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전봉건 시의 이본과 결정판 확정에 관한 연구

김윤경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전봉건 시의 이본과 결정판 확정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전봉건
  • 한국 현대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1 0

0.0%

' 전봉건 시의 이본과 결정판 확정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황홀한 체험
    윤재근 전봉건 시집 『돌』, 현대문학사 [1984]
  • 현대시작법
    오규원 문학과 지성사 [1990]
  • 한국소설의 이론
    조동일 지식산업사 [1977]
  • 한국 현대시와 모더니즘
    문혜원 신구문화사 [1996]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생명성’ 연구
    서동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5]
  • 하르트무트 뵈메, 클라우스 셰르페, 오성균 외 역, 『문화와 문화학』
    한올 [2008]
  • 전후시에 대한 노오트 이장
    이어령 『한국전후문제시집』, 신구문화사 [1961]
  • 전봉건이승훈 대담, 「김종삼과 밧하와 이상」
    『현대시학』 년 7월호 [1973]
  • 전봉건론
    신동욱 『현대문학』, 1980. 9월호. [1980]
  • 전봉건, 『전쟁과 음악과 희망과』
    김광림 김종삼 자유세계사 [1957]
  • 쟝 삐에르 리샤르, 이기언 역, 「프랑시스 뽕쥬」, 『현대시세계』
    년 겨 울호 [1988]
  • 장희창 역, 『현대시의 구조』
    Hugo Friedrich 한길사 [1996]
  • 장영태 역, 『서정시: 이론과 역사』
    Dieter Lamping 문학과 지성사 [1994]
  • 장영란 역, 『공기와 꿈』
    G. Bachelard 민음사 [1993]
  • 장만영 역, 『시학입문』
    C. D. Lewis 정음사 [1958]
  • 위미숙 옮김,Structuralism in Literature
    Robert Scholes 새문사 [1987]
  • 원형적 이미지를 통한 구체성과 보편성의 통합-전봉건론
    유성호 『전봉 건』, 글누림 [2010]
  • 오현일이유영 공역,Grundbegriffe der Poetik
    E. Steiger 삼중당 [1978]
  • 앤소니가드슨, 권기돈 역, 『현대성과 자아정체성』
    새물결 [1997]
  • 시작 노오트-고쳐 쓰기 되풀이
    전봉건 『한국전후문제시집』, 신구문화 사 [1957]
  • 시운률론
    김기종 한국문화사 [1999]
  • 시와 상상력의 구조
    김현자 문학과 지성사 [1982]
  • 시에 대한 네 가지 관점
    김병택 『현대 시론의 새로운 이해』, 새미 [2004]
  • 시어론
    홍문표 창조문학사 [1994]
  • 시론
    김준오 삼지원 [1997]
  • 상상력과 인간
    김현 일지사 [1973]
  • 보리스 아이헨바움, 한기찬 역,『러시아 형식주의 문학이론』
    월인재 [1980]
  • 백석 시 전집
    이동순 창작과 비평사 [1987]
  • 백석 시 작품의 원전 비평적 고찰
    전정구 『비평문학』38 , 한국비평문학회 [2010]
  • 박인기 옮김, 『시와 담론』
    A. Easthope 지식산업사 [1994]
  • 문장부호의 번역학
    김도훈 한국문화사 [2011]
  • 문장론
    황송문 문학사계 [2007]
  • 로만 야콥슨, 신문수 역, 『문학 속의 언어학』
    문학과지성사 [2001]
  • 김상일 역, 『신화예술론』
    N. Frye 을유문고 [1971]
  • 국립국어원(공공언어과), 「어문규정해설」
    『한글맞춤법』 [1988]
  • 『현대시의 방법론과 모더니티』
    새미 [2009]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자아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6]
  • 『하아프를 잃어버린 올페우스』
    세대 [1964]
  • 『피리』
    문학예술사 [1979]
  • 『춘향연가』
    성문각 [1967]
  • 『전봉건의 아포리즘』
    현대시학, 년 8월호 [1988]
  • 『전봉건』
    김양희 글누림 [2010]
  • 『작가 연구 방법론』
    박종석 도서출판 역락 [2007]
