc., 2009.
  • Mcgonigal, Jane, 김고명 역, 『누구나 게임을 한다』
    RHK [2012]
  • McLuhan, Marshall, Eric McLuhan, Laws of media: The new science, Toronto: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89.
  • McLuhan, Marchall, 임상원 역, 『구텐베르크 은하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 Mayra, Frans, The contextual game experience: On the socio-cultural contexts formeaning in digital play, Proceedings of DiGRA, 2007.
  • Marwick, Alice, E., boyd, danah, I tweet honestly, I tweet passionately: Twitterusers, context collapse, and the imagined audience, New media & society13.1, 2011.
  • Manovich, Lev, 이재현 역, 『소프트웨어가 명령한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Manovich, Lev, Software takes command,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license,2008.
  • Man, Philip, Playing the real life: The ludification of social ties in social media, NewMedia Theories, 2011.
  • M?kel?, Tapio, Social networking beyond medieval economies, Walled garden,Virtueel platform, Denmark, 2009.
  • Lindeley, Craig, A., Sennersten, Charlotte C., Game play schemas: from playeranalysis to adaptive game mechanics, Proceedings of the 2006 internationalconference on Game research and development. Murdoch University, 2006.
  • Levinson, Paul, Digital mcluhan: a guide to the information millennium, Routledge,2001.
  • Leblanc, Marc, Mechanics, Dynamics, Aesthetics: a formal approach to game design,lecture at northwestern university, 2004.
  • Lazzaro, Nicole, Why we play games: Four keys to more emotion without story,Game Developers Conference, 2004.218
  • Laurel, Brenda, 유민호, 차경애 역, 『컴퓨터는 극장이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Lange, Andreas, edited by Borries, von F., Walz, P., S., B?ttger, M., Places to play:What game settings can tell us about games, Space Time Play: ComputerGames,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 Next Level, Birkhauser Architecture,2007.
  • Koji, Fukada, 김훈 역, 『소셜게임과 게이미피케이션으로 승부하라』
    비즈앤비즈 [2012]
  • Klevjer, Rune, Enter the avatar: the phenomenology of prosthetic telepresence incomputer games, The Philosophy of Computer Games, 2012.
  • Ken, 권경우, 김상우, 남청수, 오나라, 최남도 역, 『게임: 언어와 권력과컴퓨터 게임 문화』
    McAllister, S.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Juul, Jesper, Half-real: video games between real rules and fictional worlds, TheMIT press, 2005.
  • Jenkins, Henry, Mary, Fuller, Nintendo and new world travel writing: A dialogue,Cybersociety: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and community thousand,Sage, 1995.
  • Jenkins, Henry, Games, the new lively art, Handbook of computer game studies,2005.
  • Jarvinen, Aki. Game without frontier: Theories and methods for game studies anddesign, Doctorial dissertation study for media culture, University of Tempere,Finland, 2008.
  • Hunicke, Robin, Marc, LeBlanc, Robert , Zubek, MDA: A formal approach to gamedesign and game research, Proceedings of the AAAI Workshop onChallenges in Game AI. 2004.
  • Hume, Kathryn, 한창엽 역,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2000]
  • Huizinga, Johan, 김윤수 역, 『호모 루덴스: 놀이와 문화에 관한 연구』
    까치글방 [2010]
  • Hsieh, Yi-Ching, Hsieh, Jung-Kuei, Yi-Chu, F., Switching between social media:The role of motivation and cost, 2011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Economics, Business and Management, 2011.
  • Helguera, Pablo, 고기탁 역, 『사회참여 예술이란 무엇인가』
    열린책들 [2013]
  • Harden, Gina, Satisfaction with social networking sites: Effect of playfulness andchange in use, AMCIS 2010 Proceeding, 2010, pp.1-8.217
  • Haddon, Leslie, Kim, Shin Dong, Mobile phones and web based social networking:emerging practives in Korea with Cyworld, The journal of thecommunication network, Vol.6, Part 1, 2007.
  • Greschik, Stefan, 박상화 역, 『카오스와 카오스의 질서』
    자음과모음 [2010]
  • Global Web Index, Active Usage: Social Platforms Q2 2014, 2014.
