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신동엽 시의 혁명 미학 연구 : 아나키즘을 중심으로

김양선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신동엽 시의 혁명 미학 연구 : 아나키즘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공동체성
  • 극성
  • 반시
  • 백제정신
  • 삽화
  • 상호부조성
  • 서술성
  • 신동엽
  • 아나코-코뮤니즘
  • 아나키
  • 저항성
  • 콜라주
  • 크로포트킨
  • 혁명 미학
  • 혁명성
  • 혁명의 서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85 0

0.0%

' 신동엽 시의 혁명 미학 연구 : 아나키즘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홍세화 옮김, 『청년에게 고함』
    낮은산 [2014]
  • 혼돈의 시대에 구상하는 문학의 논리
    염무웅 창작과비평사 [1995]
  • 현대시의 서사 지향성과 미적 구조
    고형진 시와 시학사 [2003]
  • 헤겔, 두행숙 옮김, 『헤겔의 미학 강의』1,2,3
    G.W.F 은행나무 [2010]
  • 한국전후 문제시인 연구
    김학동 1?2, 예림기획 [2005]
  • 한국의 아나키즘
    이호룡 지식산업사 [2001]
  • 한국아나키즘 시와 생태학적 유토피아
    김경복 다운샘 [1999]
  • 한국아나키즘 100년
    구승회 이학사 [2004]
  • 한국시와 시적 아나키」
    진수미 『우리말글』42호, 우리말글학회 [2008]
  • 한국민족사학회 편, 『일제하 아나키즘운동의 전개』
    국학자료원 [2003]
  • 한국 현대시와 리얼리티
    김윤태 소명 [2001]
  • 한국 시의 아나키즘 영향과 무정부 낙원관
    송희복 『비평문학』제46호, 한국비평문학회 [2012]
  • 한국 서사시와 서사시인 연구
    민병욱 태학사 [1998]
  • 한국 근대 아나키즘 문학, 낯선 저항
    김택호 월인 [2009]
  • 하기락 역, 『전원 공장 작업장』
    형설출판사 [1993]
  • 하기락 역, 『근대 과학과 아나키즘』
    도서출판 신명 [1993]
  • 프리체, 김후 옮김, 『예술사회학』
    온누리 [1986]
  • 프리드리히 엥겔스, 박광순 옮김, 『공상에서 과학으로-사회주의의 발전』
    범우사 [2006]
  • 프루동, 이용재 옮김, 『소유란 무엇인가』
    아카넷 [2013]
  • 폴 코블리 지음, 윤혜주 옮김, 『네러티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 폴 에브리치, 하승우 옮김, 『아나키스트의 초상』
    갈무리 [2004]
  • 페커 뷔르거, 이광일 역, 『아방가르드 예술이론』
    동환출판사 [1986]
  • 톨스토이, 김병철 역,「현대예술은 건강한 예술인가 」, 『문학과 행동』
    태극출판사 [1978]
  • 크로포트킨의 아나르코 코뮤니즘에 관한 연구
    최상급 동아대학교 석사논 문 [2003]
  • 크로포트킨, 구자옥 김휘천 옮김, 『상호부조 진화론』
    한국학술정부(주) [2008]
  • 최동호 옮김, 『헤겔 시학』
    G.W.F 열음사 [1987]
  • 촘스키, 이정아 옮김, 『촘스키의 아나키즘』
    노암 해토 [2007]
  • 천도교 경전 해의
    백세명 천도교중앙총부 [1969]
  • 존 크럼, 이문창 역,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아나키즘과 민족주의」, 『아나키즘 연 구』창간호
    자유사회운동연구회 [1995]
  • 정진업 옮김, 『시와 아나키즘』
    허버트 형설출판사 [1983]
  • 정남영?박서현 옮김, 『다중과 제국』
    안또니오 갈무리 [2011]
  • 젊은 시인의 사랑 -신동엽 미발표 산문집
