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이근삼 희곡의 특성 연구

정갑준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이근삼 희곡의 특성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극의 형식
  • 이근삼
  • 표현기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3 0

0.0%

' 이근삼 희곡의 특성 연구' 의 참고문헌

  • 희곡의 구조
    신현숙 문학과 지성사 [1990]
  • 희곡문학론
    민병욱 민지사 [1991]
  • 한국희곡과 기호학
    김성희 집문당 [1993]
  • 한국브레히트학회, 《브레히트 선집》 1, 2, 3
    연극과인간 [2011]
  • 한국극예술학회편, 《이근삼》극작가 총서 7
    연극과인간 [2010]
  • 한국 인물연극사(1~2)
    유민영 태학사 [2006]
  • 한국 사실주의 희곡, 그 욕망의 식민성
    이승희 소명출판 [2004]
  • 한국 노인의 삶: 진단과 전망
    김익기 생각의 나무 [1999]
  • 프라이탁, 임수택ㆍ김광요 역, 《드라마의 기법》
    구스타프 청록출판사 [1992]
  • 프라이, 임철규 옮김, 《비평의 해부》
    노스럽 한길사 [2000]
  • 편저, 《한국극작가ㆍ극작품론》
    민병욱 최정일 삼지원 [1996]
  • 편,《표현주의 문학론》
    박찬기 민음사 [1990]
  • 이태주 옮김, 《연극원론》
    G.B. Tennyson 현대미학사 [1992]
  • 이성계의 부동산》
    이근삼 문학세계사 [1994]
  • 이근삼의 서사극 연구
    정진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 이근삼 희극의 유희성 연구
    이 반 《언론문화연구》 제11집 [1993]
  • 이근삼 희곡연구
    권순종 중문출판사 [1998]
  • 이근삼 희곡 연구 –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이설야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 이근삼 희곡 연구
    이근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 이근삼 희곡 연구
    백경선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 원재길 역, 《근대극의 이론과 실제》
    문학과 비평사 [1988]
  • 연극의 사회학, 희곡의 해석학
    김성희 문예마당 [1995]
  • 에드윈 윌슨, 채윤미 옮김, 《연극의 이해》
    예니 [1998]
  • 앙리 베르그송, 정연복 옮김, 《웃음》
    세계사 [1992]
  •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역, 《시학》
    문예출판사 [1992]
  • 스타이안, 윤광진 역, 《표현주의 극과 서사극》
    J. L 현암사 [1988]
  • 서사극 이론
  • 빅터 터너, 이기우ㆍ김익두 옮김, 《제의에서 연극으로》
    현대미학사 [1996]
  • 브레히트의 연극이론
    송윤엽 연극과인간 [2005]
  • 브레히트 연구
    이원양 두레 [1984]
  • 베른하르트 아스무트, 송전역, 《드라마분석론》
    한남대학교 출판부 [1986]
  • 민족문학사연구소 희곡분과 편, 《년대 희곡 연구》1, 2
    연극과인간, 2008 [1970]
  • 민족문학사연구소 현대문학분과, 《년대 문학연구》
    깊은샘, 1998 [1960]
  • 마리안네 케스팅, 차경아 옮김, 《서사극 이론》
    문예출판사 [1996]
  • 로버트 W. 코리간, 송옥 옮김, <희비극>, 《비극과 희극, 그 의미와 형식》
    고 려대학교출판부 [1995]
  • 레이먼드 윌리암스, 임순희 옮김, 《현대비극론》
    학민사 [1985]
  • 데이비드 콜, 허동성 옮김, 《연극이벤트의 미학》
    현대미학사 [1995]
  • 김호순박사 정년퇴임 기념논총간행위원회, 《한국희곡작가연구》
    태학사 [1997]
  • 김미혜ㆍ이경미 역, 《20세기 연극》
    Manfred Brauneck 연극과인간 [2000]
  • 김길중 역, 《표현주의》
    R. S. Furness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5]
  • 국물있사옵니다
    이근삼 문학세계사 [1988]
  • 《流浪劇團》
    이근삼 범한서적 [1976]
  • 《희곡원론》
    이상호 도서출판 둥지 [1993]
  • 《한독문학연구》3
    이유영 서강대학교 출판부 [1983]
  • 《한국현대희곡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 《한국연극사》
    유민영 보성문화사 [1982]
  • 《한국근대희곡사》
    서연호 고려대학교출판부 [1996]
  • 《포스트 모던 시대와 한국연극》
    이미원 현대미학사 [1996]
  • 《이근삼 전집》 전6권
    이근삼 연극과인간 [2008]
  • 《우리는 지금 醜學의 시대로 가는가》
    김윤철 연극과인간 [2000]
  • 《연극의 해부》
    Esslin, Martin 도서출판 신아 [1988]
  • 《연극의 이해》
    한옥근 국학자료원 [1998]
  • 《연극의 세계》
    김성희 태학사 [1996]
  • 《연극개론》
    이근삼 문학사상사 [1980]
  • 《역사와 실존》
    홍창수 연극과인간 [2006]
  • 《드라마 분석 방법론》
    김용수 집문당 [2004]
  • 《뒤렌마트 연극론》
    최병준 예니 [1999]
  • 《독일표현주의드라마》
    조창섭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1]
  • 《독일문학사조사》
    지명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 《독일 현대 희극론》
    이정린 한국학술정보(주) [2006]
  • 《第十八共和國》
    이근삼 범한서적 [1967]
  • 《大王은 죽기를 거부했다》
    이근삼 문학세계사 [1986]
  • Oscar G. Brockett, The Essential Theatre,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1980.