  • G4TV(a), DICE 2011, Hot topic, Gamification vs gameplay, 2011.
  • Fullerton, Tracy, Chris, Swain, Steven, Hoffman. Game design workshop: Designing,prototyping, & playtesting games, CRC Press, 2004.
  • Frye, Notrhop, 임철규 역, 『비평의 해부』
    한길사 [2011]
  • Frasca, Gonzalo(a), Ludologists love stories, too: notes from a debate that nevertook place, DIGRA Conf., 2003.
  • Flanagan, Mary, Nissenbaum, Helen, Values at play in digital games, The MIT Press,2014.
  • Flanagan, Mary, Critical play: radical game design, The MIT press, 2009.
  • Fidler, Roger, 조영철 역, 『미디어모포시스: 뉴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 Ferrara, John, Games for Persuasion Argumentation, Procedurality, and the Lie ofGamification, Games and Culture, 2013.
  • Eskelinen, Markku, Cybertext poetics: the critical landscape of new media literarytheory, Continum, 2012.
  • Eriksson, Bjorn, Michal Musialik, Justin Wagner, Gamification-Engaging the Future,2012.
  • Elverdam, Christian, Espen, Aarseth, Game Classification and Game DesignConstruction Through Critical Analysis, Games and Culture 2.1, 2007.216
  • Elias, George Skaff, Richard Garfield, K. Robert Gutschera, Characteristics of games,The MIT press, 2012.
  • Dignan, Aaron, 고빛샘 역, 『게임 프레임』
    돋을새김 [2013]
  • Deterding, Sebastian, Bjork, L. Staffan, Nacke, E. Lennart, Dixon, Dan, Lawley,Designing gamification: creating gameful and playful experiences, CHI'13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2013.
  • Deterding, S., Khaled, R., Nacle, L., and Dixon, D., Gamification: Toward adefinition, CHI 2011 Gamification workshop proceedings, 2011.
  • Despain, Wendu, 김정태, 오석화, 윤형섭, 한동승, 한호성 역, 『게임 디자인 원리』
    에이콘 [2014]
  • Deleuze, G, 김상환 역,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 Crawford, Chris, Chris Crawford on game design, New Riders, 2003.
  • Costikyan, Greg, Uncertainty in games, MIT Press, 2013.
  • Cook, Dainel, What are game mechanics?, 2006.
  • Constine, Josh, Facebook Launches “Nearby Friends” With Opt-In Real-TimeLocation Sharing To Help You Meet Up, Techcrunch report, 2014.
  • Castronova, Edward, Exodus to the virtual world: How online fun is changingreality, Palgrave Macmillan, 2008.
  • Carton, Sean, Internet virtual worlds quick tour, Ventana press, 1995.
  • Cameron, Andy, Dissimulations: illusions of interactivity, Millennium Film Journal 28,1995.Carse, James, P., Finite and infinite games: a vision of life as play and possibility,Free press, 1986.
  • Caillois, Roger, 이상률 역, 『놀이와 인간』
    문예출판사 [2003]
  • Bruke, Brain, Gamify: How Gamification Motivates People to Do ExtraordinaryThings, Bibliomotion, 2014.Bunchball, Inc., Gamification 101: An introduction to the use of game dynamics toinfluence behavior, 2010.
  • Brown, Stuart, 윤미나 역, 『플레이, 즐거움의 발견』
    흐름출판 [2010]
  • Bogost, Ian, Asynchronous multiplay: Futures for casual multiplayer experience, OtherPlayers, 6(8), 2004.
  • Bateson, Gregory, A theory of play and fantasy, The Game Design Reader: A Rulesof Play Anthology, 2005.
  • Bartle, Richard, Hearts, clubs, diamonds, spade: players who suit MUDs, The gamedesign reader: A rules of play anthology, The MIT press, 2006.
  • Bakhtin, Mikhal, 전승희, 서경희, 박유미 역,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비 [2009]
  • Aarseth, 류현주 역, 『사이버텍스트』
    Espen, J. 글누림 [2007]
  • Aarseth, Espen, Elverdam, Christian, Game classification and game design:construction through critical analysis, Games and culture, Vol2. No.1,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