    송기원 실천문학사 [1989]
  • 전봉준과 동학혁명
    조광환 살림터 [2008]
  • 전봉준, 혁명의 기록
    이이화 생각정원 [2014]
  • 장자 미학 사상
    임태규 도서출판 문사철 [2013]
  • 장자
    기세춘 바이북스 [2007]
  • 장 프레포지에, 이소희?김지은 옮김, 『아나키즘의 역사』
    이룸 [2003]
  • 자유주의의 역사
    노명식 책과 함께 [2011]
  • 임화문학예술전집 편찬위원회 편, 『임화문학예술전집』1-5
    소명출판 [2009]
  • 임화문학연구회편, 『임화문학연구』4
    소명출판 [2014]
  • 인민의 탄생
    송호근 민음사 [2011]
  • 유치환 시 연구-아나키즘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김미선 공주대학교 석사 논문 [2002]
  • 유물 보존 공개 고증, 『시인 신동엽』
    김응교 인병선 현암사 [2005]
  • 용담유사
    양윤석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13]
  • 옮김, 『문학이란 무엇인가』
    사르트르 정명환 민음사 [1998]
  • 엠마 골드만, 김사완 옮김, 『저주받은 아나키즘』
    우물이 있는 집 [2001]
  • 에이브럼스, 최상규 역, 『문학비평용어사전』
    대방출판사 [1987]
  • 야마다 소지, 정선태 옮김, 『가네코 후미코』
    산처럼 [2003]
  • 앤터니 비버, 김원중 역, 『스페인 내전』
    교양인 [2009]
  • 아나키즘 문학론 수용행태 고찰 : 1920년대의 한국문단 '논쟁'을 중 심으로
    홍 의 『한국문학평론』제13권 제1호 통권 제35호, 국문학평론가 협회 [2009]
  • 아나키즘 문예론 연구: 한국 현대문학사에 나타난 그 이론과 배경
    홍 의 경희대학교 석사논문 [1976]
  • 아나키·환경·공동체
    김성국 모색 [1996]
  • 아나키·환경·공동체
    구승희 모색 [1996]
  • 신채호 다시 읽기
    이호룡 돌베개 [2013]
  • 신동엽학회, 『신동엽, 융합적 인간을 꿈꾸다』
    삶창 [2013]
  • 신동엽의 아나키스트적 상상력
    유승 『한국학연구』41,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 신동엽의 시와 삶
    김완하 푸른사상 [2013]
  • 신동엽의 시 : 고 신동엽의 문학과 인간
    천상병 『월간문학』2,6 [1969]
  • 신동엽의 근대문명 비판과 생태주의적 상상력
    김석영 『어문학』71, 한 국어문학회 [2000]
  • 신동엽의 ‘錦江’에 대하여
    김우창 『창작과 비평』,창작과비평사 봄호 [1968]
  • 신동엽론 -역사관과 여성관
    김용직 이동하 『한국현대시 연구』, 민음사 [1999]
  • 신동엽론
    趙泰一 『창작과비평』, 가을호 [1973]
  • 신동엽과 도가적 상상력
    김종철 『창작과 비평』봄호 [1989]
  • 신동엽:신동엽 시선집 산문집 신동엽 평전
    성민엽 문학세계사 [1992]
  • 신동엽-그의 문학과 삶
    구중서 온누리 [1983]
  • 박사
    신동엽 연구
    조해옥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1992]
  • 신동엽 시전집
    신동엽 창작과비평사 [2013]
  • 박사
    신동엽 시의 탈식민성 연구
    김석영 영남대학교 박사논문 [1999]
  • 신동엽 시의 유토피아 의식 연구
    김경복 『한국문학논총』제64집 [2013]
  • 신동엽 시의 원전비평과 코스모폴리타니즘 -?이야기 하는 쟁기꾼 의 大地?‘투고본’을 중심으로
    강형철 비교한국학 제20-2호, 국제비교 한국학회 [2012]
  • 신동엽 시의 서구 지배담론 거부와 대응
    김석영 『상허학보』14호 [2005]