  • Northrop Frye, A Natural Perspective, Columbia Univ. Press, 1965.
  • G. 브로게트ㆍ프랭크린 J. 힐디, 홍창수ㆍ전준택 옮김, 《연극의 역사》 Ⅰ,Ⅱ
    오스카 연극과인간 [2005]
  • G. 브로게트, 김윤철역, 《연극개론》
    오스카 한신문화사 [1989]
  • Edwin WilsonㆍAlvin Goldfarb, 김동욱 옮김, 《세계 연극사》
    한신문화사 [2000]
  • Die moderne Tragikom die, 김종대 역, 《독일 희곡이론사》
    K. Guthke 문학 과 지성사 [1990]
  • <현대적 우화의 세계>, 《대왕은 죽기를 거부했다》
    서연호 문화세계사 [1986]
  • <해방이후 중등 국어교재의 희곡작품 고찰>,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한재경 석 사학위 논문 [1991]
  • <한국현대연극의 서사극적 양상 연구 – 이근삼, 오태석, 이강백 작품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대학원
    이성태 박사학위 논문 [2002]
  • <한국반사실주의 희곡 연구 – 오태석ㆍ이현화ㆍ이강백 작품을 중심으 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혜령 박사학위 논문 [1995]
  • <한국 희극의 풍자성 연구 - 송영, 오영진, 이근삼을 중심으로>, 고려대 학교 대학원
    홍창수 박사학위논문 [1997]
  • <한국 정치극 연구 1: 박정희 정권시대~1979)를 중심으로>, 《한 국극예술연구》 제18집
    김성희 한국극예술학회, 2003 [1961]
  • <한국 사실주의 희곡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김방옥 박사학위 논문 [1987]
  • <한국 모더니즘 희곡 연구 – 년대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 원
    김영학 박사학위 논문, 1999 [1960]
  • <프리드리히 뒤렌마트의 연상적 희곡론 – 그의 “고유세계”들에 적용된 “희곡론적 생각”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이경미 박사학위 논문 [1997]
  • <풍자 텍스트에 나타나는 텍스트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백희 석사학위 논문 [2005]
  • <표현주의 논쟁과 브레히트>,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6호
    최영진 한국브 레히트학회 [1998]
  • <이근삼의 희극 세계 – 고인을 추모하며>, 《공연예술저널》 제6호
    정진수 성 균관대학교 공연영상문화연구소 [2003]
  • <이근삼의 희곡세계>, 《공연과 리뷰》 1
    김만수 현대미학사 [1994]
  • <이근삼의 재판극에 관한 소론>, 《언론문화연구》 제11집
    김미도 서강대 언론 문화연구소 [1993]
  • <이근삼의 노배우 소재 희곡 연구>, 《한국학연구》 제28집
    정우숙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 <이근삼의 『게사니』와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억척 어멈과 그의 자식 들』비교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제23집
    이상복 현대문학이론학회 [2004]
  • <이근삼과 오태석의 희곡에 나타난 복잡미묘성의 연구>, 《드라마논총》 제11집
    김용락 한국드라마학회 [1998]
  • <이근삼, 박조열 희곡의 희극성 고찰>, 《경희어문학》 제13집
    오영미 경희대 국문학과 [1993]
  • <이근삼 희곡의 현대극적 위상 - <아벨만의 재판>을 중심으로>, 《한민 족어문학》 제33집
    여세주 한민족어문학회, 년 [1998]
  • <이근삼 희곡의 일상성과 근대성 – 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 극예술연구》 제9집
    박명진 한국극예술학회, 1999 [1960]
  • <이근삼 희곡의 인물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지선 석사학위 논문 [2007]
  • <이근삼 희곡의 인물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김옥심 석사학위 논문 [2000]
  • <이근삼 희곡의 역전된 담론의 의미>, 《조선문학》
    유진월 조선문학사 [1996]
  • <이근삼 희곡의 서사성 연구 - <국물있사옵니다>를 중심으로>, 《드라 마연구》 제26집
    신아영 한국드라마학회 [2007]
  • <이근삼 희곡의 서사극적 특성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이경희 석사학위 논문 [2001]
  • <이근삼 희곡의 변모양상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영화 석사학위 논문 [2003]
  • <이근삼 희곡의 노년 연구>, 《드라마연구》 제35호
    한국드라마학회 [2011]
  • <이근삼 희곡의 공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선영 석사학위 논문 [2005]
  • <이근삼 희곡에 나타난 풍자성 고찰>,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한영숙 석사학위 논문 [1998]
  • <이근삼 희곡에 나타난 탈리얼리즘론>, 《우암어문논집》 제6집
    김영희 부산외 국어대 국어국문학과 [1996]
  • <이근삼 희곡에 나타난 소외의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최승연 석사학 위 논문 [1999]
  • <이근삼 희곡에 나타난 공연성 연구 – 후기작품을 중심으로>, 《비교민 속학》 제54집