  • 『언어와 문학의 이론』
    전규태 한국사회문제연구소 [1978]
  • 『아지랭이 그리고 아픔』
    혜원출판사 [1987]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연구』
    문학과지성사 [2003]
  • 『시를 찾아서』
    전봉건 청운출판사 [1961]
  • 『새들에게』
    고려원 [1983]
  • 『상상력과 논리』
    오세영 민음사 [1991]
  • 『사랑을 위한 되풀이』
    전봉건 춘조사 [1959]
  • 『사랑을 위한 되풀이』
    혜진서관 [1985]
  • 『북의 고향』
    명지사 [1982]
  • 『문학사와 장르』
    김준오 문학과 지성사 [2000]
  •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이선영 삼지원 [1993]
  • 『문학비평용어사전』
    민음사 [1996]
  • 『문학과 그 이해』
    국학자료원 [2003]
  • 『릴케연구 - 예술의 여정을 떠나는 수도사』
    김재혁 책세상 [1997]
  • 『돌』
    현대문학사 [1984]
  • 『꿈속의 뼈』
    근역서재 [1980]
  • 『기다리기』
    전봉건 문학사상사 [1987]
  • 「히메로스와 페이소스」
    『현대시학』, 년 10월호 [1974]
  • 「현대시의 불행한 단면」
    박인환 『주간국제』 [1952]
  • 「행복하게 타오르는 불의 상상력」
    『동서문학』 년 여름호 [2003]
  • 「한글맞춤법」
    김선경 김원경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 구사 [1998]
  • 「한국 현대시의 에로티시즘 연구」
    전미정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자아의식에 관한 연구」
    이상호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88]
  • 「한국 현대시사의 관점-한국 시 50년의 반성」
    조지훈 『한국시』 [1960]
  • 「한국 전후 모더니즘 시 연구-신동문, 전봉건, 김구용 시를 중심으 로」
    유정이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한국 전쟁의 시적 표현」
    이철범 『현대시학』 [1971]
  • 「한국 전쟁과 시의 세 양상」
    이승훈 『현대시학』, 년 5월호 [1974]
  • 「한국 모더니즘 시 화자의 시각 체제 연구-보는 주체로서의 화자와 보이는 대상으로서의 공간을 중심으로」
    정문선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3]
  • 「하프를 잃어버린 올페우스」
    조정권 『트럼펫천사』, 어문각 [1986]
  • 「하느님을 모신 무신론자1」
    박 호 『문학선』23호 [2010]
  • 「폐허의 세계와 관능의 형식-전봉건론」
    이광호 『50년대 시인들』, 나남 [1994]
  • 「테러리즘의 문학」
    『사회와 윤리』, 일지사 [1974]
  • 「추락과 상승의 시학」
    『새들에게』, 고려원 [1983]
  • 「제 1장 역사주의 비평 방법」
    이상섭 『문학연구의 방법』, 탐구당 [1980]
  • 「전후 십오년의 한국시」
    김춘수 『한국전후문제시집』, 신구문화사 [1957]
  • 「전후 모더니즘 시의 음악성과 시의식」
    오형엽 『한국시학연구』, 제25호, 한국시학회 [2009]
  • 「전봉건의 시세계」
    『우리의 삶과 문학』, 고려원 [1985]
  • 「전봉건의 서사정신과 서사갈래체계」
    민병욱 『현대시학』 년 2~4월 호 [1985]
  • 「전봉건의 상처」
    『현대문학』, 년 6월호 [1986]
  • 「전봉건을 찾아서」
    『김현문학전집 3』, 문학과 지성사 [1991]
  • 「전봉건과의 대담」
    『현대문학』 년 4월호 [1983]
  • 「전봉건 시의 지평 구조 연구」
    고연숙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전봉건 시의 의식과 반복구조」
    조영복 『어문연구』91, 한국어문교육연구 회 [1996]
  • 「전봉건 시의 신체훼손 이미지 연구」
    오채운 『한국언어문화』, 한국언어문화학회 [2003]
  • 「전봉건 시의 생명 의식 연구」
    『반교어문연구』, 반교어문학회 [2006]
  • 「전봉건 시의 반복, 변주, 변용 기법 고찰」
    오형엽(Hyung-yup, Oh) 『어문연구』, 제63호, 어문연구학회 [2010]
  • 「전봉건 시와 생명회복의 원리」