  • 신동엽 시의 민주주의 미학 연구-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
    조강석 『한 국시학연구』제35호 [2012]
  • 신동엽 시에 나타난 아나코-코뮤니즘 - ?이야기 하는 쟁기꾼의 大地?를 중심으로
    김양선 『인문사회과학연구』제15권 제1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 신동엽 시에 나타난 생태의식 연구
    유기흥 대전대학교 박사논문 [2013]
  • 신동엽 시에 나타난 동학사상과 글쓰기 방식-『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大地』를 중심으로
    지현배 『동학학보』17권 1호 [2013]
  • 박사
    신동엽 시 연구
    김창완 한남대학교 박사논문 [1993]
  • 박사
    신동엽 시 연구
    강형철 숭실대학교 박사논문 [1998]
  • 박사
    신동엽 시 연구
    김현희 우석대학교 박사논문 [2000]
  • 신동엽 미발표 시집 꽃같이 그대 쓰러진
    신경림 실천문학사 [1988]
  • 신동엽 문학의 극성 발현양상 연구
    박미경 아주대학교 박사논문 [2012]
  • 신동엽
    김준오 건국대학교출판부 [1997]
  •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
    김종철 삼인 [2000]
  • 시에서의 참여문제
    김주연 박우사 [1969]
  • 시민의 탄생
    송호근 민음사 [2013]
  • 슈스이, 임경화 엮음?박노자 해제, 『나는 사회주의자다-고토쿠 슈스이 선집』
    고토쿠 교양인 [2011]
  • 숀 쉬한, 조준상 옮김, 『우리 시대의 아나키즘』
    필맥 [2003]
  • 세계를 뒤흔든 상호부조론
    하승우 그린비 [2006]
  • 성정심 옮김, 『청년에게 호소함』
    도서출판 신명 [1993]
  • 샘 돌고프, 박연규 옮김, 『현대산업사회와 아나키즘』
    도서출판 신명 [1993]
  • 블라디미르 레닌, 문성원?안규남 옮김, 『국가와 혁명』
    아고라 [2013]
  • 베네딕트 엔더슨, 서지원 옮김
    『세 깃발 아래서』, 길 [2009]
  • 백용식 옮김, 『아나키즘』
    충북대출판부 [2009]
  • 백낙철 옮김, 『빵의 쟁취』
    도서출판 신명 [1993]
  • 박용숙 옮김, 『예술의 의미』
    허버트 문예출판사 [1985]
  • 민중시대의 문학
    염무웅 창작과비평사 [1979]
  • 민족문학논쟁사연구
    김용락 실천문학사 [1997]
  • 문석우 옮김, 『러시아 문학 오디세이 -고대에서 20C까지』
    작가와 비평 [2011]
  • 묵자
    기세춘 바이북스 [2009]
  • 무정부주의운동사 편찬위원회, 『한국 아나키즘 운동사』
    형설출판사 [1978]
  • 머레이 북친, 문순홍 역, 『사회 생태론 철학』
    솔 출판사 [1997]
  • 막스 라파엘, 편집부 옮김, 『프루동?마르크스 ?피카소 : 예술사회학에 대한 세 가지 연구』
    눈 빛 [1991]
  • 리얼리스트 편집위원회, 『리얼리스트 8』
    삶창 [2013]
  • 리드, 박정봉, 『비정치적 인간의 정치론』
    허버트 형설출판사 [1983]
  • 로버트 폴 보프, 임흥순 옮김, 『아나키즘-국가권력을 넘어서』
    책세상 [2001]
  • 로버트 오언, 하승우 역, 『사회에 관한 새로운 의견』
    지식을 만드는 지 식 [2012]
  • 로버트 노직, 남경희 역, 『아나키에서 유토피아로』
    문학과 지성사 [1983]
  • 레나토 포기올리, 박상진 역, 『아방가르드 예술론』
    문예출판사 [1996]
  • 디이터 람핑, 장영태 옮김, 「서정시: 이론과 역사」
    문학과 지성사 [1994]
  • 동학혁명과 시-「금강」의 양식적 특성
    천 공 『표현』제16집, 표현문학 회 [1989]
  • 동학 : 국가 없는 사회의 사상
    조 민 『동학연구』제3집 [1998]
  • 동아시아 아나키즘, 그 반역의 역사