    이철우 비교민속학회 [2014]
  • <이근삼 희곡에 나타나는 서술적 자아의 양상>,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지민 석사학위 논문 [2007]
  • <이근삼 희곡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김상렬 박사학위 논문 [1998]
  • <이근삼 희곡 연구 - 메타연극적 전략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이화진 석사학위 논문 [2001]
  • <이근삼 희곡 「원고지」연구 – 표현주의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언 어문학》 제42집
    한국언어문학회 [1999]
  • <이근삼 희곡 <춘향아, 춘향아>연구 – 고전 <춘향전>의 희곡적 수용 양 상을 중심으로>, 《인문과학논집》 제24집
    임승빈 청주대 인문과학연구소 [2002]
  • <이근삼 희곡 <원고지>연구>, 《외대어문논집》 제14집
    박혜령 부산외국어대 학 어문학연구소 [1999]
  • <이근삼 희곡 <국물있사옵니다>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구승옥 석사학위 논 문 [1997]
  • <이근삼 후기희곡의 결말에 대한 고찰>, 《한국학 연구》 제32집
    이철우 고려 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 <이근삼 후기 작품의 형식과 의미 – 희곡집 『어떤 노배우의 마지막 연 기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제41집
    김지현 국어교육학회, 년 [2007]
  • <이근삼 초기 희곡 연구>, 《한국극예술연구》 제6집
    심상교 한국극예술학회 [1996]
  • <이근삼 단막극의 학자상 연구>, 《어문학》 제60집
    한국어문학회, 년 [1997]
  • <이근삼 「원고지」에 나타난 인물의 정형성>,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 원
    박부영 석사학위 논문 [2008]
  • <우리들의 정직한 자화상: 이근삼의 「화려한 가출」>, 《대산문화》 제 5호
    신현숙 대산문화재단 [2001]
  •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키에비츠의 『작은 저택에서』와 이근삼의 『원고지』에 나타난 탈리얼리즘적 표현기법 비교 연구>, 《동유럽발칸 학》 제6권 2
    최성은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4]
  • <브레히트의 초기희곡 “한밤의 북소리”에 나타난 유물론적 인간관 연 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요성 석사논문 [1992]
  • <브레히트의 서사극과 이근삼의 연극기법>, 인하대학교 대학원
    김미애 석사학 위 논문 [1995]
  • <변신과 비판적 무대작법 연구 – 이근삼 희곡론>, 《어문논집》 제25권
    김성진 중앙어문학회 [1997]
  • <베르톨트 브레히트와 동독의 초기 문화정책과의 관계 – 독일 고전주의 문학유산의 수용을 둘러싼 쟁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전휘원 박사학 위 논문 [1993]
  • <미국 극에 나타난 표현주의>, 《외대어문논집》 제1권
    김정수 부산외국어대학 교 어학연구소 [1986]
  • <멋진 연극의 윤리학 : 현대의 문화상황 속의 이근삼 연구>, 《언론문화 연구》 제11집
    김용호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1993]
  • <독일 표현주의 희곡 연구 – 발터 하젠클레버의 희곡 「아들」의 갈등구 조를 중심으로>,《독일어문학》 제9집
    장순란 한국독일어문학회편 [1999]
  • <독일 표현주의 초기의 세계관>,《사대논문집》 제35집
    이상금 부산대학교출판 부 [1998]
  • <년대 이근삼 희곡에 나타난 아이러니 연구>, 《새국어교육》 61 호
    박영정 한국국어교육협회, 2001 [1960]
  • <김우진의 표현주의와 「난파」연구>, 《목원어문학》 제12호
    홍창수 목원대학 교 국어교육과 [1993]
  • <“대왕은 죽기를 거부했다”에 나타난 희극성 연구>, 《인문과학연구》
    김영학 조선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7]
  • <<국물있사옵니다>를 통해 본 혼란기의 상흔>, 《영남어문학》 제26집
    윤일수 영남어문학회 [1994]
  • <<광인들의 축제>연구>, 《한중인문학연구》 제23집
    이희규 중한인문과학연구 회 [2008]
  • 박사
  • 1960년대 이후 한국 현대희극 연구
    최 정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 박사
    1960년대 이근삼 희곡의 극작술 연구
    김현철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 1960년대 서사극의 수용과 전개 - 이근삼 희곡을 중심으로
    심상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8]
  • 1960년대 멜로드라마 연구 - 연극ㆍ방송극ㆍ영화를 중심으로
    윤석진 한양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0]
  • 박사
    1960-70년대 한국희곡의 비사실주의적 전개 양상
    정우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7]
  • 1930년대의 표현주의, 리얼리즘 논쟁연구 – 루카치와 브레히트의 문학 유산에 관한 논쟁을 중심으로
    김연순 수선논집 제15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학생회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