    전미정(Jun Mi-Jung) 『국제어문학』, 국제어문학회 [2004]
  • 「전봉건 시에 나타난 ‘돌’의 시적변용」
    권영진 『숭실어문』, 숭실어문학회 [2001]
  • 박사
    「전봉건 시 연구」
    정영미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8]
  • 「전봉건 시 연구」
    이건청 『한국학논집』 제35호 [2001]
  • 「전봉건 시 연구-주요 이미지를 중심으로」
    강경희 『숭실어문』, 숭실어문 학회 [2000]
  • 「전봉건 시 연구-주요 이미지를 중심으로」
    김양희 엮음, 『전봉 건』, 글누림 [2010]
  • 「이미지즘 효과의 시어」
    최정례 『백석 시어의 힘』, 서정시학 [2008]
  • 「에로스의 시학-전봉건의 시사적 위상」
    남진우 『나사로의 시학』, 문학동 네 [2013]
  • 「어둠속을 나는 꿈의 새」, 『기다리기』
    이형기 문학사상 [1987]
  • 「쓰여지는 일이 없는 시」
    『현대시학』 년 8월호 [1973]
  • 「시인과 독자의 광장」
    『자유문학』, 년 9월호 [1957]
  • 「시의 현대성과 비평」
    『전봉건 vs 이승훈 대담시론』, 문 학선 [2011]
  • 「시와 인식과 존재」
    『전봉건 vs 이승훈 대담시론』, 문학 선 [2011]
  • 「시와 거짓말」
    『문예』, 년 6월호 [1960]
  • 「시에 이르려는 기원」
    『전봉건 vs 이승훈 대담시론』, 문 학선 [2011]
  • 「상실의식과 탐구정신-625연작시를 중심으로」
    차한수 『현대시학』 년 6월호 [1989]
  • 「사유와 직관의 원근법」
    하현식 『현대시학』 년 3월호 [1985]
  • 「사물화된 일상성과 에로티즘의 시적 담론」
    『한국 현대시와 언어 의 풍경』, 태학사 [2001]
  • 「비극적 현실과 긴장의 언어-전봉건 시」
    이건청 『현대시학』 년 9월 호 [2001]
  • 「백석의 시세계와 창작방법」
    고형진 최두석 『백석』, 새미 [1996]
  • 「메모-나의 시, 나의 시론」
    『문학정신』 년 3월호 [1987]
  • 「말과 고절」
    『현대시학』 년 8월호 [1988]
  • 「년대 모더니즘 시 연구-박인환, 전봉건, 김수영을 중심으로」
    이소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3 [1950]
  • 「나의 문학, 나의 시작법」
    이승훈 전봉건 『전봉건 vs 이승훈 대담시론』, 문학선 [2011]
  • 「나의 문학, 나의 시작법」
    박정만 전봉건 『현대문학』 년 4월호 [1983]
  • 「꽃, 혹은 생명에의 원초적인 집착」
    홍신선 『현대시학』 년 5월호 [1974]
  • 「꽃, 천상의 악기, 표범에 대해서」
    『자유문학』 년 2월호 [1959]
  • 「김춘수의 허무 또는 영원」
    『현대시학』 년 11월호 [1973]
  • 「625체험과 시적 극복」
    『문학사상』, 년 8월호 [1988]
  • 「6.25와 北의 고향, 상실의 시적 극복」
    『현대시학』 년 6월 호 [1993]
  • R. Scholes, Semiotics and interpretation,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 Press, 1982.
  • N. Frye, The Educated Imagn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64.
  • N. Friedman & C.A. Mclaughlin, Poetry: An Introduction to its Form and Art, Harper & Row Publishers, 1963.
  • Modern Critical Term, Ed. Roger Fowler,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1973.
  • Dieter Gutzen 외 , 한상기 외 역, 『독일문예학입문』
    탐구당 [1990]
  • Coleridge, 김정근 옮김,『문학평전(Biographia Literaria)』
    옴니북스 [2003]
  • C. Brooks, R. P. Warren(ed), Understanding Poetry. Holt, Winston, 1976.
  • 1950년대 전봉건 시 연구
    강연호 『한국현대시의 미적 구조』, 신아출판 사, 2004 [1950]
  • 1950년대 시인들
    송하춘 이남호 나남, 1994 [1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