    조세현 책세상 [2001]
  • 동국대학교 한국문연구소 편, 『전쟁의 기억, 역사와 문학』상?하
    월인 [2005]
  • 도덕적 상상력과 동학의 공공행복
    김용환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12]
  • 다니엘 게렝, 하기락 옮김, 『현대아나키즘』
    신명 [1993]
  •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ㅡ신동엽시선집
    염무웅 창작과비평사 [1979]
  • 네그리, 심세광 옮김, 『예술과 다중』
    안또니오 갈무리 [2010]
  • 김유곤 옮김, 『한 혁명가의 회상 -크로포트킨 자서전』
    우물이 있는 집 [2009]
  • 김영범 옮김, 『만물은 서로 돕는다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
    르네상스 [2005]
  • 박사
  • 김수영과 신동엽의 역사의식 비교연구
    최원발 청주대학교 석사논문 [2008]
  • 김수영과 신동엽의 시 비교연구
    최규중 원광대학교 석사논문 [1994]
  • 김수영과 신동엽 시의 모더니티 연구
    남기택 충남대학교 박사논문 [2003]
  • 박사
  • 김수영과 신동엽
    이승규 소명 [2008]
  • 김수영·신동엽 시의 신화적 상상력 연구
    차창용 중앙대학교 박사논문 [2008]
  • 금강
    백낙청 창작과비평사 [1989]
  • 근대서지학회, 『근대서지』제4호
    소명출판 [2011]
  • 궁핍한 시대의 시인
    김우창 민음사 [2009]
  • 견습록 1-2
    왕양명 정인재 청계 [2007]
  • 개정판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ㅡ신동엽시선집
    염무웅 창작과비 평사 [1989]
  • 阿斯女
    신동엽 문학사 [1963]
  • 申東曄全集
    창비신서 편집위원 창작과비평사 [1975]
  • 增補版申東曄全集
    창비신서 편집위원 창작과비평사 [1980]
  • 『현실인식과 시적 형상화-김수영과 신동엽의 대비적 고찰』
    전미경 부산대 학교 석사논문 [1998]
  •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민중의식-60년대 김수영과 신동엽』
    오정환 동아 대학교 석사논문 [1980]
  • 『한국전쟁기 문학담론과 반공프로젝트』
    서동수 소명출판 [2012]
  • 『한국 아나키즘 문학론-아방가르드 예술운동과 관련하여』
    남궁경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1993]
  • 『한국 근현대시의 동학사상 연구 - 敬天사상을 중심으로』
    김영대 청주대학교 박사논문 [2001]
  • 『코뮨주의 선언』
    고병권 이진경 교양인 [2010]
  • 『절대적 자유를 향한 반역의 역사』
    이호룡 서해문집 [2008]
  • 『전경인 어문연구』1(창간호)
    신동엽학회 [2010]
  • 『장자 강의』
    기세춘 바이북스 [2008]
  • 『잊혀진 근대, 다시 읽는 해방 전前사 』
    이덕일 역사의 아침 [2013]
  • 『유치환의 시 연구 : 아나키즘과 세계인식의 관련양상을 중심으로』
    정대호 경북대학교 박사논문 [1996]
  • 『용담유사 연구』
    윤석산 모시는 사람들 [2006]
  • 『예술의 소외』
  • 『여말선초의 문학사상』
    김성룡 한길사 [1995]
  • 『에스페란토, 아나키즘 그리고 평화』
    안종수 선인 [2006]
  • 『안서시의 텍스트 연구』
    김영미 한국문화사 [2004]
  • 『아나키즘』
    하승우 책세상 [2009]
  • 『아나키즘 예술이론 연구 - Herbert Read를 중심으로』
    조진근 서울대학교 [1990]
  • 『신동엽과 한국문학』
    역락 [2011]
  • 『시와 시』2011년 가을호 통권 제 8
    푸른사상 [2011]
  • 『시론』
    김준오 삼지원 [2007]
  • 『사회적 상상력과 한국시』
    김응교 소명 [2010]
  • 『백제가요의 연구』
    조재훈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1998]
  • 『문학과 시대 현실』
    염무웅 창비 [2010]
  • 『모래 위의 시간』
    염무웅 작가 [2002]
  • 『동학가요에 나타난 弓乙사상 연구』
    조재훈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1982]
  • 『동학가사의 한 고찰 - 배경사상을 중심으로』
    유경한 건국대학교 석사 논문 [1983]
  • 『동학 2』
    표영삼 통나무 [2005]
  • 『동학 1』
    표영삼 통나무 [2004]
  • 『동양고전산책』
    기세춘 1 2, 바이북스 [2006]
  • 『노자?노자익 강해』
    김흥호 (1-4), 사색 [2013]
  • 『노자 강의』
    기세춘 바이북스 [2008]
  • 『김수영 전집』1·2
    김수영 민음사 [2013]
  • 『갑오농민전쟁』
    정창렬 정창렬 저작집 간행위원회 편, 도서출판 삼인 [2014]
  • 『-60년대 한국 현대시의 현실 지향성 연구 : 김수영과 신동엽의 시를 중심으로』
    이승규 국민대학교, 박사논문, 2005 [1950]
  • 「혁명과 시, 그리고 아나키즘 : 김수영과 신동엽의 시를 중심으로」
    조기현 『시와 반시』제21권 1호 통권 79호 [2012]
  •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동학혁명」
    김재홍 『문학사상 』제255집, 문학사상사 [1993]
  • 「한국 아나키즘시에 나타난 유토피아 사상」
    김경복 『한국문학논총』21, 한국문학회 [1997]
  • 「한국 곰 신화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의 문제」
    염원희 『민속학연구』제29호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연구과 [2011]
  • 「청마 시에 나타난 아나키즘의 수용」
    정대호 『문학과언어』19, 문학과언 어학회 [1997]
  • 「이야기 하는 쟁기꾼의 大地」의 세 층위와 그 의미」
    김양선 『지역문학 과 문학교육』, 한국문학교육학회 제67회 학술대회자료집 [2014]
  • 「우리 역사 전통 속의 아나키즘적 요소」
    이덕일 『한국민족운동사연구』 37 [2003]
  • 「역리와 동학의 조화사상 연구
    趙鏞一 『동국대대학원연구논집』제15 [1985]
  • 「아나키즘적 평등의식 : 신동엽의 「금강」」
    조해옥 『시와 정신』통권 제17호 [2006]
  • 「아나키즘 미학과 상징 」
    박연규 『시와 반시』제 21권 1호 통권 79호 [2012]
  • 「신(神)의 저편-고정희론」
    김영미 『행복한 시인의 사회』, 소명출판 [2005]
  • 「서정과 유토피아 사상의 관련성」
    김경복 『국어국문학』334,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7]
  • 「서사시의 가능성과 문제점」
    염무웅 『한국문학의 현단계』, 창작과비평사 [1982]
  • 「살아있는 신동엽」
    백낙청 『민족문학의 새 단계』, 창작과비평사 [1990]
  • 「부정과 저항으로서 한국 아나키즘 시」
    김경복 『시와 반시』 [2003]
  • 「바그너의 혁명미학과 종합예술의 의미 연구-‘취리히 저술’을 중심으로」
    남상식 『한국연극학』제20호, 한국연극학회 [2003]
  • 「무정부 마을의 둥구나무, 신동엽」
    김경복 『형상과 인식』5호 [1995]
  • 「동학혁명과과 동학가사」
    김학준 『표현』제16집 [1989]
  • 「동학농민혁명 시에 나타난 리얼리즘의 한 양상」
    남송우 『현대시』제5집 [1994]
  • 「동학가요에 나타난 弓乙의 의미망 其一」
    조재훈 『공주사범대논문집』제21 집, 공주사범대학교 [1983]
  • 「동학가요에 나타난 弓乙사상의 연원 및 그 수용양상에 관한 연구」
    조재훈 『공주대논문집』제20집, 공주사범대학교 [1982]
  • 「동학가사의 원형적 접근-구원의 원리로 본 원형적 상징」
    유경한 『명지어문학』제19집 [1990]
  • 「동학가사의 근대지향성」
    오출세 동국대 『국어국문학논문집』16 [1993]
  • 「동학가사와 동학혁명 - 용담에서 고부까지」
    윤석산 『현대시학』제299호 [1994]
  • 「동학가사에 나타난 민간신앙적 요소의 의미 」
    윤석산 한양대 『인간과 경험동서남북』제2집 [1990]
  • 「동학가사에 나타난 弓乙에 대한 소고 - 弓乙의 연원과 상징적 의미 체계의 재구」
    유경한 『국어국문학』제101호 [1989]
  • 「동학 백주년에 다시 읽는 서사시「금강」」
    송희복 『현대시학』제299호, 현대시학사 [1994]
  • 「독점발굴자료-신동엽의 시」
    문승묵 『미네르바』봄호 [2008]
  • 「독점발굴자료-신동엽의 시」
    문승묵 『미네르바』여름호 [2009]
  • 「도가 사상과 아나키즘」
    김갑수 『시대와 철학』제19권 3호, 한국철학사상 연구회 [2008]
  • 「단재 신채호 문학과 아나키즘론」
    김경복 『국어국문학』30,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3]
  • 「노동 자본 그리고 시-백무산론」
    김영미 『이제 희망을 노래하련다』, 이화현대시연구회, 소명출판 [2009]
  • 「년대 시와 근대적 주체의 두 양상-김수영, 신동엽의 시를 중심 으로」
    이기성 『1960년대 문학연구』민족문학사연구소, 깊은샘, 1998 [1960]
  • 「금강과 신동엽의 문학」
    조재훈 『호서문학』 [1991]
  • 「『東經大全』연구」
    윤석산 『동학연구』제3집 [1998]
  • 「4 19혁명, 그리고 ‘미학의 정치’를 둘러싼 징후들」
    오창은 『오늘의 문예 비평』통권 제75호, 해성 [2009]
  • 「20세기 한국 아나키즘 시의 역사적 의미」
    김경복 『아나키즘연구』제2호, 국민문화연구소 [2002]
  • ‘국가’를 통해 본 김수영과 신동엽의 시
    이경수 『한국근대문학연구』 6호, 한국근대문학회 [2005]
  • ______, Translated by NF Dryhurst, The Great French Revolution 1789-1793, Red and Black Publishers, St Petersburg, Florida,2010.
  • ______, Form in Modern Poetry, Seed & Ward New York,1933
  • ______, Education Through Art ,Pantheon Books, New York,
  • ______, Art and Alienation, New York The Viking Press,1967.
  • P.Kropotkin, Russian Literature Ideals And Realities,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Honolulu, Hawaii, 2003.
  • M. Paraskos(Edited), New View On Herbert Read, Freedom Press,2007.
  • H. Read, Anarchy & Order,Beacon Press Boston,1971.
  • E?H. 카,이태규 옮김, 『미하일 바쿠닌』
    이매진 [2012]
  • A. Zonneveld(Edited), The Commune : Paris, 1871, On Our Own Authority! Publishing, 2013.
  • 52人詩集
    백철 신구문화사 [1967]
  • 1950년대
    고은 향연 [2005]
  • (자유·자치·자연)아나키즘 이야기
    박홍규 이학사 [2004]